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14A - Battery busbar unit - Google Patents

Battery busba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14A
KR20210001614A KR1020190077956A KR20190077956A KR20210001614A KR 20210001614 A KR20210001614 A KR 20210001614A KR 1020190077956 A KR1020190077956 A KR 1020190077956A KR 20190077956 A KR20190077956 A KR 20190077956A KR 20210001614 A KR20210001614 A KR 2021000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member
battery
contact portion
bon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양규
손솔산
정하철
주승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614A/en
Publication of KR202100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8
    • H01M2/20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electrical bus bar unit, which comprises: a first bus bar member connected to a battery; a second bus bar member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battery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outside; and a bridge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and joined to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via a bonding material, wherein a short circuit is induced while the bonding material melts when an overcurrent occurs.

Description

전지 버스바 유닛{Battery busbar unit}Battery busbar unit {Battery busbar unit}

본 발명은 전지 버스바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busbar unit.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다.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repeat charging and discharging because the mutual conversion between chemical energy and electrical energy is reversible.

이러한 이차전지는 기존에는 과전류 차단을 위한 방식으로는 퓨즈(Fuse)를 사용하여 일정 전류 이상에서 퓨즈의 단락을 통해 전류를 차단하였다.Conventionally, such a secondary battery cuts off the current through a short circuit of the fuse above a certain current by using a fuse as a method for blocking overcurrent.

그런데, 퓨즈를 적용하는 구조는 이차전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내에서 저항의 증가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퓨즈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structure to which the fuse is applied has a problem of causing an increase in resistance in the secondary battery or a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needing to secure an additional space for applying the fuse.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전지 버스바 유닛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battery bus bar unit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r limitations.

KR 10-1918778 B1KR 10-1918778 B1

본 발명은 전지 등의 과전류 발생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단락을 유도할 수 있는 전지 버스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bus bar unit capable of inducing a short circuit without using a fuse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a battery or the lik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등에서 과전류 발생시에 전지 등에서의 저항 증가가 발생하여 전지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버스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bus bar unit capable of preventing a problem in which a battery or the like is damaged due to an increase in resistance in a battery or the like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a battery or a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은 전지에 연결되는 제1버스바부재, 상기 전지에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제2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에 연계되며,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을 매개로 접합되되,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이 녹으면서 단락이 유도되는 브릿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us bar member connected to a battery, a second bus bar member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and transferring it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first bus bar member. 2 It includes a bridge member connected to the bus bar member and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through a bonding material, and inducing a short circuit when the bonding material melts when an overcurrent occurs. can d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에 결합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 접합물질로 결합되며,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이 녹으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의 접합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에 의해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idge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the second bus bar member And the bonding material, and when the bonding material is melted and the bonding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is releas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the position is mov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certain angle by elasticity restoration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2접촉부에 연결되는 일단부가 둔각 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제2접촉부와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bent in an obtuse shape,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It can be characteriz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wedge shape gradually narrow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2접촉부의 탄성 복원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만곡 형태로 구비된 변위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so as to increase the elastic restoration angl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It may include a reinforcemen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1버스바부재는, 상기 브릿지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부재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us bar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ridge member, and may be coupled to the bridge member by wel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로 접합된 면상에 상기 접합물질의 일부를 수용하는 솔더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rt of the bonding material on a surfac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with a bonding materi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sold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it.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은 전지 등의 과전류 발생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단락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ducing a short circuit without using a fuse when an overcurrent of a battery or the like occurs.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은 전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등에서 과전류 발생시에 전지 등에서의 저항 증가가 발생하여 전지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problem in which the battery or the like is damaged due to an increase in resistance in the battery or the like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a battery or a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 및 이에 솔더링되어 접합된 제2버스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가 제1버스바부재에 용접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과전류에 의하여 접합물질이 녹으면서 제2버스바부재에서 브릿지부재의 접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의 제2접촉부가 쐐기 형태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의 폭이 제1버스바부재 및 제2버스바부재보다 좁은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제1버스바부재 및 제2버스바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솔더수용홈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bridge member and a second bus bar member soldered and bonded thereto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member is weld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nding of the bridge member is releas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while the bonding material is melted by an overcurrent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bridge member is provided in a wedge shape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dth of the bridge member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old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a first bus bar member and a second bus bar member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defined otherwise in the context, and reference numerals given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in a similar manne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elements or corresponding elements. It should be done.

