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44A -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44A
KR20210002144A KR1020190075653A KR20190075653A KR20210002144A KR 20210002144 A KR20210002144 A KR 20210002144A KR 1020190075653 A KR1020190075653 A KR 1020190075653A KR 20190075653 A KR20190075653 A KR 20190075653A KR 20210002144 A KR20210002144 A KR 2021000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der
store
customer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9007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144A/en
Publication of KR2021000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K9/00335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item information-based order details. The method, which is executed through a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a store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in a store by including a display part outputting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processing touch input, includes: a step wherein when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of N(N>=1) items sold in the store is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part of the store device and a device side order procedure for ordering n(1<=n<=N) items of the N items is carried out through the order interface screen based on touch input to the display part, device 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device side order information formed through the device side order procedure are received from the store device; a step wherein the confirmed device side order details are stored in a designed storage area; a step wherein at least one interface screen including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of the N items sold in the store is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part of the store device, an order detail for a designated period, of at least one order detail including the device 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i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designated i(i>=1) criteria to determine p(p>=1) popular items; and a step wherein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items is outputted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store device.

Description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본 발명은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매장장치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분석하여 인기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매장장치의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nd has a display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specified interface screen and processing a touch input, and the operation server communicates with a store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e through the store device. After the order procedure for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is performe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checked and stored from the store device,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the one or more order detail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opular products, and the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of the store device.

최근 매장의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에 대한 다양한 결제 서비스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매장에 방문하 고객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결제, 매장 내 포스를 이용한 결제, 별도의 키오스크를 이용한 결제 등이 많이 있으나, 대부분 포스나 키오스크를 이용한 결제가 일반적이었다. Recently, various payment service methods for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in stores have been proposed. There are many payments using a wireless terminal of a customer visiting the store, payment using a POS in the store, and payment using a separate kiosk, but most of the payments using a POS or kiosk were common.

한편, 매장 측에서 마케팅이나 상품 홍보의 일환으로 매장에서 제일 잘 팔리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확인하여 방문한 고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상품이 제일 잘 팔리는 지는 매장 측 주인이나 직원이 매출이나 판매 현황을 통해 직접 확인하거나 대략적으로 예측해야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Meanwhile, as part of marketing or product promotion, the store side checks the best-selling products or services in the store and displays various displays so that visitors can recognize them. However, there was a hassle in which the store owner or employee had to check or roughly predict which products were sold best through sales or sales status.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33209호(2019년03월29일 공개)는 매장 내 근거리통신 기반 주문 및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주문 과정을 생략하여 매장 내 인건비를 저감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가 즐겨찾는 메뉴 주문을 간소화하고, 주문과 결제가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다림 없는 빠른 주문결제로 시간을 절약하고,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9-0033209 (published on March 29, 2019) relates to an order and payment system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 store, and an application on a user terminal is activated through a beacon to perform order and payment. By eliminating the separate ordering process, it reduces labor costs in the store, improves convenience, simplifies the order of user's favorite menus, and allows orders and payments to be made at one time. Contents to save money and eliminate the hassle are disclosed.

