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53A -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 Google Patents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53A
KR20210002153A KR1020190076235A KR20190076235A KR20210002153A KR 20210002153 A KR20210002153 A KR 20210002153A KR 1020190076235 A KR1020190076235 A KR 1020190076235A KR 20190076235 A KR20190076235 A KR 20190076235A KR 20210002153 A KR20210002153 A KR 2021000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heet
coupled
expansion join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7748B1 (en
Inventor
강예석
조성완
오홍석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7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4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53A/en
Priority to KR1020210154918A priority patent/KR1023512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djacent bridge slabs. The expansion joint comprises: a support unit combined along an upper side of an end part in a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bridge slabs, and including upper plates located opposite each other with a separation space laid therebetween, and a support plate combined with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s and combined with a side of an end part a bridge slab to support the upper plates; a drain sheet located in a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space to lead water falling from the separation space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an upper bridge structure, installed along an end part in a widthwise direction of the bridge slab, and having both end parts combin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a fixing unit combined with the drain sheet and the support plate to fix the drain sheet to the support plate. Accordingly, since an end part of the drain sheet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plate on a side of the bridge slab, the expansion joint can prevent a deterioration in the durability in the drain sheet by preventing hot deformation or friction with a bridge structure.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찰 또는 열간변형 등으로부터 배수시트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교량상부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durability of a drainage sheet from friction or hot deformation, and minimizing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will be.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 간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경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교량 상판들 사이에는 안전한 차량통행을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bridges are divided into several spa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between the bridge decks in order to cope with the expansion of the bridge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expansion joints are installed between the divided bridge decks for safe vehicle passage.

이때,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는 교량 상부의 노면수와 각종 이물질이 교량 유간 아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교량받침을 비롯한 교량구조물의 부식 및 기능저하를 방지하는 배수시트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drainage shee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pansion joint to prevent corro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including the bridge support by blocking the passage of road surface water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under the bridge gap.

이러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8793호는,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한 배수부의 양측으로 교량의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형성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편과 동일한 높이의 금속고정와셔를 인서트 하여 핑거부재와 상판에 결합된 지지체에 금속고정와셔의 상하면이 면접되어 고정편이 가압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가 개시된 바 있다. 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for such a bridge expansion joint, Korean Patent No. 10-1538793 is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joint installed on the bridge, and is formed in an uneven shape to provide elasticity to prevent rain and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pier. In the drainage sheet for an expansion joint having a fixing piece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plate of a bridge and a finger member on both sides of a drainage part, a metal fixing washer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ixing piece is placed on the fixing piece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bolt is coupled A drainage sheet for an expans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fixing washers are interviewed on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finger member and the upper plate by inserting so that the fixing piece is firmly fixed without pressure has been disclosed.

한편, 상기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는, 핑거플레이트의 상면으로 교량상판에 타공으로 매설 고정 결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rainage sheet for the expansion joint,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is embedd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bridge upper plate by perforatio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는, 교량 상부로 이동하는 차량에 의하여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상판 슬래브와의 마찰이 발생하면서 단부가 파손되거나 열간변형이 생기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rainage sheet for an expansion joint ha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is deteriorated, such as damage to the end or hot deformation while friction between the finger plate and the bridge upper slab occurs by a vehicle moving to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또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는, 교량상판 슬래브를 타공한 후 앵커핀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시트 교체 시마다 이러한 손상을 촉진시켜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rainage sheet for expansion joint is a structure that is fixed by anchor pins after drilling the bridge deck slab, it not only causes damage to the bridge deck structure, but also promotes such damage every time the drainage sheet is replaced.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879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38793

본 발명은, 배수시트의 파손 또는 열간변형을 방지하여 배수시트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r hot deformation of a drainage sheet,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durability of a drainage sheet, and minimizing damage to a bridge deck structure.

본 발명은, 이웃하는 교량상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 각각의 폭 방향 단부 상면을 따라 결합되고,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교량상판의 단부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이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격공간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교량상부구조물의 외측으로 배수되게 하고, 상기 교량상판의 폭방향 단부를 따라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배수시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배수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시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bridge decks, the upper plate coup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each end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paced space therebetween, A support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lat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coupled to an end side surface of the bridge upp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A drainage sheet located below the separation space to allow water falling from the separation space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installed along the widthwise end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drainage sheet, it provides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rainage sheet to the support plate.

여기서, 상기 배수시트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수직단면이 'U'자형으로 절곡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drainage shee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may be bent in a'U' shape.

또한, 상기 배수시트는, 교량상판의 폭방향 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물이 타측을 향하여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shee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and configured to drain the water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배수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n anchor member that penetrates the drainage sheet and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여, 낙하하는 상기 물로부터 상기 배수시트의 노출단부와 상기 고정유닛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xing unit to protect the exposed end of the drain sheet and the fixing unit from falling water.

