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07U -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 Google Patents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07U
KR20210001707U KR2020200000199U KR20200000199U KR20210001707U KR 20210001707 U KR20210001707 U KR 20210001707U KR 2020200000199 U KR2020200000199 U KR 2020200000199U KR 20200000199 U KR20200000199 U KR 20200000199U KR 20210001707 U KR20210001707 U KR 20210001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tableware
container
height
companion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충광
최희중
Original Assignee
워크브레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크브레인(주) filed Critical 워크브레인(주)
Priority to KR2020200000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707U/en
Publication of KR20210001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0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작된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용기를 하나의 구조물로 간편하게 결합하고,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반려동물이 편한 자세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each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are easily combined into one structure, and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s combined into a single structure. I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to provide various types of foo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eat it in a comfortable position.

Description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Tableware for pets with adjustable height and depth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본 고안은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용기를 쉽게 하나의 구조물로 결합 사용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물이나 사료, 간식 등의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편한 자세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nd in detail, containers of different heights and depths can be easily combined into one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s body,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provide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water, feed, and snacks. It relates to a tableware for pets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depth that provides various types of food in a comfortable position.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는 점점 더 핵가족화 되어감에 따라 개나 고양이와 같이 인간에게 친숙한 반려동물을 마치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기르는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사람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친구나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In general, as modern society becomes more and more nuclear family, the population that considers companion animals familiar to humans, such as dogs and cats, as if they are members of a family, is rapidly increasing. These companion animals are recognized as beings like friends and family, who live in the same space with people and give peopl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imacy.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먹이 급식에 있어서 적시에 정량의 먹이를 공급하는 등 영양결핍이나 과식문제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한편, 반려동물이 보다 편안한 자세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반려동물용 식기 또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keep these companion animals healthy, special affection and management are essential. In particular, thorough management of nutritional deficiencies and overeating problems is required, such as supplying the right amount of food in a timely manner, whil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eat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there is.

하지만, 현재 시장에 판매되는 반려동물용 식기는 획일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높이와 깊이를 갖는 구조로 제조되는 한편, 대부분 각 가정에서는 소형부터 대형 반려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진 반려동물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크기의 식기를 사용한다. 이처럼 획일화된 반려동물용 식기를 사용하여 먹이를 주는 경우 반려동물의 품종이나 습성에 따라 먹는 자세가 불편하여 자주 토하는 성향을 보일 수 있다. However,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is manufactured in a uniformly simple structure with a height and depth, while most households do not consider the size of companion animals that have varied from small to large companion animals. Use utensils of the same size. In the case of feeding using standardized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the eating posture may be uncomfortable depending on the breed or habit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may show a tendency to vomit frequently.

또한,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통적인 반려동물용 식기들은 대부분 단순히 먹이를 수용하기 위한 기능에 불과한 것으로, 반려동물이 먹이를 먹을 때 항시 고개를 상당히 숙인상태로 먹게 되는 것으로, 상당한 불편함과 심할경우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유발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애완동물이 성장시 더욱 심각해졌다.In addition, most of the traditional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is simply a function to accommodate food, and when a companion animal eats food, it is always eaten with its head bowed, resulting in considerable discomfort and severe cases. It caused diseases such as herniated disc, and this phenomenon became more serious as the pet grew up.