그러나 매장 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결제 방식을 통해 주문 내역의 취합이 어렵고, 상기 매장 내에서 많은 고객들에게 인기가 있는 상품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order details through various payment methods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store,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products that are popular with many customers in the sto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에서 상기 매장장치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분석하여 인기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매장장치의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isplay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processing a touch input, and to communicate with a store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e through the store device. After the ordering procedure for the products sold at is performe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checked and stored from the store device,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the one or more order detail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opular products, and the determin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in which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pular product is output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of the stor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은,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N개의 상품 중 n(1≤n≤N)개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장치 측 주문 절차를 수행된 경우,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확인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매장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매장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execut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that outputs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communicates with a store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e by having a display unit capable of processing a touch input,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 (N≥1) products sold in the stor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store device, and the order is made based on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or ordering n (1≤n≤N) products out of the N products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is performed, the store device responds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At least one product from among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a first step of receiv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confirmed device-side order detail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 display unit of the store device When at least one interface screen including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is displayed,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are designated from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p (p≥1) popular products by analyzing according to i≥1) criteria and processing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s through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store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step.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에 대한 N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storing N product information on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카드를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카드 기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구성된 결제정보 및 상기 매장의 지정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서버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device further includes a card reader for reading a card, configures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card reader unit By configuring payment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ard-based payment method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configured payment information, and designated affiliate store information of the store, and transmitting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pay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a function of requesting payment approval, and receiving payment result information for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현금을 입출금하는 현금 입출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현금 입출금부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현금결제를 위한 현금을 입출금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configuring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for cash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망 통신 기능이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고객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고객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무선 결제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device configures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use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to provide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o request a wireless payment through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고객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주문 처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요청 정보는, 상기 매장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 procedure from an app of a customer wireless terminal, and the app-based order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wherein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store device, and order details for the designated period ar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a designated perio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further including the app-based order details dur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고객 무선단말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based order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ore device to the store device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an app of a customer wireless terminal Receiving details and storing the received app-based order detail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wherein the order details for the designated period further include app-based order details for a designated perio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고객이 전면에 서 있는 상태에서 전면을 바라보고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capable of touching the front side while the customer is standing in front of the customer.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는,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상품 별 주문수량정보, 상품 별 판매금액정보, 주문 옵션정보, 판매금액정보, 할인율/할인금액정보, 결제금액정보, 고객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of ordered products,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sal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and sales amount information. , Discount rate/discount amount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and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는,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 정보의 결제 승인/완료 시, 결제수단정보(또는 결제수단정보의 일부 정보), 결제승인정보, 결제일시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is, when payment approval/completion of the payment amount information through a payment method, payment method information (or partial information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payment approv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paym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은,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주문 옵션정보, 주문일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include product information of ordered products,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and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i개의 기준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최소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를 내림차순 정렬하여 일정 순위 이내의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개수 범위를 유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긍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부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 criteria ar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having a cumulative number of sales over a specified minimum number for a specified period, and a descending order of the cumulative sales number for a specified period. Therefor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in a certain rank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increas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during a specified period,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during a specified period Criteria for determining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that maintains a specified number rang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ositive respons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number of products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having a negative reaction that is less than a specified reference number.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결정부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N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근거로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determination unit specifies an order history for a specified period from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 By analyzing according to criteria to calculate the popularity score for each of N products, and to determine p (p≥1) popular products based on the calculated popularity score for each product.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고객의 지정된 R(R≥1)개의 부위를 촬영 가능한 C(C≥1)개의 카메라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device further comprises C (C≥1) camera units capable of recording R (R≥1) regions designated by the customer. do.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C개의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 camera units include a camera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customer performing an order procedure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step is the store device It receives and reads the image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from the display unit,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initiating or executing the ordering procedure, in the designated r (1 ≤ r ≤ R) areas for m (m≥1) customers.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r receiving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designated areas for m customers who are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ing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tep of predict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j (1≤j≤r) specified parts of the customer with the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the second step , Check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during the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store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C개의 카메라부는, 매장에 입장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매장에 입장하는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매장에 입장하는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는 입장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홀로 또는 그룹 주문 가능한 m(1≤m≤M)명의 고객을 포함하는 주문자 단위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1≤m≤M)명의 고객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u(1≤u≤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u명의 고객이 속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 camera units include a camera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customer entering a store and performing an order procedure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The first step is to receive and rea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from the store device, and the designated r (1 ≤ r ≤ R) sites for M (M≥1)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r receiving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designated areas for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from the store device, and designated j (1≦j≦)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r) Predict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art with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entrance pattern of the M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to order a specific order Predicting an orderer unit including m (1≦m≦M) customers who can order alone or in a group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and the display among m (1≦m≦M) customers included in the predicted orderer unit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r (1≤r≤R) parts for u (1≤u≤m) customers standing in front of the department and initiating or executing the order procedure, and the recognized u number of customers belong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included in the orderer unit, and the second step is predicted for the m number of customers recognized during the ordering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장 패턴은,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일정 시간 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y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multiple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within a certain time, and the store door is closed after ope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pattern of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between, and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ustomers enters multiple or consecutively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e entrance door.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특성정보는, 고객 연령대정보, 고객 성별정보, 고객 감정상태정보,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 간 관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customer age group information, customer gender information, customer emotional state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customers that can be ordered in a grou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고객 특성 별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an order history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a device-side order history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t the same time,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by analyz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for a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nd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is calculated. And determining p popular products for each customer characteristic by applying the weight.

본 발명에 따른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m명의 고객 특성과 매칭되는 m명의 고객 맞춤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n order his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an order history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a device-side order history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t the same time,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by analyz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for a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nd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is calculated. And determining p popular products tailored to m custome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 customers by applying the weight.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 방문하여 주문한 고객들의 다양한 주문내역(고객 무선단말의 앱 기반 주문내역, 매장 내 포스단말의 주문내역, 매장내 주문처리장치를 주문내역)을 기반으로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매장에서 인기는 상품을 결정하여 제공하는 주문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매장에 방문한 고객은 상기 매장에서 인기있는 상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based on various order details (app-based order details of the customer's wireless terminal, order details of the POS terminal in the store, order details of the in-store order processing device) By providing an order processing device that determines and provides popular products in the store, customers visiting the store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popular products in the sto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기 상품정보 출력 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기 상품정보 출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for a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describ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That is, the following examples correspond to preferred union-type examples among the numerous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in which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examples, or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An embodiment of dividing the implemented function into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an embodiment of integrating a function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s)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t is to be clear that the examples of replacing the operation sequence and the like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mentioned separately in the following examples. Accordingly, it is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xamples corresponding to a subset or a complementary set may be divided by retrospectively receiving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a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기 상품정보 출력 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130)와 통신하여, 상기 매장장치(13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분석하여 인기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매장장치(130)의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기 상품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this drawing 1 communicates with the store device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e, and after the order procedure for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is performed through the store device 130, the store device 130 ),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checked and stored,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the one or more order details are analyzed to determine a popular product,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e device 130. It shows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that outputs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refer to and/or modify the popular produc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for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that outpu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1.

