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22U - Magnet candle tray assembly - Google Patents

Magnet candle tra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22U
KR20210001622U KR2020200000051U KR20200000051U KR20210001622U KR 20210001622 U KR20210001622 U KR 20210001622U KR 2020200000051 U KR2020200000051 U KR 2020200000051U KR 20200000051 U KR20200000051 U KR 20200000051U KR 20210001622 U KR20210001622 U KR 20210001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magnet
fixing
wick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0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656Y1 (en
Inventor
장재영
장환민
Original Assignee
장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영 filed Critical 장재영
Priority to KR2020200000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56Y1/en
Publication of KR2021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초를 촛대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재, 심지로 이루어지는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자성에 의해 촛대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used to fix a candle to a candl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in fixing a candle made of a filling material and a wick to the candle holder, by means of a magnet through a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magnet. It can be conveniently fixed to the candlestick, and in particular, it is stably fixed through the fitting groove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candlestick can be inserted to prevent shaking and to prevent the candle from falling and causing a fire in advance. it's about

Description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MAGNET CANDLE TRAY ASSEMBLY}Magnet stand assembly for holding candles {MAGNET CANDLE TRAY ASSEMBLY}

본 고안은 양초를 촛대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재, 심지로 이루어지는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자성에 의해 촛대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used to fix a candle to a candl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in fixing a candle made of a filling material and a wick to the candle holder, by means of a magnet through a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magnet. It can be conveniently fixed to the candlestick, and in particular, it is stably fixed through the fitting groove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candlestick can be inserted to prevent shaking and to prevent the candle from falling and causing a fire in advance. it's about

전기적 조명과 같은 인공 광원과 달리 양초(candle)는 천연 광원으로서 따뜻함과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고, 탈취 및 방향 등의 부가적 장점 때문에 오히려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양초(Candle)는 파라핀, 밀랍 등과 가연성 고체를 성형하고, 중심에 심지(wick)가 삽입된 등화용 연료이다. 심지에 불을 붙이면 심지 하단에 위치하는 양초가 녹게 되고, 액화된 양초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여 심지의 끝부분에서 기화 및 연소하여 불꽃이 타오르게 된다. 양초의 겉불꽃의 연소 온도는 1400℃ 이상이고, 가장 밝은속불꽃의 온도는 1200℃ 이상이고, 불꽃심의 온도는 400 내지 900℃이다.Unlike artificial light sources such as electric lighting, candles are natural light sources that can provide warmth and a special atmosphere, and their use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additional advantages such as deodorization and fragrance. A candle is a fuel for lighting in which a flammable solid is molded with paraffin, beeswax, etc., and a wick is inserted in the center. When the wick is lit, the candl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ick melts, and the liquefied candle flows upward along the wick due to capillary action, vaporizing and burning at the tip of the wick, thereby burning the flame.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outer flame of the candle is 1400 ° C or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brightest inner flame is 1200 ° C or high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lame core is 400 to 900 ° C.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87554호 "양초용 탄소소재 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양초"가 있는데,As a related art in this regard, there is registered Patent No. 10-1787554 "a carbon material wick for candles and a candle comprising the same",

상기 종래기술은 탄소소재 단섬유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판 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이 펀프는 3차원 망사구조를 갖는 피프릴화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이고, 탄소소재 단섬유는 심지 내에 분산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made of a sheet in the form of a plate including short carbon fibers, pulp and a binder, the punch is a fiprillized cellulose-based fiber having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and the short carbon fibers are dispersed in the wick. technology is present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양초는 거치 안정성 및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하여 촛대 위에 안착시키거나, 촛대에 솟아있는 돌기를 양초 하부에 끼워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However, the candle as in the prior art is seated on the candlestick in order to add mounting stability and design elements, or the protrusion rising from the candlestick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ndle and used.

이 경우, 단순히 촛대 위에 양초를 안착시키면 바람 등에 의해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돌기를 양초 하부에 끼워 넣는 경우는 충진재가 열에 의해 녹으면 끼워지는 힘이 약해져 쉽게 양초가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f the candle is simply placed on the candlestick, the candle may fall down due to wind, etc. and cause a fire. there is a problem with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고정부재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촛대와 자성에 의해 쉽게 탈착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that is easily detachable and stably fixed by a magnet to a fixing member in fixing the candle to the candlestick.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는 끼움홈을 더 형성하여 촛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양초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킨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by further forming a fitting groove in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andle holder is inserted, there is no need to drill a hole in the candle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the candle with improved mounting stability.

