KR20210002547A -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 Google Patents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47A
KR20210002547A KR1020207032973A KR20207032973A KR20210002547A KR 20210002547 A KR20210002547 A KR 20210002547A KR 1020207032973 A KR1020207032973 A KR 1020207032973A KR 20207032973 A KR20207032973 A KR 20207032973A KR 20210002547 A KR20210002547 A KR 2021000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c
wireless device
message
update timer
perio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268B1 (ko
Inventor
구나르 밀드
이카로 레오나르도 제이. 다 실바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21000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무선 디바이스(WD)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_CONNECTED 상태로의 WD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WD가 RRC_INACIVE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_IDLE 상태로의 WD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WD가 RRC_CONNECTED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기 위한 방법이 WD에서 구현된다.

Description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LTE에서의 RRC 접속 재개
롱 텀 에볼루션(LTE)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릴리스(Rel)-13에서, 무선 디바이스(WD)가 RRC_IDLE 상태와 유사한 중단된 상태로 네트워크에 의해 배치되지만 WD가 액세스 계층(AS) 컨텍스트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차이를 갖는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이것은, 스크래치로부터 RRC 접속을 확립하는 대신에, WD가 RRC 접속을 재개함으로써 다시 활성화될 때 시그널링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그널링을 감소시키는 것은 몇 가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예를 들어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스마트폰들에 대한 감소된 레이턴시;
Figure pct00002
감소된 시그널링은 매우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신 유형 디바이스들에 대한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다.
Rel-13 솔루션은 WD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로부터 RRCConnectionResume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한다. RRCConnectionResume는 암호화되지 않고 무결성 보호된다.
NR 및 가능하게는 LTE Rel-15에서의 RRC_INACTIVE
3GPP 시리즈들의 표준들에서 5세대 새로운 무선(5G NR)에 대한 표준화된 작업의 일부로서, NR은 LTE Rel-13에서의 중단된 상태와 유사한 속성들을 갖는 RRC_INACTIVE 상태를 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RRC_INACTIVE 상태는 그것이 LTE에서와 같이 RRC_IDLE 상태의 일부가 아니라 별도의 RRC 상태라는 점에서 나중의 상태와 약간 상이한 속성들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N/RAN) 접속(NG 또는 N2 인터페이스)은 그것이 LTE에서 중단되었던 동안 RRC_INACTIVE 상태로 유지된다. 도 1은 NR에서의 이러한 상태들 사이의 가능한 상태 전이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들의 속성들은 다음과 같다:
RRC_IDLE:
Figure pct00003
WD 1 특정 불연속 수신(DRX) 모드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Figure pct00004
WD 1 제어 이동성은 네트워크 구성에 기반하고;
Figure pct00005
WD 1은,
a) 5G-S-임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TMSI)를 이용하여 CN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b) 이웃 셀 측정들 및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c) 시스템 정보를 취득한다.
RRC_INACTIVE:
Figure pct00006
WD 1 특정 DRX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Figure pct00007
WD 1 제어 이동성은 네트워크 구성에 기반하고;
Figure pct00008
WD 1은 액세스 계층(AS)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Figure pct00009
WD 1은,
a) 5G-S-TMSI를 이용하여 CN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채널 및 I-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용하여 RAN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b) 이웃 셀 측정들 및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c) RAN 기반 통지 영역 업데이트들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RAN 기반 통지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수행하고;
d) 시스템 정보를 취득한다.
RRC_CONNECTED:
Figure pct00010
WD 1은 AS 컨텍스트를 저장한다.
Figure pct00011
WD 1로의/로부터의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Figure pct00012
하위 계층들에서, WD는 WD 1 특정 DRX로 구성될 수 있고;
Figure pct00013
WD 1이 캐리어 집성(CA)을 지원하는 경우, 증가된 대역폭을 위해, SpCell(secondary primary cell)과 집성된 하나 이상의 SCell(secondary cell)을 이용하고;
Figure pct00014
WD 1이 DC 서브캐리어를 지원하는 경우, 증가된 대역폭을 위해, MCG(master cell group)과 집성된 하나의 SCG(secondary cell group)를 이용하고;
Figure pct00015
네트워크 제어 이동성, 즉 NR 내의 그리고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으로/으로부터의 핸드오버가 있고;
Figure pct00016
WD 1은,
a)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b) 데이터가 그것에 대해 스케줄링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공유 데이터 채널과 연관된 제어 채널들을 모니터링하고;
c) 채널 품질 및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d) 이웃 셀 측정들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하고;
e) 시스템 정보를 취득한다.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구성
RRC_CONNECTED 상태로부터 RRC_INACTIVE 상태로의 전이가 하나의 단계에서 행해지고,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 RNA들에 대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NR에서 합의되었다:
RAN2-98 - 2017년 5월
Figure pct00017
CONNECTED 상태로부터 INACTIVE 상태로의 RRC 상태 전이는 하나의 단계 절차를 따른다.
RAN2-99 - 2017년 8월
Figure pct00018
CONNECTED 상태에서 INACTIVE RRC 상태로의 전이의 경우, RRC 접속 해제 유형의 메시지가 이용되고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SRB1)을 통해 전송된다.
Figure pct00019
CONNECTED 상태에서 INACTIVE RRC 상태로의 전이의 경우, RRC 접속 해제 유형의 메시지는 (a) 원인 정보, 재지향 캐리어 주파수 및 이동성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b) WD 1 아이덴티티(또는 WD 1 컨텍스트 아이덴티티)와, 임의적으로 (c) 중단/비활성화 표시(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중 어느 하나), (d)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구성된 DRX 사이클, (e) RAN 주기적 통지 타이머, 및 (f) RAN 통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로부터 RRC_Inactive 상태로의 전이의 대응하는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중단 표시를 갖는 RRC 해제 메시지 또는 RRC 중단이라 불리는 별개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이가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진행 중인 논의가 있지만, 최종 결정에 관계 없이, 그 메시지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WD 1은 RRC 중단(또는 등가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 타이머를 시작할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WD 1은 T380이라고 불리는 그 타이머의 만료 시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를 트리거링할 것으로 가정된다.
