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93U - Culture vessel - Google Patents

Culture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93U
KR20210001693U KR2020200000173U KR20200000173U KR20210001693U KR 20210001693 U KR20210001693 U KR 20210001693U KR 2020200000173 U KR2020200000173 U KR 2020200000173U KR 20200000173 U KR20200000173 U KR 20200000173U KR 20210001693 U KR20210001693 U KR 20210001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container
culture apparat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4877Y1 (en
Inventor
허강무
노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투랩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투랩,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투랩
Priority to KR202020000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77Y1/en
Publication of KR20210001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4Flat or tray type, dra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양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양 기구는 용기부, 배지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배지부는 용기부의 저면에 안착되며, 고정부는 용기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지부를 고정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학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가 배지부를 용기부에 고정하므로, 배양 기구에서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배지부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apparatus. The 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art, a medium part, and a fixing part. The discharge uni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and the fix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nit to fix the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unit fixes the medium unit to the container unit without using a chemical adhesive,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x the medium unit in a simple manner without affecting the cells to be cultured in the culture apparatus.

Description

배양 기구 {Culture vessel}Culture vessel

본 고안은 배양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에 배지부를 고정시키는 배양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lture apparatus for fixing a medium portion to a container unit.

배양 기구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세포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지와 재료를 넣는 용기를 말한다. 종래의 배양 기구는 유리 재질의 페트리 접시, 삼각 플라스크, 시험관 등이 주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직 배양 기술의 발달, 보급에 따라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배양 기구를 만들고 있다. A culture device refers to a container in which a medium and materials are put in order to culture cells or tissues of microorganisms or animals and plants. Conventional culture apparatuses were mainly made of glass Petri dishes, Erlenmeyer flasks, test tubes, and the like. However, 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tissue culture technology, culture equipment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배양 기구의 내부에는 배지부가 안착된다. 배양체가 제대로 배양되기 위해서는 배지부가 배양 기구에 고정되며, 들뜨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배지부를 배양 기구 내부에 접착제로 부착하면, 접착제의 독성에 의해 배양하고자 하는 배양체가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배지부를 초음파로 배양 기구 내부에 융착시키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방법이 복잡하고 배지부의 일부를 초음파 융착하는 경우 배지가 들뜨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The culture medium is seated inside the culture apparatus. In order for the culture to be properly cultured, the culture medium should be fixed to the culture apparatus and not lifted. For this, when the medium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ulture apparatus with an adhesive, the culture to be cultured cannot grow due to the toxicity of the adhesive. As another method, it may be considered to fusion-seal the medium to the inside of the culture apparatus by ultrasonication, but the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 problem of the medium floating is not completely solved when a part of the medium is ultrasonically fused.

따라서, 배양하고자 하는 배양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배지부를 확실하게 고정시켜 균일한 사이즈로 배양체를 배양시키거나 배양된 배양체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카운팅하기 위한 배양 기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culture apparatus for culturing a culture to a uniform size by securely fixing the medium without affecting the culture to be cultured or for counting the cultured culture more simply and accurately.

한국공개특허 제2010-0093312호 (공개일:2010.08.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93312 (published date: 2010.08.25.)

본 고안의 목적은 배지부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며 배양액에 의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ure apparatus capable of fixing the culture medium to a desired position and not being lifted by the culture medium.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지부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균일한 사이즈의 세포나 조직을 배양할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포나 조직을 계수하기 위한 배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ure apparatus for culturing cells or tissues of a uniform size by fixing the mediu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and for counting cells or tissues more simply and accuratel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는 용기부, 배지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용기부는 저면과 측벽을 구비한다. 배지부는 용기부의 저면에 안착된다. 고정부는 용기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지부를 고정한다.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a medium unit, and a fixing unit. The container part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The discharge uni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The fixing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art, and fixes the discharge par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에서 고정부는 배지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에는 배지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In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dium. An opening for exposing the discharge unit is formed in the fixing uni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에서 용기부의 측벽에는 제1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고정부에는 제2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are detachably coupl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에서 고정부는 용기부에 홈과 돌기를 이용한 결합 또는 물리적 마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using a groove and a protrusion or a physical friction metho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에서 고정부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xing unit.

