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87U -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 Google Patents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87U
KR20210001687U KR2020200000163U KR20200000163U KR20210001687U KR 20210001687 U KR20210001687 U KR 20210001687U KR 2020200000163 U KR2020200000163 U KR 2020200000163U KR 20200000163 U KR20200000163 U KR 20200000163U KR 20210001687 U KR20210001687 U KR 20210001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device
button
smart
smar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224Y1 (ko
Inventor
유정식
Original Assignee
(주)웨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어스 filed Critical (주)웨어스
Priority to KR2020200000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2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하여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정보장치(스마트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는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표면부; 상기 관통부에 인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동작과 연동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신호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표면부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 제어부, LED신호부, 및 배터리부를 수용하는 이면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면부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순차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LED신호부가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Smart LED device and removable wearable smart LED device band}
본 고안은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하여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정보장치(스마트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화 스마트 정보 장치의 급속한 보급과 다기능 소형화 추세로의 발전을 거듭하면서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단말기 제조사들은 이러한 휴대폰의 크기를 갈수록 소형화시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중 스마트 워치와 같은 정보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현재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 장치들은 손에 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크기의 단말기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이 모이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정보 장치를 가방 혹은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정보장치의 사용자는 정보 장치의 진동 및 벨소리를 감지하지 못하는 때가 빈번히 발생하고 정보 장치를 손으로 파지하거나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정보 장치를 무의식중에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정보장치의 소지자는 착신 신호의 감지, 분실 위험성의 제거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장치를 신체에 고정하여 소지하게 되는데, 가령 정보장치에 고리형 줄을 부착하여 손목에 걸거나 목걸이형 줄을 부착하여 목에 걸어서 소지한다.
최근에는, 정보장치를 가방과 같이 안전한 곳에 넣어서 소지하고 정보 장치에 이어 마이크를 연결하여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장치 물품들은 줄의 형태로 신체에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신체에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줄 및 정보 장치가 함께 움직여 상당히 불편하고, 전선, 스위치, 이어폰, 마이크 등을 구비하므로 정보장치의 사용자가 착용시에 번잡하고 거추장스러운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이상과 같은 정보장치의 소지 상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마트 워치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정보 장치를 결합한 제품이 선보이기도 했으나, 고가이면서도 오히려 기존의 정보 장치 제품보다도 실용성이 떨어지는 점이 증명됨으로써 정보장치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긴급 사항이거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장소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쉽게 알릴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이 없도록 신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신체에 고정되더라도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고 쉽게 착탈되도록 정보장치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 또는 물품의 발명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참고로,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는, 인식라벨지를 탈부착하는 손목밴드이고, 손목밴드 키홀더는, 손목밴드속에 무선태그를 내장한 정도이며, 무인입장권발매시스템은, 바코드가 인쇄된 손목밴드형태의 입장권을 발권하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은, 손 터치에 의해 사용자 생체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9122호, 발명의 명칭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등록일자 2014.02.24.)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하여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정보장치(스마트기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는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표면부; 상기 관통부에 인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동작과 연동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신호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표면부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 제어부, LED신호부, 및 배터리부를 수용하는 이면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면부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순차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LED신호부가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팔이나, 손목, 목에 밴드형태로 착용하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제공함으로써, LED신호부의 점등 제어에 의해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고, 조난 신호 송출하는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연한 밴드부에 단단한 재질의 스마트LED기기를 삽입하여 탈착이 용이한 구성을 구현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위급 사항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모오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은 스마트LED기기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에 관한 것으로, 긴급 사항이거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장소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쉽게 알릴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이 없도록 신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신체에 고정되더라도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고 쉽게 탈착될 수 있는 스마트LED기기와,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100)는 중앙에 관통부(111)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113)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표면부(110); 상기 관통부(111)에 인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부(120); 상기 버튼부(12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신호부(140); 상기 LED신호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표면부(110)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120), 제어부(130), LED신호부(140), 및 배터리부(150)를 수용하는 이면부(160); 및 상기 배터리부(150)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면부(160)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부(17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순차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LED신호부가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를 첫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커지고 두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깜빡거리며 세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꺼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10)는 스마트LED기기(100)의 윙부(1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웨어러블한 착용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LED기기(100)는 상기 안착부(210) 하부에서 인입되어 탈착이 용이하되 상기 윙부(113)가 상기 안착부(210) 상부에 막혀 노출되지 않게 삽입되고, 상기 착용부(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무채색의 투과창(221)이 형성되어 상기 윙부(113)에서 발산하는 LED신호부(140)의 빛이 상기 투과창(221)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100)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10)의 구성 및 사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110), 버튼부(120), 제어부(130), LED신호부(140), 배터리부(150), 이면부(160) 및 충전단자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0) 및 착용부(220)를 포함한다.