이에 따라, 성장시마다 반려동물의 크기에 맞는 식기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73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8396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026호 등에서 높이 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식기(밥그릇 또는 식탁)가 제안되었다. Accordingly, the economic burden has been increased, such as having to purchase and use tablewar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each time it grows up. Accordingl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973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8396,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0026, etc., are proposed tableware for pets (rice bowl or dining table)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rotated. became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식기들은 높이 조절은 가능하지만 식기의 깊이를 조절할 수 없어 기존 전통적인 식기에서의 문제점들이 여전히 발생하였다. 특히, 외형이 전통적인 식기의 형태를 크게 벗어나 반려동물에게 거부감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하고 제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However, although the tableware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s can adjust the height, the depth of the tableware cannot be adjusted, so problems in the existing traditional tableware still occur. In particular, not only does the appearance greatly deviate from the shape of traditional tableware, but it also causes objection to companion animals,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nd complicated to manufacture,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KR 20-0479734 Y1, 2016. 02. 24.KR 20-0479734 Y1, 2016. 02. 24. KR 20-0488396 Y1, 2019. 01. 17.KR 20-0488396 Y1, 2019. 01. 17. KR 20-0490026 Y1, 2019. 09. 04.KR 20-0490026 Y1, 2019. 09. 0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작된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용기를 하나의 구조물로 간편하게 결합하고,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물이나 사료, 간식 등의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편한 자세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easy to combine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each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nto one structure, and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depth,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siz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water, feed, and snacks, in a comfortable posi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물, 사료 또는 간식을 포함하는 먹이 중 어느 하나의 먹이를 담을 수 있는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높이 및 깊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먹이 중 어느 하나의 먹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밑면부가 상기 제1 용기의 밑면부에 긴밀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container that can contain any one of the food, including water, feed, or snacks; And at least one of the height and depth of the first container is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contain any one of the food, and the bottom part is tight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part of the first container. It provides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adjusting height and depth,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container that forms a single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자석 또는 금속이 매립되어 서로 자력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magnets or metals are embedded in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서로 스크류 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screw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coupling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벨크로 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bottom surfaces is provided with Velcro and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lcro coupling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체결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screw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정렬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끼움 걸림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n alignment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and locking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밑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용기의 밑면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을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nd the bottom part of the other container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not forme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nd the seating groove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밑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용기의 밑면부에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암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nd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aining container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not formed, so as to closely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male and female are coupl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작된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용기를 하나의 구조물로 간편하게 결합하고,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반려동물이 편한 자세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each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are easily combined into one structure, and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is easily combined. By selectively using it according to the size, various types of food can be provided so that the pet can eat it in a comfortable position.

따라서, 본 고안은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먹이를 먹을때 최대한 편하고 안전한 높이 및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먹이를 먹을때 목의 피로를 최소화시켜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성장시마다 적절한 높이 및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성장시마다 식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eases such as neck disc by minimizing neck fatigue when pets eat food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depth as comfortably and safely as possible when feed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ppropriate height and depth each time the companion animal grows, so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hassle and economic burden of purchasing tableware each time the companion animal grow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식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식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식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식기를 180°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ure 1;
3 is a front view of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ure 1;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 1 is turned 180°.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xample 7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lso,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본 고안은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 밥그릇, 국그릇, 반찬그릇, 물컵 등과 같이 생김새와 높낮이, 깊이가 다르고, 또한 영유아, 아동, 청소년 및 성인과 같이 연령대에 따라 다른 식기를 사용하듯이 모든 반려동물 또한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용기를 각각 제작하고, 이들의 밑면을 위아래로 간편하게 결합시켜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식기를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용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for all companions, just as people use different tableware according to age, such as rice bowls, soup bowls, side dish bowls, and water cups, in different shapes, heights, and depths, and also according to age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Animals also reflect this need by making two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and providing tableware consisting of a single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depth by simply combining their bottoms up and down. It can be used in various containers depending on the siz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1Example 1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10)는 크기,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갖고 밑면이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 용기(11, 12)를 포함한다. 1 to 4 , the tableware 1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so that the size, height and depth can be adjusted, and the bottom is detachable by magnetic force. and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coupled to each other.

제1 용기(11)는 내부에 각종 먹이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1a)이 마련된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밑면 중앙에는 제2 용기(12)의 밑면과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재(111)가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부재(11)는 자석(또는 금속)으로 제1 용기(11)의 밑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iner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provided with a accommodating space 11a capable of containing various kinds of food therein. An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coupling member 111 is formed so as to be remov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12).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member 11 may be embedded in a magnet (or metal)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11 .

제2 용기(12)는 제1 용기(11)와 크기, 높이 및 깊이가 서로 다른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밑면 중앙에는 제1 용기(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재(111)에 상호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재(121)가 형성된다. 이때, 제2 결합부재(121)는 금속(또는 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111)가 자석이면 금속 또는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금속이면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ntainer 12 has a cylindrical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ontainer 11 in size, height and depth.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111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11 .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1 may be a metal (or a magnet). For example, i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1 is a magnet, it may be made of a metal or magne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if it is a metal, it may be made of a magnet.