본 고안에 따른 배양 기구는 화학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가 배지부를 용기부에 고정한다. 따라서 배양 기구에서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배지부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chemical adhesive and the fixing part fixes the medium part to the container part. Therefore, the medium can be reliably fixed in a simple manner without affecting the cells to be cultured in the culture apparatu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양 기구는 특별한 장비나 추가 공정없이 2차원 세포나 3차원 세포 조직 등의 배양체를 균일한 사이즈로 대량 배양할 수 있어서 재생의료나 인공장기, 생체유용물질 생산, 신약 스크리닝, 동물 대체 시험법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ss-cultivate cultured bodies such as 2D cells or 3D cell tissues in a uniform size without special equipment or additional processes, so that regenerative medicine, artificial organs, production of bioavailable substances, new drug screening, animal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alternative test method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홀이 형성된 배양 기구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의 배지부가 메쉬 부재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ulture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medium of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sh member.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upling diagram illustrat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 (1000)는 용기부(1100), 배지부(1200), 고정부(1300)를 포함한다. 배지부(1200)와 고정부(1300)는 용기부(1100) 내부에 위치한다. 1 and 2 , the culture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1100 , a medium unit 1200 , and a fixing unit 1300 . The discharge unit 1200 and the fixing unit 1300 are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unit 1100 .

용기부(1100)는 저면(1110)과 측벽(1120)을 구비한다. 용기부(110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용기부(1100)는 페트리 접시, 플라스크, 시험관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부(1100)의 단면은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The container unit 1100 has a bottom surface 1110 and a side wall 1120 .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unit 1100 is open. The container unit 1100 may be a Petri dish, a flask, a test tube, or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iner unit 1100 is circ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용기부(1100)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용기부(1100)의 저면(1110) 표면은 표면 개질을 위해 고분자로 코팅될 수 있다.The container unit 1100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e surface of the bottom 1110 of the container unit 1100 may be coated with a polymer for surface modification.

용기부(1100)의 측벽(1120) 내측에는 제1 고정부재(1130a, 1130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130a, 1130b)는 2개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용기부(1100)의 측벽(1120) 외측에는 사용자가 용기부(1100)를 편하게 잡으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부 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wall 1120 of the container unit 11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two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one or three or more. A protrusion or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120 of the container unit 1100 so that the user does not slip while holding the container unit 1100 comfortably.

배지부(1200)는 용기부(1100)의 저면에 안착된다. 배지부(1200)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이다. 배양체의 생존·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질소원·무기염류·발육인자 등을 공급해준다. The discharge unit 120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1100 . The medium unit 1200 is a nutrient material required by the culture body in order to culture microorganisms or animal and plant tissues as a main component, and then mixed with a material for a special purpose. It supplies carbon, nitrogen, inorganic salts, and growth factors as nutrients, including water, which is essential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culture.

고정부(1300)는 용기부(1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1300)는 용기부(110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부(1100)의 단면이 원형이고, 고정부(1300)도 원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00)가 용기부(1100)에 삽입 가능한 형상이면, 용기부(1100)의 단면과 다른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타원 형상 등)이 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1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art 1100 . To this end, the fixing part 130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container part 1100 .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iner part 1100 is circular, and the fixing part 1300 is also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fixing part 1300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1100, it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 of the container part 1100 (eg, a rectang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 oval shape, etc.).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300)의 높이는 용기부(1100)의 측벽(1120)의 높이와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부(1100)의 측벽(11200의 높이가 더 높을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00)의 높이가 더 높을 수도 있다. 고정부(1300)가 용기부(1100)의 측벽(1120)보다 높은 경우 고정부(1300)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130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ide wall 1120 of the container part 110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side wall 11200 of the container part 1100 may be higher, and another In an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1300 may be higher. When the fixing part 1300 is higher than the sidewall 1120 of the container part 1100,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xing part 1300 can be facilitated. .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300)는 배지부(1200)의 상측에 위치하며, 고정부(1300)의 무게 또는 용기부(1100)와 고정부(1300)의 물리적 결합으로 배지부(1200)를 고정한다. 배지부(1200)에서 배양체가 배양되기 위해서는 배지부(1200)가 고정부(1300)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부(1300)에는 개구부(1310)가 형성된다. 개구부(1320)의 형상은 배양 목적,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unit 13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ing unit 1200, and the discharging unit 1200 is fixed by the weight of the fixing unit 1300 or the physical combination of the container 1100 and the fixing unit 1300. . In order for the culture medium to be cultured in the medium unit 1200 , the medium unit 1200 must be exposed outside the fixing unit 1300 . Therefore, the opening 1310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1300 . The shape of the opening 1320 may vary depending on the culture purpose and method.