현재의 접속 제어(CR)에서,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절차는 (예를 들어, RRC 중단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WD 1에 의한 RRCSuspend 의 수신
하나의 가능한 절차에 따르면, WD 1은,
Figure pct00020
RRCSuspend 메시지가 수신된 순간부터 또는 임의적으로 하위 계층들이 RRCSuspend 메시지의 수신이 성공적으로 확인응답되었음을 나타낼 때 중 어느 쪽이든 빠른 때에 이 하위 절에 정의된 다음의 동작들을 Xms(여기서 X는 구성가능하거나 LTE에서와 같이 60으로 고정될 수 있음) 동안 지연시키고;
Figure pct00021
RRCSuspend 메시지가 idleMode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경우:
a) idleModeMobilityControlInfo에 의해 제공되는 셀 재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고;
b) T320(즉, 타이머)이 포함된다면:
i) T320의 값에 따라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 T320을 시작하고;
Figure pct00022
그렇지 않은 경우:
a) 시스템 정보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셀 재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적용하고;
Figure pct00023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다음의 정보, 즉 resumeIdentity, nextHopChainingCount, ran-PagingCycle 및 ran-NotificationAreaInfo를 저장하고;
Figure pct00024
모든 SRB들 및 DRB들에 대한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들을 재확립하고;
Figure pct00025
MAC를 리셋하고;
Figure pct00026
RRCSuspend 메시지가 RRCResumeRequest에 응답하여 수신되지 않았다면:
a) 현재 RRC 구성, 현재 보안 컨텍스트,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상태를 포함하는 PDCP 상태, 소스 PCell(primary cell)에서 이용되는 C-RNTI, cellIdentity 및 소스 PCell의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WD AS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Figure pct00027
SRB0을 제외하고, 모든 SRB(들) 및 DRB(들)를 중단하고;
Figure pct00028
periodic-RNAU-timer로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 T380을 시작하고;
Figure pct00029
상위 계층들에 대한 RRC 접속의 중단을 표시하고;
Figure pct00030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를 중단하도록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고;
Figure pct00031
RRC_INACTIVE에 진입하고 TS 38.304에 지정된 바와 같은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T380 만료 또는 RNA에 속하지 않는 셀에 진입하는 WD 1
다른 가능한 절차에 따르면, WD는,
Figure pct00032
T380이 만료되면,
a) 원인 값이 'ffs'로 설정되어 있는 위에서 논의된 RRC 접속 재개 절차를 개시하고;
Figure pct00033
WD 1이 RNA에 속하지 않는 셀에 진입하면,
a) 원인 값이 'ffs'로 설정되어 있는 위에서 논의된 RRC 접속 재개 절차를 개시한다.
이 타이머 T380에 관련된 다른 동작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들에 관련된 중지 기준이다. 현재의 접속 제어에서, WD 1은 그것이 만료할 때 타이머 T380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T380이 만료될 때, WD 1은 타이머 T380을 중지시키고, RNA와 관련된 원인 값을 갖는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na-update' 또는 'periodic-rna-update')를 전송함으로써 재개 절차를 개시한다.
그 경우에 더하여, 사양들은 또한 WD 1이 RRC 재개 메시지의 수신 시에 T380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그 이유는 이 시점에서 네트워크가 이미 WD 1 위치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RNA 업데이트를 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3 내지 도 7은 WD 1과 네트워크 노드(2) 사이의 다양한 상황들에서 RRC 접속 재개 프로세스들을 위한 절차들을 도시한다. 도 3은 RRC 접속 재개 프로세스가 성공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RRC 접속 확립 프로세스에 대한 RRC 접속 재개 폴백이 성공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5는 네트워크 해제 프로세스가 후속하는 RRC 접속 재개가 성공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6은 네트워크 중단 프로세스가 후속하는 RRC 접속 재개가 성공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은 RRC 접속 재개가 네트워크 거부를 초래하는 것을 도시한다.
RRC 접속 재개 절차의 목적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SRB들) 및 전용 무선 베어러들(DRB들)을 재개하거나 또는 RN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RRC 접속을 재개하는 것이다.
개시
WD 1은 상위 계층들이 RRC 접속의 재개를 요청할 때, NG-RAN 페이징에 응답할 때 또는 WD 1이 RRC_INACTIVE에 있는 동안 RNA 업데이트들을 트리거링할 때 절차를 개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절차에 따르면, RRC 접속 재개 절차의 개시 시에, WD 1(섹션들, 예컨대 9.2.4에 대한 이 단락에서의 언급들은 3GPP TS 38.331 v 15.1.0에서의 섹션들을 지칭함)은,
Figure pct00034
9.2.4에 명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물리적 채널 구성을 적용하고;
Figure pct00035
9.2.3에 명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반-영구적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고;
Figure pct00036
9.2.2에 명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MAC 메인 구성을 적용하고;
Figure pct00037
9.1.1.2에 명시된 바와 같은 공통 제어 채널(CCCH) 구성을 적용하고;
Figure pct00038
타이머 T300X를 시작하고;
Figure pct00039
타이머 T380을 중지시키고;
Figure pct00040
예를 들어, 3GPP TS 38.331 v 15.1.0의 5.3.13.2에 따라 RRCResumeRequest 메시지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41
전술한 절차들의 첫 번째 문제점은, NR에서의 WD 1이 RRC 접속에 진입하도록 WD 1에 지시하는,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절차가 LTE에 또한 존재하지만, 타이머 T380은 LTE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경우에, 아마도 타이머 T380이 여전히 실행되고 있는 동안 WD가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하게 할 NR에 대한 타이머 T380에 대해 지정된 동작이 없다. 이것은 아마도, WD 1이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동안 타이머 T380이 만료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가 RRC_CONNECTED 상태에서의 WD 1 위치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불필요한 신호 또는 에러 경우들을 초래할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주기적 RNA 업데이트 이외의 이유들로 인해 RRC_INACTIVE WD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T380 타이머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따라서, 타이머 T380은 WD 1이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여전히 실행 중일 것이다). 예는 이동성 트리거 RNA(WD 1이 그 구성된 RNA에 속하지 않는 셀에 진입함) 또는 업링크(UL) 조기 데이터 전송이며, 여기서 WD 1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와 다중화된 작은 UL 데이터를 이미 전송하였을 수 있다. 이들 두 가지 경우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RRC 중단 메시지(또는 WD 1을 RRC_INACTIVE 상태로 다시 이동시키는 임의의 다른 등가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문제점은, WD가 아마도 새로운 타이머 값을 수신할 때, 그 타이머가 여전히 실행 중일 것이므로, 그 경우에서의 T380에 관련된 WD 1 거동(중단 메시지로 응답)이 사양에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세 번째 문제점은, RRC_INACTIVE WD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이외의 이유들, 예컨대 이동성 트리거 RNA(WD 1이 그 구성된 RNA에 속하지 않는 셀에 진입함)로 인해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T380 타이머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다른 가능한 경우는 UL 조기 데이터 전송이며, 여기서 WD 1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와 이미 다중화된 작은 UL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수 있다. 이들 두 가지 경우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RRC 해제 메시지(또는 WD를 다시 RRC_IDLE 상태로 이동시키는 임의의 다른 등가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고, 그 경우, WD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타이머 T380은 여전히 실행 중일 것이다. 그 경우에서의 T380과 관련된 WD 1 거동은, WD 1이 아마도 새로운 타이머 값을 수신할 때, 타이머가 여전히 실행 중일 것이므로 사양에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네 번째 문제점은, RRC_INACTIVE WD가 RRC 재개 절차를 수행하지 못할 때(즉,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하지 않고, 따라서 타이머 T380을 중지시키지 않을 때) T380 타이머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일부 실패 경우들, 예컨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의 전송 시의 커버리지 문제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요청의 전송 시에, 타이머 T300X가 시작되고, WD 1이 타이머 T300X가 실행 중인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면, WD 1은 RRC_IDLE 상태에 진입하고 상위 계층에 통지한다. T380은 RRC_INACTIVE 상태에서 실행될 것이므로, 현재 절차들에 따라 WD 1이 RRC_IDLE 상태에 진입한 후에도 계속 실행될 것이다. 이것은, WD 1이 여전히 도달가능하다는 것을 RAN에 주기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지속 메커니즘으로서 타이머가 유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인 반면, RRC_IDLE 상태에서, CN은 WD 1 도달가능성을 담당한다. 도 8은 불량 다운링크(DL) 무선 조건들로 인한 재개 절차 실패를 도시한다. 도 9는 불량 업링크(UL) 무선 조건들로 인한 재개 절차 실패를 도시한다.
