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53U -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 Google Patents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53U
KR20210002153U KR2020200000950U KR20200000950U KR20210002153U KR 20210002153 U KR20210002153 U KR 20210002153U KR 2020200000950 U KR2020200000950 U KR 2020200000950U KR 20200000950 U KR20200000950 U KR 20200000950U KR 20210002153 U KR20210002153 U KR 20210002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using
standby power
power switch
module
usb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030Y1 (ko
Inventor
조경군
Original Assignee
조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군 filed Critical 조경군
Priority to KR2020200000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3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전자 제품에서 연장된 플러그를 접속하는 접속구 외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또는 USB 충전모듈이 장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면에 USB충전모듈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되며 전면으로 USB충전모듈의 USB포트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의 스위치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1개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콘센트 하우징과, 콘센트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보조대와, 콘센트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며 관통공과 접속구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Embedded socket-outlet housing}
본 고안은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전자 제품에서 연장된 플러그를 접속하는 접속구 외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또는 USB 충전모듈이 장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원콘센트 등은 건물의 벽면상에 시공설치되나, 벽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위치에 다수의 전기전자 제품 내지 사무기기 등을 두고 사용하게 되는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에는 콘크리트 타설 시 바닥의 적정한 위치에 매립형 시스템박스를 일체로 매립 양생시켜 벽면까지 노출, 연장시킬 필요없이 가까운 바닥의 시스템박스로부터 전원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매립형 시스템박스는 내부에 각종 전자기기의 전선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5~12V의 소전력 충전용 전기전자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기존 콘센트의 접속구 중 한 개 이상의 접속구에 USB충전모듈을 장착하여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소전력 충전용 전기전자 제품을 충전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 외에도 콘센트에는 플러그가 꽂혀진 상태에서도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콘센트의 접속구 중 한 개 이상의 접속구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을 장착하여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매립형 전원콘센트는 설계에 따라 접속구와 USB충전모듈이 장착 가능한 콘센트 하우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접속구와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 가능한 콘센트 하우징을 이용한다. 즉, 접속구와 USB충전모듈 장착이 가능한 콘센트 하우징과 접속구와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장착이 가능한 콘센트 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여 작업자가 미리 접속구에 설치되는 모듈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콘센트 하우징을 선택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6152호(2018.11.30)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1개 이상의 접속구를 포함하며 다른 접속구에는 USB충전모듈과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중 어느 한 모듈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범용적 모듈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면에 USB충전모듈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되며 전면으로 USB충전모듈의 USB포트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의 스위치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1개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콘센트 하우징과, 콘센트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보조대와, 콘센트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며 관통공과 접속구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전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공은 가로홈과 세로홈이 교차하는 구조로서, 가로홈과 세로홈 중 어느 한 홈에 스위치가 위치할 경우 다른 한 홈에 USB포트가 위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 하우징은 관통공과 접속구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USB충전모듈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배면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보조대에는 결합홈과 정합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은 통상적인 접속구와 더불어 USB충전모듈과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중 어느 한 모듈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접속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USB충전모듈과 일반 접속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그리고 대기전력 스위치모듈과 일반 접속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구분없이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 하우징을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2종류의 콘센트 하우징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전원콘센트에서 USB충전모듈을 대기전력 스위치모듈로 변경하거나 기설치된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을 USB충전모듈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콘센트 하우징의 변경 없이 모듈만의 바꿔 설치하면 되므로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전원콘센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콘센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USB충전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콘센트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USB충전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콘센트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전원콘센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콘센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USB충전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콘센트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USB충전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콘센트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센트 하우징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전원콘센트(100)는 크게 벽체에 노출되는 전면 커버(110)와, USB포트 및 전원 공급에 필요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USB충전모듈(130)과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및 전원 공급에 필요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 중 어느 한 모듈이 결합되는 콘센트 하우징(120)과, 콘센트 하우징(120)의 배면 가장자리와 접하여 콘센트 하우징(120)을 지지하는 보조대(150)와, 콘센트 하우징(1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160)를 포함하며, 콘센트 하우징(120)의 정면에 전면 커버(110)가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하우징(120)은 1개 이상의 플러그 접속구(121)가 형성되며, 접속구(121)의 상부에는 콘센트 하우징(120) 내에 장착되는 모듈의 종류에 따라 USB포트(131)가 노출되거나 대기전력 차단스위치(이하 '스위치(141)'라 함)이 노출되도록 관통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구(121)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121H)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전원콘센트(100)는 1개 이상의 접속구(121)에 접속된 플러그를 통해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며, 내부에 장착된 모듈의 종류에 따라 관통공(123)으로 노출된 구성 즉 USB포트(131) 또는 스위치(141)를 이용하여 목적에 맞게 활용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콘센트 하우징과 모듈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하우징(120)은 전면에 전면 커버(110)가 위치하고 후면에 보조대(150)와 배면 커버(160)가 위치하여 볼트 체결되는 플레이트(125)와, 플레이트(125)의 배면에 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안쪽에 장착되는 모듈을 보호하는 케이스(127)로 구분된다.