또한, 고정부재에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고정된 양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the candle which can prevent the fixed candle from shaking as the non-slip pa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cand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 내에 구비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a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a candle including a filler and a wick provided in the filler;

상기 받침부재 저면에 구비되어, 촛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fixed by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candlestick;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s made, including

상기 고정부재에는 마그넷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agnet so as to be magnetically fixed to the candlestick.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는As described above, the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cand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양초를 촛대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촛대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이 고정부재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촛대와 자성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단순히 촛대에 양초를 올려 놓는 방식보다 안정적으로 양초를 고정할 있는 효과가 있다.As used when fixing a candle to a candle holder, it is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a candle, and a fix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support member to be seated on the candlestick, and a magnet is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to be detachably detachable from the candlestick. As it is fixe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candle rather than simply placing the candle on the candlestick.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는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구비됨에 따라 자성에 의한 고정력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부가되어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In particular, as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candle holder is fitted, the fixing force by the coupling of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fitting groove is added to the magnetic fixing force, thereby further improving stability and ease of use,

상기 고정부재에 미끄럼방지부를 더 구비함에 따라 촛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 리가 흔들리거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Prevents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shaking or idling on the candlestick by further providing an anti-slip part on the fixing member,

받침부재를 통하여 양초에서 흐르는 파라핀을 모을 수 있어, 촛대에 파라핀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촛대를 닦거나 분리시킬 필요 없이 흘러내린 파라핀 회수가 가능함으로서 유지보수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collect paraffin flowing from the candle through the support member, thereby preventing paraffin from getting on the candle holder and recovering the flowed paraffin without the need to wipe or separate the candle hold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 실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변형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변형례
1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a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candle used in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ndle used in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andle used in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articularly the tens digit and the one digit, or the tens digit, the one digit, and the same alphabetic reference numeral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figures in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may be understoo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M) 받침대 어셈블리(T)는 받침부재(T1)와 고정부재(T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상기 고정부재(T2)에 마그넷(M)이 구비되어 촛대(CS)에 자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 (M) pedestal assembly (T) for fixing a c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ing member (T1) and a fixing member (T2), and in particular, the fixing member (T2) is provided with a magnet (M) to provide a candle holder (CS).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using magnetism.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촛대(CS)에 양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촛대(CS)의 형상은 도1과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ach configuration, 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ix the candle to the candlestick CS, and the shape of the candlestick CS is shown in FIG. Contrary to this,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T)의 제1실시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T1)와 고정부재(T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T1)는 양초가 안착되는 안착공간(T11)이 형성된 것으로, 외벽부(T13)가 구비되어 파라핀 수지를 고형화 하여 제작된 양초를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양초에서 흘러내리는 파라핀이 담길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과 같이 원형의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irs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assembly (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t consists of a support member (T1) and a fixing member (T2), the support member (T1) is a candle A seating space T11 to be seated is formed, and an outer wall portion T13 is provided to allow paraffin flowing down from the candle to be contained in the case where the candle manufactured by solidifying the paraffin resin is seated, and has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y made in the shape of a bowl, but it may be made in the shape of another polygon,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받침부재(T1)의 외벽부(T13) 상부에는 외면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외플랜지부(T15)가 더 구비되 손 등이 긁힐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uter flange portion T15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T13 of the support member T1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hand or the like may be scratched.

상기 받침부재(T1) 하부에는 고정부재(T2)가 구비되어, 상기 촛대(CS)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T2)에는 마그넷(M)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member T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1 and may be fixed to a hold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ndlestick C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T2 has a magnet (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여기서, 마그넷(M)이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고정부재(T2)가 마그넷(M)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고정부재(T2) 내측에 마그넷(M)이 내장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provision of the magnet M means that the fixing member T2 may be formed of the magnet M, and the magnet M may be built inside the fixing member T2.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T2)가 마그넷(M)으로 구성되는 경우, 마그넷(M) 표면 가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끼움홈(T21) 및 미끄럼방지부(T22)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바, 상기 고정부재(T2) 내에 마그넷(M)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면에는 마그넷(M)이 내장된 형상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However, when the fixing member (T2) is composed of a magnet (M), it is difficult to form a fitting groove (T21) and an anti-slip portion (T22) to be described later due to difficulties in processing the surface of the magnet (M). 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M) is built in the fixing member (T2), and this is shown as a second embodiment based on the built-in shape of the magnet (M) in the drawings.