다섯 번째 문제점은, 만료 시에, WD 1이 그 AS 컨텍스트를 해제하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로 전이하게 하는 구성된 타이머와 같이, 예를 들어 임의의 INACTIVE-IDLE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RRC_INACTIVE WD 1이 RRC_CONNECTED 상태를 반드시 거칠 필요 없이 RRC_IDLE 상태에 진입할 때 T380 타이머를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T380은 RRC_INACTIVE 상태에서 실행될 것이므로, 현재 절차들에 따라 WD 1이 RRC_IDLE 상태에 진입한 후에도 계속 실행될 것이다. 이것은, WD 1이 여전히 도달가능하다는 것을 RAN에 주기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지속 메커니즘으로서 타이머가 유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인 반면, RRC_IDLE 상태에서, CN은 WD 1 도달가능성을 담당한다. 따라서, T380을 실행하는 것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여섯 번째 문제점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WD 1 컨텍스트를 손실하였고 WD 1에 통지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네트워크 노드(2)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는, RRC_INACTIVE 상태에 WD 1이 있는 동안 CN 페이징 시에 RRC_INACTIVE WD 1이 RRC_CONNECTED 상태를 반드시 거칠 필요 없이 RRC_IDLE 상태에 진입할 때 T380 타이머를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T380은 RRC_INACTIVE 상태에서 실행될 것이므로, 현재 절차들에 따라 WD 1이 RRC_IDLE 상태에 진입한 후에도 계속 실행될 것이다. 이것은, WD 1이 여전히 도달가능하다는 것을 RAN에 주기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지속 메커니즘으로서 타이머가 유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인 반면, RRC_IDLE 상태에서, CN은 WD 1 도달가능성을 담당한다. 따라서, T380을 실행하는 것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RRC 중단 메시지(또는 WD 1이 RRC_INACTIVE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등가 메시지)의 수신과 주로 관련된 일곱 번째 문제점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 T380의 기존 인스턴스가 실행 중인 동안 주기적 RNA 업데이트 T380 타이머에 대한 값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중단 메시지의 수신 시에 WD 1 동작들에 대한 명확성의 부족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WD가 RRC_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절차들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들을 도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WD가 RNA 업데이트들을 수행하지 않아야 하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시그널링 또는 이상한 거동을 피하기 위해 실행되는 경우 WD가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상이한 시나리오들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RRC 중단 메시지(또는 등가 메시지, 예컨대 중단 표시를 갖는 RRC 해제 메시지, 본 명세서에서 RRC 중단 메시지라고 지칭됨)의 수신 시, 또는 RRC 해제 메시지(또는 WD에게 RRC_IDLE 상태로 지시하는 등가 메시지)의 수신 시, 또는 WD를 RRC_IDLE 상태로 이동시키는 임의의 다른 트리거링 시에 WD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은 WD가 새로운 T380 타이머 값을 갖는 중단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새로운 주기적 RNA 타이머 값들(즉, T380 타이머 값들)의 수신을 처리하는 것을 또한 다룬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 RNA 타이머, T380 및 T380 타이머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메커니즘들을 이용함으로써, 후속하는 중단 절차들에 대해 또는 WD가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하지 않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경우에 명확한 WD 거동이 정의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메커니즘들을 적용하는 것은 WD가 RRC_IDLE 상태에 진입하는 동안 또는 T380 타이머의 새로운 값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RRC 중단 메시지의 수신 시에 주기적 RNA 타이머(T380)의 실행을 유지하는 것을 피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조건은 RRC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접속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전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 내의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실패하면, 이전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유휴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접속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시작은 RRC 비활성 상태의 진입 시에 트리거링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시작되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중지되며, 여기서 조건은 RRC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접속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전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 내의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재시작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실패하면, 이전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재시작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유휴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접속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시작은 RRC 비활성 상태의 진입 시에 트리거링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 중인 경우, 수신된 RRC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RRC 메시지는 RRC 셋업 메시지, RRC 재개 요청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및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들 및 이에 수반되는 이점들 및 특징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NR에서의 가능한 상태 전이들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2는 RRC_Connected 상태로부터 RRC_Inactive 상태로의 전이의 도면이다.
도 3은 RRC 접속 재개 프로세스가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RRC 접속 확립 프로세스에 대한 RRC 접속 재개 폴백이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네트워크 해제 프로세스가 후속하는 RRC 접속 재개가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중단 프로세스가 후속하는 RRC 접속 재개가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RRC 접속 재개가 네트워크 거부를 초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불량 다운링크(DL) 무선 조건들로 인한 재개 절차 실패를 도시한다.