본 발명의 무선단말(125)은 상기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ic te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ossessed by a customer visiting the stor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laptop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

상기 무선단말(125)은 상기 주문처리장치(100)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결제를 처리하는 기능, 상기 포스단말(170) 또는 매장장치(130) 또는 운영서버(100)로 앱 기반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앱(별도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 125 has a function of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order processing device 100, a function of processing a wireless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ayment information, and the POS terminal ( 170) Alternatively, an app (not show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to the store device 130 or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의 매장장치(130)는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비하여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N개의 상품 중 n(1≤n≤N)개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장치 측 주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store devic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40 capable of outputting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processing a touch input,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e, and is sold at the stor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1) products is output, and n of the N products are displayed through the order interface screen based on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140. A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or ordering (1≤n≤N) products may be performed.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매장장치(130)는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40)와, 카드를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145)와, 현금을 입출금하는 현금 입출금부(150)와, 고객의 지정된 R(R≥1)개의 부위를 촬영 가능한 C(C≥1)개의 카메라부(155)와, 통신망에 연결하는 망 통신부(160)와,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통신부(165)와, 상기 주문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tore device 130 outputs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processes a touch input, a display unit 140 capable of processing a touch input, a card reader unit 145 for reading a card, and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150), C (C≥1) camera units 155 capable of recording R (R≥1) areas designated by the customer,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0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cessing A communication unit 165 and a control module 13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rder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35)과 연동되어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출력하거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이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screen output device (eg, LCD (Liquid Crystal Display), etc.), an output module driving the same, and one or more user input devices (eg, buttons, keypads, touch pads, touch screens, etc.) and driving the same. An input module may be included, and the control module 135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135 to output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a screen output among various operation results, or input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r data necessary for an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고객이 전면에 서 있는 상태에서 전면을 바라보고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a touch screen capable of touching the front face while the customer is standing in front of the customer.

상기 카드 리더부(145)는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위해 상기 고객이 소지한 카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카드와 매장장치(13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ISO/IEC 7810 규격에 기반하는 MS(Magnetic Stripe)카드를 매장장치(130)와 인터페이싱하는 MS 리더부 및/또는 ISO/IEC 7816 규격에 기반하는 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매장장치(130)와 인터페이싱하는 접촉식 IC 리더부 및/또는 ISO/IEC 14443 규격에 기반하는 비접촉식 IC카드를 매장장치(130)와 인터페이싱 하는 비접촉식 IC 리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rd reader unit 145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ard and the store device 130 in order to read at least one information or data provided on the card held by the customer for payment for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An MS reader that interfaces an MS (Magnetic Stripe) card based on ISO/IEC 7810 standards with the store device 130 and/or a contact IC (Integrated Circuit) card based on ISO/IEC 7816 standards A contactless IC reader that interfaces with the store device 130 and/or a contactless IC card based on the ISO/IEC 14443 standard may include a contactless IC reader that interfaces with the store device 130.

상기 현금 입출금부(150)는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현금 결제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35)의 현금 출금 및/또는 입금 명령에 따라 현금을 입금 및/또는 출금할 수 있으며, 상기 입금 및/또는 출금되는 해당 현금 처리를 위한 계수기 및/또는 현금 방출기 등의 현금 입출금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50 may deposit and/or withdraw cash according to the cash withdrawal and/or deposit command of the control module 135 for cash payment for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and the deposit and / Or it may be provided with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means such as a counter and / or cash dispenser for processing the cash to be withdrawn.

상기 카메라부(155)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서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5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고객 및/또는 상기 매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지정된 R(R≥1)개의 부위를 촬영 가능하며, 상기 촬영한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35)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R개의 부위는 기본적으로 안면 부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헤어 부위, 상의 부위, 하의 부위 등도 추가 포함 가능하고, 안면 부위라도 이마 부위, 눈 부위, 코 부위, 입 부위, 귀 부위, 볼 부위, 턱 부위 등 다양한 세부 안면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55 may include a camera lens, an image sensor, and a camera module driving the same. The camera unit 155 is capable of photographing designated R (R≥1) portions of a customer performing an order procedure and/or a customer entering the store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 module 135. Here, the designated R areas may basically include the facial area, and other hair, upper, and lower area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even the facial area may include the forehead, eyes, nose, mouth, and ears. It may include various detailed facial areas such as, cheek area, and chin area.