플레이트(125)에는 상부에 '+'모양의 관통공(123)이 형성되는데,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23H)과, 세로방향의 세로홈(123V)이 교차하게 형성된 구조의 관통공이다.
여기에서 케이스(127) 내에 USB충전모듈(130)이 장착되었을 경우 USB충전모듈(130)의 인쇄회로기판(133) 상부에 실장된 USB포트(131)가 관통공(123) 중 가로홈(123H)을 통해 플레이트(125)의 전면에 노출되며, 케이스(127) 내에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이 장착될 경우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의 인쇄회로기판(143) 상부에 장착된 스위치(141)가 관통공(123)의 세로홈(123V)을 통해 플레이트(125)의 전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콘센트 하우징(120)의 플레이트(125)에는 USB충전모듈(130)의 USB포트(131)가 위치하는 가로홈(123H)과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의 스위치(141)가 위치할 수 있는 세로홈(123V)이 교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콘센트 하우징(120)의 케이스(127) 내부에 USB충전모듈(130)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을 선택하여 장착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USB충전모듈(130)과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보이듯이, USB충전모듈(130)은 케이스(127)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한 인쇄회로기판(133)을 구비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3)의 상부에는 2개의 USB포트(131)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USB충전모듈(130)의 인쇄회로기판(133) 하단에는 콘센트 하우징(120)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구(121)와 대응하여 전극단자(129)가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지단자가 추가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USB충전모듈(130)이 콘센트 하우징(120)의 케이스(127)의 내부에 장착되면 관통공(123)의 가로홈(123H)을 통해 2개의 USB포트(131)가 플레이트(125)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전극단자(129)는 접속구(121)의 삽입구(121H)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대(150)과 배면 커버(160)를 플레이트(125)의 배면에 위치하고 볼트 등으로 체결하면 콘센트 하우징(120)과 배면 커버(160)가 고정되고, 벽체에 형성된 스위치 박스 등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 커버(110)를 플레이트(125)의 정면에 장착하면, 전면 커버(110)의 상부 구멍(111H)을 통해 2개의 USB포트(131)가 노출되고 전면 커버(110)의 하부 구멍(111L)은 접속구(121)와 연통하여 플러그를 꽂을 수 있게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USB충전모듈을 대신하여 대기전력 스위치모듈을 장착하는 것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은 케이스(127)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한 인쇄회로기판(143)을 구비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43)의 상부에는 스위치(141)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의 인쇄회로기판(143) 하단에는 콘센트 하우징(120)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구(121)와 대응하여 전극단자(129)가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지단자가 추가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이 콘센트 하우징(120)의 케이스(127)의 내부에 장착되면 관통공(123)의 세로홈(123V)을 통해 스위치(141)가 플레이트(125)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전극단자(129)는 접속구(121)의 삽입구(121H)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대(150)와 배면 커버(160)를 플레이트(125)의 배면에 위치하고 볼트 등으로 체결하면 콘센트 하우징(120)과 배면 커버(160)가 고정되고, 벽체에 형성된 스위치 박스 등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끝으로 전면 커버(110)를 플레이트(125)의 정면에 장착하면, 전면 커버(110)의 상부 구멍(111H)을 통해 스위치(141)가 노출되고 전면 커버(110)의 하부 구멍(111L)은 접속구(121)와 연통하여 플러그를 꽂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콘센트 하우징(120)에 USB충전모듈(130)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공(123)의 가로홈(123H)에 USB포트(131)가 노출됨에 있어 USB포트(131)의 상하에 세로홈(123V)의 양단에 해당하는 관통공이 노출되며, 반대로 관통공(123)의 세로홈(123V)에 스위치(141)가 노출되면 스위치(141)의 좌우에 가로홈(123H)의 양단에 해당하는 관통공이 노출된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USB포트(131)만 또는 스위치(141)만 노출되도록 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25)의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2개씩의 결합홈(125H)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대(150)의 정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2개씩의 돌기(15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콘센트 하우징(120)의 플레이트(125) 배면에 보조대(150)를 위치하면 결합홈(125H)과 돌기(151)가 상호 정합하여 보조대(150)에 의해 플레이트(125)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100 : 전원 콘센트
110 : 전면 커버
111H, 111L : 구멍
120 : 콘센트 하우징
121 : 접속구
123 : 관통공
123H, 123V : 홈
125 : 플레이트
127 : 케이스