도 9는 불량 업링크(UL) 무선 조건들로 인한 재개 절차 실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를 경유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또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실시예들은 주로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처리와 관련된 장치 구성요소들 및 처리 단계들의 조합들로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구성요소들은 도면들에서 기존의 부호들로 적절한 곳에 표현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점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상세들로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실시예들의 이해에 관련된 이들 특정 상세들만을 도시한다. 설명 전반에 걸쳐 유사한 번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과 같은 관계형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요소를 다른 엔티티 또는 요소와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엔티티들 또는 요소들 간의 임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필요로 하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들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용어들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와 통신하는" 등의 결합 용어는 전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물리적 접촉, 유도, 전자기 복사, 무선 시그널링, 적외선 시그널링 또는 광학 시그널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복수의 구성요소가 연동될 수 있고, 전기적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어 "결합된", "접속된" 등은, 반드시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접속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표현 및/또는 나타내는 정보를 명시적 및/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암시적 표시는, 예를 들어, 전송에 이용되는 위치 및/또는 리소스에 기반할 수 있다. 명시적 표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파라미터화,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 또는 인덱스들, 및/또는 정보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 패턴에 기반할 수 있다. 이용된 리소스 시퀀스에 기반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 시그널링이 제어 시그널링 유형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히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신호는 임의의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일 수 있다. 물리적 신호들의 예들은 PSS, SSS, CRS, PRS 등과 같은 기준 신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채널 수신과 관련한) 물리적 채널이라는 용어는 또한 '채널'로서 지칭된다. 물리적 채널들의 예들은 MIB, PBCH, NPBCH, PDCCH, PDSCH, sPUCCH, sPDSCH, sPUCCH, sPUSCH, MPDCCH, NPDCCH, NPDSCH, E-PDCCH, PUSCH, PUCCH, NPUSCH 등이다. 이들 용어들/약어들은 3GPP 표준 언어, 특히 LTE 및/또는 새로운 무선(NR)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특히 기지국 또는 eNode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셀을 통해 그리고/또는 셀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접속 및/또는 채널 및/또는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DL) 접속 및/또는 채널 및/또는 캐리어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업링크 방향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으로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은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및/또는 중계 노드로부터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UL 및 DL은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들, 예를 들어, 캐리어들 및/또는 스펙트럼 대역들과 연관될 수 있다. 셀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가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odeB는 하나 이상의 셀, 예를 들어, PCell 및/또는 LA 셀을 제공 및/또는 정의 및/또는 제어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운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단말기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로의 (직접) 전송과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및 사이드링크(예컨대, 사이드링크 전송 및 수신)는 통신 방향들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는데 이용, 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예컨대, 무선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특히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종단되는 통신을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은 사이드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구성을 표현하는 구성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게 (병렬로 및/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 예컨대,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다른 노드들은 구성 데이터를 추가로 무선 노드(또는 다른 노드, 이는 구성 데이터가 무선 디바이스(22)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음)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노드를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상위-레벨 노드일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16)와 같은 다른 노드로부터 구성 데이터 및/또는 구성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및/또는 수신된 구성 데이터를 무선 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을 결정하고 구성 데이터를 무선 노드에게 전송하는 것은, 적절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LTE의 경우에 X2 인터페이스 또는 NR에 대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엔티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예를 들어, WD(22))를 구성하는 것은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전송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DCI 및/또는 업링크 제어 또는 데이터 또는 통신 시그널링, 특히, 확인응답 시그널링 및/또는 구성 리소스들 및/또는 그에 대한 리소스 풀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예를 들어, WD(22))를 구성하는 것은 WD(22)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특정 서브프레임들 또는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특정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측정들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시그널링은 데이터, 특히,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페이로드 데이터 및/또는 무선 및/또는 물리적 계층(들) 위의 통신 계층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들 및/또는 심볼들과 관련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복조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특히 3GPP 및/또는 LTE 기술들에 따른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연관된 데이터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디코딩 및/또는 복조하기 위해 단말기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시그널링, 특히, 특정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시그널링과 연관될 수 있다. 데이터 시그널링 및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인터레이싱 및/또는 멀티플렉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또는 심볼을 커버하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그리고/또는 리소스 블록과 같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리소스 요소는, 예를 들어, 공통 변조에서 표현되는 하나의 심볼 또는 다수의 비트들에 의해 커버되는 시간 및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는 최소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요소는, 예를 들어, 특히, 3GPP 및/또는 LTE 표준들에서 심볼 시간 길이 및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특정 데이터,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 블록 및/또는 전송 블록의 전송을 나타내고/내거나 이와 관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복조 기준 시그널링을 식별 및/또는 정의할 수 있는 신호들 및/또는 심볼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또는 정보는 임의의 종류의 데이터, 특히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페이로드 데이터 중 임의의 하나 및/또는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제어 정보(제어 데이터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는 데이터 전송 및/또는 네트워크 또는 단말기 동작의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스케줄링하고/하거나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BS), 무선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 제어기(BSC),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g Node B(gNB), 진화된 Node B(eNB 또는 eNodeB), 백홀(IAB) 노드, Node B, MSR BS 등의 다중-표준 무선(MSR) 무선 노드, 다중 셀/멀티캐스트 조율 엔티티(MCE), 중계 노드, 중계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donor node),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전송 포인트들, 전송 노드들,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mobile management entity), SON(self-organizing network) 노드, 조율 노드, 포지셔닝 노드, MDT 노드 등), 외부 노드(예를 들어, 제3자 노드, 현재 네트워크 외부의 노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의 노드들, SAS(spectrum access system) 노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등 중에서 임의의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무선 노드"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WD)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등의 무선 디바이스(WD)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들 무선 디바이스(WD) 또는 사용자 장비(UE)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WD는, 무선 디바이스(WD)와 같이, 무선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WD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WD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WD, 기계형 WD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이 가능한 WD, 저비용 및/또는 저복잡성 WD, WD가 장착된 센서,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국, 무선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RNC, 진화된 Node B(eNB), Node B, gNB,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무선 액세스 포인트,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 및/또는 새로운 무선(NR) 등의, 하나의 특정한 무선 시스템으로부터의 용어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으로만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한 없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 내에서 커버되는 발상들을 활용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들은 단일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한 수행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실상, 여러 물리적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 및 관련 분야와 관련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그렇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 RNA 타이머, T380 및 T380 타이머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NR에서 RRC_INACTIVE WD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로서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이 그 경우에 적용가능하지만, 실시예들이 다음과 같이 적용가능한 다른 추가적인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Figure pct00042
절차들이 NR 대신에 LTE에서 발생하는 이전의 모든 경우들; 즉 LTE RRC_INACTIVE WD들의 경우에 대해;
Figure pct00043
주로 동일한 CN(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LTE와 NR 사이의 RRC_INACTIVE 상태에서의 인터-RAT(radio access technology) 절차들:
Figure pct00044
LTE RRC_CONNECTED 상태에서의 WD는 LTE RRC_INACTIVE 상태로 중단되고 T380을 시작하고, 이동성을 수행하고 NR 셀에 캠프 온하며(즉, NR RRC_INACTIVE 상태가 되고) T380이 실행 중인 동안 NR에서 재개하려고 시도한다.