고정부(1300)의 측면에는 제2 고정부재(1320a, 132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320a, 1320b)는 제1 고정부재(1130a, 1130b)와 동일한 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재(1130a, 1130b)와 제2 고정부재(1320a, 1320b)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재(1130a, 1130b)와 제2 고정부재(1320a, 1320b)가 홈과 돌기를 이용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Second fixing members 1320a and 1320b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300 . The second fixing members 1320a and 1320b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or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number. The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and the second fixing members 1320a and 1320b are detachably coupled.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and the second fixing members 1320a and 1320b may be coupled in a coupling method using grooves and protrusions.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부(1100)에 홈(1130a) 1개와 돌기(1130b) 1개가 형성되며, 고정부(1300)에도 돌기(1320a) 1개와 홈(1320b) 1개가 형성된다. 용기부(1100)의 홈(1130a)에 고정부(1300)의 돌기(1320a)가 삽입되며, 용기부(1100)의 돌기(1130b)는 고정부(1300)의 홈(1320b)에 삽입된다.In this embodiment, one groove 1130a and one protrusion 1130b are formed in the container unit 1100 , and one protrusion 1320a and one groove 1320b are also formed in the fixing part 1300 . The protrusion 1320a of the fixing part 13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30a of the container part 1100 , and the protrusion 1130b of the container part 1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20b of the fixing part 1300 .

배양 기구(1000)의 결합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100)의 저면(1110)에 배지부(1200)를 안착시킨다. 이후 고정부(1300)가 용기부(1100)의 측벽(1120) 내측을 따라 삽입된다. 이 때 제1 고정부재(1130a, 1130b)와 제2 고정부재(1320a, 1320b)가 결합되며, 고정부(1300)가 삽입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In order to couple the culture apparatus 1000 , the medium 1200 is seated on the bottom 1110 of the container 1100 as shown in FIG. 2 . Thereafter, the fixing part 1300 is inserted along the inside of the side wall 1120 of the container part 1100 .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members 1130a and 1130b and the second fixing members 1320a and 1320b are coupled, and the fixing part 1300 is prevented from moving or rotating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insertion direction.

삽입된 고정부(1300)는 배지부(1200)의 상측에서 배지부(1200)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배지부(1200)가 움직이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serted fixing unit 1300 presses the discharge unit 12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1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unit 1200 from moving or lifting.

본 실시예에서는 배양 기구(1000)가 1개인 경우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양 기구(1000)를 적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배양 기구(100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위해서 제1 용기부(1100)의 측벽(1120) 상단과, 제1 용기부(1100)와 이웃하는 제2 용기부(1100)의 저면(1110) 하단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100)의 측벽(1120)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only one culture apparatus 1000 has been described, but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culture apparatuses 1000 may be stacked and used. In order to stably stack a plurality of culture apparatuses 1000, the top of the side wall 1120 of the first container unit 1100 and the bottom surface 1110 of the second container unit 1100 adjacent to the first container unit 1100 A groove and a protrusion are formed at the bottom to be fastened. In addition, the side wall 1120 of the container unit 1100 may have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홀이 형성된 배양 기구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culture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의 결합부(1300)에는 복수의 홀(1330)이 형성될 수 있다. 홀(1330)의 형성 방향은 결합부(1300)가 용기부에 삽입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홀(1330)은 미세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holes 1330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of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hole 1330 is preferably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art 130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The hole 1330 is preferably formed in a fine siz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circumstances.

결합부(1300)가 용기부에 삽입될 때, 용기부 내부의 공기 또는 배양액의 유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해 배지부가 움직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결합부(1300)에 복수의 홀(1330)을 형성하면 유동에 의한 배지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coupling part 130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it may cause the flow of air or culture solution inside the container part. The discharge unit may move by this flow. In order to prevent this, if a plurality of holes 1330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part due to the flow can be minimized.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300)에 형성되는 개구부(1320)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개구부(1320)의 크기, 개수, 형성 위치는 배지부의 크기, 고정 강도, 배양체의 종류, 결합부의 재질 등에 따라 다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opening 1320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is, the size, number,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openings 13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dium, the fixing strength, the type of culture, the material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like.