상세하게, 상기 보호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커버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향 절곡된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otective cover is bent in a'L' shap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The e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ownwardly bent side cover.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유닛들 사이에 설치되고, 하단면이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여 상기 배수시트에 퇴적된 이물질 및 상기 물을 제거하는 스크래퍼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joint for the bridge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unit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spaced space, and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and scrape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craper devic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wa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이격공간에 끼워져 작업자가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면이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수시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는 하부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craper device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the upper body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In combination, it is located below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body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when sliding.

또한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착탈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몸체부가 상기 하부몸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craper device, the upper body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by a detachable unit.

상기 착탈유닛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몸체부에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착탈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될 수 있다.The detachab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bolt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body and a lower end detachably screwed into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상기 하부몸체부는,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물이 통과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슬릿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slits to allow the water to pass through and drain when sliding.

한편,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이격공간에 끼워져 작업자가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하부몸체와, 상기 제1하부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는 제2하부몸체를 포함하는 하부몸체부와, 상기 제1하부몸체와 상기 제2하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하부몸체와 상기 제2하부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하부몸체가 상기 배수시트를 향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하여 상기 제1하부몸체가 상기 배수시트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aper device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the lower portion is fitted into the spaced space, the upper body portion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A first lower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unit and a second lower par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ower body and having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when sliding A lower body including a body,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to connect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and the first lower body faces the drainage shee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unit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exerted so that the first lower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age sheet.

이때, 상기 탄성유닛은,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unit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spring.

또는,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이격공간에 끼워져 작업자가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몸체부와의 결합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장방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는 하부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craper device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and the lower portion is fitted into the spaced space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and an upper body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And a rectangular guide hol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is inserted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upper body is moved, and the lower p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by sliding move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배수시트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Here, a fitting part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body part, and the upper body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inage sheet along the guide hole.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배수시트의 단부를 교량상판의 측면에 지지플레이트에 결합시킴으로써, 교량구조과의 마찰 또는 열간변형을 방지하여 배수시트의 내구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First, by coupling the end of the drainage sheet to the support plate on the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duction of durability of the drainage sheet by preventing friction or hot deformation with the bridge structure.

둘째, 배수시트를 교량상판 구조물에 타공하여 결합시키던 종래와는 달리 배수시트를 지지유닛에 결합시켜, 배수시트의 반복적인 교체에도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Seco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drainage sheet is punched into the bridge deck structure, and the drainage sheet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damage to the bridge deck structure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drainage sheet is repeatedly replaced.

셋째, 지지유닛의 해체 및 조립을 실시하지 않고도, 스크래퍼장치를 이용하여 배수시트 상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소요시간과 인력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Third, it is economical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using a scraper device without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support unit,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and manpower consumption.

넷째, 스크래퍼장치를 통하여 배수시트에 퇴적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해체 및 조립 부담 없이 배수시트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수시트와 교량상부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Fourth, sinc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can be quickly and easily removed through the scraper device, the drainage sheet sediment can be easily removed periodically without the burden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durability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보호커버가 결합된 지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스크래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크래퍼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스크래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크래퍼장치에서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스크래퍼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크래퍼장치의 단면 및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스크래퍼장치가 지그재그형태의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크래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pansion joint for the bridg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unit coupled with a protective cover in the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aper device in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craper device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craper device in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craper device including an elastic unit in the scraper device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nd operation of the scraper device of FIG. 7.
9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craper device configured to slide along a zigzag-shaped spaced space by the scraper device of FIG. 4.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craper device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이웃하는 교량상판(10)들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의 신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교량상판(10) 사이의 이격공간(20)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물로부터 교량상부구조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지지유닛(100)과, 배수시트(200)와, 고정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bridge decks 10 and configured to respond to the expansion and expansion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deck ( 10) It serves to protect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from foreign matter or water flowing from the spaced space 20 between them.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unit 100, a drainage sheet 200, and a fixing unit 300.

먼저, 상기 지지유닛(100)은, 이웃하는 교량상판(10) 각각의 폭방향 단부를 따라 결합되며, 교량상판(10)의 신축을 고려하여 이격공간(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First, the support unit 100 is coup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end of each of the neighboring bridge decks 10, and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paced space 20 therebetween in consideration of the extension of the bridge deck 10 do.

상세하게,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부플레이트(110)와, 지지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upport unit 100 may include an upper plate 110 and a support plate 12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각 교량상판(10)의 폭방향 단부를 따라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부플레이트(110)들은 교량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격공간(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The upper plate 110 is coup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end of each bridge top plate 10, and the upper plates 110 adjacent to each other face each other with a spaced space 20 therebetween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of the bridge. It is located.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저면이 교량상판(10)의 폭방향 단부 상면에 접촉되며, 외측 단부는 교량상판(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이격공간(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plate 110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20 by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ridge upper plate 10 with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idthwise end of the bridge upper plate 10 in a plate shape. .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20)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크래퍼장치(400)가 일자형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이격공간(20)은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렇게 이격공간(20)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 이격공간(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스크래퍼장치(400)는 이격공간(20)의 형상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Here, the separation space 2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that the scraper device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reciprocate and slide in a straight line, but this is an embodiment, and the separation space 20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zigzag shape. Of course, it can be 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paced space 20 has a zigzag shape, the scraper device 400 that slides along the spaced space 20 may be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spaced space 20,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는, 상단부가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 저면에 결합하여 수직하게 세워지고, 일측면이 교량상판(10)의 단부 측면에 접촉되게 결합하여, 상부플레이트(11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plate 120 is vertically erected by coupling the upper end to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and one side is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bridge upper plate 10, thereby shaking the upper plate 110 It serves to prevent and support the back.