표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부(111)가 있고 양측으로 윙(wing)부(113)가 돌기되어 스마트LED기기(100) 상면의 형상을 이룬다.
즉, 표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부(111)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113)가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 내부를 잘 볼 수 있으면서 내부에 있는 LED와 같은 조명등이 쉽게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게 하는 상면 케이스(case)다.
여기서, 관통부(111)는 후술하는 버튼부(120)가 상면이 노출되게 홀(hole)이 형성되어 버튼부(120)가 상하 이동시 가이드한다.
또한, 윙(wing)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110) 좌우로 돌기되어 손으로 잡기 편리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밴드부(200)의 안착부(210)에 쉽게 착탈 가능한 돌기 형상을 가진다.
버튼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버튼 형상으로, 관통부(111)에 인입된다.
또한, 버튼부(120)는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어 후술하는 제어부(130)가 제어할 수 있게 입력신호를 준다.
여기서 버튼부(120)는 물리적 힘에 의한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130)에 입력신호로 감지하게 하고 타 부재(장치)를 통제(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20)의 동작과 연동되어 있어 버튼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어 후술하는 LED신호부(140)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LED신호부(140)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충전단자부(170)를 통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이 수정, 변경 등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30)의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은, 충전단자부(170)를 통해 외부 단말(예; 모바일 단말, 테블릿PC, PC 등)과 연결하여 설정해 둘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30), LED신호부(140), 및 충전단자부(170) 등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LED신호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 조명등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신호장치이다.
또한, LED신호부(140)는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커지거나(on) 깜빡거림(blink), 또는 꺼지게(off)되고 시인성이 높다.
또한, LED신호부(140)는 사용자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리는 경보장치 기능도 하고, 모오스부호(International Morse Code)를 송출할 수 있다.
즉, LED신호부(140)는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 송출이 가능하고, 시야가 어둡고 길을 잃은 사용자가 조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특히, LED신호부(140)는 통신이 불가하여 긴급하게 신호를 전달하고자 할 때 예를 들어 버튼부(120)를 5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제어부(130)의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긴급 문구라던지 SOS 등에 해당하는 모오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제안하는 LED신호부(140)는 사용자가 긴급 사항이거나 통신이 불가하거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장소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쉽게 알릴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모르스부호(Morse Code)는 짧은 발신 및 상대적으로 긴 발신을 배합하여 글자와 숫자를 표시한 것으로, 불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LED신호부(140)는 제어부(130)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이용하여 외부로 글자와 숫자를 배합한 내용을 발산할 수 있다.
배터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신호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battery)로, 일측에 후술하는 충전단자부(170)과 연결되어 있어 전기 에너지가 소진하여도 충전단자부(170)를 통하여 전기 에너지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부(150)는 전원 공급이 필요한 부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이면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110)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스마트LED기기(100) 하면의 형상을 이룬다.
이때, 이면부(160)는 버튼부(120), 제어부(130), LED신호부(140), 및 배터리부(150) 등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부(160)는 표면부(110)와 달리 불투명한 리지드(rigid) 재질로 되어 있는 하면 케이스(case)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태를 가진다.
충전단자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터리부(150)의 전원 충전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USB포트로, 이면부(160)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쉽게 연결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안착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상하로 관통하는 홀(hole) 형상이지만, 스마트LED기기(100)의 윙부(1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부분에는 홈(凹)과 같이 상부가 막혀 걸리게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LED기기(100)의 탈착이 용이한 구성이다.
또한, 안착부(210)는 밴드부(200)가 웨어러블(wearable)하면서 플렉서블(flexible) 하므로, 리지드(rigid)한 스마트LED기기(100)와 쉽게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안착부(210)는 스마트LED기기(100)의 윙부(113) 상부를 가리고 있으므로, 윙부(113)에서 발산하는 LED신호부(140)의 빛을 가려 후술하는 투과창(221)을 통과하는 빛과 선명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착용부(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이나 손목 또는 신체 일부에 착용이 용이한 유연한 재질로, 안착부(210) 양측으로 연장되는 벨트(belt) 형상이다.