제2 용기(12)의 하단부에는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용기(11, 12)의 밑면이 제1 및 제2 결합부재(111, 121)에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제1 용기(1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받침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tainer 12 , as shown in FIG. 4 ,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attached to each other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11 and 121 . In order not to fall or to fall,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ainer 11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22 into which the lower end is inserte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식기를 180°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shown in FIG. 1 is turned 180°.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10)는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따라 제2 용기(12)에 먹이를 담아 사용하거나, 혹은 도 5와 같이, 반려동물용 식기(10)를 180°뒤집은 후 제1 용기(11)에 먹이를 담아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tableware 1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12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or as shown in FIG. 5 , for companion animals After turning the tableware 10 180°, it may be used by putting food in the first container 11 .

즉,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10)는 다양한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갖는 제1 및 제2 용기(11, 12)를 각각 제작한 후,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이들 용기(11, 12)를 간편하게 자력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식기 구조물로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식기로 여러 종류의 식기를 대체할 수 있다. That is, the tableware 1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body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after manufactur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having various sizes, heights and depths, respectively. Thus, these containers 11 and 12 can be easily combined with each other using magnetic force to assemble and use a single tableware structure, thereby replacing several types of tableware with one tableware.

제1 및 제2 용기(11, 12)의 높이와 깊이는 반려동물의 크기 및 습성을 고려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제작할 수 있다. The height and dep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may be manufact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habit of the companion animal.

성묘(成猫)
(물)
grave
(water)
대형 성견
(사료)
large adult dog
(feed)
고양이
(츄르/액상형 간식)
cat
(Churros/liquid snacks)
소형견/대형견
(간식)
Small/Large Dogs
(Snack)

높이/깊이

height/depth

3~4cm

3-4 cm

6cm

6cm

2cm

2cm

2cm/4cm

2cm/4cm

이유

reason

수염이 물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

To keep the beard away from the water

충분한 사료를 담기 위함

to contain enough feed

-

-

-

-

그리고, 제1 및 제2 용기(11, 12)는 합성수지재질, 금속재질 또는 세라믹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용기(11, 1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크기, 높이 및 깊이가 다른 용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metal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 and 12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1 to 5 , and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may be applied.

실시예2Example 2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20)는 밑면부에 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스크류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용기(21, 2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tableware 2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iners 21 and 22 having screw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and coupled in a screw coupling manner. .

제1 및 제2 용기(21, 22)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로 형성되고,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재(211, 221)가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21 and 22 are formed in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11 and 221 are formed so as to be re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11)는 내주면에 스크류홈(2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제2 결합부재(221)는 외주면에 스크류홈(221a)이 형성되어 제1 결합부재(211)의 스크류홈(211a)에 결합된다. 물론, 이와 반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부재(211, 221)의 암수구조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211 has a screw groove 211a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coupling member 221 has a screw groove 221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 It is coupled to the screw groove (211a) of the 211). Of course, the reverse structure may also be used. That is, the male and femal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11 and 221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실시예3Example 3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30)는 밑면부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벨크로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용기(31, 3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 the tableware 3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iners 31 and 32 that are provided with Velcro on their bottom and are coupled by a Velcro coupling method.

제1 및 제2 용기(31, 32)는 먹이 등을 담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로 형성되고,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재(311, 321)가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31 and 32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to contain food and the like,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11 and 321 are formed to be re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311)는 암벨크로일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제2 결합부재(321)는 숫벨크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결합부재(311, 321)는 상호 결합된다. 물론, 제1 및 제2 결합부재(311, 321)의 암수구조는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311 may be a female Velcro,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coupling member 321 is made of male Velcro,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11 and 321 are coupled to each other. Of course, the male and femal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311 and 321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실시예4Example 4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4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40)는 밑면에 나사홈에 각각 형성되어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용기(41, 4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tableware 4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iners 41 and 42 respectively formed in screw grooves on the bottom and coupled in a screw fastening manner. .

제1 및 제2 용기(41, 42)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갖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재(411, 421)가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41 and 42 are made of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sizes of different companion animals, and are mutually detachable, similarly to Examples 1 to 3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411 and 421 are formed to be coupled.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411)는 밑면부의 외주면에 숫나사홈(411a)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제2 결합부재(421)는 밑면부의 내주면에 제1 결합부재(411)가 삽입된다. 제1 결합부재(411)는 제2 결합부재(421)의 내부로 삽입된 후 숫나사홈(411a)과 암나사홈(421a)을 통해 상호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결합부재(411, 421)의 암수구조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411 has a male screw groove 411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421 corresponding to this is the first coupling member 4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 After the first coupling member 41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421, it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through the male screw groove 411a and the female screw groove 421a. Of course, on the contrary, the male and femal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411 and 421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실시예5Example 5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5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50)는 밑면에 정렬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끼움 걸림방식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용기(51, 5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tableware 5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and 52 that are coupled in a fitting manner with alignment grooves a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do.