한편, 상기 지지유닛(100)은, 공지의 앵커핀에 의하여 교량상판(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핀은 상부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교량상판(10)의 상면에 정착 고정되거나, 지지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교량상판(10)의 측면에 정착 고정될 수 있는 등 지지유닛(100)을 고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bridge top plate 10 by a known anchor pin, and the anchor pin penetrates the upper plate 110 and is fixedly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ridge top plate 10 or , If the purpose of fixing the support unit 100 can be achieved, such as which can be fixedly fixed to the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10 through the support plate 120,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상기 배수시트(200)는, 이격공간(20)의 하부에 위치하여 교량상판(10)의 폭방향 단부를 따라 설치되고, 이격공간(20)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배수로(401)를 통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의 외측으로 배수시켜 교량상부구조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drainage sheet 200 is located below the separation space 20 and is installed along the widthwise end of the bridge top plate 10, and the water falling from the separation space 20 passes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401 It serves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draining it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상기 배수시트(200)는, 고정유닛(300)을 통하여 양단부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 결합되며, 교량상판(10)의 신축에 대응하여 오므라졌다가 펴질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다.The drainage sheet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0 at both ends through the fixing unit 300, and has a vertical cross section of a'U' shape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in response to the extension of the bridge top plate 10. Is formed by bending.

상기 배수시트(200)는, 교량상판(10)의 폭방향 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낙하하는 물이 타측을 향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rainage sheet 20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10, so that falling water may be more easily drained toward the other side.

가령, 상기 배수시트(200)는, 교량상판(1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교량상판(10)의 중앙부로부터 폭방향 양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시트(200)는, 설치공간과 배수성능을 고려하여 하향경사도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ainage sheet 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10 to the other side, or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bridge top plate 10 toward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configured. The drainage sheet 200 may have various downward slopes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space and drainage performance.

상기 배수시트(200)는, 방수가 가능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The drainage sheet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 waterproof and stretchable material,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 may be used.

한편, 종래의 배수시트(200)는, 양단부를 교량상판 구조물과 상부플레이트(110) 사이에 끼워져 앵커핀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교량 상부로 차량 등이 이동하게 되면 상부플레이트(110)와 교량상판 슬래브와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단부 파손 및 열간 변형이 발생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rainage sheet 200, since both ends are inserted between the bridge upper plate structure and the upper plate 110 and fixedly coupled by an anchor pi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bridge Since friction with the upper slab occurs, end breakage and hot deformation occur, thereby deteriorating durability.

또한, 종래의 배수시트(200)는, 교량상판 슬래브에 정착 고정되기 때문에, 교체 시에는 교량상판(10)을 손상시킬 수밖에 없어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rainage sheet 200 is fixed and fixed to the bridge deck slab,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the bridge deck structure due to inevitability to damage the bridge deck 10 during replacement.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배수시트(200)는, 교량상판 구조물이 아닌 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되기 때문에, 교량상판 슬래브와의 마찰이나 이로 인한 열간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 시 교량상판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drainage she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0, not the bridge dec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riction with the bridge deck slab or hot deformation due to this, and when replacing the bridge deck The damage to the structur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배수시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지지플레이트(120)의 외측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유닛(300)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유닛(300)을 분리하면 배수시트(200)도 그대로 분리할 수 있어 상부플레이트(110)와 지지플레이트(120)를 해체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ain sheet 200 is coupled by the fixing unit 300 in a state where the end portion is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as shown, when the fixing unit 300 is separated, the drain sheet Since 200 can be separated as it is,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upper plate 110 and the support plate 120.

상기 고정유닛(300)은, 배수시트(200)와 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되어, 배수시트(200)를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x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drain sheet 200 and the support plate 120 and serves to fix the drain sheet 200 to the support plate 120.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300)은, 배수시트(200)를 관통하여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앵커부재(310)를 적용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fixing unit 300 may be applied to the anchor member 310 fixed to the support plate 120 through the drainage sheet 200, a plurality of install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20 Can be.

한편, 상기 고정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시트(200)를 고정시킴은 물론 지지플레이트(120)도 교량상판(10)에 고정시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drainage sheet 200 as shown, as well as the support plate 120 to be fixed to the bridge top plate 10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can be fixed.