또한, 착용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무채색의 투과창(221)이 형성되어 윙부(113)에서 발산하는 LED신호부(140)의 빛이 상기 투과창(221)을 통과하게 하므로, 파스톤 계열의 은은한 빛이 발산하여 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고급스런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부(111)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113)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표면부(110); 상기 관통부(111)에 인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부(120); 상기 버튼부(12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신호부(140); 상기 LED신호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표면부(110)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120), 제어부(130), LED신호부(140), 및 배터리부(150)를 수용하는 이면부(160); 및 상기 배터리부(150)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면부(160)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부(170);를 포함하는 스마트LED기기(100)와,
상기 스마트LED기기(100)의 윙부(1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웨어러블한 착용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순차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LED신호부가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송출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120)를 첫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커지고 두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깜빡거리며 세번째로 누르면 상기 LED신호부(140)가 꺼질 수 있고,
상기 스마트LED기기(100)는 상기 안착부(210) 하부에서 인입되어 탈착이 용이하되 상기 윙부(113)가 상기 안착부(210) 상부에 막혀 노출되지 않게 삽입되고,
상기 착용부(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무채색의 투과창(221)이 형성되어 상기 윙부(113)에서 발산하는 LED신호부(140)의 빛이 상기 투과창(221)을 통과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LED기기(100) 및 이를 장착한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1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팔이나, 손목, 목에 밴드형태로 착용하는 스마트LED기기밴드를 제공함으로써, LED신호부(140)의 점등 제어에 의해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고, 조난 신호를 송출하는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연한 밴드부(200)에 단단한 재질의 스마트LED기기(100)를 삽입하여 탈착이 용이한 구성을 구현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위급(긴급) 사항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모오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 고안이 제안하는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100 : 본 고안이 제안하는 스마트LED기기
110 : 표면부
120 : 버튼부
130 : 제어부
140 : LED신호부
150 : 배터리부
160 : 이면부
170 : 충전단자부
200 : 밴드부
210 : 안착부
220 : 착용부

Claims (2)

  1.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기된 윙(wing)부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표면부;
    상기 관통부에 인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동작과 연동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LED신호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표면부에 대응하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 제어부, LED신호부, 및 배터리부를 수용하는 이면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면부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순차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되,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LED신호부가 깜빡거리면서 모르스부호(Morse Code)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LED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LED기기의 윙부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웨어러블한 착용부가 구비된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LED기기는 상기 안착부 하부에서 인입되어 탈착이 용이하되 상기 윙부가 상기 안착부 상부에 막혀 노출되지 않게 삽입되고,
    상기 착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무채색의 투과창이 형성되어 상기 윙부에서 발산하는 LED신호부의 빛이 상기 투과창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KR2020200000163U 2020-01-13 2020-01-13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KR200495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63U KR200495224Y1 (ko) 2020-01-13 2020-01-13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63U KR200495224Y1 (ko) 2020-01-13 2020-01-13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87U true KR20210001687U (ko) 2021-07-21
KR200495224Y1 KR200495224Y1 (ko) 2022-04-01

Family

ID=7712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63U KR200495224Y1 (ko) 2020-01-13 2020-01-13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2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57Y1 (ko) * 2005-06-13 2005-08-22 정관영 구조신호 발생이 가능한 전등
KR200420022Y1 (ko) * 2006-04-03 2006-07-03 주식회사니즈텍 광 발산 식별장치
KR101369122B1 (ko)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KR20170136175A (ko) * 2016-06-01 2017-12-11 탐라엔씨(주)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KR101859603B1 (ko) * 2017-11-28 2018-05-18 주식회사 부보 발광 안전 밴드
KR20190035233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네오팝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57Y1 (ko) * 2005-06-13 2005-08-22 정관영 구조신호 발생이 가능한 전등
KR200420022Y1 (ko) * 2006-04-03 2006-07-03 주식회사니즈텍 광 발산 식별장치
KR101369122B1 (ko)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KR20170136175A (ko) * 2016-06-01 2017-12-11 탐라엔씨(주)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KR20190035233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네오팝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KR101859603B1 (ko) * 2017-11-28 2018-05-18 주식회사 부보 발광 안전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24Y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4780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human body as a signal transmission path
US20090243791A1 (en) Mini fob with improved human machine interface
US9423114B1 (en) Hands-free LED lighting system
US8629766B2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O2007031761A1 (en) Multi-component wrist strap
WO2017156633A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7360921B1 (en) Portable flashlight alarm clock
EP2407948B1 (en) Sensor system for a personal alarm security device
KR200495224Y1 (ko) 탈부착 웨어러블 스마트led기기밴드
EP1187375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human body as a signal transmission path
KR20160132722A (ko) 이동통신단말 착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백 및 이를 활용한 착신 알림 방법
TW201914641A (zh) 光療裝置
EP2407942B1 (en) Lock mechanism for an alarm security device
CN217482563U (zh) 一种手指电筒
EP1588651A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JP2008174886A (ja) ヘルメット用被覆体。
KR101354946B1 (ko) 안전 보조 시스템
CN208174757U (zh) 一种带照明功能的防水防撞腕表式手机
KR20100003665U (ko) 휴대 기기 이탈방지 장치
CN210377218U (zh) 可穿戴设备
KR101777718B1 (ko) 헬멧용 라이트 스위칭 장치
CN111741388A (zh) 穿戴式电子装置
KR102368011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가방 및 그의 운용 방법
JP3099779U (ja) 光るピンバッジ
CN212036339U (zh) 一种带有备用电池的饰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