상기 고정부재(T2)는 마그넷(M)을 내장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T2)는 실리콘, 고무 등의 표면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T2)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embedding the magnet (M),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T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surface frictional force such as silicone or rubber to secure stability.

상기 고정부재(T2)는 상기 받침부재(T1)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촛대(CS) 상부, 즉 거치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T2) 또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T2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member T1, and in general, as the shape of the upper part of the candlestick CS,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is made in a 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T2 als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는 마그넷(M)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T2)의 바닥면에는 자성이 방출되게 되고,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촛대(CS)의 거치부에 상기 마그넷(M)의 자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agnetism is emit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2 by the magnet (M) built into the receiving part, and stable by the magnetism of the magnet (M) to the holding part of the candlestick (C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made so that it can be fixed to

또한, 더 나아가 촛대(CS)의 거치부에는 양초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고안의 고정부재(T2)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T21)을 더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촛대(CS)의 거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furthermore, it is common that a fitting protrusion for inserting and fixing a candle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andlestick CS, and a fitting groove T21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s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T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be more stably fixed to the holder of the candlestick CS.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T2)의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부(T22)를 더 구비하여 촛대(CS)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T22)는 복수의 돌기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T21)을 중심을 갖도록 복수의 동심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심원이 아닌 사선, 물결, 직선 등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urthermore, a non-slip part T22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2 to prevent the problem of arbitrarily rotating or shaking while being fixed to the candle holder CS, and the non-slip part T22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 shapes to have the fitting groove T21 as a center, but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diagonal line, a wave, a straight line, etc. rather than a concentric circle, and the scope of rights is limited thereto.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3은 본 고안에 다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M) 받침대 어셈블리(T)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상기 받침부재(T1)가 양초를 형성하는 본체의 바닥부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부 하부에 고정부재(T2)가 구비됨에 따라 양초를 직접 촛대(CS)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 (M) pedestal assembly (T) for fixing a c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of the bottom part of the body in which the support member (T1) forms a candle, and the bottom part is As the fixing member T2 is provided, it is an embodiment so that the candle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candlestick CS.

보다 구체적으로 양초에 대하여 설명하면, More specifically, when describing the candle,

상기 양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충진되는 충진재(20), 상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candle consists of a main body 10, a filler 20 filled in the main body 10, and a support means 30 insert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each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관체(11)와 바닥부재(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바닥부재(13)는 도면과 같이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충진부(111)의 하부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 tube body 11 and a bottom member 13, wherein the bottom member 13 is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ide, but as shown in FIG. 1 [B], it is also possible to close the lower part of the filling part 111 because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hereto. do.

상기 관체(11)는 원통형의 상하 개방형 또는 상부 개방형 관체(11)로서, 내부에 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비용의 절감 및 중량 감소를 위해 PVC 소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ular body 11 is a cylindrical top and bottom open type or top open type tubular body 11, the filling part 111 is formed therein, and in orde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process a PVC material and roll it into a cylindrical shape.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in such a way that both ends are attached to each other.

다시, 상기 관체(11)는 상하 또는 상부 개방형 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충진부(111)에 충진재(20)를 채워 넣어 경화시켜 연소연료로서 사용하게 된다.Again, the tubular body 11 is formed with an upper and lower or upper open-type filling part 111 , and the filling part 111 is filled with the filler 20 to be cured and used as a combustion fuel.