Figure pct00045
NR RRC_CONNECTED 상태에서의 WD는 NR RRC_INACTIVE 상태로 중단되고 T380을 시작하고, 이동성을 수행하고 LTE 셀에 캠프 온하며(즉, LTE RRC_INACTIVE 상태로 전이하고) T380이 실행 중인 동안 LTE에서 재개하려고 시도한다.
인터-RAT 경우에 대한 설명에서, RRC_INACTIVE 상태 이동성을 위한 공통 T380 타이머가 정의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유사한 요소들이 유사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지칭되는 도면들을 다시 참조하면, 도 10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12) 및 코어 네트워크(14)를 포함하는, LTE 및/또는 NR (5G) 등의 표준들을 지원할 수 있는 3GPP형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는, NB들, eNB들, gNB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등의, (집합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16)이라고 지칭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를 포함하며, 각각은 (집합적으로 커버리지 영역들(18)이라고 지칭되는)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8a, 18b, 18c)을 정의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2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4)에 접속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8a)에 위치한 제1 무선 디바이스(WD)(22a)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18b)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WD)(22b)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a)에 무선으로 접속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WD(22a, 22b)(집합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22)이라고 지칭됨)가 도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 하나의 WD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단 하나의 WD가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편의를 위해 단지 2개의 WD(22) 및 3개의 네트워크 노드(16)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WD들(22) 및 네트워크 노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WD(22)가 동시 통신을 하고/하거나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노드(16) 및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16)와 별도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WD(22)는 LTE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16), 및 NR을 지원하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16)와의 이중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WD(22)는 LTE/E-UTRAN에 대한 eNB 및 NR/NG-RAN에 대한 gNB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그 자체가 호스트 컴퓨터(24)에 접속될 수 있고, 이 호스트 컴퓨터(24)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 구현 서버, 분산형 서버 또는 서버 팜 내의 처리 리소스들로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과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들(26, 28)은, 코어 네트워크(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24)로 직접 연장되거나, 임의적인 중간 네트워크(3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이거나 그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있다면,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네트워크(3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의 도 10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WD들(22a, 22b)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은 OTT(over-the-top) 접속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 및 접속된 WD들(22a, 22b)은, 매개자들로서 액세스 네트워크(12), 코어 네트워크(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3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스트럭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OTT 접속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은, OTT 접속이 거치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는, 접속된 WD(22a)로 전달(예를 들어, 핸드오버)될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유래하는 데이터와의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대해 통보받지 않거나 통보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6)는, 호스트 컴퓨터(24)를 향해 WD(22a)로부터 유래하는 발신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와 메시지들 및 데이터를 통신 및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22)는, 한 세트의 조건들 중 하나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존재할 때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22)는 또한 예를 들어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및/또는 처리 회로(84)를 통해 WD의 다양한 상태들로의 전이를 결정하고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단락들에서 논의된 WD(22), 네트워크 노드(16)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들이 이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0)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HW)(38)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저장 및/또는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42)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42)는 프로세서(44) 및 메모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42)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46)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4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호스트 컴퓨터(24)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4)에 대응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48) 및/또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로 하여금 호스트 컴퓨터(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호스트 컴퓨터(24)와 연관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접속되는 WD(22) 등의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및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어 및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의 처리 회로(42)는 호스트 컴퓨터(24)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2)의 관찰, 모니터링, 제어, 이들에의 전송 및/또는 이들로부터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시스템(10) 내에 제공되고 네트워크 노드가 호스트 컴퓨터(24) 및 WD(22)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5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를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58)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60)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18)에 위치한 WD(22)와의 적어도 무선 접속(64)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6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0)는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접속(66)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66)은 직접적이거나 통신 시스템(10)의 코어 네트워크(14) 및/또는 통신 시스템(10)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30)를 거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의 하드웨어(58)는 처리 회로(68)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68)는 프로세서(70) 및 메모리(7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68)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 및/또는 ASI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 및/또는 ROM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72)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를 들어 메모리(72)에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외부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74)를 추가로 갖는다. 소프트웨어(74)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처리 회로(68)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16)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에 대응한다. 메모리(7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74)는,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로 하여금 네트워크 노드(16)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이미 언급된 WD(22)를 더 포함한다. WD(22)는, WD(22)가 현재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18)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노드(16)와의 무선 접속(64)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80)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8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WD(22)의 하드웨어(80)는 처리 회로(84)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84)는 프로세서(86) 및 메모리(8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84)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 및/또는 ASI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 및/또는 ROM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88)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WD(22)는, 예를 들어 WD(22)의 메모리(88)에 저장되거나 WD(22)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지원과 함께, WD(22)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52)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 회로(8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WD(22)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WD(22)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6)에 대응한다. WD(2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8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90)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로 하여금 WD(2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처리 회로(84)는 한 세트의 조건들 중 하나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존재할 때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WD(22)는 프로세서(84) 및/또는 처리 회로(84)를 통해, 상태들을 결정하고 WD(22)의 상태들 사이의 전이들을 지향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WD(22)의 무선 인터페이스(82)는 RRC 재개 요청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RRC 셋업 메시지들, RRC 중단 메시지들 및 RRC 해제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기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내부 동작들은 도 11에 도시된 것일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0의 것일 수 있다.
도 11에서, OTT 접속(52)은,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들 및 이들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없이 네트워크 노드(16)를 통한 호스트 컴퓨터(24)와 무선 디바이스(22)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라우팅은, WD(22) 또는 호스트 컴퓨터(24)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 은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접속(52)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부하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들을 내릴 수 있다.