본 발명은 전지 버스바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전지(C) 등의 과전류 발생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단락을 유도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 전지(C)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등에서 과전류 발생시에 전지(C) 등에서의 저항 증가가 발생하여 전지(C) 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busbar unit, and it is possible to induce a short circuit without using a fuse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battery (C), and in another aspect,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battery (C) or a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battery C or the like is damaged due to an increase in resistance in the battery C or the like.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30) 및 이에 솔더링되어 접합된 제2버스바부재(2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30)가 제1버스바부재(10)에 용접(B)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ridge member 30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bus soldered thereto A plan view showing the bar member 20,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member 30 is welded (B)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은 전지(C)에 연결되는 제1버스바부재(10), 상기 전지(C)에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제2버스바부재(20) 및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 연계되며,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S)을 매개로 접합되되,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S)이 녹으면서 단락이 유도되는 브릿지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us bar member 10 connected to a battery C,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C and transferring it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nd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 Is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bonding material (S) as a medium, and when an overcurrent occurs, the bonding material (S) melts and a short circuit is in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은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제2버스바부재(20)를 연결하는 상기 브릿지부재(30)가 과전류 발생시에 솔더링(soldering) 물질의 용융에 의해서 단락되도록 구성함에 의해서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됩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elting of the soldering material when the bridge member 30 connecting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occurs. It is possible to cut off overcurrent by configuring to be short-circuited by

여기서, 상기 접합물질(S)은 솔더링 소재 또는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bonding material S may be provided as a soldering material or a welding material used for welding.

일례로,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제2버스바부재(20), 브릿지부재(30)가 구리이고, 솔더링 소재로서 상기 접합물질(S)은 인듐(Indium) 또는 인듐 혼합물인 경우에 상기 구리의 녹는점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과전류 발생에 의한 발열시에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제2버스바부재(20), 브릿지부재(30)의 열손상 없이 상기 솔더링 물질(S)이 용융되면서 단락되어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bus bar member 10,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nd the bridge member 30 are copper, and the bonding material S as a soldering material is indium or an indium mixture Since the melting point of the copper is much higher, the first bus bar member 10,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nd the bridge member 30 during heat genera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without thermal damage to the soldering material ( As S) melts, it can be short-circuited to block overcurrent.

여기서, 상기 제1버스바부재(10)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의 전지(C)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는 자동차 모터 등의 외부 저항과 연결된 구성이다.Here, the first bus bar member 10 i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an electrode tab of a battery C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ance such as a motor vehicle. to be.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이러한 제1버스바부재(10)와 제2버스바부재(20)를 연결하여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에 연결된 전지(C)에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 연결된 외부 저항으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30 connects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the second bus in the battery C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The bar member 20 serves as a bridge that transmits electric energy through an external resistance connected to the bar member 20.

여기서 과전류는 상기 전지 또는 외부 저항의 허용 한계 초과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급격한 전류의 상승 등 이상 전류를 포함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과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overcurrent may mean a current when a current exceeding the allowable limit of the battery or external resistance flow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aning and may mean a general overcurrent, which may include an abnormal current such as a sudden increase in current.

이를 위해서,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연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제1접촉부(31), 제2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idge member 30 is connec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Specifically, the bridge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3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32.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에 결합되는 제1접촉부(31) 및 상기 제1접촉부(31)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물질(S)로 결합되며,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S)이 녹으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의 접합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에 의해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bridge member 3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31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coupl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It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and is combined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nd the bonding material (S), and when the bonding material (S) is melt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the bonding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s released ,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32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while being mov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certain angle by elasticity restoration.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접촉부(32)는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결합되어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s coupl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the second bus bar member (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2접촉부(32)와 연결된 구성이며, 상기 제2접촉부(32)에서 연장된 구성일 수도 있고, 상기 제2접촉부(32)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art 31 may be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32, may be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art 32, or may be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32. .

상기 제2접촉부(32)는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물질(S)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S)의 용융에 의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면서 단락을 유도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art 32 may be bond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by the bonding material S, whereby the second bus is melted by the melting of the bonding material S when an overcurrent occurs. As the bonding with the bar member 20 is released, a short circuit may be induced.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접촉부(32)는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어 접합력이 해제된 경우에,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bonding force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s released and the bonding force is released, the second contact part 32 may be resilient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mov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certain angle. .

