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45U - A support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A support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45U
KR20210002045U KR2020200000778U KR20200000778U KR20210002045U KR 20210002045 U KR20210002045 U KR 20210002045U KR 2020200000778 U KR2020200000778 U KR 2020200000778U KR 20200000778 U KR20200000778 U KR 20200000778U KR 20210002045 U KR20210002045 U KR 20210002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support
height adjustment
inner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7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039Y1 (en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2020200000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39Y1/en
Publication of KR20210002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4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3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고 중심부에 이동홀이 형성된 외관, 상기 이동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관, 중심부에 높이조절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외관이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내관이 상기 높이조절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내관과 결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plat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an exterio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moving hole in the center, an inner tube having a thread on the outer surface to b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moving hole, and height adjustment in the center A hole is formed, the outer tube is fitt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inner tube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by a height adjustment part having a corresponding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to be movable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hole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inner tube Includes a lower plate to be installed.

Description

건축용 가설 지지대{A support for construction}A suppor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및 조적 공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러한 공사는 벽돌 및 블록 등의 조적체를 모르타르로 쌓아 벽체 또는 기타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지판을 설치하고 이들 거푸집 및 지지판 그리고 콘크리트 및 조적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다수의 가설 지지대를 설치하는 건축 공사이다.In general, concrete pouring and masonry work installs a formwork to construct a slab by pouring concrete. In this construction, a support plate is installed to build a wall or other structure by stacking masonry such as bricks and blocks with mortar, and a plurality of temporary supports having height adjustments to support the load of these forms and support plates and concrete and masonry. It is a building project to install.

또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부지지대의 하부에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부지지대는 암나사와 수나사가 체결되는 높낮이조절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forms a female scre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and a male screw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The upper support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ment part to which a female screw and a male screw are fastened.

이때,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낮이조절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건축물 바닥과 건축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간격을 조정하는 단순한 나사 회전식 설치 구조이므로 설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t this time, since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is a simple screw rotational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gap is adjusted so that the handl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work time is long.

또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하중을 지지하는 용량에 한계가 있어 거푸집, 콘크리트 및 조적체 등의 지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상부지지대가 설치될 때 상부지지대의 직진성 향상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has a limit in the capacity to support the load,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orting capacity of formwork, concrete, and masonry, and to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upper support when the upper support is installed. something is need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거푸집, 콘트리트, 슬라브 등을 지지능력을 향상시키며, 높이 조절이 용이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t was devised based on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that improves the supporting capacity of formwork, concrete, slab, etc., and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 및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또는 치장벽돌의 시공을 위한 지지판을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하여 생산 및 설치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so that the work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of the support plate for the construction of a formwork or stucco brick for pouring concrete walls and ceilings of a building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so that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work is convenient. It relates to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to provide a cast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고 중심부에 이동홀이 형성된 외관, 상기 이동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관, 중심부에 높이조절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외관이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내관이 상기 높이조절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내관과 결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plat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an outer tu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formed with a moving hole in the center, an inner tube having a thread on the outer surface to b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moving hole, A height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outer tube is fitt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inner tube is coupled to the inner tube and a height adjustment portion in which a corresponding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ner tube is movable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hole. It may include a lower plate tha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고정몸체, 상기 돌출고정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관고정몸체 및 상기 돌출고정몸체 및 상기 외관고정몸체 사이에는 상기 외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 fixed protrusion body protruding upwards and located inside the exterior, the exterior fixing body connected to the projecting fixing body and positioned outside the exterior, and between the projecting fixing body and the exterior fixing body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exterior is fit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외관고정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upport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ior fixing body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itting groove in order to support the exterior.

또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끼움홈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an the fitting groove.