상기 망 통신부(160)는 상기 매장장치(130)를 지정된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 유선망에 연결하는 유선망 통신부, 무선망에 연결하는 무선망 통신부, 무선랜에 연결하는 무선랜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망 통신부는 이동통신망에 연결하는 이동통신망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랜 통신부는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통신부와 일체형이 가능하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0 is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connecting the store device 130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d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and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less LAN. It can be made including on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unit may be integrated with a Wi-Fi-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when using Wi-Fi.

상기 근거리 통신부(16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장치(130)를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하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부,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통신하는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통신부, 근거리에서 케이블을 연결하여 근거리 통신하는 케이블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 근거리에서 소켓 기반 근거리 통신하는 소켓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65 is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0m) and connecting the store device 130 to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is, At least one of a Bluetooth-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Bluetooth-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a Wi-Fi-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Wi-Fi-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a cable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a cable at a short distance, and a socket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socket-based communication It can be mad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of.

예컨대, 상기 망 통신부가 무선랜 통신부인 경우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통신부와 일체형 가능하며, 상기 케이블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는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는 랜선 통신(=소켓 통신)이나 무선랜 통신(=소켓 통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 경우 망 통신부와 소켓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는 일체형 가능하다. 즉, 망 통신부를 통해 포스단말(170)과 소켓 통신을 하면 소켓 통신 기반 근거리 통신부이고, 통신망에 연결하면 망 통신부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unit, it may be integrated with a Wi-Fi-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able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USB communicati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ocket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refers to LAN line communication (= socket communication) 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 socket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the socket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be integrated. That is, a socket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socket communication-base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when performing socket communication with the POS terminal 170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may be used when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매장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매장장치(13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매장장치(1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매장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35 is a generic term for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re device 13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store device 130 And can be connected through a bus (BUS). The control module 135 loads and calculate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store device 130 through the processor to the execution memory, and transmi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component unit through the bus. The operation of the store device 130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135)은 상기 매장장치(130)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145)를 통해 리딩된 카드 기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구성된 결제정보 및 상기 매장의 지정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망 통신부(160)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망 통신부(160)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현금 입출금부(150)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현금결제를 위한 현금을 입출금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망 통신 기능이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으로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을 통해 무선 결제 요청하는 기능과, C개의 카메라부(1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매장에 입장하는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135 configures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store device 130, and the card-based payment means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card reader unit 145 And configur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igured payment information and designated affiliate store information of the store, and transmit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payment server (not show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0 To request payment approval, receive payment result information for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0, and configure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Through the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50, the function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for cash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requesting wireless payment through the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by transmitting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175, and shooting through the C camera units 155 The operation server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r designated areas for the m customers who ar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performing the ordering procedure) and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100)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operation server 100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r designated portions for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주문내역을 확인하는 주문내역 수신부(105)와, 상기 확인된 주문내역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0)와,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을 근거로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인기상품 결정부(115)와,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출력 처리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for checking the order details from the store device 13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the confirmed order details, and popularity based on one or more order details A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15 for determining a product, and an output processing unit 120 for processing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may be provided.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는 상기 매장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N개의 상품 중 n(1≤n≤N)개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장치 측 주문 절차를 수행된 경우,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is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 (N≥1)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f the store device 130 Is output and a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or ordering n (1≦n≦N) products of the N products through the order interface screen is performed based on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140, From the store device 130, it is possible to check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는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으로부터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주문 처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요청 정보는 상기 매장장치(130)로 전달되고,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may receive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from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 Here,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ore device 130, and the order details for the specified period may further include app-based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stored in a specifi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130)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history receiving unit 105 is configur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the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transmitted to the store device 130.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Here, the order details for the specified period may further include app-based order details for the specified period stored in the specifi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1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receives and read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155 from the store device 130 to display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unit 140. Recogniz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r (1 ≤ r ≤ R) parts for m (m≥1) customers initiating or performing a standing order procedure, or the display unit 140 from the store device 130 Standing in front, it receiv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r parts for m customers who are initiating or executing the order procedure, and the designated j (1≦j≦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the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1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매장에 입장하는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매장에 입장하는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는 입장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홀로 또는 그룹 주문 가능한 m(1≤m≤M)명의 고객을 포함하는 주문자 단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1≤m≤M)명의 고객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u(1≤u≤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u명의 고객이 속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receives and read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155 from the store device 130 to enter the store M (M≥1). Recogniz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r (1≤r≤R) designated areas for the number of customers, or by recognizing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r designated areas for the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from the store device 130 Receiving the information, predicting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j (1 ≤ j ≤ 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with the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ntrance pattern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predicting an orderer unit including m (1≦m≦M) customers who can order alone or in a group through a specific order interface screen, and the predicted orderer Of the m (1 ≤ m ≤ M) customers included in the unit, the designated r (1 ≤ r) for u (1 ≤ u ≤ m) customers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and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 procedure. B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R) part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m customers included in the orderer unit to which the recognized u number of customers belong.