즉,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제2버스바부재(20)와의 접합을 배제한 상기 브릿지부재(30)의 원래 형태는, 상기 제2접촉부(32)가 상기 제1접촉부(31)에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밴딩된 형태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촉부(32)는 상기 접합물질(S)이 용융되어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의 접합이 해제되면, 원래 형태로 돌아가면서 상기 제1접촉부(31)의 배치 위치 대비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original shape of the bridge member 30 excluding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n this case, the second contact part 32 may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accordingly, when the bonding material S is melted and the bonding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s released, the second contact part 32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The position is mov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certain angle compared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contact part 31.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2접촉부(32)가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면서 위치이동되어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형성하는 간격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해서, 일부 둔각 형태의 밴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s moved in position whi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further increase the distance formed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n order to do this, some obtuse-angled banding portions may be includ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또한, 상기 제2접촉부(32)가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면서 위치이동되는 탄성 복원력을 더욱 크게 하면서도 상기 제2접촉부(32)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형성하는 간격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해서, 상기 브릿지부재(30)는 변위보강부(33)를 더 포함할 있다. 이에 대한 설명도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In addition, whi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moved is further increased, whi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pacing to be formed, the bridge member 3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reinforcing portion 33. A description of this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여기서, 상기 제1접촉부(31)도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접합물질(S)을 매개로 접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제2접촉부(32)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 사이의 접합물질(S)의 용융에 의한 단락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용접(B)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may also be provided by bonding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bonding material S as a medium, but when an overcurrent occurs,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and the second bus In order to specify the short-circuit position by melting of the bonding material (S) between the bar members 20,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s coupl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by welding (B). desirabl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1버스바부재(10)는, 상기 브릿지부재(3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부재(30)와 용접(B)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us bar member 1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ridge member 30, the bridge member 30 and welding (B)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by.

상기 브릿지부재(30)와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의 용접(B)은 레이저 용접일 수도 있고, 저항 용접, 초음파 용접 등일 수도 있다.Welding (B) of the bridge member 30 and the first bus bar member 10 may be laser welding, resistance welding, ultrasonic welding,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시에 이종 소재에 의한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즉, 이종 소재의 용접시에는 용접(B)을 매개할 물질이 필요하나, 동종 소재의 경우에는 이러한 매개 물질이 불필요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bridge member 3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us bar member 10, it is possible to eliminate problems caused by different materials during welding. That is, when welding of dissimilar materials, a material to mediate the welding (B) is required, but in the case of the same material, such mediators are not required, thus enabling more robust bon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보다 두께(t)를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3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thinner in thickness t than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t can be characterized.

이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부재(30)의 단면에서 세로 방향 길이 감소에 따른 상기 브릿지부재(30) 단면의 면적 감소에 의해서, 상기 브릿지부재(30)의 저항을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보다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브릿지부재(30)에서 더 많은 발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접합물질(S)이 용융되어 단락이 유도되므로,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 대한 열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by reducing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of the bridge member 30 according to a decrease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ross-section of the bridge member 30, the resistance of the bridge member 30 is reduced by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Since it can b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more heat is generated in the bridge member 30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the bonding material S melts to induce a short circuit, so that the first b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ermal effect on the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즉, 과전류 발생에 의한 발열을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연결된 전지(C)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연결된 외부 저항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heat generated by the overcurrent can be reduced in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battery C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rmal damage of external resistance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도 4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과전류에 의하여 접합물질(S)이 녹으면서 제2버스바부재(20)에서 브릿지부재(30)의 접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2접촉부(32)에 연결되는 일단부가 둔각 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제2접촉부(32)와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nding of the bridge member 30 is releas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while the bonding material S is melted by an overcurrent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bent in an obtuse shape, so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 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position is formed differently.

즉,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기 제2접촉부(32)가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면서 위치이동되어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형성하는 간격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해서, 일부 둔각 형태의 밴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s moved in position whi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further increase the distance formed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include some obtuse-angled banding.

다시 말해, 상기 제1접촉부(31)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2접촉부(32)에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접촉부(32)와 연결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제2접촉부(32)와 연결되는 일단부에 둔각 형태로 밴딩된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so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and the It further includes a portion that is bent in an obtuse angle at one end to be connected.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2접촉부(32)의 탄성 복원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접촉부(31)와 상기 제2접촉부(32) 사이에 만곡 형태로 구비된 변위보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3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increase the elastic restoration angl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displacement reinforcing portion 33 provided in a curved shape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32.