도 4의 (a)에 도시된 결합부(1300)에는 개구부(1320)가 2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개구부(1320)는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개구부(1320)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Two openings 1320 ar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300 shown in (a) of FIG. 4 , and each opening 1320 has the same siz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ize of each opening 1320 may be formed differently.

도 4의 (b)에 도시된 결합부(1300)에는 개구부(1320)가 4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개구부(1320)의 크기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결합부(1300)에 형성된 것이 도 4의 (b)에 도시된 결합부(1300)에 형성된 것보다 크다. 이에 비해 배지부를 누르는 부분은 도 4의 (b)에 도시된 결합부(1300)가 더 크다. Four openings 1320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shown in FIG. 4B . The size of each of the openings 1320 is larger than that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shown in FIG. 4(a) is larger than that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0 shown in FIG. 4(b). In comparison, the portion that presses the discharge unit is larger than the coupling unit 1300 shown in FIG. 4(b).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의 배지부가 메쉬 부재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medium of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sh memb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의 배지부(1200)는 메쉬 부재일 수 있다. 메쉬부재(12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용기부의 저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메쉬 부재(1200)는 고분자로 코팅될 수 있다.5, the medium 1200 of the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sh member. The mesh member 12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sized to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in an unfolded state. The mesh member 1200 may be coated with a polymer.

메쉬 부재(1200)는 복수의 돌출부재(1210)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재(1210)는 메쉬 형태로 교차하여 복수의 포어(Pore, 1213)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1210)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재(1211) 및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출부재(1211)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복수의 제 2 돌출부재(212)도 서로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The mesh member 120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1210 . The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1210 may intersect in a mesh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pores 1213 . Specifically, the protruding member 12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12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1212).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1211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212 may also be parallel to each other.

복수의 포어(1213)는 각각의 포어(1213)가 하나의 배양체(10)를 수용하기 적합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포어(1213)의 폭은 10 내지 1000μm 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lurality of pores 1213 may be formed in a size suitable for each of the pores 1213 to accommodate one culture body 1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pores 1213 is 10 to 10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메쉬 부재(1200)의 일면에는 돌출부재(1210)가 형성되지 않으며 타면에만 돌출부재(1210)가 형성될 수 있다. 메쉬 부재(1200)가 용기부의 저면에 안착될 때 메쉬 부재(200)의 돌출부재(210)가 형성되지 않은 일면이 용기부의 저면에 접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부재(1200)를 사용하는 경우 메쉬 부재(1200) 위에 기판을 놓고 다시 메쉬 부재(1200)를 놓는 방식으로 복수의 메쉬 부재(1200)를 적층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member 1210 is no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esh member 1200 , and the protruding member 1210 may be formed only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esh member 1200 . When the mesh member 120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one surface o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210 of the mesh member 200 is not formed may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When such a mesh member 1200 is used, it may be possible to stack and use a plurality of mesh members 1200 by placing a substrate on the mesh member 1200 and placing the mesh member 1200 agai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upling diagram illustrating a cul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기구 (2000)는 용기부(2100), 배지부(2200), 고정부(2300)를 포함한다. 용기부(2100), 배지부(2200), 고정부(230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culture apparatus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art 2100 , a medium part 2200 , and a fixing part 2300 .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unit 2100 , the discharge unit 2200 , and the fixing unit 2300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300)는 용기부(2100)의 측벽(2120) 내측에 물리적 마찰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2300)는 용기부(2100)의 측벽(2120)에 단단히 고정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부(2100)의 측벽(2120) 내측과 고정부(2300)에 별도의 고정부재가 형성되지 않아도 되어, 고정부(2300)의 형상이 간단해지며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art 23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2120 of the container part 2100 by physical friction. To this end, the fixing part 2300 is formed in a size to be firmly fixed to the side wall 2120 of the container part 2100 .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fixing member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2120 and the fixing part 2300 of the container part 2100,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2300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300)의 측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2300)의 측면이 일부 돌출되면 고정부(2300)가 용기부(2100)의 측벽(2120)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300 may partially protrude. When the side of the fixing part 2300 partially protrudes, the fixing part 230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ide wall 2120 of the container part 2100 .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2000 : 배양 기구 1100, 2100 : 용기부
1110, 2110 : 저면 1120, 2120 : 측벽
1130a, 1130b : 제1 고정부재 1200, 2200 : 배지부
1300, 2300 : 고정부 1310, 2310 : 개구부
1320a, 1320b : 제2 고정부재
1000, 2000: culture apparatus 1100, 2100: container part
1110, 2110: bottom 1120, 2120: side wall
1130a, 1130b: first fixing member 1200, 2200: discharge unit
1300, 2300: fixing part 1310, 2310: opening
1320a, 1320b: second fixing member