또한, 상기 돌출고정몸체는 상기 외관고정몸체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fixed body may have different heights of the external fixed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상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외관, 내관, 높이조절부 및 하부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슬라브 및 콘크리트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firmly support the slab and concrete by combining the exterior, the inner tube,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low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홈에 외관의 일단부측이 가압되어 외관을 변형시킴으로써 상부플레이트를 고정홈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plate in the fixing groove by pressing one end side of the exterior 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to deform the exterio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내관몸체의 외측면에 돌출몸체가 형성되어 내관몸체의 단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내관몸체가 더욱 무거운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ding bod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ube body, so that the inner tube body can support a heavier weigh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내관에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내관을 생산할 때 내관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으며, 내관의 지지력이 상승할 수 있다.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orsion of the inner tube when the inner tube is produc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tube, and the bearing capacity of the inner tube can be increas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이조절부를 통해서 결합의 방식을 2분화하여 내관 및 외관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결합의 용이성, 안정성 및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relative height of the inner tube and the exterior by bisecting the coupling metho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can increase the ease of coupling, stability and straightnes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제1 경사면 및 제1 대응경사면을 통해서 체결부를 하방으로 가압시 제1 대응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높이조절부와 외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lid along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when the fastening part is pressed downward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to fix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exterio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이가 서로 다른 외관고정몸체와 돌출고정몸체의 사이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외관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tt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exterior fixing body and the protruding fixing body having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exterior can be stably coupl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지지몸체가 끼움홈의 동일선상 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외관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body of the support body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ame line or outward direction of the fitting groov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exterior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서로 다른 높이의 돌출고정몸체와 외관고정몸체가 형성되어 외관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분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외관의 길이에 따라 높이조절부를 능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xed protruding body and an exterior fixed body of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exterior is stably coupled, and separation can be easy,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a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exterior. can be install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상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체결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외관과 높이조절부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내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하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lat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part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exterior of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are combin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ub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lat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상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lat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건축용 가설 지지대(1)는 상부 플레이트(10), 외관(30), 체결부(40), 높이조절부(50), 내관(70) 및 하부 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includes an upper plate 10 , an exterior 30 , a fastening part 40 , a height adjustment part 50 , an inner tube 70 and a lower part. A plate 90 may be includ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1)는 건축물의 시공을 위해 천장과 바닥을 연결하여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작업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mporary support 1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ceiling and the floor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to maintain a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so that the work of the workers can b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mad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1)는 건축 현장 및 지하주차장 천장 등을 지탱함으로써, 설계하중의 변형이나 균열, 붕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10)는 천장을 지지하고 천장과 결합되기 위해서 제1 지지부재(100), 외관결합부(130) 및 제1 걸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formation, cracking, collapse, etc. of the design load by supporting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eiling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00 , an exterior coupling part 130 , and a first locking part 150 to support the ceiling and to be coupled to the ceiling. have.

제1 지지부재(100)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는 천장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00)의 모서리 쪽에는 복수 개의 제1 나사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00)는 복수 개의 제1 나사홀(101)에 나사가 결합되어 천장과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support the ceiling on its upper surfa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101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be coupled to the ceiling by screwing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101 .

또한, 제1 지지부재(100)는 외측면에 지지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홈(110)은 건축용 가설 지지대(1)가 접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건축용 가설 지지대(1)가 분해되어 차량 등으로 이동할 때 쌓여 있는 복수 개의 건축용 가설 지지대(1)들이 지지홈(11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00)의 중심부에 외관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groove 110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 At this time, the support groove 110 may be formed to be depressed inwardly so that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hen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is disassembled and moved to a vehicle, a plurality of temporary supports for construction 1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groove 110 . In addition,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

외관결합부(130)는 원형 단면으로 제1 지지부재(100)의 중심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00) 및 외관결합부(130)의 중심부에는 상부홀(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홀(190)은 외관(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외관(30)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 this case, an upper hole 19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and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 In this case, the upper hole 19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30 so that the exterior 30 can be inserted and fixed.

한편, 외관결합부(130)의 내측면에 제1 걸림부(1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50)는 링형 단면으로 외관결합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외관(30)은 상단부가 상부 플레이트(10)의 제1 걸림부(150)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ocking part 15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 The first locking part 15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The exterior 30 may be fixed while the upper end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art 150 of the upper plate 10 .

또한, 제1 걸림부(150) 양측면에는 고정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70)은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관(30)이 외관결합부(130)에 삽입되어 제1 걸림부(150)에 걸린 상태일 때 외관(30)과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외관과 외관결합부(130) 사이에는 고정홈(170)으로 인해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ixing grooves 17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ocking part 150 .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170 may be rec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At this time, between the exterior 3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or the exterior and the exterior coupling portion 130 when the exterior 30 is inserted into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and caught on the first locking part 150 .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due to the fixing groove 170 .

이때, 외관(30)의 상부측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외관(30)을 변형시킴으로써 외관(30)과 제1 지지부재(100) 사이의 공간에 변형된 외관(30)의 일단부측이 밀착되어 외관(30)이 상부 플레이트(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홈(170)에 외관(30)의 변형된 부분이 접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side of the deformed exterio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3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by deforming the exterior 30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exterior 30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the exterior 30 may be fixed to the upper plate 10 . That is, the deformed portion of the exterior 30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170 .

또한, 외관결합부(130)와 제1 지지부재(100)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연결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20)는 상부면은 제1 지지부재(100)와 연결되고 내측면은 외관결합부(1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members 120 may be formed between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0 may have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and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exterior coupling part 13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10)는 제1 연결부재(120)를 통해서 더욱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외관결합부(130)가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10 can support a heavier weight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and the external coupling part 130 can be fixed without being twisted.