다시 말해,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지지플레이트(120)를 고정시키는 구성과, 배수시트(200)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고정유닛(300)을 통하여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the bridge achieves the above objectives through the fixing unit 300 without separately configur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120 and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drainage sheet 200 respectively. can do.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시트(200)와 지지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삽입단부가 교량상판(10) 슬래브에 정착되도록 구성되어, 배수시트(200)와 지지플레이트(120)를 동시에 교량상판(1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x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drainage sheet 200 and the support plate 120 so that the insertion end is fixed to the bridge top plate 10 slab, as shown, and supports the drainage sheet 200 The plate 12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bridge top plate 10 at the same time.

도 3은 상기 지지유닛(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unit 10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유닛(100)은, 고정유닛(3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하는 보호커버(320)를 포함하여, 배수시트(200)의 노출단부와 고정유닛(300)의 선단부를 낙하하는 물로부터 보호하여 부식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upport unit 100 includes a protective cover 32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xing unit 300, and is fixed with the exposed end of the drain sheet 200 I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corrosion by protecting the tip of the unit 300 from falling water.

상세하게, 상기 보호커버(32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커버(321)와, 측면커버(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otective cover 320 may be bent in a'L' shape to include an upper cover 321 and a side cover 322.

상기 상부커버(321)는, 고정유닛(300)과 배수시트(200) 단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낙하하는 물로부터 고정유닛(300)과 배수시트(200)의 상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upper cover 321 serves to protec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300 and the drain sheet 200 from falling wat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ends of the fixing unit 300 and the drain sheet 200 .

상기 상부커버(321)는, 일단부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측면에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321)는, 낙하하는 물로부터 배수시트(200)와 고정유닛(300)의 상측을 보호할 수 있도록 수평 연장되되, 이격공간(20)에서 고정유닛(300)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상부플레이트(110)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평 길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cover 321 is formed with one end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321 is horizontally extended to protect the upper side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the fixing unit 300 from falling water, and the disassembly of the fixing unit 300 in the spaced space 2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length is set to be located inside the end of the upper plate 110 for ease.

상기 측면커버(322)는, 일단부가 상부커버(321)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낙하하는 물이 배수시트(200)와 고정유닛(300)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ide cover 322 has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321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to prevent fall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ide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the fixing unit 300 Plays a role.

여기서, 상기 측면커버(322)는, 낙하하는 물로부터 배수시트(200)와 고정유닛(300)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고정유닛(300)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그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3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고정유닛(300)의 상측까지 그 길이가 하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ide cover 322, as well as to protect the sides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the fixing unit 300 from falling water, and to set the length to facilitate the disassembly of the fixing unit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unit 300 is formed down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300 so that the fixing unit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한편,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수 일이 지나게 되면 배수시트(200)의 상면으로 이물질들이 퇴적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은, 물의 배수를 차단시킴에 따라 물이 교량 외측으로 배수되지 못하고 교대 및 교각을 비롯한 교량하부구조물로 흘러넘치게 되고, 이는 교량하부구조물을 부식시켜 내구성 저하를 야기 시키게 되고, 나아가 퇴적된 이물질의 하중으로 인하여 배수시트(200)의 파손을 야기 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when several days pass. However,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in this way blocks the drainage of water, so that the water cannot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and overflows to the bridge substructures, including abutments and piers, which corrodes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for durability. It causes a deterioration, and further causes damage of the drainage sheet 200 due to the load of the accumulated foreign matter.

이 때문에,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주기적으로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 등을 제거해야하는 일련의 배수시트(200)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하다. For this reason, such a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requires a series of maintenance work for the drainage sheet 200 to periodically remove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이에, 종래에는 교량의 폭 방향 전체구간에 설치된 핑거부 전체를 해체한 후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핑거부를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이 제거하였다. Thus, in the prior art, after dismantling the entire finger portion installed in the entire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drain sheet 200 is removed, and after the work is completed, the drain sheet 200 is reassembled through the finger portion.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in the was remov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경우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핑거부 전체를 해체 후 조립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만큼 그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렇게 작업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배수시트(200)의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기는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s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entire finger part after disassembling, and it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manpower. Since it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manpower, there is a burdensome problem in periodically removing the sediment from the drainage sheet 200.

이에, 본 발명에 다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스크래퍼장치(400)를 포함하여, 종래와 같이 지지유닛(100)의 해체 및 조립작업 없이도 작업자가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작업시간과 소요인력을 줄여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craper device 400,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without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support unit 100 as in the prior art. By making it possible to rem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effect by reducing the work time and required manpower accordingly.

이하에서는, 상기한 스크래퍼장치(4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scraper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퍼장치(400)는, 이격공간(20)을 따라 슬라이딩 배수시트(2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유닛(100)들 사이에 설치되고, 하단면이 배수시트(2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배수시트(200)의 상면을 스크래핑하여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 및 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4, the scraper device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units 10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drainage sheet 200 along the spaced space 20, and the bottom surface is drained. I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200 and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200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to remove foreign matter and water deposited on the drain sheet 200.

상세하게, 상기 스크래퍼장치(400)는, 상부몸체부(420)와, 하부몸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craper device 400 may include an upper body portion 420 and a lower body portion 410.