상기 바닥부재(13)가 탈착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재(13)는 상기 충진부(111)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거승로서, 관체(11) 하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충진부(111)를 폐쇄하는 바닥부(131)와, 상기 바닥부(131) 테두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진입벽부(133) 및 상기 진입벽부(133)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35)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bottom member 13 is detachable, the bottom member 13 is a pole for closing the lower part of the filling part 111, and the filling part 111 is f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ubular body 11. It consists of a bottom part 131 to close, an entry wall part 133 bent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art 131 , and a support flange 135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entry wall part 133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재(13)는 상기 관체(11) 하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131)가 상기 충진부(111)로 진입하면, 상기 진입벽부(133)가 상기 관체(1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관체(11) 하단부가 상기 지지플랜지(135)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부재(13)의 진입을 제한하여 하부가 막힌 충진부(1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In more detail, the bottom member 13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tubular body 11 , and when the bottom part 131 enters the filling part 111 , the entry wall part 133 becomes the tubular body 11 . )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lange 135 to limit the entry of the bottom member 13 to form the filling part 111 with the lower part blocked. is made,

상기 충진재(20)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131)의 외경과 상기 충진부(111)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상기 충진부(111)의 내경이 조금 작게 이루어져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닥부재(13)의 지지플랜지(135)와 상기 관체(11)는 접착제, 접착테이프, 글루건, 실리콘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filler 20 from leaking ou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art 13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ling part 111 are the same, or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ling part 111 is slightly smaller so that it can be forcedly fitted. The support flange 135 of the bottom member 13 and the tube body 11 can be firmly fixed using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an adhesive tape, a glue gun, or silicone.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바닥부재(13)가 상기 관체(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관체(11)와 동일한 재질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으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loor member 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ube body 11 , it is molded to form a floor surface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tube body 11 , and the drawings and detaile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렇듯 상기 두 실시예에서 형성된 바닥부(131)는 본 고안의 받침부재(T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받침부재(T1) 하부에 고정부재(T2)가 구비되어 촛대(CS)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uch, the bottom 131 formed in the above two embodiments may be made of the supporting member T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xing member T2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ing member T1 to be fixed to the candlestick CS. means there is

본 고안은 상기 충진부(111)에 충진재(20)를 채운 후 경화시켜 양초의 연로로써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진재(20)는 친환경 수지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발향 및 기능성 첨가제를 더 혼합할 수 있고, 상기 충진재(20)를 채워 넣는 경우에, 상기 관체(11)의 상부 일부를 남겨두고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캡(40A)의 장착 및 바람막이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관체(11)의 외면에 눈금부가 더 구비되어 충진 권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l the filling part 111 with a filler 20 and then harden it to use it as a fuel for a candle, and the filler 20 is composed of an eco-friendly resin, and if necessary, a fragrance and a functional additive to be further mixed. In the case of filling the filler 20, it is preferable to leave the upper part of the tubular body 11 and fill it, which is required for the mounting and wind protection function of the cap 40A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ubular body ( 11),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recommended filling amount by further providing a scale part on the outer surface.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 충진부(111)에 구비되는 지지수단(30)을 더 구비하여, 충진재(20)를 투입하여 성형할 때, 성형온도에 의한 본체(10) 바닥면의 파손을 방지하고, 성형 후에도 상기 충진재(20)의 저면을 지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ans 30 provided in the filling part 111 to prevent damag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due to the molding temperature when the filling material 20 is injected and molded.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ler 20 even after molding.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30)은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에 구비되는 심지부재(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충진부(111) 내에 인입될 수 있는 원형의 판상으로, 중앙에 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means 30 includes a support member 31 and a support member 33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31 , and the support member 31 is drawn into the filling part 111 . It has a circular plate shape that can be, and a through hole 311 is formed in the center.

상기 심지부재(33)는 불씨를 점화하기 위한 심지(333)와, 상기 심지(333)가 고정결합되는 고정판(33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판(331)은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로서, 상기 관통공(311)을 통과하지 않는 크기(원형인 경우에는 관통공(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다각형의 경우에는 상기 관통공(311)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331)의 중앙에는 고정돌기(331A)가 구비되며, 이 고정돌기(331A)가 상기 관통공(311)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재(3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ick member 33 is composed of a wick 333 for igniting the embers, and a fixing plate 331 to which the wick 333 is fixedly coupled, and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late 331 has the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s a plate-shaped member, it has a size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in the case of a circular shape, it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11 , and in the case of a polygon, it has a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11 ) is made to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 , and a fixing protrusion 331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331 , and the fixing projection 331A has the through hole It passes through 311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1 .

