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812A -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812A
KR20210001812A KR1020190092109A KR20190092109A KR20210001812A KR 20210001812 A KR20210001812 A KR 20210001812A KR 1020190092109 A KR1020190092109 A KR 1020190092109A KR 20190092109 A KR20190092109 A KR 20190092109A KR 20210001812 A KR20210001812 A KR 2021000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er
competency
score
evaluat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호
송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리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리더스
Publication of KR202100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평가 대상자의 능력에 대한 종합 평가 지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평가 점수,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지표를 제공할 수 있고, 커리어 가치 평가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에 대한 평가 신뢰도 점수나 평가 신뢰도 등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위치를 경쟁자에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커리어 가치 등급을 제공함으로써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게 역량 향상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a value of career}
본 발명은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평가 대상자의 능력에 대한 종합 평가 지수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채용제도는 스펙을 중심으로 한 채용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채용으로 나아가 차별요소를 모두 제외한 블라인드 채용으로 변화하고 있다. 해외 채용 시장은 SNS를 개인 평가 도구로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직무 적합도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학력과 스펙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채용문화가 직무적합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대규모 공채가 줄고 수시채용으로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유양식의 입사지원서를 선호하며 교육사항, 경력, 보유기술 등의 직무중심 항목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트렌드 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채용방식 변화로 인해 새로운 평가지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1297호 (조효성) 2006. 2. 3. 특허문헌 1은 디지털 이력서 정보를 기초로 한 실시간 취업 역량 비교 평가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취업 및 구직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서 운영되는 취업사이트 등에서 온라인 디지털 이력서를 작성 완료한 직후에 입력한 이력서 항목을 기초로 하여 현재 온라인을 통해 취업(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전체 온라인 구직자 집단과 동일 항목별 실시간 비교 평가를 통해, 집단 내에서 자신의 취업 경쟁력 평가 결과를 파악하고, 이력서 상의 비교 우위 역량과 열위 역량을 파악하도록 하여 보다 경쟁력 있는 취업 역량을 확보 하는데 필요한 기초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평가 대상자의 능력에 대한 종합 평가 지수를 제공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를 평가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로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평가부;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자가진단부;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외부진단부; 및 상기 역량평가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평가 점수, 상기 역량자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하는 가치평가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는,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를 평가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의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역량평가 점수,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평가 점수,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에 대한 평가 신뢰도 점수나 평가 신뢰도 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위치를 경쟁자에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커리어 가치 등급을 제공함으로써,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게 역량 향상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신뢰도 등급 제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복수의 평가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평가 대상자의 능력(즉, 커리어 가치)에 대한 종합 평가 지수를 제공한다.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토대로 본인(즉,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 본인이 지정한 오픈 외부 평가자, 및 본인이 지정하지 않은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과거 커리어 정보는 학력 정보, 외부기관 이수 정보, 경력 정보, 자격증 정보, 역량 정보,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학력 정보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학교에 대한 정보로서, 학교 명칭, 학교 소재지, 학교 성적, 교과목, 교과목 성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기관 이수 정보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외부 교육기관, 직업교육기관 등의 외부기관에서 이수한 정보로서, 외부기관 명칭, 교육과정, 성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력 정보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기업체 등의 기관에 대한 정보로서, 기관 명칭, 기관 소재지, 담당 업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증 정보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정보로서, 자격증 명칭, 자격증 발급 기관, 자격증 획득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역량 정보는 역량별로 역량과 관련된 경험 내용, 활동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기타 정보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보유한 취업 관련 가점 사항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한 정보로서, 국가 유공자 여부, 취업지원대상자 여부 등을 말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보유한 단말로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요청에 의해 과거 커리어 정보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요청에 의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 커리어 가치 평가를 요청하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브라우져 등을 이용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가자 단말(300)은 외부 평가자가 보유한 단말로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부터 역량 진단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면, 평가자 단말(300)은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외부 평가자는 평가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토대로 역량을 평가하고, 평가자 단말(300)의 외부 평가자에 의해 입력된 점수를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 평가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평가자 단말(300)에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 평가자는 평가자 단말(300)에 설치된 웹브라우져 등을 이용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평가자 단말(300)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망(4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역량평가부(130), 역량자가진단부(140), 역량외부진단부(150), 가치평가부(160), 및 정보제공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이나 무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평가자 단말(300)과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20)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 외부 평가자의 식별 정보 등과 같은 정보의 저장, 역량자가진단 점수의 획득,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획득,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획득,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의 획득, 평가 신뢰도 점수의 획득, 평가 신뢰도 등급의 획득, 커리어 가치 등급의 획득 등과 같은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 외부 평가자의 식별 정보,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 평가 신뢰도 점수, 평가 신뢰도 등급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역량평가부(13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역량평가부(130)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역량평가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역량평가 점수는 학력사항, 교육사항, 자격, 및 경력으로 이루어진 기본 점수(100점 만점)와 가점 항목으로 이루어진 가점 점수(최대 10점)로 이루어질 수 있다.