먼저, 상기 상부몸체부(420)는, 지지유닛(10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가 이격공간(20)에 끼워져 작업자가 이격공간(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upper body part 420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manipulate it, and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20 so that the operator can follow the spaced space 2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상기 하부몸체부(410)는, 상부몸체부(420)의 하부에 결합하여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면이 배수시트(2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수시트(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배수시트(200)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body portion 4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 and located under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sheet 200 so that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200 It is installed, and is configured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during sliding movement.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부(410)는, 슬라이딩 이동 시 물이 통과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슬릿(4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body part 41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slits 414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and drain when sliding.

상기 배수슬릿(414)은, 슬라이딩 이동방향으로 하부몸체부(410)에 관통 형성되고, 하면까지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효과적인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슬릿(414)은, 하부몸체부(410)의 크기와 이물질 및 배수성능을 고려하여 배수폭과 개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 drainage slit 414 is formed through the lower body portion 410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and is formed to the lower surface, so that effective drainage can be achieved during the sliding movement. Here, the drainage slit 414 may variously set the drainage width and number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ower body part 410, foreign matter, and drainage performance.

한편, 상기 스크래퍼장치(400)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scraper device 4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상기한 스크래퍼장치(400)의 작동 및 이에 따른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 제거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스크래퍼장치(4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scraper device 400 and a process of removing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 sheet 200 accordingly, and the operation of the scraper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시트(200)의 상면에 이물질(1)이 퇴적되어 제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작업자는(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래퍼장치(40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배수시트(200)의 이물질(1)이 스크래핑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First, as shown in (a), when it is determined that foreign matter (1) is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needs to be removed, the operator slides the scraper device 400 from one side to the other as shown in (b). By moving, the foreign matter 1 of the drainage sheet 200 is scraped and remov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즉, 상기 스크래퍼장치(400)는, 작업자에 조작에 의하여 상부몸체부(420)와 하부몸체부(410)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하부몸체부(410)하면이 배수시트(200) 상면을 스크래핑하게 되어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That is, the scraper device 400, when the upper body portion 4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 are slid and moved by the operator's operation, the lower body portion 410 is scrape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200 As a result,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is removed.

이하에서는, 상기 스크래퍼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scraper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퍼장치(400a)는, 상부몸체부(420a)가 하부몸체부(410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래핑 작업 시에만 상부몸체부(420a)를 하부몸체부(410a)에 결합시켜 스크래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6, the scraper device (400a), the upper body portion (420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410a), the upper body portion (420a) only during the scraping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part 410a to be scraped.

이는, 상부몸체부(420a)가 상부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는 만큼, 차량통행 및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the upper body portion 420a is protruding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vehicle traffic and safety problems may occur.

다시 말해, 상기 스크래퍼장치(400a)는, 이물질을 스크래핑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부몸체부(420a)를 하부몸체부(410a)로부터 분리하여 상부플레이트(110)의 상면이 평편하도록 하고, 스크래핑이 필요할 시에는 상부몸체부(420a)를 하부몸체부(410a)에 결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scraper device 400a separates the upper body part 420a from the lower body part 410a when the scraper device 400a does not scrape foreign substance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is flat, and when scraping is required The upper body portion (420a)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lower body portion (410a)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를 위해, 상기 스크래퍼장치(400a)는, 상부몸체부(420a)와 하부몸체부(410a)가 분리되고 착탈유닛(430)에 의하여 상부몸체부(420a)가 하부몸체부(410a)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scraper device 400a, the upper body part 420a and the lower body part 410a are separated, and the upper body part 420a is detachable from the lower body part 410a by the detachable unit 430 Can be configured to

상기 착탈유닛(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부몸체부(420a)에 결합하고, 하단부가 하부몸체부(410a)의 상면에 형성된 착탈홈(415)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착탈볼트(431)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상부몸체부(420a)와 하부몸체부(410a)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스냅식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etachable unit 430 is a detachable bolt that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body 420a and a lower end screwed detachably into a detachable groove 41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410a, as shown (431) can be applied.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as long as the upper body portion 420a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a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snap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스크래퍼장치(400b)는, 배수시트(200)와 접촉하여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배수시트(200)와 밀착될수록 스크래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도 4 및 도 6의 스크래퍼장치(400,400a)의 경우 작업자는, 스크래핑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몸체부(410b)가 배수시트(200)에 보다 밀착되도록 스크래퍼장치(400b)를 배수시트(200)가 있는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렇게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크래퍼장치(400b)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스크래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scraper device 400b is configured to scrape in contact with the drainage sheet 200, the scraping effect may be improved as the scraper device 400b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ainage sheet 200.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scraper devices 400 and 400a of FIGS. 4 and 6, the operator applies the scraper device 400b to the drain sheet 200 so that the lower body portion 410b is more closely contacted to the drain sheet 200 in order to improve the scraping effect. ), and while maintaining the pressed state, the scraper device 400b can be slid and moved to perform the scraping operation.