WD(22)와 네트워크 노드(16) 사이의 무선 접속(64)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접속(64)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는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WD(22)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 정확하게,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의 교시내용들은,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또는 전력 소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 파일 크기에 대한 완화된 제한, 더 나은 응답성, 연장된 배터리 수명 등과 같은 이익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향상시키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인자들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위한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들에서의 변동들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24)와 WD(22) 사이의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임의적인 네트워크 기능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소프트웨어(48)에서 또는 WD(22)의 소프트웨어(90)에서 또는 양쪽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은 OTT 접속(52)이 거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또는 이와 연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센서들은, 위에서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들의 값들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48, 90)가 모니터링된 양들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들의 값들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들, 바람직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네트워크 노드(16)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 노드(16)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 및 기능들 중 일부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서 실시 중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처리량, 전파 시간들,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24)의 측정들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 WD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전파 시간들, 에러들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소프트웨어(48, 90)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메시지들, 특히 빈 또는 '더미' 메시지들이 전송되게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42) 및 WD(22)로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62)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가 구성되고/되거나 네트워크 노드(16)의 처리 회로(68)는 WD(22)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WD(22)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처리 회로(42) 및 WD(22)로부터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에 대해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D(22)가 구성되고/되거나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82) 및/또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이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과 같은 다양한 "유닛들"을 각각의 프로세서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 유닛들은 유닛의 일부가 처리 회로 내의 대응하는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즉, 유닛들은 처리 회로 내의 하드웨어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은 예컨대 처리 회로(84) 내의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프로세서(86), 무선 인터페이스(82)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2)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도록(블록 S134) 구성되고, 여기서,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블록 S136) 구성되고, 여기서 조건은 RRC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접속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84)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 내의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84)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실패하면, 이전 구성에 따라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유휴 상태로의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접속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시작은 RRC 비활성 상태의 진입 시에 트리거링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은 예컨대 처리 회로(84) 내의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프로세서(86), 무선 인터페이스(82)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다음의 조건들, 즉 WD(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WD(22)의 RRC_CONNECTED 상태로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WD(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_INACTIVE 상태로 머물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WD(22)가 수신하는 것; WD(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WD(22)의 RRC_IDLE 상태로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WD(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 및 WD(22)가 RRC_CONNECTED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에 진입하는 것 중 하나 시에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것(블록 S138)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은, 예컨대 처리 회로(84) 내의 업데이트 타이머 제어 유닛(34), 프로세서(86), 무선 인터페이스(82)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도록(블록 S140) 구성되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블록 S142)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및 무선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 중인 경우, 수신된 RRC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블록 S144)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성들의 일반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설명하고 본 개시내용의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예들을 제공했지만, 이하의 섹션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들의 상세들 및 예들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 (WD(22)에게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RRC 셋업 메시지의 수신 시에, RRC 재개 요청에 응답하여, WD(22)는 예컨대 처리 회로(84)를 통해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킨다. WD(22)에 의해 취해지거나 수행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아래의 동작들은 처리 회로(84)에 의해 수행 또는 제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2 실시예에서, RRC 중단 메시지(또는 WD(22)가 RRC_INACTIVE 상태에 머물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등가 메시지)의 수신 시에, RRC 재개 요청에 응답하여, WD(22)는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WD(22)가 이동성 RNA, 조기 UL 데이터 전송들 또는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이유로 인해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RRC 해제 메시지(또는 WD(22)가 RRC_IDLE 상태로 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등가 메시지)의 수신 시에, RRC 재개 요청에 응답하여, WD(22)는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WD(22)가 이동성 RNA, 조기 UL 데이터 전송들 또는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이유로 인해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RRC 재개 또는 RRC 중단 또는 RRC 해제 메시지의 수신 실패(즉, 불량한 UL 커버리지 또는 불량한 DL 커버리지로 인한 타이머 T300X 만료의 실패) 시에, WD(22)는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WD(22)가 이동성 RNA, 조기 UL 데이터 전송들 또는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이유로 인해 재개 절차를 트리거링할 때 발생할 수 있다. WD(22)가 T380을 중지시키는 정확한 순간은 T300X의 만료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또는 WD(22)가 RRC_IDLE 상태에 진입하고/하거나 상위 계층들에게 실패를 통지할 때와 같이, 지정되는 후속 동작에 의한 문제점의 검출일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만료 시에, WD(22)가 그 AS 컨텍스트를 해제하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로 전이하게 하는 구성된 타이머와 같은 임의의 INACTIVE-IDLE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RRC_CONNECTED 상태를 반드시 거치지 않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에 진입할 때, WD(22)는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킨다.
제6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RRC_INACTIVE 상태에 있는 동안 CN 페이징의 수신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RRC_CONNECTED 상태를 반드시 거치지 않고 RRC_INACTIVE 상태로부터 RRC_IDLE 상태에 진입할 때, WD(22)는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킨다.
제7 실시예에서, RRC 중단 메시지(또는 WD(22)가 RRC_INACTIVE 상태에 머물 수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등가 메시지)의 수신 시에, RRC 재개 요청에 응답하여, WD(22)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행 중인 경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를 중지시키고, 또한, 다음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Figure pct00046
중단 메시지(또는 등가물)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WD(22)는 이전 타이머 값을 삭제하고, WD(22)는 수신된 값을 저장하고, WD(22)는 새로운 값에 따라 타이머(T380)를 시작하고;
Figure pct00047
중단 메시지(또는 등가물)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WD(22)는 저장된 값에 따라 타이머(T380)를 재시작하고;
Figure pct00048
중단 메시지(또는 등가물)가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T38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이한 변형예에서, WD(22)는 이전 타이머 값을 삭제하고;
Figure pct00049
이러한 상이한 동작들에 대해, 재시작, 저장된 값들의 삭제 등을 나타내는 중단 메시지(또는 등가물) 내에 네트워크로부터의 일부 플래그들이 존재할 수 있다.