즉, 상기 제1접촉부(31)와 제2접촉부(32) 사이에 상기 변위보강부(33)를 더 구비함에 의해서, 상기 제2접촉부(32)가 제2버스바부재(20)와 접합이 해제되면서 위치이동될 때, 상기 제2접촉부(32)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형성하는 간격을 더욱 크게 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제2접촉부(32)가 탄성 복원되는 탄성 복원력도 더욱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further providing the displacement reinforcing part 33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31 and the second contact part 32, the second contact part 32 is bond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When the position is moved while being released,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distance formed by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t which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is elastically restored is also further increased. You can do it big.

이와 같이. 상기 제2접촉부(32)와 제2버스바부재(20)의 간격을 더 크게 함에 의해서, 과전류에 의한 단락시에 상기 제2접촉부(32)와 제2버스바부재(20)의 재접촉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더욱이 탄성 복원력을 더욱 크게 함에 의해서, 상기 제2접촉부(32)와 제2버스바부재(20)의 단락을 더욱 빠르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like this.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re-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n case of a short circuit due to overcurrent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block stably, and further, by increa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possible to induc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more quickly.

도 5는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30)의 제2접촉부(32)가 쐐기 형태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제2접촉부(32)는, 상기 제1접촉부(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of the bridge member 30 is provided in a wedge shape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of the battery bus bar unit may be provided in a wedge shape gradually narrow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31.

이에 의하면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에 용접(B) 결합된 상기 제1접촉부(31)와 연결된 상기 제2접촉부(32)에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의 접합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This makes it easier to join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the second contact part 32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31 that is welded (B)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do.

즉,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를 상기 제2접촉부(32)에 면접촉하게 배치하여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상기 제2접촉부(32)를 접합물질(S)로 접합할 때, 상기 제2접촉부(32)의 쐐기 형태의 단부에 의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arranging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art 32,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32 are joined with a bonding material (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ntry of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by the wedge-shaped end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

도 6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브릿지부재(30)의 폭(w)이 제1버스바부재(10) 및 제2버스바부재(20)보다 좁은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보다 폭(w)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dth w of the bridge member 30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ridge member 3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r than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 w)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narrowly.

이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부재(30)의 단면에서 가로 방향 길이 감소에 따른 상기 브릿지부재(30) 단면의 면적 감소에 의해서, 상기 브릿지부재(30)의 저항을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보다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브릿지부재(30)에서 더 많은 발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접합물질(S)이 용융되어 단락이 유도되므로,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 대한 열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reducing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of the bridge member 30 according to a decrease in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cross-section of the bridge member 30, the resistance of the bridge member 30 is reduced by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Since it can b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more heat is generated in the bridge member 30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the bonding material S melts to induce a short circuit, so that the first b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ermal effect on the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즉, 과전류 발생에 의한 발열을 상기 제1버스바부재(10)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에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연결된 전지(C)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20)와 연결된 외부 저항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heat generated by the overcurrent can be reduced in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the battery C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rmal damage of an external resistance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도 7은 본 발명의 전지 버스바 유닛에서 제1버스바부재(10) 및 제2버스바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 솔더수용홈(34)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버스바 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30)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10)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S)로 접합된 면상에 상기 접합물질(S)의 일부를 수용하는 솔더수용홈(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older receiving groove 34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in the battery bus b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Referring to, the bridge member 30 of the battery bus 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ding materia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10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20 A solder receiving groove 34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bonding material (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joined by (S).

이에 의하면, 과전류 발생에 의한 상기 브릿지부재(30)에서의 발열시에 상기 접합물질(S)의 용융을 더 빠르게 유도할 수 있어서, 단락을 더 빠르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ridge member 30 generates heat due to overcurrent, melting of the bonding material S can be induced more quickly, so that a short circuit can be induced more quickly.

즉, 상기 솔더수용홈(34)이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브릿지부재(30)와 상기 접합물질(S)의 접촉 면적을 더욱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브릿지부재(30)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접합물질(S)에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단락도 더욱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older receiving groove 34 is form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ridge member 30 and the bonding material S can be made larger,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bridge member 30 is Since it can be delivered to the bonding material (S) faster, a short circuit can also be induced more quickly.