129 : 전극단자
130 : USB충전모듈
131 : USB포트
133 : 인쇄회로기판
140 : 대기전력 스위치모듈
141 : 스위치
143 : 인쇄회로기판
150 : 보조대
160 : 배면 커버

Claims (4)

  1. 배면에 USB충전모듈(130)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이 장착되며 전면으로 USB충전모듈(130)의 USB포트(131)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의 스위치(141)가 노출되도록 관통공(123)이 형성되고 1개 이상의 접속구(121)가 형성된 콘센트 하우징(120)과,
    콘센트 하우징(12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보조대(150)와,
    콘센트 하우징(120)의 전면에 장착되며 관통공(123)과 접속구(121)에 대응하는 구멍(111H, 111L)이 형성된 전면 커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123)은 가로홈(123H)과 세로홈(123V)이 교차하는 구조로서, 가로홈(123H)과 세로홈(123V) 중 어느 한 홈에 스위치(141)가 위치할 경우 다른 한 홈에 USB포트(131)가 위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콘센트 하우징(120)은 관통공(123)과 접속구(121)가 형성된 플레이트(125)와, 플레이트(125)의 배면에 형성된 케이스(127)를 포함하며, 케이스(127)의 내부에 USB충전모듈(130) 또는 대기전력 스위치모듈(1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25) 배면에는 복수의 결합홈(125H)이 형성되고, 보조대(150)에는 결합홈(125H)과 정합하는 복수의 돌기(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KR2020200000950U 2020-03-19 2020-03-19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KR200495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50U KR200495030Y1 (ko) 2020-03-19 2020-03-19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50U KR200495030Y1 (ko) 2020-03-19 2020-03-19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3U true KR20210002153U (ko) 2021-09-29
KR200495030Y1 KR200495030Y1 (ko) 2022-02-16

Family

ID=7791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50U KR200495030Y1 (ko) 2020-03-19 2020-03-19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983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정우디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방향 조절 콘센트
KR20230000953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배선 기구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75B1 (ko) * 2012-05-31 2013-07-30 주식회사 영신엔지니어링 스마트 콘센트
KR20160142688A (ko) * 2015-06-03 2016-12-13 유티오 코포레이션 복합 콘센트
KR101926152B1 (ko) 2017-08-17 2018-12-06 (주)두남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KR200490280Y1 (ko) * 2018-08-13 2019-10-22 조경군 매립형 전력 접속부의 가이드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75B1 (ko) * 2012-05-31 2013-07-30 주식회사 영신엔지니어링 스마트 콘센트
KR20160142688A (ko) * 2015-06-03 2016-12-13 유티오 코포레이션 복합 콘센트
KR101926152B1 (ko) 2017-08-17 2018-12-06 (주)두남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KR200490280Y1 (ko) * 2018-08-13 2019-10-22 조경군 매립형 전력 접속부의 가이드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3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배선 기구 조립체
KR102398983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정우디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방향 조절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30Y1 (ko)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0159B1 (en) Multi-deck electric outlet assembly
CN102804519B (zh) 用于最小化安装空间的双列组插座
US6220880B1 (en) Electric outlets
US6575777B2 (en) Partition wiring system
US58554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modules
CN100463304C (zh) 接口适配器模块
US7494356B2 (en) Wireless and adjustable raceway
US6642450B1 (en) Wall outlet assembly
US647861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95030Y1 (ko)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CN101180893A (zh) 框架组件
US20120052742A1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US20180090870A1 (en)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EP0673081B1 (en) Terminal box
US4712234A (en) Multi-purpose modular jack connecting block
US6267613B1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and receptacles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US4992909A (en)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box
CN107591289B (zh) 接触器
US6471532B2 (en) Electrical adapter
CN218154106U (zh) 多开关接入端led驱动器
CN213755282U (zh) 一种过欠压保护器的接线框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