이 고정돌기(331A)는 상기 심지(333)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로서, 별도의 심지(333)결합공이 형성된 돌기이고, 심지(333)를 끼운 후 압착하여 심지(33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is fixing protrusion 331A is a protrusion for fixing the wick 333, a protrusion having a separate wick 333 coupling hole, and is made to fix the wick 333 by pressing after inserting the wick 333. .

또한 상기 지지부재(31)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바닥부(131)에 밀착되는 복수의 지지돌기(313)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판(331)이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가 고정판(331)의 두께에 의해 본체(10)의 바닥부(131)에 밀착되지 않고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313 that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131 of the main body 10 , which means that the fixing plate 331 supports the support member 31 .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upport member 31 does not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131 of the main body 10 due to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late 331 and vibrates as 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mber 31 .

이러한 지지수단(30)에 의해 상기 심지(333)의 하부는 본체(10)의 중앙에 정위치되게 되고, 이 때 충진재(20)를 부어 경화시키면, 상기 심지(333)가 충진재(20)의 중앙에 정위치 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wick 333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by the support means 30 , and when the filler 20 is poured and cured, the wick 333 is formed of the filler 20 . It can be positioned in the center.

도3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캡(40A)이 도시되어 있는데,3 shows a cap 40A,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캡(40A)은 상기 충진부(111)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송, 보관 시 충진재(20)와 심지(333)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충진부(111) 상부에 결합되며, 심지(333)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된 덮개부(41)와, 상기 덮개부(41)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외벽부(T1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cap 40A is configured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filling part 111, and is made to protect the filling material 20 and the wick 333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illing part 111. A cover part 41 having a hollow part 413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wick 333 is exposed, and an outer wall part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ver part 4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e body 11 . (T13) (43) is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캡(40A)은 덮개부(41)와, 상기 덮개부(4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절곡된 외벽부(T13)(43), 상기 외벽부(T13)(43)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5)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덮개부(41)의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cap 40A includes the cover portion 41 , the outer wall portions T13 and 43 bent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cover portion 41 , and ends of the outer wall portions T13 and 43 . It consists of a flange portion 45 bent outward in th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41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portion (41).

따라서, 상기 캡(40A)이 상기 관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41)가 상기 충진부(111)의 상부를 막고, 상기 외벽부(T13)(43)가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플랜지부(45)가 상기 관체(11)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상기 캡(40A)이 충진부(111)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함에 다라 캡(40A)을 관체(11) 상부에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when the cap 40A is coupled to the tubular body 11 , the cover part 41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part 111 , and the outer wall parts T13 and 43 are connected to the tubular body 11 . )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and the flange portion 45 is fit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body 11 to restrict the cap 40A from entering the filling portion 111. It consists of a structure to be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ular body (11).

아울러, 상기 캡(40A)과 유사하지만 다른 역할을 위한 바람막이캡(40B)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바람막이캡(40B)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40A)을 변형시킨 구조로 차이점만 설명하면, In addition, similar to the cap 40A, but a windshield cap 40B for a different role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windshield 40B includes the cap 40A. If you explain the difference with a modified structure,

제1실시예로 도4[A]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41)의 중앙에는 상향 돌출된 중앙돌출부(41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앙돌출부(411)는 덮개부(41)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중앙돌출부(411)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되어 심지(33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 and 5 [A] in the first embodiment, a central protrusion 411 protruding upward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41, and the central protrusion 411 is further provided. ) is a shape forming an inclina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er from the cover part 41, and a hollow part 41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protrusion part 411 so that the wick 333 can be exposed.