Claims (5)

저면과 측벽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배지부; 및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배양 기구.
a container unit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 discharge unit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and
A culture apparatus comprising a;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지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art,
Cult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for exposing the medium is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측벽에는 제1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first fixing member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Cult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ixing member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부에 홈과 돌기를 이용한 결합 또는 물리적 마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ixing portion is a cult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using a groove and a protrusion or a physical friction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Cultur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fixing part.
KR2020200000173U 2020-01-13 2020-01-13 Culture vessel KR2004948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73U KR200494877Y1 (en) 2020-01-13 2020-01-13 Cultur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73U KR200494877Y1 (en) 2020-01-13 2020-01-13 Culture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93U true KR20210001693U (en) 2021-07-21
KR200494877Y1 KR200494877Y1 (en) 2022-01-13

Family

ID=7712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73U KR200494877Y1 (en) 2020-01-13 2020-01-13 Culture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77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366A (en) * 1998-01-27 1999-08-03 Matsunami Glass Kogyo Kk Culture dish
JP2010527582A (en) * 2007-05-30 2010-08-19 株式会社ニコン Culture vessel
KR20100093312A (en) 2009-02-16 2010-08-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ulture dish and culture tool having the same
JP5996646B2 (en) * 2012-06-19 2016-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ell culture container, cell culture method using the same, and automatic cell culture apparatus
KR20170020739A (en) * 2014-06-24 2017-02-24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Culture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366A (en) * 1998-01-27 1999-08-03 Matsunami Glass Kogyo Kk Culture dish
JP2010527582A (en) * 2007-05-30 2010-08-19 株式会社ニコン Culture vessel
KR20100093312A (en) 2009-02-16 2010-08-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ulture dish and culture tool having the same
JP5996646B2 (en) * 2012-06-19 2016-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ell culture container, cell culture method using the same, and automatic cell culture apparatus
KR20170020739A (en) * 2014-06-24 2017-02-24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Cultur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77Y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3738B1 (en) Culture insert carrier, culture insert and culture insert system
JP5366820B2 (en) Apparatus and method effective for cell culture
ES2401640T3 (en) Hanging Drop Plate
AU662245B2 (en) Cell culture insert
ES2259085T3 (en) MULTIPOCILLO TESTING DEVICE.
AU658079B2 (en) Cell culture insert
KR102353140B1 (en) Culture vessel
JP5395171B2 (en) Gas permeable cell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522120B1 (en) Culture substrate and culture sheet
US20080076170A1 (en) Cell culture insert and cell culture vessel
JP2009523417A (en) Apparatus for culturing and transporting cells
KR101393108B1 (en) Compact animall cell incubator and method for incubation of animal cell
EP0800571A2 (en) Biological analysis device having improved contamination prevention
ES2907877T3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ell clusters with defined cell number and cluster size
JP2014132869A (en) Cell culture vessel
JPH09163975A (en) Cell culture assembly outside of living body
JP2008295458A (en) Cell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S2202406T3 (en) CULTURE AND ASSEMBLY VESSEL.
JP2022501002A (en) Microcavity dish with sidewalls including liquid medium delivery surface
KR200494877Y1 (en) Culture vessel
CN117795052A (en) Baffle for microcavity cell culture container
US20110278304A1 (en) Holder for a culture sample
JP2021136996A (en) Cell culture vessel and cell chip
US20170067008A1 (en) Medium retaining chamber and chamber system for growth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of cultured cells
US20220025314A1 (en) Sieve system and methods for cell media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