Figure pct00050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또한, 저장된 파라미터에 대한 새로운 값들의 수신 시에, WD(22)가 이전에 저장된 파라미터를 무시하고, 메시지의 수신 시에 편리할 때 새로운 값들을 적용하도록, 리드 코드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NR RRC 사양들(및 이들 중 일부의 일부 변형예들)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의 구현은 아래에서 논의된다:
WD(22)에 의한 RRCSetup 의 수신
WD(22)는 RRCSetup의 수신 시에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ct00051
RRCSetupRRCResumeRequest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경우:
a) 저장된 WD(22)(액세스 계층) AS 컨텍스트 및 I-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폐기하고;
b) RRC 접속 재개 상태가 폴백 상태임을 상위 계층들에게 표시하고;
Figure pct00052
수신된 masterCellGroup에 따라 그리고 3GPP TS 38.331 v15.1.0. 및/또는 3GPP TS 36.331 v15.1.0., 섹션 5.3.5.5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셀 그룹 구성 절차를 수행하고;
Figure pct00053
수신된 radioBearerConfig에 따라 그리고 3GPP TS 38.331 및/또는 3GPP TS 36.331 v15.1.0., 섹션 5.3.5.6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를 수행하고;
Figure pct00054
저장된 경우, idleModePriorities에 의해 제공되거나 다른 RAT로부터 승계되는 셀 재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폐기하고;
idleModePriorities가 또한 RRC_INACTIVE에 진입하는 WD(22)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렇다면, 정보 요소(IE)의 이름이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계속될 수 있다:
Figure pct00055
실행 중인 경우 타이머 T300 또는 T300X를 중지시키고;
유의할 점은, (LTE에서 T302, T303, T305, T306, T308과 등가인) 액세스 제어 타이머들에 관련된 WD(22) 동작들을 정의하는 것, 예컨대 주어진 타이머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상위 계층들에게 통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Figure pct00056
실행 중인 경우 타이머(T320)를 중지시키고;
Figure pct00057
실행 중인 경우 타이머(T380)(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고;
Figure pct00058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하고;
Figure pct00059
셀 재선택 절차를 중지시키고;
유의할 점은, (RRCResume의 수신과 유사하게) 셀 재선택이 중지되는 상태에 중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것은 WD(22)가 RRCSetupRequest 또는 RRCResume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시에 셀 재선택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중복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계속될 수 있다:
Figure pct00060
현재 셀이 일차 셀(PCell)인 것으로 고려하고;
Figure pct00061
RRCSetupComplete 메시지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 RRCSetupRRCResumeRequest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경우:
i) 상위 계층들이 5G-S-TMSI를 제공하는 경우:
A) ng-5G-S-TMSI를 상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값으로 설정하고;
b) SystemInformationBlockType1에서의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들로부터 (3GPP TS 24.501 v1.0.0.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선택된 PLMN에 selectedPLMN-Identity를 설정하고;
c) 상위 계층들이 '등록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을 제공하는 경우:
i) registeredAMF를 포함하고 이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A) '등록된 AMF'의 PLMN 아이덴티티가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선택된 PLMN과 상이한 경우:
I) registeredAMFplmnIdentity를 포함시키고 이를 상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등록된 AMF' 내의 PLMN 아이덴티티의 값으로 설정하고;
B) amf-Region, amf-SetId, amf-Pointer를 상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값으로 설정하고;
ii) guami-Type를 포함하고 이를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값으로 설정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guami-Type는 전술한 조건에 포함되고 설정될 수 있다.
d) 상위 계층들이 (3GPP TS 23.003 v15.3.0.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를 제공하는 경우:
i) s-nssai-list를 포함하고 그 내용을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값들로 설정하고;
e) 상위 계층들, 즉 통신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dedicatedInfoNAS를 설정하고;
Figure pct00062
절차가 현재 셀을 PCell이 되도록 종료하는 전송을 위해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하위 계층들에 제출하고;
WD(22)에 의한 RRCSuspend 의 수신
(유의할 점은, RRCRelease가 예를 들어 중단 표시자로 대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WD(22)는,
Figure pct00063
RRCSuspend 메시지가 수신된 순간부터 또는 임의적으로 하위 계층들이 RRCSuspend 메시지의 수신이 성공적으로 확인응답되었음을 나타낼 때 중 어느 쪽이든 빠른 때에 이 하위 절에 정의된 다음의 동작들을 Xms 동안 지연시키고;
X의 값은 구성가능하거나 LTE 등에서와 같이 60ms로 고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64
RRCSuspend 메시지가 idleMode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경우:
a) idleModeMobilityControlInfo에 의해 제공되는 셀 재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고;
b) T320이 포함된다면:
i) T320의 값에 따라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 T320을 시작하고;
Figure pct00065
그렇지 않은 경우:
a) 시스템 정보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셀 재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적용하고;
Figure pct00066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다음의 정보, 즉 resumeIdentity, nextHopChainingCount, ran-PagingCycle 및 ran-NotificationAreaInfo를 저장하고;
Figure pct00067
모든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SRB들) 및 전용 무선 베어러들(DRB들)에 대한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들을 재확립하고;
Figure pct00068
MAC를 리셋하고;
Figure pct00069
RRCSuspend 메시지가 RRCResumeRequest에 응답하여 수신된 경우를 제외하면:
a) 현재 RRC 구성, 현재 보안 컨텍스트,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상태를 포함하는 PDCP 상태, 소스 PCell에서 이용되는 C-RNTI, cellIdentity 및 소스 PCell의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WD(22) AS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Figure pct00070
SRB0을 제외하고, 모든 SRB(들) 및 DRB(들)를 중단하고;
Figure pct00071
실행 중인 경우 타이머(T380)를 중지시키고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에 대한 임의의 저장된 값을 삭제하고;
Figure pct00072
periodic-RNAU-timer로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T380)를 시작하고;
Figure pct00073
상위 계층들에 대한 RRC 접속의 중단을 표시하고;
Figure pct00074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를 중단하도록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고;
Figure pct00075
RRC_INACTIVE에 진입하고 3GPP TS 38.304 v1.0.1에 지정된 바와 같은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T300X 만료 또는 T300X가 실행 중인 동안 하위 계층들로부터의 무결성 체크 실패
WD(22)는,
타이머(T300X)가 만료하거나 또는 무결성 체크 실패 표시를 수신하면:
해제 원인 RRC 재개 실패로, 3GPP TS 38.331 v1.0.1. 및/또는 3GPP TS 36.331 v15.1.0., 섹션 5.3.11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RRC_IDLE로 갈 때에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RRC_IDLE로 갈 때의 WD 동작들
WD(22)는,
Figure pct00076
MAC를 리셋하고;
Figure pct00077
T320을 제외하고 타이머(T380)를 포함한 실행 중인 모든 타이머들을 중지시키고;
Figure pct00078
임의의 저장된 AS 컨텍스트, I-RNTI, ran-PagingCycleran-NotificationAreaInfo를 폐기하고;
Figure pct00079
RLC 엔티티, 매체 액세스 제어(MAC) 구성 및 모든 확립된 리소스 블록들(RB들)에 대한 연관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의 해제를 포함하는 모든 무선 리소스들을 해제하고;
Figure pct00080
해제 원인과 함께 상위 계층들에 대한 RRC 접속의 해제를 표시하고;
Figure pct00081
RRC_IDLE로 가는 것이 MobilityFromNRCommand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또는 T311이 실행되었던 동안 인터-RAT 셀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트리거링된 것이 아닌 한, 3GPP TS 38.304 v1.0.1에서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RRC_IDLE에 진입하고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방법, 데이터 처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또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모듈"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 모두를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프로세스, 단계, 동작 및/또는 기능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대응하는 모듈에 의해 수행되고/되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이용가능한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들, CD-ROM들, 전자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이에 의해 특수 목적 컴퓨터를 생성함),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성하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한다.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동작 예시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블록들은 관련된 기능들/동작들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도면들이 통신의 주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에서 화살표들을 포함할지라도,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과 하위 조합을 문자 그대로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은 지나치게 반복적이고 혼란스럽게 만들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들은 임의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들 및 하위조합들과, 이들을 제작하고 이용하는 방식 및 프로세스의 완전히 작성된 설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임의의 이러한 조합 또는 하위조합에 대한 청구항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위의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첨부 도면들 모두가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위의 교시내용들에 비추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방법,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모듈"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 모두를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이용가능한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들, CD-ROM들, 전자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성하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한다.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동작 예시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블록들은 관련된 기능들/동작들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도면들이 통신의 주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에서 화살표들을 포함할지라도,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과 하위 조합을 문자 그대로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은 지나치게 반복적이고 혼란스럽게 만들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들은 임의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들 및 하위조합들과, 이들을 제작하고 이용하는 방식 및 프로세스의 완전히 작성된 설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임의의 이러한 조합 또는 하위조합에 대한 청구항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위의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첨부 도면들 모두가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의 교시내용들에 비추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Claims (20)

  1. 네트워크 노드(1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2)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2)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고 -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됨 -;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건은 RRC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무선 디바이스(2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접속 상태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 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이전 구성에 따라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유휴 상태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접속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시작은 상기 RRC 비활성 상태의 진입 시에 트리거링되는, 무선 디바이스(22).