여기서 심지(333)의 노출은 심지(333)의 상부 단부가 상기 관체(11)의 최상단 보다 더 높게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심지(333)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심지(333)의 높이는 중앙돌출부(411) 최상단을 기준으로 더 높거나, 또는 더 낮거나,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Here, the exposure of the wick 333 does not mean that the upper end of the wick 333 is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tube body 11, but means that the wick 333 is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wick 333 The height of the central protrusion 411 may be higher, or lower, or at the same position relative to the top of the central protrusion 411, which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아울러, 상기 덮개부(4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류유도공(415)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대류유도공(415)은 상기 중앙돌출부(411) 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둘 이상일 경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41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onvection guide holes 415, more precisely, the convection guide holes 415 are made of one or more long holes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411, In the case of two or more, they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4[B] 및 도5[B]는 상기 바람막이캡(40B)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중앙돌출부(411)가 없는 형상인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기 캡(40A)에 대류유도공(415)만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4 [B] and 5 [B] a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indshield cap 40B, and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central projection 411 is absent, that is, the cap ( 40A) means that only the convection guide hole 415 is additionally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5의 측단면도를 보면, 외부공기는 상기 대류유도공(415)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중공부(413)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심지(333)에 산소를 공급함에 따라 완전연소를 유발하여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Looking at the cross-sectional side view of FIG. 5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convection induction hole 415, and the inflow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413, thereby activating the circulation of air, and thus As a result, supply of oxygen to the wick 333 causes complete combustion to prevent soot from being generated.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40A)과 바람막이캡(40B)은 서로 유사한 형상의 다른 구성으로, 사용 환경 및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본체(10)에 결합하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통구성인 캡(40A)의 중공부(413), 덮개부(41), 외벽부(T13)(43), 플랜지부(45)는 같은 명칭 및 도면부호로 표기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캡(40A)과 바람막이캡(40B)은 서로 다른 구성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p 40A and the windshield cap 40B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of similar shapes to each other, and are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state of use and coupled to the body 10,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the hollow portion 413, the cover portion 41, the outer wall portion (T13) 43, and the flange portion 45 of the cap 40A, which are of a common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but as mentioned above Similarly, the cap (40A) and the windshield cap (40B) are meant to indicate that they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양초(A)에 구비될 수 있는 소화링(60)에 관한 것으로서,6 is a fire extinguishing ring 60 that may be provided in the candl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 부주의에 의해 양초가 넘어질 수 있으며, 양초가 넘어질 때 불꽃이 남아있으면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고, 실제 양초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when a candle is used, the candle may fall due to carelessness, and if a flame remains when the candle falls, there is a risk of fire, and fire accidents due to the actual candle frequently occur.

따라서 본 고안은 양초가 넘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초의 불꽃을 소화시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화링(60)이라는 구성을 더 추가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dds a configuration called a fire extinguishing ring (60) to prevent a fire by automatically extinguishing the flame of the candle when the candle falls down,

상기 소화링(60)은 링본체(61)와, 상기 링본체(61) 내측에 구비되는 분사노즐(63), 상기 링본체(61) 외면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includes a ring body 61 , a spray nozzle 63 provided inside the ring body 61 , and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ng body 61 .

먼저, 상기 링본체(61)는 상기 관체(11) 상부, 즉 관체(11)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부재로, 상기 링본체(61) 내부에는 저장부(611)가 형성되어,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으며,(상기 소화액은 액상의 소화액이나 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링본체(61) 상면에는 상기 소화액의 주입을 위한 별도의 주입구(613)가 형성되고 각각의 분사노즐(63)에는 호스가 구비되어 저장부(611)의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First, the ring body 6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ular body 11,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1, and is a ring-shaped member. is formed, the digestive fluid is stored (the digestive fluid includes both liquid digestive fluid, water, etc.). A separate injection port 613 for injecting the digestive flui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 body 61, Each of the injection nozzles 63 is provided with a hose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n the storage unit 611 .

또한 상기 링본체(61) 하부에는 제어부(615)가 형성되며, 이 제어부에는 작동스위치의 동작을 인지하여 분사노즐(63)에서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PCB, 소형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기적 동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와 저장부(611)의 위치는 상호 변경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주입구(613)의 위치 또한 링본체(61) 측면으로 이동되거나, 주입구(613)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관통하여 저장부(611)로 관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61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 body 61, and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CB, a small pump, etc. that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and allow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be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63. ,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se components are essential for electrical ope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position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torage unit 611 are interchangeable. ,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hole 613 may also be moved to the side of the ring body 61 , or a tube may be provided from the injection hole 613 to the storage unit 611 through the control unit.

다시, 상기 링본체(61)는 상기 관체(11)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관체(11)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체(11)의 크기는 분사노즐(63)이 상기 관체(11) 상부에 위치한다는 조건하에서는 변경될 수 있다.Again, the ring body 6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11, bu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tube body 11, and the size of the tube body 11 is the injection nozzle 63. It can be changed under the conditio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tube body 11 .