제1 및 제2 용기(51, 52)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반려동물의 신체 크기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갖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부재(511, 521)가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and 52 are made of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heights and depths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sizes of different companion animals, and are mutually detachable, similarly to Examples 1 to 4.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511 and 521 are formed to be coupled.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511)는 밑면부의 내주면 양측에 걸림돌기(511a)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제2 결합부재(521)는 밑면부의 외주면에 걸림돌기(511a)가 삽입되는 정렬홈(521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용기(51, 52)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511, 521)는 암수구조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511 has locking protrusions 5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521 is align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s 5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is. A groove 521a is formed. Of course, on the contrary, the male and femal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511 and 521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and 52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용기(51, 52)의 결합은, 먼저 제2 결합부재(521)의 정렬홈(521a)을 제1 결합부재(511)의 걸림돌기(511a)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제2 결합부재(521)를 제1 결합부재(511)의 밑면부에 마련된 삽입홈(511b)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제1 및 제2 용기(51, 52) 중 어느 하나의 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혹은 제1 및 제2 용기(51, 52)를 서로 반대방향을 회전시켜 정렬홈(521a)과 걸림돌기(511a)가 상호 엇갈려 걸림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and 52 having this structure is performed by first aligning the alignment groove 521a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521 with the locking protrusion 511a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511. In this state, the second coupling member 5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1b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511 . Then, by rotat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52) in one direction, or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51, 52)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alignment groove (521a) And the locking projections (511a)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y are crossed with each other.

실시예6Example 6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10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60)는 밑면부에 안착홈(61a)이 형성된 제1 용기(61)와, 제1 용기(61)와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가지고 밑면부의 형상이 제1 용기(61)의 안착홈(61a)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안착홈(61a)의 내부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제2 용기(6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tableware 6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ntainer 61 having a seating groove 61a formed thereon, and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ontainer 61 . , has a height and depth,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hape of the seating groove (61a) of the first container (61), including a second container (62) close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ating groove (61a) do.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6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60)는 제1 용기(61)의 밑면부에 안착홈(61a)을 형성하고, 제2 용기(62)의 밑면부를 안착홈(61a)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 즉 억지끼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용기(61, 62)가 상호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반려동물로 인해 서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ableware 6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ating groove 61a on the bottom of the first container 61, and the bottom part of the second container 62 has a seating groove ( By forming to correspond to the inner shape of 61a), that is, by forming it to be press-f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61 and 62 from falling off from each other due to the companion animal in a state where they are press-fitted to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의 실싱예6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60)는 안착홈(61a)의 내측면에 탄성부재(63)가 더 구비되어 제2 용기(62)의 밑면부가 안착홈(61a)에 암수결합될 때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켜 이들 용기(61, 62)가 상호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3)는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6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6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61a, so th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62 has a seating groove 61a.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when the male and femal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containers 61 and 62 from falling off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63 may be made of elastic urethane rubber or silicone.

실시예7Example 7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1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Example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7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70)는 실시예6과 같이, 밑면부에 안착홈(71a)이 형성된 제1 용기(71)와, 제1 용기(71)와 서로 다른 크기, 높이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밑면부에는 지지돌부(72a)가 형성되어 안착홈(71a)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암수결합되는 제2 용기(7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tableware 7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71 having a seating groove 71a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s in the sixth embodiment, and a first container ( 71) and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height and depth, and a support protrusion (72a)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71a) to include a second container (72) that is male and female coupled .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he descrip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30, 40, 50, 60, 70 : 반려동물용 식기
11, 21, 31, 41, 51, 61, 71 : 제1 용기
12, 22, 32, 42, 52, 62, 72 : 제2 용기
61a, 71a : 안착홈
72a : 지지돌부
111, 211, 311, 411, 511 : 제1 결합부재
121, 221, 321, 421, 521 : 제2 결합부재
411a : 숫나사홈
421a : 암나사홈
511a : 걸림돌기
511b : 삽입홈
521a : 정렬홈
10, 20, 30, 40, 50, 60, 70: Tableware for pets
11, 21, 31, 41, 51, 61, 71: first container
12, 22, 32, 42, 52, 62, 72: second container
61a, 71a: seating groove
72a: support protrusion
111, 211, 311, 411, 511: first coupling member
121, 221, 321, 421, 521: second coupling member
411a: male thread groove
421a: female thread groove
511a: stumbling block
511b: insertion groove
521a: alignment groove