그런데, 상기한 경우에는 스크래핑작업 시 작업자가 가압한 상태를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작업하는데 힘이 더 들뿐만 아니라, 가압력을 지나치게 주게 되는 경우 배수시트(200)를 오히려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ase, since the operator must maintain the pressurized state during the scraping operation, it is more difficult to work, and when the pressing force is excessively applied, the drainage sheet 200 may be rather damaged.

이에, 상기 스크래퍼장치(400b)는,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가압하지 않고도 하부몸체부(410b)가 배수시트(200)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여 배수시트(200)에 퇴적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스크래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몸체부(410b)의 배수시트(200)를 향하는 가압력이 배수시트(20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균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the scraper device 400b allows the lower body portion 410b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without pressure by the operator, so that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age sheet 200 is more prevented. It is configured to be effectively scrap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lower body portion 410b toward the drainage sheet 20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damage to the drainage sheet 200 and to be uniform.

이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퍼장치(400b)는, 탄성유닛(413)의 탄성력를 이용하여 하부몸체부(410b)와 배수시트(200)가 서로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craper device 400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body portion 410b and the drain sheet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413.

상세하게, 상기 스크래퍼장치(400b)는, 상부몸체부(420b)와, 하부몸체부(410b)와, 탄성유닛(4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craper device 400b may include an upper body part 420b, a lower body part 410b, and an elastic unit 413.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이격공간(20)에 끼워져 작업자가 이격공간(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per body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20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20.

상기 하부몸체부(410b)는, 상기 상부몸체부(420b)의 하부에 결합하고,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배수시트(200)를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body portion 410b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b, and is configured to scrape the drainage sheet 200 by being positioned under the support unit 100.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부(41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부(420b)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하부몸체부(41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부(420b)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착탈 가능한 구성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다. Here, the lower body portion 410b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ortion 420b so as to be detachable, as shown in FIG. 6. However, the lower body portion 410b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upper body portion 420b as shown in FIG. 4, and for convenience, the detachable configuration of FIG. 6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하부몸체부(410b)는, 제1하부몸체(411)와, 제2하부몸체(412)를 포함하여, 2개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b, including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second lower body 412,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wo configurations.

여기서, 상기 제1하부몸체(411)는, 상부몸체부(420b)의 하부에 결합하여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위치한다.Here, the first lower body 41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b and is positioned under the support unit 100.

그리고 상기 제2하부몸체(412)는, 제1하부몸체(411)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면이 배수시트(2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배수시트(200)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lower body 41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is configured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when sliding. .

여기서, 상기 제1하부몸체(411)는, 저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제2하부몸체(412)의 상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하부몸체(411)와 제2하부몸체(412)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탄성유닛(413)의 손상 및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ower body 411 is configured such that an accommodation spac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wer body 412 is slidably inserted. This is because water or foreign mat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second lower body 412 to prevent damage and operation of the elastic unit 413.

한편, 도면에서, 상기 스크래퍼장치(400b)는, 제1하부몸체(411)의 저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제2하부몸체(41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하부몸체(411)와 제2하부몸체(412)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drawing, the scraper device 400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lower body 412 is inserted b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on the bottom of the first lower body 411, bu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ower body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body 411 and the second lower body 412.

상기 탄성유닛(413)은, 제1하부몸체(411)와 제2하부몸체(412) 사이에 설치되어 제1하부몸체(411)와 제2하부몸체(412)를 연결하고, 제1하부몸체(411)가 배수시트(200)를 향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하여 제1하부몸체(411)가 배수시트(200)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unit 41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second lower body 412 to connect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second lower body 412, and the first lower body The first lower body 4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age sheet 200 so that the elastic force 411 is exerted toward the drainage sheet 200.

상기 탄성유닛(413)은,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배수시트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413)은, 상기한 탄성스프링 외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판스프링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elastic unit 413 may be constructed of an elastic spring, and may be erected and installed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age sheet. The elastic unit 413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plate spring, as long as it can exert an elastic force other than the elastic spring described above.

상기 탄성유닛(413)은, 배수시트(200)와의 밀착력을 고려하여 탄성스프링의 개수 또는 탄성계수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unit 413 may be configured by varying the number or modulus of elasticity of elastic springs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to the drainage sheet 200.

한편, 상기 하부몸체부(410b)는, 탄성스프링과 결합하기 위하여, 제1하부몸체(411)의 하면과 제2하부몸체(412)의 상면에 탄성스프링 깨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에로 탄성유닛(413)을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b), in order to combine with the elastic spring, the elastic spring can be formed to protrude the fitting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body (4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body (412). However, this is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if the elastic unit 413 can be coupled to one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은 상기 스크래퍼장치(400c)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aper device 400c.

우선 이를 살펴봄에 앞서, 상기에서 상기 이격공간(20a)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스크래퍼장치(400c)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rst of all, prior to looking at this, the spacing space 20a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the scraper device 400c is configured to slide in a linear direction.

하지만, 교량설치 시 설계 등에 의하여, 상기 이격공간(20a)은, 일자형상이 아닌 톱니형상 또는 물결형상 등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by design or the like when installing a bridge, the spaced space 20a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zigzag shape, such as a sawtooth shape or a wave shape instead of a straight shape.