여기서, 상기 입장 패턴은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일정 시간 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ntrance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multiple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between the closing doors after opening the store door, and the opening of the store do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attern among patterns in which a plurality of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between the closed doors after the closing.

또한, 상기 고객 특성정보는 고객 연령대정보, 고객 성별정보, 고객 감정상태정보,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 간 관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 감정상태는 안면인식기술에 기반한 표정인식이나 음성인식기술에 발화패턴인식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간 관계정보는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의 연령대와 성별의 관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customer age group information, customer gender information, customer emotional state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customers that can be ordered in a group. For example, the customer's emotional state can be predicted through expression recognition based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or speech pattern recognition in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customers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gender of two or more customers that can be ordered in a group. have.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confirms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through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the confirmed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designated and stored. Can be saved in the area.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에 대한 N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may store N product information for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으로부터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주문 처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receives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 procedure from an app of the customer's wireless terminal 175,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app-based ord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130)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s configur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transmitted to the store device 130. When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app-based ord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가 예측되면,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whe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number of customers is predicted through the order details receiving unit 105, during an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may be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link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주문내역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whe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number of customers is confirmed through the order history receiving unit 105, during an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may be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link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상기 인기상품 결정부(115)는 상기 매장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The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15 includes at least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f the store device 130. When one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the order details for the specified period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i(i≥1) criteria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 p(p≥1) 1) You can determine the most popular products.

여기서, 상기 i개의 기준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최소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를 내림차순 정렬하여 일정 순위 이내의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개수 범위를 유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긍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부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 criteria ar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cumulative number of sal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minimum number for a specified perio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in a certain ranking by sor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over a specified period in descending order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increas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during a specified period, and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for a specified period maintains a specified range. Criteria for determining, Criteria for determining as popular products among products with a positive respon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and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negative responses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less than the specified number of criteria.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기상품 결정부(11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N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근거로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15 determin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a popularity score for each of N products may be calculated, and p (p≥1) popular product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popularity score for each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기상품 결정부(11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고객 특성 별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기도 점수는 전체 주문내역을 통해 산출되는 반면, 그 중 가중치는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통해서만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인기도와 가중치가 산출되는 대상이 상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15 analyz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i designated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as calculating the score,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an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popularity score. Thus, p popular products can be determin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hile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through the entire order history, the weight of which may be calculated only through the device-side order history linked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popularity and the target for which the weight is calculated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기상품 결정부(11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m명의 고객 특성과 매칭되는 m명의 고객 맞춤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15 analyz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i designated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as calculating the score,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an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popularity score.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p popular products tailored to m custome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 customers.

상기 출력 처리부(125)는 상기 인기상품 결정부(120)를 통해 인기 상품이 결정되면, 상기 매장장치(13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When a popular product is determined through the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20, the output processing unit 125 processes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through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store device 130. I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문정보는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상품 별 주문수량정보, 상품 별 판매금액정보, 주문 옵션정보, 판매금액정보, 할인율/할인금액정보, 결제금액정보, 고객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of ordered products,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sales amount information, discount rate/discount amount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주문정보는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 정보의 결제 승인/완료 시, 결제수단정보(또는 결제수단정보의 일부 정보), 결제승인정보, 결제일시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ord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or partial information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and paym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upon approval/completion of payment of the payment amount information through a payment method. I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은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주문 옵션정보, 주문일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of an order product,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and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기 상품정보 출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13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매장장치(13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분석하여 인기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매장장치(130)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매장장치(130)를 통해 인기 상품정보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this drawing 2 is an order for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the store apparatus 130 in the operation server 100 communicating with the store apparatus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e shown in FIG. 1 After the procedure is performed, the store device 130 checks and stores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nalyz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among the one or more order details to determine a popular product, and responds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It shows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produc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of the store device 130,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ure 2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store device 130 (for example,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2.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방법은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에 대한 N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Referring to Figure 2,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started from a process of storing N product information for N (N≥1) products sold in the store in the operation server 100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 200).

이후, 상기 매장장치(13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205),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N개의 상품 중 n(1≤n≤N)개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장치 측 주문 절차를 수행되어 장치 측 주문정보가 구성되면(2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한다(215).Thereafter, the store device 130 displays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 (N≥1)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205). , A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or ordering n (1≤n≤N) products of the N products through the order interface screen based on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140 is performed, an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When is configured (210), the operation server 100 checks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130 (2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You can check the order details of the correspond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receive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1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1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and read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155 from the store device 130 to stan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designated r (1≤r≤R) parts for m (m≥1) customers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ing procedure, or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from the store device 130 Receives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r designated parts for m customers who are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 procedure in the system, and features of designated j (1≦j≦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with the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1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매장에 입장하는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매장에 입장하는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는 입장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홀로 또는 그룹 주문 가능한 m(1≤m≤M)명의 고객을 포함하는 주문자 단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1≤m≤M)명의 고객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u(1≤u≤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u명의 고객이 속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and read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155 from the store device 130 to enter the store M (M≥1). Recogn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1 ≤ r ≤ R) designated sites for customers of the name or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designated sites for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predict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j (1 ≤ j ≤ 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with the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entrance pattern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predicting the orderer unit including m (1≦m≦M) customers who can order alone or in a group through a specific order interface screen, and the predicted orderer unit Of the m (1≤m≤M) customers included in the specified r(1≤r≤m) of u (1≤u≤m) customers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140 and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 procedure B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R) part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included in the orderer unit to which the recognized u customers belong.