상기 링본체(61)의 내측에는 복수의 분사노즐(63)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분사노즐(63)은 상기 링본체(61) 내주면을 따라 2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63 are provided inside the ring body 61, and the injection nozzles 63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body 61, and the number of the injection nozzles may vary. can be changed.

설명의 편의상 아래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63)들을 제1열 분사노즐(631), 위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63)들을 제2열 분사노즐(633)이라 정하면,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injection nozzles 63 formed in the lower layer are designated as the first row injection nozzles 631 and the injection nozzles 63 formed in the upper layer are defined as the second row injection nozzles 633,

상기 분사노즐(63)들은 관체(11)의 중심부, 즉 충진부(111)의 중앙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열 분사노즐(631)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충진부(111)의 중앙을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방향성이 특정되고, 제2열 분사노즐(633)은 소화액을 충진부(111) 중앙 아래로 분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특정하여, 심지(333)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소화액이 심지(333)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injection nozzles 63 are configured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to the center of the tube body 11, that is, the center of the filling part 111. More precisely, the first row injection nozzles 631 are horizontally fill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he direction of spraying the extinguishing liquid toward the center of the part 111 is specified, and the second row injection nozzle 633 specifies the direction so that the extinguishing liquid can be sprayed below the center of the filling part 111, so that the Even if the length is shortened, the digestive fluid can reach the wick 333 .

아울러, 상기 소화링(60)은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에 분사노즐(63)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소화링(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작동버튼(65)이 상기 소화링(6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is formed so that the injection nozzle 63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main body 10 is collapse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5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 ) i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

즉,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쓰러지더라도 상기 복수의 작동버튼(6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바닥면과 접촉 및 충격에 의해 눌려지게 되도록 구성되며,That is, when the main body 10 falls,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5 is configured to be pressed by contact and impact with the floor, no matter which direction it falls,

상기 PCB는 상기 작동버튼(6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면 상기 분사노즐(63)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The PCB is programmed so that when any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buttons 65 is pressed, the extinguishing liquid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63 .

이 때 상기 작동버튼(65)은 터치, 감압, 물리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button 65 may adopt any one of touch, pressure, and physical method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아울러, 상기 소화링(60)의 외측에는 전원버튼(67)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원버튼(67)은 상기 전원을 인가/불허 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휴대, 이동, 설치 시 상기 작동버튼(65)이 눌려 임의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설치가 끝난 후 상기 전원버튼(67)을 이용하여 소화링(60)을 작동시켜 위급 시 자동적으로 심지(333)의 불꽃을 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ower button 6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The power button 67 is a button for applying/disallowing the power, and when the user carries, moves, or installs the power button 67, the It prevents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from being randomly spray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65. After installation, the fire extinguishing ring 60 is operated using the power button 67 to automatically extinguish the flame of the wick 333 in case of an emergency. make it possible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양초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andle assembly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 : 받침대 어셈블리 T1 : 받침부재
T11 : 안착공간 T13 : 외벽부
T15 : 외플랜지부 T2 : 고정수단
T21 : 끼움홈 T22 : 미끄럼방지부
M : 마그넷
A : 양초 10 : 본체
11 : 관체 111 : 충진부
13 : 바닥부재 131 : 바닥부
133 : 진입벽부 135 : 지지플랜지
20 : 충진재 30 : 지지수단
31 : 지지판 311 : 관통공
313 : 지지돌기 33 : 심지고정부재
331 : 고정판 331A : 고정돌기
333 : 심지 40A ; 캡
41 : 덮개부 411 : 중앙돌출부
413 : 중공부 415 : 대류유도공
43 : 외벽부 45 : 플랜지부
40B : 바람막이캡
60 : 소화링 61 : 링본체
611 : 저장부 613 : 주입구
63 : 분사노즐 631 : 제1열 분사노즐
633 : 제2열 분사노즐 65 : 작동버튼
67 : 전원버튼
T : Support assembly T1 : Support member
T11: seating space T13: outer wall part
T15: outer flange part T2: fixing means
T21: Fitting groove T22: Non-slip part
M: magnet
A: Candle 10: Body
11: tube body 111: filling part
13: floor member 131: bottom part
133: entry wall 135: support flange
20: filler 30: support means
31: support plate 311: through hole
313: support protrusion 33: core member member
331: fixing plate 331A: fixing projection
333: wick 40A; cap
41: cover part 411: central protrusion
413: hollow part 415: convection induction hole
43: outer wall portion 45: flange portion
40B: windshield cap
60: fire extinguishing ring 61: ring body
611: storage 613: inlet
63: injection nozzle 631: first row injection nozzle
633: second row injection nozzle 65: operation button
67: power button