도 1을 참고하면, 외관(30)은 원기둥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홀(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경량화가 될 수 있다. 이때 홀에는 내관(7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외관(30)의 하단부의 외면에는 체결부(40)가 결합됨으로써 높이조절부(5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exterior 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o reduce weight. In this case, the inner tube 7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xterior 30 , it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50 .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체결부의 분리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part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체결부(40)는 체결몸체(400), 연결몸체(430) 및 탄성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관(30)을 하측으로 가압할 때 체결부(40)를 통해 높이조절부(40)와 탈착이 용이할 수 있고, 정확한 체결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fastening unit 40 may include a fastening body 400 , a connecting body 430 , and an elastic member 49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ior 30 is pressed downward,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eight adjustment part 40 through the fastening part 40, and can have accurate fastening and structural stability.

한편, 체결몸체(400)는 돌출부(413) 및 제1 경사면(415)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몸체(400)는 판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체결몸체(400)는 무게중심부에 제2 나사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몸체(400)는 제2 나사홀(411)을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체결몸체(400)가 제2 나사홀(41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body 400 may include a protrusion 413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415 . The fastening body 400 may have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fastening body 400 may have a second screw hole 411 formed in the center of gravity. The fastening body 40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crew hole 411, so that the fastening body 40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econd screw hole 411. can be facilitated

한편, 체결몸체(400)의 상부에는 고리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홈(410)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리홈(410)에는 탄성부재(490)의 상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a ring groove 41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body 400 . In addition, the ring groove 4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490 may be supported in the ring groove 410 .

돌출부(413)는 체결몸체(40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3)는 걸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13)는 외관(3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3)는 제1 경사면(415)을 포함함으로써 높이조절부(5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415)은 높이조절부(50) 상단부에 형성된 대응경사면(513)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30)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경사면(415)이 대응경사면(513)을 따라 이동하여 돌출부(413)가 높이조절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41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body 400 . The protrusion 413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be fixed by hanging. In this case, the protrusion 413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terior 30 . The protrusion 413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unit 50 by includ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5 . 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1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so that when the exterior 30 is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5 is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13. By moving along, the protrusion 413 may be combined with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

연결몸체(430)는 내부에 체결몸체(400)가 제2 나사홀(41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몸체(430)는 판형상으로 평행한 두개의 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430 may be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body 400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screw hole 411 therein. The connection body 430 may be formed such that two parallel surfaces in a plate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연결몸체(430)의 평행한 면을 연결하는 부분은 외관(30)의 일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몸체(430)의 측면 중심부에는 제3 나사홀(4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나사홀(431)은 제2 나사홀(411)과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connecting the parallel surfaces of the connection body 43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exterior 30 . A third screw hole 431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side of the connection body 430 . The third screw hole 43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411 .

탄성부재(490)는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90)는 일단부가 고리홈(41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타단부는 연결몸체(430)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체결몸체(400)가 탄성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490 may have a spring shape. In additio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9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groove 410 ,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49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430 so that the fastening body 400 can be elastically moved. .

한편, 탄성부재(490)는 체결몸체(400)와 결합된 상태로 연결몸체(4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90)는 제2 나사홀(411) 및 제3 나사홀(431)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나사부재(45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부재(450)가 관통한 반대면에 제1 너트부재(470)가 제1 나사부재(45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astic member 49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body 430 in a state coupled to the fastening body 400 .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49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screw member 450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411 and the third screw hole 431 . In addition, the first nut member 47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crew member 450 and fixed to the opposite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screw member 450 passes.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외관과 높이조절부가 결합된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exterior of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are combined.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 높이조절부(50)는 외관(30)과 내관(70) 사이에 연결되어 내관(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내관(70)과 외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높이조절부(50)에 외관(30)이 센터링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높이조절부(50)는 제1 회전조절몸체(510), 제1 지지몸체(520) 및 제1 고정몸체(530)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tube 30 and the inner tube 7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ner tube 70, the overall inner tube 70 and the outer tube (30) height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exterior 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to be centered. To this end,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adjustment body 510 , a first support body 520 , and a first fixed body 530 .

제1 높이조절부(50)는 중심부에 제1 높이조절홀(5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높이조절부(501)는 내측면에 제1 대응나사산(50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조절몸체(510), 제1 지지몸체(520) 및 제1 고정몸체(530)의 중심부에는 제1 높이조절홀(50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회전조절몸체(510), 제1 지지몸체(520) 및 제1 고정몸체(530)의 내측면에는 제1 대응나사산(50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rt 50 may have a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501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1 may have a first corresponding screw thread 50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ccordingly, a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50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body 510 , the first support body 520 , and the first fixed body 530 . In addition, a first corresponding screw thread 50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 the first support body 520 , and the first fixed body 530 .