여기서, 상기 입장 패턴은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일정 시간 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ntrance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multiple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between the closing doors after opening the store door, and the opening of the store do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attern among patterns in which a plurality of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between the closed doors after the closing.

또한, 상기 고객 특성정보는 고객 연령대정보, 고객 성별정보, 고객 감정상태정보,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 간 관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 감정상태는 안면인식기술에 기반한 표정인식이나 음성인식기술에 발화패턴인식을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 간 관계정보는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의 연령대와 성별의 관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customer age group information, customer gender information, customer emotional state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customers that can be ordered in a group. For example, the customer's emotional state can be predicted through expression recognition based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or speech pattern recognition in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customers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gender of two or more customers that can be ordered in a group. have.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220).When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130, the confirmed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Do (2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으로부터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주문 처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 procedure from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the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app-based order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130)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is configur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the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transferred to the store device 130 When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base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app-based ord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장장치(130)로부터 고객 무선단말(175)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130)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is configur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the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175 from the store device 130 and transferred to the store device 130 When an app-based order detail including base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eceived app-based order detail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가 예측되면,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is predict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edicts the recognized m customers during the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link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is confirm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edicts the recognized m customers during the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link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이후, 상기 매장장치(13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2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한다(230).Thereafter, at least one interface screen including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in the store device 130 is displayed. In case (225), the operation server 100 analyz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i≥1) criteria, and p (P≥1) popular products are determined (230).

여기서, 상기 i개의 기준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최소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를 내림차순 정렬하여 일정 순위 이내의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개수 범위를 유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긍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부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 criteria ar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cumulative number of sal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minimum number for a specified perio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in a certain ranking by sor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over a specified period in descending order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increas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during a specified period, and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for a specified period maintains a specified range. Criteria for determining, Criteria for determining as popular products among products with a positive respon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and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negative responses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less than the specified number of criteria.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N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근거로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determines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i≥1) criteria. By analyzing, a popularity score for each of N products may be calculated, and p(p≥1) popular product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popularity score for each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고객 특성 별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기도 점수는 전체 주문내역을 통해 산출되는 반면, 그 중 가중치는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통해서만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인기도와 가중치가 산출되는 대상이 상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analyzes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specified i criteria to obtain a popularity score. At the same time as the calculation,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for the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an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popularity score. You can determine p popular products for each characteristic. For example, while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through the entire order history, the weight of which may be calculated only through the device-side order history linked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popularity and the target for which the weight is calculated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m명의 고객 특성과 매칭되는 m명의 고객 맞춤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analyzes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device-side order detail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specified i criteria to obtain a popularity score. At the same time as the calculation,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linked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an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popularity sc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p popular products tailored to m custome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m customers.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기 상품이 결정되면, 상기 매장장치(13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235).When the popular product is determin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ocesses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through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store device 130 (23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문정보는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상품 별 주문수량정보, 상품 별 판매금액정보, 주문 옵션정보, 판매금액정보, 할인율/할인금액정보, 결제금액정보, 고객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of ordered products,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sales amount information, discount rate/discount amount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주문정보는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 정보의 결제 승인/완료 시, 결제수단정보(또는 결제수단정보의 일부 정보), 결제승인정보, 결제일시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ord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or partial information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and paym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upon approval/completion of payment of the payment amount information through a payment method. I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문내역은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주문 옵션정보, 주문일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details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of an order product,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and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100 : 운영서버 105 : 주문내역 수신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인기상품 결정부
120 : 출력 처리부 125 : 무선단말
130 : 매장장치 135 : 제어모듈
140 : 디스플레이부 145 : 카드 리더부
150 : 현금 입출금부 155 : 카메라부
160 : 망 통신부 165 : 근거리 통신부
100: operation server 105: order details receiver
110: information storage unit 115: popular product determination unit
120: output processing unit 125: wireless terminal
130: store device 135: control module
140: display unit 145: card reader
150: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55: camera unit
160: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5: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Claims (20)