이러한 경우, 상기 스크래퍼장치(400c)는, 이격공간(20a)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까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지그재그 형상의 이격공간(20a) 형상에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craper device 400c not only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right to left along the separation space 20a, but also mov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zigzag-shaped separation space 20a.

다시 말해, 이격공간(20a)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스크래퍼장치(400c)는, 이격공간(30)의 최상부와 최하부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spaced space 20a is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scraper device 400c reciprocates along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arts of the spaced space 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퍼장치(400c)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몸체부(420c)와, 하부몸체부(410c)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부몸체부(420c)가 지그재그형태의 이격공간(20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raper device 400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is configured by separating the upper body portion 420c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c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body portion 420c is zigzag-shaped.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separation space (20a).

이하에서는 상기 스크래퍼장치(400c)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크래퍼장치(400c)는, 상부몸체부(420c)와, 하부몸체부(4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inafter, the scraper device 400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craper device 400c includes an upper body portion 420c and a lower body portion 410c.

먼저, 상기 상부몸체부(420c)는, 지지유닛(10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이격공간(20a)에 끼워져 작업자가 이격공간(20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upper body portion (420c)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100), the lower portion is fit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20a)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eparation space (20a).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부(410c)는, 마찬가지로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몸체부(420c)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부(410c)는, 하면이 배수시트(20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배수시트(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배수시트(200)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부(420c)와 하부몸체부(410c)의 구성은, 전술한 도 6의 서로 분리된 상부몸체부(420c)와 하부몸체부(410c)의 구성과 대응된다. In addition, the lower body part 410c is similarly located under the support unit 100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20c. At this time, the lower body portion 410c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so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and is configured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sheet 200 by sliding movement.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c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c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c and the lower body portion 410c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6 described above.

다만,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스크래퍼장치(400c)는, 상부몸체부(420c)가 지그재그형상의 이격공간(2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부(410c)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owever, the scraper device 400c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ortion 410c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420c can move along the zigzag-shaped spaced space 20a.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상부몸체부(420c)는, 지지유닛(10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이격공간(20a)에 끼워져 작업자가 이격공간(20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upper body part 420c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20a to allow the operato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20a.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부(410c)는, 지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수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portion 410c is located under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and is configured to scrap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by sliding movement.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부(410c)는, 상부몸체부와의 결합위치가 이동되도록 상부몸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장방형의 가이드홀(416)이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416)은, 이격공간(20a)의 지그재그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몸체부(420c)의 이동거리를 감안하여 그 길이를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body portion 410c has a rectangular guide hole 416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upper body portion is moved. Here,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416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upper body portion 420c in correspondence with the zigzag shape of the spaced space 20a.

한편, 상기 상부몸체부(420c)는, 착탈유닛(430a)을 통하여 하부몸체부(410c)의 가이드홀(4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착탈유닛(430a)으로 상부몸체부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홀(416)에 삽입되는 끼움부(432)가 구비되어, 상부몸체부가 가이드홀(416)을 따라 배수시트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body portion 420c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416 of the lower body portion 410c through a detachable unit 430a. In the drawing, a fitting part 432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1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with the detachable unit 430a, and the upper body moves along the guide hole 41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inage sheet. It can be configured as possib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교량상판 100 : 지지유닛
110 : 상부플레이트 120 : 지지플레이트
200 : 배수시트 300 : 고정유닛
310 : 앵커부재 320 : 보호커버
321 : 상부커버 322 : 측면커버
400,400a,400b,400c : 스크래퍼장치
410,410a,410b,410c : 하부몸체부
411 : 제1하부몸체
412 : 제2하부몸체 413 : 탄성유닛
414 : 배수슬릿 415 : 착탈홈
416 : 가이드홀 420,420a,420b,420c : 상부몸체부
430,430a : 착탈유닛 431 : 착탈볼트
432 : 끼움부
10: bridge top 100: support unit
110: upper plate 120: support plate
200: drainage sheet 300: fixing unit
310: anchor member 320: protective cover
321: upper cover 322: side cover
400,400a,400b,400c: scraper device
410,410a,410b,410c: lower body part
411: first lower body
412: second lower body 413: elastic unit
414: drain slit 415: detachable groove
416: guide hole 420,420a,420b,420c: upper body
430,430a: detachable unit 431: detachable bolt
432: fitting part

Claims (11)