이때, 제1 대응나사산(503)은 내관(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7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높이조절부(50)와 내관(70)의 나사조절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rresponding screw thread 50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crew thread 71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30 to adjust the height through the screw adjustmen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and the inner tube 70 . can be adjusted

또한, 제1 대응나사산(503)은 이중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관(70)은 대응나사산(530)을 통해서 승/하강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nter thread 503 may be formed as a double thread. Through th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70 can be raised / lowered more quickly through the corresponding screw thread 530 .

제1 회전조절몸체(5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조절몸체(510)는 중심부에 제1 높이조절홀(50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높이조절홀(501)을 통해서 하단부에 내관(70)이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body 510 may have a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501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ner tube 7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through the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501 .

또한, 제1 회전조절몸체(51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제1 손잡이부(511)가 복수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조절몸체(510)의 상부에는 제1 지지몸체(520)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handle portions 511 may be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to facilitate rotation by the user. A first support body 52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

제1 지지몸체(520)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몸체(520)는 제1 회전조절몸체(510)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 회전조절몸체(5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몸체(520)의 상부에는 제1 고정몸체(53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body 520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ody 520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0 .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body 530 .

제1 고정몸체(530)는 외관(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끼움홈(5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몸체(530)는 외관(30)을 끼워서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1 외관고정몸체(531) 및 제1 돌출고정몸체(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몸체(530)는 제1 지지몸체(52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 지지몸체(5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body 530 may be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535 so that the exterior 30 can be fitted. The first fixing body 530 may include a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and a first protruding fixing body 533 in order to fix the exterior 30 while preventing shaking. The first fixed body 530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

제1 외관고정몸체(53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관고정몸체(531)는 제1 지지몸체(520)의 상부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관고정몸체(531)는 제1 지지몸체(5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관고정몸체(531)에 외관(30)이 끼움결합될 때 외관(30)의 센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 Centering of the exterior 30 may be possible when the exterior 30 is fitted to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

또한, 제1 외관고정몸체(531)의 외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제1 대응경사면(53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공고정몸체(531)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rnal fixing body 531 may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upper portion to form a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31a. That is, the first external hole fixing body 531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top.

제1 대응경사면(531a)은 제1 경사면(415)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외관(30)이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1 경사면(415)이 제1 대응경사면(53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 외관고정몸체(531)는 하단부가 제1 돌출고정몸체(533)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31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5 , and when the exterior 30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5 may slide along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31a.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fixing body 533 .

제1 돌출고정몸체(533)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고정몸체(533)는 제1 외관고정몸체(53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고정몸체(533)의 높이(h1)는 제1 외관고정몸체(531)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높이조절부(50)가 외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 In addition, 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external fixed body 531 . 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first fixed protrusion body 533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first external fixed body (531). Through this,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exterior 30 .

제1 돌출고정몸체(533)는 외관(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출고정몸체(533)는 외관(30)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고정몸체(533)가 외관(30)에 완만하게 삽입되도록 제1 테이퍼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이퍼부(534)는 제1 돌출고정몸체(533)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이퍼부(534)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may be inserted into the exterior 30 . 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ma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30 . In addition, the first tapered portion 534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is gently inserted into the exterior 30 . The first tapered portion 53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3 . The first tapered portion 53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an upper portion.

한편, 제1 외관고정몸체(531)의 하단부와 제1 돌출고정몸체(533) 하단부가 연결되어 제1 외관고정몸체(531) 및 제1 돌출고정몸체(533) 사이에는 제1 끼움홈(535)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fixing body 533 are connected, and between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and the first projection fixing body 533 is a first fitting groove 535 ) can be formed.

제1 끼움홈(535)에는 외관(30)이 끼움 결합되어 외관(30)이 제1 외관고정몸체(531)와 제1 돌출고정몸체(53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관(30)이 제1 끼움홈(535)에 결합됨으로써, 외관(30)이 제1 높이조절부(5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exterior 30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so that the exterior 30 may be fixed between the first exterior fixing body 531 and the first protruding fixing body 533 . In addition, since the exterior 30 is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 the exterior 30 may be easily fixed to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rt 50 .

제1 끼움홈(535)의 두께는 외관(30)의 두께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두꺼울 수 있어 제1 끼움홈(534)에 외관(3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제1 끼움홈(535)은 제1 지지몸체(520)의 내측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1 끼움홈(5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1 지지몸체(520)가 지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may be at least the same as or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xterior 30, so that the exterior 30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534 to be fitted. At this time,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 so that the first support body 520 can support the exterior 30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 have.