No. 평가요소 평가기준 점수
1 학력사항 국내 최상위권 대학 5 최대 5점
수도권 대학 및 지방 국립대학 4
기타 4년제 대학 3
2, 3년제 전문대학 2
고등학교 졸업자 1
2 교육사항 학교교육
(전공교육)
4.0 이상(환산점수 94점 이상) 30 최대 30점
3.5 이상(환산점수 89점 이상) 25
3.0 이상(환산점수 84점 이상) 20
3.0 미만(환산점수 84점 이하) 15
고졸 이하 기본점수 부여 15
직업교육
(직업훈련)
직무관련 직업훈련 2개 이상 20 최대 20점
직무관련 직업훈련 1개 10
3 자격 자격증 직무관련 자격증 2개 이상 20 최대 20점
직무관련 자격증 1개 15
기본OA 자격증 소지자 10
4 경력 직무관련
경험사항
관련분야 경험 2개 이상 25 최대 25점
관련분야 경험 1개 이상 15
5 가점항목 가산점(국가유공자, 취업지원대상자 등) 각 +5점 최대 10점
역량자가진단부(14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아래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역량자가진단부(14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성취지향
(Achieve Orientation)
[정의] 주어진 상황과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주변의 기대보다 높은 목표를 설정해서 끈기 있게 추진하여 높은 성과를 창출하려는 성향
성취기준이나 목표를 스스로 설정한다. 2
더 높은 성취를 위해 수행방법이나 과정을 개선한다. 4
주변의 기대보다 더 높은 도전적인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여 끈기 있게 노력한다. 6
성취와 노력하는 정도를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마련한다. 8
면밀한 전략을 세워 불확실한 목표에 도전한다. 10
대인영향
(Impact and Influence)
[정의] 자신이 의도하는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상대를 설득하거나 납득시키고,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성향
토론이나 프리젠테이션 등 한 가지 활동을 통해 상대를 설득한다. 2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활동을 통해 상대를 설득한다. 4
상대방의 수준이나 관심사항에 맞추는 등 언행의 파급영향을 예측하여 행동한다. 6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고 보다 영향력이 큰 전문가나 제3자를 동원하는 등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8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상대를 이끌기 위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한다. 10
성실성
(Integrity)
[정의] 어떤 상황에서도 보편적 가치에 따라 일관되게 행동하려는 성향
평소에 정직, 개방성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에 따라 행동한다. 2
타인에 대한 정직과 신뢰 등과 같은 핵심 가치에 근거하여 일관성 있게 행동한다. 4
단기적으로는 손실이 예상되는 불리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핵심가치를 지킨다. 6
상당한 손실이 예상되거나 자신에게 신분상의 위험이 있더라도 보편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다. 8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10
미래지향
(Forward Looking)
[정의] 미래에 발생 가능한 문제를 인식하여 현 시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대응책을 강구하고, 미래의 기회를 위해 능동적으로 준비하려는 성향
이미 결정되었거나 알려진 현재의 문제나 기회에 대응한다. 2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나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미루지 않고 즉시 해결한다. 4
한 학기 정도의 미래에 발생할 문제를 예측하여 자발적으로 행동한다. 6
한 두 해 정도의 환경이나 상황 변화를 예측한 후 자신에게 필요한 행동을 실행한다. 8
3~5년 정도의 중장기적인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실행하거나 환경 자체를 변화시키려 한다. 10
리더쉽
(Leadership)
[정의] 집단 내에서 리더 역할을 맡으려하고, 구성원을 이끌고자 하는 성향
구성원과 정보를 공유한다. 2
구성원들을 공정하게 대우하기 위해 노력하여 집단의 생산성을 높인다. 4
집단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여 보다 강한 조직을 만든다. 6
구성원의 지지와 신뢰를 확보하여 스스로 리더로서의 위상을 확립한다. 8
다른 집단으로부터도 높은 신뢰를 얻음으로써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심어준다. 10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정의] 어떤 상황이나 사건, 문제 등을 세분하여 이해하거나, 상황이나 사건, 문제 등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단계적, 인과론적으로 이해하고, 더나아가 대안을 제시하는 사고력
정보를 세부단위로 나누어 단순하게 나열한다. 2
문제의 구성요소를 단순한 인과관계로 파악한다. 4
상황을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장애요인을 예측하는 등 문제의 구성요소 간 다각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한다. 6
문제나 상황의 이면에 있는 근본 원인을 파악한다. 8
문제나 상황의 이면에 있는 복수의 해결책을 마련하고, 각각의 유용성을 검토하여 제시한다. 10
개념적 사고
(Conceptual Thinking)
[정의]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하여 전체상황을 이해한 후, 일정한 패턴이나 핵심적인 문제를 찾아내는 사고력
현재 발생한 문제에 대해 상식이나 경험 등의 기본적 규칙을 적용한다. 2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한 패턴을 파악한다. 4
자신이 배운 복잡한 개념들을 수행에 적용하여 활용한다. 6
복잡한 상황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문제의 핵심을 파악한다. 8
복잡한 상황을 정리하여 과거의 교육이나 경험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여 적용한다. 10
유연성
(Flexibility)
[정의] 다양한 상황 변화에 원활히 대처하며, 사고 및 학습 방법의 변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존과 다른 접근을 시도하려는 성향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한다. 2
기존의 방법과 절차를 단순하게 변경하여 적용한다. 4
새로운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거나 변경한다. 6
상황에 따라 무엇을 할지를 결정한다(전술적 변화). 8
상황변화에 맞추어 규정, 관습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전략적 변화). 10
자신감
(Self Confidence)
[정의] 원하는 바를 자신의 생각과 결정으로 반드시 이룰수 있다는 신념
수행범위 내에서 스스로 판단하여 자신 있게 행동한다. 2
수행범위를 초과하는 정도까지 자신 있게 행동한다. 4
자신의 전문성과 능력에 대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신 있게 표현한다. 6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으로 리스크가 큰 수행에 도전하고, 실패의 상황에서도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확신을 갖는다. 8
경력상의 위험이 될 수도 있는 도전적인 상황을 자신 있게 받아들이며, 실패의 상황에서도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확신을 갖는다. 10