지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처리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매장 내의 일 측에 설치된 매장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N≥1)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N개의 상품 중 n(1≤n≤N)개의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장치 측 주문 절차를 수행된 경우,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상기 장치 측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확인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매장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매장장치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결정된 인기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In the method execut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that outputs a designated interface screen and communicates with a store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e by having a display unit capable of processing a touch input,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N (N≥1) products sold in the stor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store device, and the order is made based on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for ordering n (1≤n≤N) products out of the N products through the interface screen is performed, the store device responds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configured through the device-side ordering procedure. A first step of receiving a device-side order details;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confirmed device-side order detail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When at least one interface screen including an order interface screen for processing an order for at least one product among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store device, the device sid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p (p≥1) popular products by analyzing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order details according to i (i≥1) specified criteria; And
A fourth step of processing to output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pular product through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stor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N개의 상품에 대한 N개의 상품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toring the N product information for the N products sold in the stor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카드를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를 통해 리딩된 카드 기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구성된 결제정보 및 상기 매장의 지정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서버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망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e device further includes a card reader for reading a card,
Configure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configur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card-based payment method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card reader, the configured payment information, and designated affiliate store information of the store, and the Includ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pay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to request payment approval, and receiving payment result information for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현금을 입출금하는 현금 입출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현금 입출금부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현금결제를 위한 현금을 입출금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e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Forming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for cash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cash deposit and withdrawal unit. Output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망 통신 기능이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고객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구성된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고객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무선 결제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e device configures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ransmits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o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requesting a wireless payment through an app of the customer's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고객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주문 처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앱 기반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요청 정보는, 상기 매장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ord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 procedure from an app of the customer's wireless terminal; And
Storing the app-based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app-based order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urther comprising,
The order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ore device,
The order history for the specified period further comprises an app-based order history for a specified period stored in a specified storag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고객 무선단말의 앱의 지정된 앱 기반 주문 절차를 통해 구성되어 상기 매장장치로 전달된 앱 기반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앱 기반 주문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앱 기반 주문내역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앱 기반 주문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n app-based order details including app-based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tore device through a designated app-based ordering procedure of an app of the custom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store device; And
The step of storing the received app-based order detail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urther comprising,
The order history for the specified period further comprises an app-based order history for a specified period stored in a specified storag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고객이 전면에 서 있는 상태에서 전면을 바라보고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touching the front side while the customer is standing in the fro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는,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상품 별 주문수량정보, 상품 별 판매금액정보, 주문 옵션정보, 판매금액정보, 할인율/할인금액정보, 결제금액정보, 고객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ordered product,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sales amount information, discount rate/discount amount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and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do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는,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 정보의 결제 승인/완료 시, 결제수단정보(또는 결제수단정보의 일부 정보), 결제승인정보, 결제일시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rder information,
When payment approval/completion of the payment amount information through a payment method, payment method information (or partial information of payment method information),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and paym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are further included. How to output information based on popular produc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은,
주문 상품의 상품정보, 상품 별 단가정보, 주문 옵션정보, 주문일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der details are: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product information of ordered products,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order option information, and order date and tim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개의 기준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최소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누적 판매 개수를 내림차순 정렬하여 일정 순위 이내의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증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기간 단위 별로 누적 판매 개수가 지정된 개수 범위를 유지하는 패턴을 지닌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긍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지정된 SNS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되는 부정 반응이 지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상품 중에서 인기 상품으로 결정하는 기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 criteria are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cumulative number of sal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ed minimum number during a specified period,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in a certain ranking by sor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for a specified period in descending order,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increases by a specified period unit during a specified period,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attern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sales per specified period unit for a specified period maintains the specified number range,
Criteria for determining as a popular product among products with a positive response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exceeding a specified number of criteria,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criteria for determining a popular product from among products in which negative reactions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SNS or website are less than a designated reference nu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결정부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i≥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N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의 상품 별 인기도 점수를 근거로 p(p≥1)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duct determination unit,
Among one or more order detail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i≥1) criteria to calculate the popularity score for each of N products, and the calculated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 (p≥1) popular products are determined based on popularity scores for each produ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장치는,
고객의 지정된 R(R≥1)개의 부위를 촬영 가능한 C(C≥1)개의 카메라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rial device,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 (C≥1) camera units capable of recording R (R≥1) portions designated by the custom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C개의 카메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C camera units include a camera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customer who performs an order procedure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The first step,
A designated r (1≤r≤R) for m (m≥1) customers who ar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by receiving and reading the image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C camera units from the store device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dog parts or receiving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designated parts for m customers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 procedure from the store device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Predict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j (1 ≤ j ≤ 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with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
In the second step, during the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recognized m customers is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io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C개의 카메라부는, 매장에 입장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수행하는 고객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C개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매장에 입장하는 M(M≥1)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매장에 입장하는 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한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의 지정된 j(1≤j≤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지정된 고객 특성 판별 패턴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상기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는 입장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홀로 또는 그룹 주문 가능한 m(1≤m≤M)명의 고객을 포함하는 주문자 단위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1≤m≤M)명의 고객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서서 주문 절차를 개시 내지 수행 중인 u(1≤u≤m)명의 고객에 대한 지정된 r(1≤r≤R)개의 부위의 특징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u명의 고객이 속한 주문자 단위에 포함된 m명의 고객에 대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주문 절차 중에 상기 인식된 m명의 고객에 대해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치 측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측 주문내역과 상기 예측된 고객 특성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C camera units include a camera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a customer entering the store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a customer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performing an order procedure,
The first step,
Receiving and read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C camera units from the store device to recognize feature information of designated r (1≦r≦R) sites for M (M≧1)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or Receiving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device by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designated areas for M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Predict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M customers by match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j (1≤j≤r) parts of the recognized M customers with specified customer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pattern information;
Analyzing an entrance pattern of the M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entering the store and predicting an orderer unit including m (1≦m≦M) customers who can order alone or in a group through a specific order interface screen;
Of the m (1 ≤ m ≤ M) customers included in the predicted orderer unit, the designated r (1 ≤ r) for u (1 ≤ u ≤ m) customers standing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and initiating or executing an order procedure. Recognizing feature information of ?R) areas;
Further comprising; checking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m customers included in the orderer unit to which the u number of recognized customers belong,
In the second step, during the order procedure for configuring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the predicted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recognized m customers is checked, and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corresponding to the device-side order information and the prediction The method of outputting popular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order histor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장 패턴은,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일정 시간 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특정 고객이 홀로 입장하는 패턴,
매장 출입문의 개문 후 폐문 사이에 복수 고객이 다중 또는 이어서 입장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ntrance pattern,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 pattern in which multiple customers enter multiple or consecutively within a certain time,
A pattern in which a specific customer enters alon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e entrance door,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pattern among multiple or consecutive entry patterns of a plurality of customer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e entrance door.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특성정보는,
고객 연령대정보,
고객 성별정보,
고객 감정상태정보,
그룹 주문 가능한 둘 이상 고객 간 관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or 16, wherein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ustomer age group information,
Customer gender information,
Customer emotional status information,
An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customers capable of group order.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고객 특성 별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or 16, wherein the third step,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specified period linked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for each custom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a weight of a specified range, and apply the weight to the popularity score to determine p popular products for each customer characteristic.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based on order history.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장치 측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내역 중 지정된 기간 동안의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기도 점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고객 특성정보와 연계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장치 측 주문내역을 지정된 i개의 기준에 따라 고객 특성 별로 분류 분석하여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인기도 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m명의 고객 특성과 매칭되는 m명의 고객 맞춤 p개의 인기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내역 기반 인기 상품 정보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or 16, wherein the third step,
The popularity score i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order details for a specified period of one or more order details including the order details on the device sid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specified i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specified period linked with the custo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device-side order detail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usto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pecified i criteria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pecified range, and by applying the weight to the popularity score, m customer-specific p popular products matching the m customer characteristics Order history-based popular product information out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KR1020190075653A 2019-06-25 2019-06-25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KR202100021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53A KR20210002144A (en) 2019-06-25 2019-06-25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53A KR20210002144A (en) 2019-06-25 2019-06-25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44A true KR20210002144A (en) 2021-01-07