즉, 제1 지지몸체(520)의 외측면은 제1 끼움홈(535)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1 끼움홈(5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1 지지몸체(520)가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520 may be formed to b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 so that the outer surface 30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535 is supported first. The body 520 may support it.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내관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ub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내관(70)은 하부조절몸체(500)에 삽입된 상태로 하부조절몸체(500)와 회전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내관몸체(700), 돌출몸체(710) 및 보강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inner tube 70 is inserted into the lower adjustment body 500 and rotates with the lower adjustment body 50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ner tube body 700 , the protruding body 710 and reinforcement. A member 730 may be included.

내관몸체(700)는 링형 단면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내관홀(7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관몸체(700)의 외측면은 돌출몸체(7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1)는 내관몸체(700)의 외측면에 돌출몸체(710)가 형성되어 내관몸체(700)의 단면적이 넓어짐으로써 내관몸체(700)가 더욱 무거운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The inner tube body 7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and an inner tube hole 720 may be formed therein. In addition, a protruding body 7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700 . As for the temporary support 1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ody 7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70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ube body 700 is widened, so that the inner tube body 700 is heavier can support the weight.

이때, 돌출몸체(710)는 적어도 외측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관몸체(70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body 7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ody 700 .

또한 돌출몸체(7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돌출몸체(710)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돌출몸체(710)는 외측면에 제1 나사산(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산(711)은 돌출몸체(71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711)과 대응나사산(530)이 나사결합됨으로써 높이조절부(50)가 내관(7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body 7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bodies 71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rotruding body 710 may have a first screw thread 711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first screw thread 711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body 71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crew thread 711 and the corresponding screw thread 530 are screw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70 .

즉, 외관(30)과 결합된 체결부(40)를 높이조절부(50)와 연결한 후에 손잡이부(550)를 회전시켜 제1 나사산(711)과 대응나사산(530)을 통해서 높이조절부(50)가 내관(7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after connecting the fastening part 40 coupled to the exterior 30 with the height adjusting part 50 , the handle part 550 is rotated to adjust the height through the first screw thread 711 and the corresponding screw thread 530 . (5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70).

보강부재(730)는 내관홀(720)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730)는 일자 또는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강부재(730)는 내관몸체(7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730 may be formed in the inner tube hole 720 . The reinforcing member 7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cross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inforcing member 73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ody 700 .

또한, 보강부재(730)는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보강부재(730)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730)는 철이나 알루미늄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제작하는 내관몸체(700)를 차갑게 식힐 때 비틀릴 수 있는 내관몸체(7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건축용 가설 지지대(1)의 지지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73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pairs, and at least two reinforcing members 730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reinforcing member 730 can stably fix the inner tube body 700 that can be twisted when cooling the inner tube body 700 produced by applying high-temperature heat to iron or aluminum, and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support capacity can be strengthened.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하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late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90)는 바닥면을 지지하고 바닥면과 결합되기 위해서 제2 지지부재(900), 내관결합부(930) 및 제2 걸림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lower plate 9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900 , an inner tube coupling part 930 , and a second locking part 95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and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

제2 지지부재(900)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에는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0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제4 나사홀(9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900)는 복수개의 제4 나사홀(901)에 나사가 결합되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900)는 외측면에 복수 개의 돌출면(910)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fourth screw holes 901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00 .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is screwed to the plurality of fourth screw holes 901 . It can be fixed to the floor surface.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s 910 on the outer surface.

제2 지지부재(900)는 중심부에 내관결합부(9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관결합부(930)는 원형 단면으로 제2 지지부재(900)의 중심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900) 및 내관결합부(930)의 중심부에는 하부홀(9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홀(970)은 내관(7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관(70)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may have an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30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a lower hole 97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and the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30 . At this time, the lower hole 97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70 so that the inner tube 70 can be inserted and fixed.

한편, 내관결합부(930)의 내측면에 제2 걸림부(9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950)는 링형 단면으로 내관결합부(9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내관(70)은 하단부가 하부 플레이트(90)의 제2 걸림부(950)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a second locking part 95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coupling part 930 . The second locking part 95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coupling part 930 with a ring-shaped cross-secti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70 may be fix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950 of the lower plate 90 .

또한, 내관결합부(930)와 제2 지지부재(900)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연결부재(9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920)는 상부면은 제2 지지부재(900)와 연결되고 내측면은 내관결합부(9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members 92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0 may have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900 and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inner tube coupling part 93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플레이트(90)는 제2 연결부재(920)를 통해서 더욱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내관결합부(930)가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90 can support a heavier weight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920 and the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30 can be fixed without being twisted.