이러한 솔더수용홈(34)은 단면이 각진 형태일 수도 있고,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솔더수용홈(34)은 상기 브릿지부재(3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복적 패턴인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older receiving groove 34 may have an angled cross section or a shape including a curv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solder receiving grooves 34 may be formed in the bridge member 30, and may be formed in a repetitive pattern of irregulariti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10: 제1버스바부재 20: 제2버스바부재
30: 브릿지부재 31: 제1접촉부
32: 제2접촉부 33: 변위보강부
34: 솔더수용홈
10: first bus bar member 20: second bus bar member
30: bridge member 31: first contact portion
32: second contact portion 33: displacement reinforcement portion
34: solder receiving groove

Claims (9)

전지에 연결되는 제1버스바부재;
상기 전지에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제2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에 연계되며,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을 매개로 접합되되,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이 녹으면서 단락이 유도되는 브릿지부재;
를 포함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A first bus bar member connected to the battery;
A second bus bar member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and transferring it to the outside; An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and is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through a bonding material, and the bonding material melts when an overcurrent occurs. A bridge member through which a short circuit is induced;
Battery busbar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에 결합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 접합물질로 결합되며, 과전류 발생시에 상기 접합물질이 녹으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의 접합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에 의해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상기 제2버스바부재와 이격되는 제2접촉부;
를 포함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ridge member,
A first contac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It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and is combined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by a bonding material, and when the bonding material is melt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and the bonding with the second bus bar member is released, the elasticity is restored. A second contac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us bar member while being moved in an angled direction;
Battery busbar unit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2접촉부에 연결되는 일단부가 둔각 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제2접촉부와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bent in an obtuse shape,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a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hape of a wedge gradually narrow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2접촉부의 탄성 복원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만곡 형태로 구비된 변위보강부;
를 포함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The bridge member,
A displacement reinforcing part provided in a curved shape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to increase an elastic restoration angle of the second contact part;
Battery busbar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부재는, 상기 브릿지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부재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us bar member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ridge member, the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welding with the bridg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ridge member is a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inner than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 및 상기 제2버스바부재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ridge member is a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제1버스바부재와 상기 제2버스바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물질로 접합된 면상에 상기 접합물질의 일부를 수용하는 솔더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버스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ridge member is a battery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solder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bonding material is formed on a surfac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us bar member and the second bus bar member with a bonding material .
KR1020190077956A 2019-06-28 2019-06-28 Battery busbar unit KR202100016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956A KR20210001614A (en) 2019-06-28 2019-06-28 Battery busba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956A KR20210001614A (en) 2019-06-28 2019-06-28 Battery busbar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14A true KR20210001614A (en) 2021-01-06

Family

ID=7412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956A KR20210001614A (en) 2019-06-28 2019-06-28 Battery busba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61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78B1 (en) 2012-11-07 2018-11-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78B1 (en) 2012-11-07 2018-11-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5781B2 (en) Connecting tab of battery pack,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tab and wir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KR102622668B1 (en) Bus ba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6469822B (en) Battery pack and device for connecting batteries
US20150050531A1 (en) Battery cell connector
KR101812273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for cutting off current flowing
KR102046125B1 (en) Detachable voltage sensing module for Secondary-battery and Battery device having the same
JP5263334B2 (en) Busbar module
JP2008091183A (en) Square battery and battery pack
KR102540916B1 (en) Overcharge safety device
KR101946105B1 (en) Protective element and battery pack
JP5839061B2 (en)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06447B1 (en) Battery Module
CN11162776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s bar for fuse
CN217158544U (en) Cylinder battery connection piec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age
JP2012029459A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KR102385996B1 (en) Busbar of battery pack of eco-friendly vehicles having fusing function and battery pack of eco-friendly vehicles using the same
KR20210001614A (en) Battery busbar unit
KR102087698B1 (en)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40791B2 (en) Electronic component, inverter device provided with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joining electronic component
JP2008226519A (en) Battery pack
JP4663758B2 (en) Resistive thermal fuse and battery protection circuit board
US20220278428A1 (en)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Electrode Leads by Physical Coupling and Battery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KR101087054B1 (en) 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Having Low Contact Resistance
KR20220009514A (en) Fuse element and welding method
JPH01255164A (en) Manufacture of alkaline storage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