Family

ID=7412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53A KR20210002144A (en) 2019-06-25 2019-06-25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1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438B1 (en) * 2021-03-05 2021-12-29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438B1 (en) * 2021-03-05 2021-12-29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WO2022186416A1 (en) * 2021-03-05 2022-09-09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689B2 (en) Dynamic customer checkout experience within an automated shopping environment
CN10363226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information using image on display of device
US20200258070A1 (en) Purchased product checkout support system
EP4307045A2 (en) Low-cost computerized kiosks for remote collec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value
KR102124569B1 (en) System for unmanned sell and payment
US20100153269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2286946B1 (en) Manless vending machine product purchase and management system
US11829941B2 (en) Purchased product pickup system
US20200184531A1 (en) Mirrored display and proximal control of autonomous retail systems
KR102333757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service provision system
KR20180072931A (en)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Study Cafe
KR20210002144A (en)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ased on Orders
KR102245608B1 (en) Purchase system of good in vending machine using smart application
CN104077855A (en) Cash transaction terminal and method
KR20210002143A (en) Method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by Using Store Device
KR20210000786A (en) Device for Processing Order for Displaying Popular Goods Information
KR20210002145A (en) Method for Processing Order Information Based on App
KR20210000785A (en) Device for Processing Order
KR20210000788A (en) Method for Processing Order in Store Based on Mobile Device
KR20180126423A (en)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aging Study Cafe
KR20220125650A (en) Simple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10392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ttle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KR20140115862A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enable to line with mobile terminal
KR102570769B1 (en) Vending Machine Payment System Linked with QR code and Payment Method Thereby
JP2002318894A (en)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