도 8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분리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건축용 가설 지지대(1)는 상단부에 상부 플레이트(10)가 위치하여 천장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0)의 하단에는 외관(3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관(30)의 하단부의 외측면에는 체결부(40)가 결합되어 높이조절부(50)와 탈착을 용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may be coupled to the ceiling by having an upper plate 10 positioned at an upper end thereof. At this time, the exterior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10 .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xterior 30 , so that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eight adjusting part 50 .

또한, 높이조절부(50)는 상단에 외관(30)과 결합하면서 하단에는 내관(7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50)를 통해서 외관(30)과 내관(70)이 승/하강이 용이할 수 있다. 내관(70)의 하단부에는 하부플레이트(90)가 형성되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축용 가설지지대(1)는 높이조절이 용이하며 지지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tube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while being coupled to the upper end. The exterior 30 and the inner tube 70 can be easily lifted/lower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 A lower plate 9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70 and fixed to the floor. Due to this, th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 can be easily adjusted in height and the support capacity can be improved.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llustrated in FIG. 4 .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조절부(1100)는 제2 회전조절몸체(1110), 제2 지지몸체(1120) 및 제2 고정몸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제1 높이조절부(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9 and 10 ,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rotation adjustment body 1110 , a second support body 1120 , and a second fixed body 1130 . ) may be included.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2 회전조절몸체(1110), 제2 지지몸체(1120) 및 제2 외관고정몸체(1131)는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econd rotation control body 1110, the second support body 1120, and the second exterior fixing body 1131 are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돌출고정몸체(1133)의 높이(h3)은 제2 외관고정몸체(1131)의 높이(h4)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높이조절부(1100)가 외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높이조절부(1110)와 외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2 높이조절부(1110)가 외관(30)의 길이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height h3 of the second protruding fixed body 1133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4 of the second external fixed body 1131 . Through this,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10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exterior 30 .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110 and the exterior 30 may be easy. In additio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1110 may actively respond to a change in length of the exterior 30 .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높이조절부(1200)는 제3 회전조절몸체(1210), 제3 지지몸체(1220) 및 제3 고정몸체(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제1 높이조절부(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1 and 12 , the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1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rotation adjustment body 1210 , a third support body 1220 and a third fixed body 1230 . may include.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3 회전조절몸체(1210), 제3 지지몸체(1220) 및 제3 외관고정몸체(1231)는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hird rotation control body 1210 , the third support body 1220 , and the third external fixed body 1231 are the sam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 돌출고정몸체(1233)의 높이(h5)은 제3 외관고정몸체(1231)의 높이(h6)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ight h5 of the third protruding fixed body 1233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6 of the third external fixed body 1231 .

이를 통해, 제3 높이조절부(1200)와 외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높이조절부(1200)가 외관(30)의 길이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paration of the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1200 and the exterior 30 may be easy. In addition, the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1200 may actively respond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xterior 30 .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도 13 및 1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4 높이조절부(1300)는 제4 회전조절몸체(1310) 및 제4 고정몸체(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제1 높이조절부(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3 and 14 ,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unit 13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urth rotation adjustment body 1310 and a fourth fixed body 1330 .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4 외관고정몸체(1331)는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ourth external fixing body 1331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4 회전조절몸체(13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회전조절몸체(1310)의 상부에는 제4 고정몸체(13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끼움홈(1335)은 제4 회전조절몸체(1310)의 내측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4 끼움홈(13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4 회전조절몸체(1310)가 지지할 수 있다.The fourth rotation control body 1310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 fourth fixed body 13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urth rotation control body 1310 . At this time, the fourth fitting groove 1335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ourth rotation adjustment body 1310, the fourth rotation adjustment body 1310 supports the exterior 30 coupled to the fourth fitting groove 1335. can do.

즉, 제4 회전조절몸체(1310)의 외측면은 제4 끼움홈(1335)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4 끼움홈(13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4 회전조절몸체(1310)가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rotation control body 1310 may be formed to b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fitting groove 1335 , so that the outer surface 30 coupled to the fourth fitting groove 1335 is formed as the fourth The rotation control body 1310 may support it.