대인이해
(Interpersonal Understanding)
[정의] 다른 사람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그 사람의 생각, 감정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성향
말과 행동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인식한다. 2
말과 행동을 통해 표현된 감정과 함께 상대방의 의도까지 정확하게 이해한다. 4
표현되지 않은 상대방의 감정이나 의도를 이해한다. 6
상대방의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여 다음 행동을 예상한다. 8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의 행동특성과 감정 등의 배경까지 이해한다. 10
역량외부진단부(150)는 외부 평가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역량외부진단부(150)는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한 평가(평가받는 자가 본인을 평가하는 자가 누구인지를 아는 방식)와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한 평가(평가받는 자가 본인을 평가하는 자가 누구인지를 모르는 방식)를 통해 커리어 가치평가대상자에 대한 역량외부진단점수(200점 만점)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역량외부진단점수는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인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100점 만점)와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인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100점 만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역량외부진단부(15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가 평가자 단말(3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평가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적합이면 10점을, 부적합이면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위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역량외부진단부(150)는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복수의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픈 외부 평가자가 다른 오픈 외부 평가자를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획득한 점수를 토대로 오픈 외부 평가자들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차등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 외부 평가자의 자의적인 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픈 외부 평가자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평가 시, 추가적인 코멘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작성된 코멘트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경쟁력, 단점, 업무예상기여도, 조직적응력 등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거나 지원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외부진단부(150)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가 평가자 단말(3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평가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적합이면 10점을, 부적합이면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위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복수의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외부 평가자 목록에서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되지 않은 외부 평가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예컨대, 중학교, 고등학교, 학원 등)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지정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추천된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와 가장 근접한 점수를 평가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게 소정의 마일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참여도 및 응답 성실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평가 시, 추가적인 코멘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작성된 코멘트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경쟁력, 단점, 업무예상기여도, 조직적응력 등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거나 지원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치평가부(160)는 역량평가부(130)를 통해 획득한 역량평가 점수, 역량자가진단부(140)를 통해 획득한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외부진단부(150)를 통해 획득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역량외부진단부(150)를 통해 획득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는 역량평가 점수(100점 만점 + 가산점), 역량자가진단 점수(100점 만점),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100점 만점), 및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100점 만점)의 합산으로 총 합산 점수 400점 만점(가산점이 플러스될 수 있음)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치평가부(160)는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가치평가부(160)는 평가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 본인(즉,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이 자가진단한 역량자가진단 점수(지각: Perception)와 오픈 외부 평가자/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기대: Expectation) 간의 갭(Gap)을 도출하여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평가 신뢰도 점수가 200점에 가까울수록 신뢰도는 떨어지며, 0점에 가까울수록 신뢰도는 높다고 판단하고, 평가 신뢰도 점수 등 관련 정보를 제공(총 합산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치평가부(160)는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차이값은 "역량자가진단 점수 -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가 되고, 제2 차이값은 "역량자가진단 점수 -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가 되며, 평가 신뢰도 점수는 "|제1 차이값 - 제2 차이값|"이 된다.