Claims (4)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 내에 구비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 하부에 구비되어, 촛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마그넷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a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a candle including a filling material and a wick provided in the filling material;
a fixing memb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unit and fixed to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candlestick;
is made, including
A magnet pedestal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agnet to be fixed to the candle holder by a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the magnet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be coupled to the fitting projection provided on the candle hol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has a magnet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portion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충진부를 형성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충진부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 내에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바닥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andle is
Doedoe consisting of a main body made of a tubular body forming a filling part, a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filling part, and a wick provided in the filling material,
The support member forms a bottom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magnet support assembly for fixing a c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formed under the bottom part.
KR2020200000051U 2020-01-06 2020-01-06 Magnet candle tray assembly KR2004956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en) 2020-01-06 2020-01-06 Magnet candle tra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en) 2020-01-06 2020-01-06 Magnet candle tray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22U true KR20210001622U (en) 2021-07-14
KR200495656Y1 KR200495656Y1 (en) 2022-07-19

Family

ID=7686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en) 2020-01-06 2020-01-06 Magnet candle tra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5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38B1 (en) * 2021-03-24 2023-06-01 김시조 Decorative candles with variable religious symbo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353A (en) * 1995-08-22 1997-03-07 Torii Roosoku Honpo:Kk Candle support structure
JP3067247U (en) * 1999-09-07 2000-03-31 賢一 福井 Magnetic candlestick
KR200196138Y1 (en) * 1999-02-13 2000-09-15 성낙호 Prayer implements set
JP2001035247A (en) * 1999-07-22 2001-02-09 Torii Roosoku Honpo:Kk Mounting structure of candlestick to wall
KR101514993B1 (en) * 2014-04-09 2015-04-24 박대수 Candle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247B2 (en) * 1991-04-17 2000-07-17 東レ株式会社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353A (en) * 1995-08-22 1997-03-07 Torii Roosoku Honpo:Kk Candle support structure
KR200196138Y1 (en) * 1999-02-13 2000-09-15 성낙호 Prayer implements set
JP2001035247A (en) * 1999-07-22 2001-02-09 Torii Roosoku Honpo:Kk Mounting structure of candlestick to wall
JP3067247U (en) * 1999-09-07 2000-03-31 賢一 福井 Magnetic candlestick
KR101514993B1 (en) * 2014-04-09 2015-04-24 박대수 Candle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56Y1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915B2 (en) Water curtain simulated candle lamp
US10240778B2 (en) Heat isolating torch
US10316270B2 (en) Burner cup
KR200495656Y1 (en) Magnet candle tray assembly
KR200495640Y1 (en) Candle assembly
KR200495512Y1 (en) Candle assembly
KR100953687B1 (en) An improved candle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200495893Y1 (en) Candle assembly with multi-wick
US8911672B2 (en) Electronic censer
KR100944551B1 (en)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KR102269188B1 (en) A candle stand for a case type candle
KR200474485Y1 (en) Candle Apparatus
KR102431646B1 (en) Candle equipped with standing element for wick
EP3228934A1 (en) Candle and assembly
CN109323193A (en) A kind of water tank type is sprayed electric candle
JP2007520033A (en) Oil lamp aroma discharge device and wick
CA2923584A1 (en) Liquid candle system
KR20170003765U (en) Lighting devices that emit a fragrance
US8998470B2 (en) Electronic censer with detachable incense
KR100949215B1 (en) Candle entreat a desire
WO2017061851A1 (en) A device with color changing effect
KR101120595B1 (en) Ability candle cover and candlestick
CN212878862U (en) Novel detachable emulation electron incence burner
KR20140005368U (en) Apparatus for lighting a c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