제4 돌출고정몸체(1333)의 높이(h7)은 제4 외관고정몸체(1331)의 높이(h8)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높이조절부(1300)가 외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 높이조절부(1300)와 외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4 높이조절부(1300)가 외관(30)의 길이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height h7 of the fourth protruding fixed body 1333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h8 of the fourth external fixed body 1331 . Through this,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unit 130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exterior 30 . In addition,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unit 1300 and the exterior 30 may be easily separated. In addition,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unit 1300 may actively respond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xterior 30 .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5 높이조절부(1400)는 제5 회전조절몸체(1410) 및 제5 고정몸체(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제1 높이조절부(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5 and 16 , the fifth height adjustment unit 14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fth rotation adjustment body 1410 and a fifth fixed body 1430 .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Only the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5 고정몸체(1430)는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fth fixed body 1430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5 회전조절몸체(14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회전조절몸체(1410)의 상부에는 제5 고정몸체(14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5 끼움홈(1435)은 제5 회전조절몸체(1410)의 내측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5 끼움홈(14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5 회전조절몸체(1435)가 지지할 수 있다.The fifth rotation control body 1410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 fifth fixed body 14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fth rotation control body 1410 . At this time, the fifth fitting groove 1435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fth rotation adjustment body 1410, so that the fifth rotation adjustment body 1435 supports the exterior 30 coupled to the fifth fitting groove 1435. can do.

즉, 제5 회전조절몸체(1410)의 외측면은 제5 끼움홈(1435)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5 끼움홈(14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5 회전조절몸체(1410)가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ifth rotation control body 1410 may be formed to b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fifth fitting groove 1435 , so that the outer surface 30 coupled to the fifth fitting groove 1435 is formed in the fifth The rotation control body 1410 may support it.

제5 돌출고정몸체(1433)의 높이(h9)은 제5 외관고정몸체(1431)의 높이(h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5 높이조절부(1400)가 외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5 높이조절부(1400)와 외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5 높이조절부(1400)가 외관(30)의 길이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height h9 of the fifth protruding fixed body 1433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10 of the fifth external fixed body 1431 . Through this, the fifth height adjustment unit 140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exterior 30 . In addition, the fifth height adjustment unit 1400 and the exterior 30 may be easily separated. In addition, the fifth height adjustment unit 1400 may actively respond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xterior 30 .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shown in FIG. 4 .

도 17 및 1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6 높이조절부(1500)는 제6 회전조절몸체(1510) 및 제6 고정몸체(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제1 높이조절부(50)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7 and 18 , the sixth height adjustment unit 15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xth rotation adjustment body 1510 and a sixth fixed body 1530 .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제6 외관고정몸체(1531)는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ixth exterior fixing body 1531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6 회전조절몸체(15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회전조절몸체(1510)의 상부에는 제6 고정몸체(15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6 끼움홈(1535)은 제6 회전조절몸체(1510)의 내측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제6 끼움홈(15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6 회전조절몸체(1510)가 지지할 수 있다.The sixth rotation control body 1510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 sixth fixed body 15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ixth rotation control body 1510 . At this time, the sixth fitting groove 1535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ixth rotation adjustment body 1510 , so that the sixth rotation adjustment body 1510 supports the exterior 30 coupled to the sixth fitting groove 1535 . can do.

즉, 제6 회전조절몸체(1510)의 외측면은 제6 끼움홈(1535)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6 끼움홈(1535)에 결합되는 외관(30)을 제6 회전조절몸체(15310)가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ixth rotation control body 1510 may be formed to b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sixth fitting groove 1535 , so that the outer surface 30 coupled to the sixth fitting groove 1535 is formed in the sixth The rotation control body 15310 can support it.

제6 돌출고정몸체(1533)의 높이(h11)은 제6 외관고정몸체(1531)의 높이(h1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6 높이조절부(1500)와 외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6 높이조절부(1500)가 외관(30)의 길이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height h11 of the sixth protruding fixed body 1533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11 of the sixth external fixed body 1531 . Through this, the separation of the sixth height adjustment unit 1500 and the exterior 30 may be easy. In addition, the sixth height adjustment unit 1500 can actively respo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xterior (30).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Thos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it belongs will readily understand.