예컨대, 역량자가진단 점수가 "100점"이고,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가 "50점"이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가 "100점"이라고 가정하면, 제1 차이값은 "100점 - 50점 = 50점"이 되고, 제2 차이값은 "100점 - 100점 = 0점"이 되며, 평가 신뢰도 점수는 "|50점 - 0점| = 50점"이 된다.
또한, 가치평가부(160)는 아래의 [표 12]와 같은 신뢰도 등급표를 토대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평가 신뢰도 등급 평가 신뢰도 점수(100점으로 환산한 점수)
매우 불신 100
불신 83.3
약간 불신 66.7
보통 50.0
약간 신뢰 33.3
신뢰 16.7
매우 신뢰 0.0
그리고, 가치평가부(160)는 아래의 [표 13]과 같은 커리어 가치 등급표를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가치평가부(160)는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미리 평가 완료되어 등록된 인력 Pool의 점수를 기준으로 상대평가를 하여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커리어 가치 등급 구간
A 상위 누적 4%
B 상위 누적 11%
D 상위 누적 23%
E 상위 누적 40%
F 상위 누적 60%
G 상위 누적 77%
H 상위 누적 89%
I 상위 누적 96%
J 상위 누적 100%
정보제공부(17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부(170)는 평가 신뢰도 점수, 평가 신뢰도 등급, 커리어 가치 등급 등의 정보도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과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신뢰도 등급 제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도 3의 취준생)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역량별로 본인(즉,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이 평가한 역량자가진단 점수(도 3의 역량진단지표(본인)/결과값),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도 3의 Open Referee의 역량평가지표(제3자)/결과값),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도 3의 Blind의 역량평가지표(제3자)/결과값), 및 정량적으로 평가된 역량평가 점수(도 3의 역량활동항목/수치화 방안)를 이용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도 3의 종합평가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신뢰도 점수와 평가 신뢰도 등급도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한다(S110).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1]과 같은 역량평가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한다(S120).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위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한다(S130).
즉,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가 평가자 단말(3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평가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적합이면 10점을, 부적합이면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위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복수의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픈 외부 평가자가 다른 오픈 외부 평가자를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획득한 점수를 토대로 오픈 외부 평가자들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차등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 외부 평가자의 자의적인 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픈 외부 평가자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평가 시, 추가적인 코멘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작성된 코멘트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경쟁력, 단점, 업무예상기여도, 조직적응력 등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거나 지원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한다(S140).
즉,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가 평가자 단말(3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평가하면, 평가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통신망(400)을 통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적합이면 10점을, 부적합이면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로 지정된 외부 평가자는 위의 [표 2] 내지 [표 11]과 같은 역량진단 점수 부여 기준값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외부진단부(150)는 복수의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외부 평가자 목록에서 오픈 외부 평가자로 지정되지 않은 외부 평가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될 수 있다. 이때,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예컨대, 중학교, 고등학교, 학원 등)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지정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추천된 사람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와 가장 근접한 점수를 평가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게 소정의 마일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참여도 및 응답 성실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평가 시, 추가적인 코멘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작성된 코멘트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경쟁력, 단점, 업무예상기여도, 조직적응력 등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거나 지원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한다(S150).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역량평가 점수,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신뢰도 점수 및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S160).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역량자가진단 점수,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제1 차이값과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차이값은 "역량자가진단 점수 -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가 되고, 제2 차이값은 "역량자가진단 점수 -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가 되며, 평가 신뢰도 점수는 "|제1 차이값 - 제2 차이값|"이 된다.