이웃하는 교량상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 각각의 폭 방향 단부 상면을 따라 결합되고,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교량상판의 단부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이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격공간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교량상부구조물의 외측으로 배수되게 하고, 상기 교량상판의 폭방향 단부를 따라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배수시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배수시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시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In the expansion joint for bridges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bridge decks,
The upper plate is coup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each end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a spaced therebetween, and the upper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coupled to the end side of the bridge upper plate. A support unit comprising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drainage shee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paced space to allow water falling from the spaced space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installed along the widthwise end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drainag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rainage sheet to the support plate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수직단면이 'U'자형으로 절곡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age sheet,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vertical section is bent in a'U'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교량상판의 폭방향 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물이 타측을 향하여 배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age sheet,
Exte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configured to drain the water toward the oth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배수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An exte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chor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drainage she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여, 낙하하는 상기 물로부터 상기 배수시트의 노출단부와 상기 고정유닛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unit,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fixing unit to protect the exposed end of the drain sheet and the fixing unit from falling wat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커버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향 절곡된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tective cover,
It is bent in a'a' shape, one e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cover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other end is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de cover bent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유닛들 사이에 설치되고, 하단면이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여 상기 배수시트에 퇴적된 이물질 및 상기 물을 제거하는 스크래퍼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unit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spaced space, and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and scrape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and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drain sheet and the Exte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craper device to remove wat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이격공간에 끼워져 작업자가 상기 이격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면이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수시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배수시트의 상면을 스크래핑하는 하부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craper device,
An upper body portion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allow a worker to slide along the spaced space by inserting a lower portion into the spaced space,
I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located under the support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sheet so that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and includes a lower body part that scrapes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sheet when slid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by u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착탈유닛에 의하여 상기 상부몸체부가 상기 하부몸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craper device,
A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by a detachable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유닛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몸체부에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착탈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detachable unit,
An exte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bolt that is screwed detachably into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는,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물이 통과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슬릿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lower body part,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rainage slits are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pass through and drain when sliding.
KR1020190076235A 2019-06-26 2019-06-26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KR102327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5A KR102327748B1 (en) 2019-06-26 2019-06-26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KR1020210154918A KR102351215B1 (en) 2019-06-26 2021-11-11 Joint apparatus for bridge upper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5A KR102327748B1 (en) 2019-06-26 2019-06-26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18A Division KR102351215B1 (en) 2019-06-26 2021-11-11 Joint apparatus for bridge upper de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3A true KR20210002153A (en) 2021-01-07
KR102327748B1 KR102327748B1 (en) 2021-11-19

Family

ID=74126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35A KR102327748B1 (en) 2019-06-26 2019-06-26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KR1020210154918A KR102351215B1 (en) 2019-06-26 2021-11-11 Joint apparatus for bridge upper deck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18A KR102351215B1 (en) 2019-06-26 2021-11-11 Joint apparatus for bridge upper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774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535A (en) * 2005-09-10 2007-03-14 박종수 Exchangeable equipment system with leak stop for expansion joint
KR20090115598A (en) * 2008-05-02 2009-11-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Filth eliminating apparatus of finger type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KR101530663B1 (en) * 2014-10-01 2015-06-2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Combination structure of rubber waterproof for expansion joint
KR101538793B1 (en) 2014-06-16 2015-07-2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Drainage sheet for flexible conne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535A (en) * 2005-09-10 2007-03-14 박종수 Exchangeable equipment system with leak stop for expansion joint
KR20090115598A (en) * 2008-05-02 2009-11-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Filth eliminating apparatus of finger type flexible connecting device for bridge
KR101538793B1 (en) 2014-06-16 2015-07-2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Drainage sheet for flexible connecting device
KR101530663B1 (en) * 2014-10-01 2015-06-2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Combination structure of rubber waterproof for expansion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748B1 (en) 2021-11-19
KR102351215B1 (en) 2022-01-14
KR20210139206A (en)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3396A (en) Expansion joint for roadway sections
KR100644143B1 (en) Expansion equipment for bridge
KR101784721B1 (en) bridge-type expansion joi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easily replace a drainage sheet
KR102351215B1 (en) Joint apparatus for bridge upper deck
KR100412778B1 (en) Expansion joint for connecting slabs of a bridge structure
KR101229001B1 (en) Expansion joint for railroad bridges, and it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s
KR101762145B1 (en) A bridge expansion joints exchange method and the device
KR101284886B1 (en) Expansion joint having replaceable seat for bridge
KR100714994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KR101365436B1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
KR200403788Y1 (en) Expansion equipment for bridge
KR101229000B1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s, and it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s
KR100599207B1 (en) Joint connecting apparatus for absorbing differ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each other with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new bridge and ol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53855B1 (en) Expansion joint for protecting post-placing concrete
KR10232197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expansion joint using induction drainage pipe
JPH0732578Y2 (en) Water stop structure between balustrade in bridge
US3605574A (en) Liquid impervious expansion joint
KR200184726Y1 (en) Finger-type bridge expansion joint
KR20010068280A (en) Finger-type bridge expansion joint and repair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169114B1 (en) Method to construct expansion joint
KR102520638B1 (en) Complex finger expansion joint without drain sheet
KR102103574B1 (en) Finger joint, installing method for the finger joint and finger support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305121B1 (en) Waterproof expansion joint for partially repairable and easy maintenance using vulcanization rubber sheet
KR200243081Y1 (en) Drainage of Bridge Expansion Joint
KR200272143Y1 (en) Elastic connection device having a type of rail for constructing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