1: 건축용 가설 지지대
10: 상부플레이트
100: 제1 지지부재 101: 제1 나사홀
110: 지지홈 120: 제1 연결부재
130: 외관결합부 150: 제1 걸림부
170: 고정홈 190: 상부홀
30: 외관 40: 체결부
400: 체결몸체 410: 고리부재
411: 제2 나사홀 413: 돌출부
415: 제1 경사면 430: 연결몸체
431: 제3 나사홀 450: 제1 나사부재
470: 제1 너트부재 490: 탄성부재
50, 1100, 1200, 1300, 1400, 1500: 높이조절부
501: 제1 높이조절홀
503: 제1 대응나사산 510: 제1 회전조절몸체
511: 손잡이부 520: 제1 지지몸체
530: 제1 고정몸체 531: 제1 외관고정몸체
531a: 제1 대응경사면 533: 제1 돌출고정몸체
535: 제1 끼움홈 70: 내관
700: 내관몸체 710: 돌출몸체
711: 제1 나사산 720: 내관홀
730: 보강부재 90: 하부플레이트
900: 제2 지지부재 901: 제4 나사홀
910: 돌출면 920: 제2 연결부재
930: 내관결합부 950: 제2 걸림부
970: 하부홀
1: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10: upper plate
100: first support member 101: first screw hole
110: support groove 120: first connecting member
130: exterior coupling part 150: first engaging part
170: fixing groove 190: upper hole
30: exterior 40: fastening part
400: fastening body 410: ring member
411: second screw hole 413: protrusion
415: first inclined surface 430: connection body
431: third screw hole 450: first screw member
470: first nut member 490: elastic member
50, 1100, 1200, 1300, 1400, 1500: height adjustment unit
501: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503: first corresponding thread 510: first rotation control body
511: handle portion 520: first support body
530: first fixed body 531: first exterior fixed body
531a: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533: first protruding fixed body
535: first fitting groove 70: inner tube
700: inner tube body 710: protruding body
711: first thread 720: inner tube hole
730: reinforcing member 90: lower plate
900: second support member 901: fourth screw hole
910: protruding surface 920: second connecting member
930: inner tube coupling portion 950: second engaging portion
970: lower hole

Claims (5)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고 중심부에 이동홀이 형성된 외관;
상기 이동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관;
중심부에 높이조절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외관이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내관이 상기 높이조절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내관과 결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an upper plate located on the upper part;
an exterio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formed with a moving hole in the center;
an inner tube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b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moving hole;
A height adjustment part in which a height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exterior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corresponding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ner tube is movable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hole;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including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inner tube and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고정몸체;
상기 돌출고정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관고정몸체 및
상기 돌출고정몸체 및 상기 외관고정몸체 사이에는 상기 외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2.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protruding fixed body protruding upward and positioned inside the exterior;
An exterior fixed bod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fixed body and positioned outside the exterior; and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in whic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exterior is fitted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ng fixing body and the exterior fixing bod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고정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3. The method of claim 2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including a support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ior fixing body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itting groove to support the exterio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끼움홈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body is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an the fitting groov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몸체는 상기 외관고정몸체의 높이가 서로 다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jecting fixed body is a temporary support for construction with different heights of the external fixed body.
KR2020200000778U 2020-03-05 2020-03-05 A support for construction KR2004950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78U KR200495039Y1 (en) 2020-03-05 2020-03-05 A support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778U KR200495039Y1 (en) 2020-03-05 2020-03-05 A support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45U true KR20210002045U (en) 2021-09-15
KR200495039Y1 KR200495039Y1 (en) 2022-02-16

Family

ID=7778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78U KR200495039Y1 (en) 2020-03-05 2020-03-05 A support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3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948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이강구조 Jack sup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242B1 (en) * 2022-06-03 2024-04-15 주식회사 리더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ol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79Y1 (en) * 2016-03-22 2017-01-17 이종복 Supporting post
KR20170011274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Scaffold base
KR20190118272A (en) * 2018-04-10 2019-10-18 차명길 A jack based suppo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74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Scaffold base
KR200482379Y1 (en) * 2016-03-22 2017-01-17 이종복 Supporting post
KR20190118272A (en) * 2018-04-10 2019-10-18 차명길 A jack based suppor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948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이강구조 Jack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39Y1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039Y1 (en) A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2216002B1 (en) A support for construction
US8066247B2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KR102322571B1 (en) A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1310842B1 (en) Concrete mold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ng beam by using the same
KR102097339B1 (en) Deck supporting system
JP2021529275A (en) Architectural system scaffolding
US8915038B1 (en) Dynamic concrete form
KR100641412B1 (en) The structure to construct inner mold of elevator housing
KR101013148B1 (en) Revolving Support of Table Form
KR102039439B1 (en) A jack based supporter
KR20190109978A (en) Jack Support Capable of Controlling the Height Easily
KR101262814B1 (en) Fixture for horizontal control of window frame
KR20190089355A (en) A connecting panel for form panels and an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connecting panels
KR20060037137A (en) Space preserv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support
KR200487309Y1 (en) A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1622472B1 (en) Horizontal control device for transportable building
KR100482272B1 (en) A supprot pipe for construction
KR20220003755A (en) Support integrated waffle form system for waffl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194410B1 (en) Supporting apparatus of structure and joint for thereof
KR200354079Y1 (en) pipe support for building
KR200207070Y1 (en) Drain pipe connector for apartment
KR200388070Y1 (en) A reinforcement bar using for building a brick house
KR102274155B1 (en) Fixing structure of hand rail for balustrade
KR20170036438A (en) Concrete embedded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