그리고,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12]와 같은 신뢰도 등급표를 토대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S170).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13]과 같은 커리어 가치 등급표를 토대로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180). 즉,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대한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신뢰도 점수, 평가 신뢰도 등급, 커리어 가치 등급 등의 정보도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역량평가부,
140 : 역량자가진단부, 150 : 역량외부진단부,
160 : 가치평가부, 170 : 정보제공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평가자 단말,
400 : 통신망

Claims (21)

  1.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를 평가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로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평가부;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자가진단부;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역량외부진단부; 및
    상기 역량평가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평가 점수, 상기 역량자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하는 가치평가부;
    를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한,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역량외부진단부는,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고,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11.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를 평가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의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역량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자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를 통해 지정된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를 통해 지정된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로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역량평가 점수,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은, 성취지향 역량, 대인영향 역량, 성실성 역량, 미래지향 역량, 리더십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 개념적 사고 역량, 유연성 역량, 자신감 역량, 및 대인이해 역량을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및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의 제1 차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역량자가진단 점수와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의 제2 차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차이값과 상기 제2 차이값의 차이값을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로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5. 제13항에서,
    상기 평가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 신뢰도 등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6. 제11항에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커리어 가치 종합 점수를 다른 사용자들의 점수들과 대비하여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커리어 가치 등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7. 제1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의 수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의 수와 동일한,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8. 제11항에서,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가 복수이면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복수의 상기 오픈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오픈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 획득 단계는,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에 의해 평가된 점수들 중에서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들을 평균하여 상기 역량블라인드외부진단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20. 제11항에서,
    상기 블라인드 외부 평가자는,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의 상기 과거 커리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리어 가치 평가 대상자가 다닌 과거 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기관을 다닌 이력이 있는 사람으로 지정되는,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리어 가치 평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2109A 2019-06-27 2019-07-30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10001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6813 2019-06-27
KR1020190076813 2019-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12A true KR20210001812A (ko) 2021-01-06

Family

ID=7412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09A KR20210001812A (ko) 2019-06-27 2019-07-30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8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247B1 (ko) * 2023-12-13 2024-04-29 이혜원 커리어 진단 및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97A (ko) 2004-07-30 2006-02-03 조효성 디지털 이력서 정보를 기초로한 실시간 취업 역량 비교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97A (ko) 2004-07-30 2006-02-03 조효성 디지털 이력서 정보를 기초로한 실시간 취업 역량 비교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247B1 (ko) * 2023-12-13 2024-04-29 이혜원 커리어 진단 및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ams van Rooij The career path to instructional design project management: An expert perspective from the US professional services sector
Kaiseroglou et al. A review of total quality management applications in schools
Palmer et al. Developing an Institutional Evaluation of the Impact of Work-Integrated Learning on Employability and Employment.
US20180101806A1 (en) Quantitative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
Amrein-Beardsley et al. Value-added models: What the experts say
Bellou Shaping psychological contract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 human resources management perspective
Francis et al. Holistic admissions and racial/ethnic diversity: A systematic review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doctoral education
US201303179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n application wheel user interface and verified assessments in hiring decisions
Pham et al. Work pressure, job satisfaction and auditor turnover: Evidence from Vietnam
KR20220121324A (ko)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US201403723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having applicability to succession planning
US20170132571A1 (en) Web-based employment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odata
KR20210001812A (ko) 커리어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Mkhize Accounting firms’ managers’ and trainees’ perceptions of managerial competencies required to manage diversity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US201403723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having applicability to succession planning
El Talla et al. Intermediate Role of Operations Standa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cus on Benefiting Students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Palestinian Universities
Harve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heir job satisfaction
US20170024668A1 (en) Automated Assessment and Solution Methodology
Gbenle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ITG)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s
Ruan Attorney Competence in the Algorithm Age
Simoneau The effects of correctional education in vocational training on employment opportunities in Central and Northern Wisconsin for ex-offenders upon release
Akpaniteaku Impact of training and development on remedying recruitment failures
Wietzel Examining factors that motivate workers and promote retention in government service
Kundaeli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the employability of Information Systems graduates in Cape Town, South Africa: Employed graduates and employer perspectives
Nyein Employe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YA Bank in Yan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