Claims (8)

물, 사료 또는 간식을 포함하는 먹이 중 어느 하나의 먹이를 담을 수 있는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높이 및 깊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먹이 중 어느 하나의 먹이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밑면부가 상기 제1 용기의 밑면부에 긴밀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2 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A first container that can contain any one of the food including water, feed, or snacks; and
At least one of the height and depth of the first contain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contain any one of the food, and the bottom part is tight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part of the first container. a second container forming one structure;
Tableware for pets capable of height and depth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자석 또는 금속이 매립되어 서로 자력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each having a magnet or metal embedded in the bottom,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서로 스크류 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have screw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respectively,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coupl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벨크로 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each provided with Velcro on the bottom,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lcro coupl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각각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체결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have screw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respectively,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밑면부에 정렬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끼움 걸림결합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have an alignment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part thereof, and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and locking manner.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adjusting height and dep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밑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용기의 밑면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을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nd the bottom part of the remaining container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not forme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nd is formed through the seating groove.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re height and depth-adjustable tableware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utually coupled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의 밑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용기의 밑면부에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암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and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remaining container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not formed, and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male and female. Tableware for pets with adjustable height and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bined.
KR2020200000199U 2020-01-15 2020-01-15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KR2021000170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99U KR20210001707U (en) 2020-01-15 2020-01-15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99U KR20210001707U (en) 2020-01-15 2020-01-15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07U true KR20210001707U (en) 2021-07-23

Family

ID=7712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99U KR20210001707U (en) 2020-01-15 2020-01-15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707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734Y1 (en) 2015-11-09 2016-03-02 위영훈 A height adjustable feed for pets
KR200488396Y1 (en) 2018-06-28 2019-01-23 심성민 height adjustable and rotatable Pet bowl
KR200490026Y1 (en) 2019-04-04 2019-09-10 윤지현 Height and angle adjustable pet dining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734Y1 (en) 2015-11-09 2016-03-02 위영훈 A height adjustable feed for pets
KR200488396Y1 (en) 2018-06-28 2019-01-23 심성민 height adjustable and rotatable Pet bowl
KR200490026Y1 (en) 2019-04-04 2019-09-10 윤지현 Height and angle adjustable pet dining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96B1 (en) Elevated animal feeder
US7219622B1 (en) Insect proof food dish
US20200397169A1 (en) Placemat anchor and tether system
US20200178716A1 (en) Flexible mat anchor and tether system and method
USD917105S1 (en) Pet food bowl
KR200479734Y1 (en) A height adjustable feed for pets
US20100083904A1 (en) Pet Treat Dispensing Toy
US5188061A (en) Pet and animal nurser
KR20210001707U (en) Height and depth adjustable pet bowl
US20040237899A1 (en) Chew-resistant pet bed
KR200490026Y1 (en) Height and angle adjustable pet dining table
CN210519767U (en) Dual-purpose pet bowl of drinking water and eating
KR102467669B1 (en) Pet dishes holder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200496516Y1 (en) Pet bowl
CN209931187U (en) Nursing and fattening integrated stainless steel trough
CN204305820U (en) Pet toy bone
CN112400724A (en) Production process of nursing and fattening integrated stainless steel trough
CN218399210U (en) Pet is with feeding licking pad
CN216753155U (en) Tableware for pet
KR200211823Y1 (en) A slide for baby
CN213029457U (en) Pet bowl convenient for pet to use
CN205124939U (en) Heart biscuit is rolled up to pet
CN204722010U (en) Slow food sucker and the slow bowl of pet
BR202014019557Y1 (en) PROVISION INTRODUCED IN A CATERPILLAR OR DRINK FOR PETS
CN215604494U (en) Children dining table and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