  10. 네트워크 노드(1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S134) -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단계(S136) - 상기 조건은 RRC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접속 상태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RRC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RRC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 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수신된 RRC 중단 메시지가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와 연관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이전 구성에 따라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유휴 상태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전이를 트리거링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RRC 재개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RRC 접속 상태를 통해 전이하지 않고 RRC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시작은 상기 RRC 비활성 상태의 진입 시에 트리거링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
  19. 네트워크 노드(1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2)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2)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고 -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는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할 때 RRC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됨 -;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수신된 RRC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의 만료 전에 상기 주기적 RNA 업데이트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는 RRC 셋업 메시지, RRC 재개 요청 메시지, RRC 중단 메시지 및 RRC 해제 메시지 중 하나인, 무선 디바이스(22).
KR1020207032973A 2018-04-16 2019-04-16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KR102436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7975P 2018-04-16 2018-04-16
US62/657,975 2018-04-16
PCT/IB2019/053150 WO2019202516A1 (en) 2018-04-16 2019-04-16 Handling of periodic radio access network (ran) based notification area (rna) ti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47A true KR20210002547A (ko) 2021-01-08
KR102436268B1 KR102436268B1 (ko) 2022-08-26

Family

ID=6666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973A KR102436268B1 (ko) 2018-04-16 2019-04-16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59615B2 (ko)
EP (2) EP3782431B1 (ko)
JP (2) JP2021520740A (ko)
KR (1) KR102436268B1 (ko)
ES (1) ES2948577T3 (ko)
PL (1) PL3782431T3 (ko)
RU (1) RU2760204C1 (ko)
WO (1) WO2019202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68B1 (ko) * 2018-04-16 2022-08-26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US11700649B2 (en) * 2018-05-10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network connection of terminal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791684A1 (en) * 2018-05-10 2021-03-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behavior with rejection of resume request
EP3689091A1 (en) * 2018-08-09 2020-08-05 Google LLC. Method and user equipment to resume a wireless connection
EP3834482B1 (en) * 2018-08-10 2023-04-19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rc state transition
CN110881205B (zh) * 2018-09-05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驻留方法、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0064384A1 (en) * 2018-09-28 2020-04-02 Nokia Technologies Oy Connection resume handling
EP4052533A1 (en) * 2019-11-01 2022-09-07 Nokia Technologies Oy Network assistance information on ue context retrieval latency for enabling power saving
GB2589916A (en) * 2019-12-13 2021-06-16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5299143A (zh) * 2020-03-30 2022-11-04 鸿颖创新有限公司 用于小数据传输的方法和用户设备
BR102021016648A2 (pt) * 2020-08-26 2022-03-08 Nokia Technologies Oy Realocação de contexto de equipamento de usuário na borda de área de notificação de rede de acesso de rádio
CN114126046B (zh) * 2020-08-31 2023-02-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用于基站的通信控制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KR20220033012A (ko) * 2020-09-08 2022-03-1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위한 타이머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BR112023005272A2 (pt) * 2020-09-23 2023-04-25 Lenovo Beijing Ltd Métodos e aparelhos para uma transmissão de dados e um procedimento de rnau de um ue em estado inativo de rrc
WO2022082568A1 (en) * 2020-10-22 2022-04-28 Apple Inc. Relay ue-assisted ran notification area update procedure
WO2022109864A1 (en) * 2020-11-25 2022-06-02 Nokia Shanghai Bell Co., Ltd. Transmission of periodic data in inactive st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7811B2 (en) 2008-02-02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network (RAN) level keep alive signaling
US9264954B2 (en) 2010-04-28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Neighbor relation information management
WO2015088404A1 (en) * 2013-12-10 2015-06-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wlan access in communication networks
WO2017026464A1 (ja) * 2015-08-07 2017-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法及びmmeの通信制御方法
US10624150B2 (en) * 2017-01-30 2020-04-14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36268B1 (ko) * 2018-04-16 2022-08-26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xxx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6523A1 (en) 2023-08-31
EP3782431A1 (en) 2021-02-24
EP4236595A1 (en) 2023-08-30
JP2021520740A (ja) 2021-08-19
RU2760204C1 (ru) 2021-11-22
JP2023075155A (ja) 2023-05-30
WO2019202516A1 (en) 2019-10-24
CN112106437A (zh) 2020-12-18
ES2948577T3 (es) 2023-09-14
US20210022200A1 (en) 2021-01-21
KR102436268B1 (ko) 2022-08-26
EP3782431B1 (en) 2023-06-07
US11659615B2 (en) 2023-05-23
PL3782431T3 (pl)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268B1 (ko) 주기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 통지 영역(rna) 타이머의 처리
US11792635B2 (en) Methods for handling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KR10233561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들
US11284468B2 (en) Suspending/resuming measurements in RRC inactive state
US9357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link establishment
US118255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 wait timer
US20230262600A1 (en) Radio Network Nodes, User Equipment,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40049028A1 (en) Terminal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measurement reporting
CN114175843A (zh) 通信系统、通信终端以及网络
CN112106437B (zh) 处理周期性rna定时器的方法和无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