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01U -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 Google Patents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01U
KR20210001401U KR2020190005057U KR20190005057U KR20210001401U KR 20210001401 U KR20210001401 U KR 20210001401U KR 2020190005057 U KR2020190005057 U KR 2020190005057U KR 20190005057 U KR20190005057 U KR 20190005057U KR 20210001401 U KR20210001401 U KR 202100014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holes
upper edge
present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0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4300Y1 (en
Inventor
박단원
Original Assignee
박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단원 filed Critical 박단원
Priority to KR2020190005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00Y1/en
Publication of KR20210001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0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B44D3/127Covers or lids for paint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이 제공된다. 상기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상기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페인트통을 덮는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pooling. The paint bucket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of the paint bucket, and the plurality of holes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covering the paint bucke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holes are formed.

Description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본 고안은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칠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페인트를 사용할 때,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내에 페인트가 고임으로 인해 페인트통 뚜껑을 여닫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거나 페인트 붓을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More specifically, when a paint job worker uses paint, the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bucket, causing inconvenience in opening and closing the paint bucket lid or inconvenient to use a paint brush. It relates to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pooling to improve the point.

일반적으로 주택, 건물, 및 구조물의 실내와 외부를 미려하게 도색함에는 작업자들이 휴대한 페인트통으로부터 페인트를 붓에 묻혀가면서 도색 작업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도색 작업 과정에서 페인트 붓의 사용 또는 페인트통에 붓을 거치하여 두는 경우에 페인트가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에 고임으로 인하여 페인트가 굳게 되고, 이에 따라 페인트통의 뚜껑이 잘 닫히지 않거나 붓을 다시 사용할 때 페인트가 붓에 묻어 작업자가 페인트 작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general, when beautiful interiors and exteriors of houses,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painted, workers apply paint from the paint canister they carry to the brush while painting. When the brush is mounted, the paint hardens due to the paint accumulating in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As a result, the lid of the paint canister does not close well, or when the brush is used again, the paint sticks to the brush and the worker proceeds with the paint work. There are problems that make it difficul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페인트통의 지속적인 사용에도 페인트가 통에 고이거나 굳게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고안을 제안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paint is stagnated or hardened even in the continuous use of the paint canister.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30622 (공고일자 2001년 11월 22일)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30622 (Notice Date: November 22, 2001)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페인트 작업을 위해 페인트통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내에 페인트가 고여서 페인트가 굳게 되거나 붓의 손잡이 부분에 묻게되어 작업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paint canister is continuously used for paint work, the paint collects in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so that the paint hardens or gets stuck on the handle of the brush, which causes inconvenience It is to provide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that is to be prevented.

다만,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상기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페인트통을 덮는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rim region 110 in the upper rim region 110 of the paint bin, and the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positions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covering the paint canist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a press manner from top to bottom,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통 안에 페인트 붓을 거치하고 사용하는 경우에 흘러내린 페인트가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내에 고여서 페인트가 굳거나 페인트가 남아 있어서 페인트통 뚜껑을 여닫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int brush is mounted and used in the paint canister, the dripping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so that the paint hardens or the paint remains,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opening and closing the paint canister lid. can solve the problem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내에 페인트가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페인트 붓을 거치하고 사용할 때 페인트 붓의 손잡이에 페인트가 묻어 작업자의 손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nt from accumulating in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bucket,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or's hands from being dirty by the paint on the handle of the paint brush when the operator mounts and uses the paint brush.

다만,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과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뚜껑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의 일부를 A 영역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측벽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nt canister and a lid for preventing paint from poo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3 as viewed from abov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of Figure 3;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6 as viewed from abov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8 as viewed from above.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upper edge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8 as area A;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wall surface of area A of FIG. 10 .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100)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aint canister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120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of the paint canister 100 .

페인트통(100)에는 페인트통 뚜껑을 덮기 위해 뚜껑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상부 테두리 영역(110)에 해당한다.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깊이는 약 8mm이고, 폭은 약 10mm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0)이 형성되며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이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홀(120)을 통해 아래로 페인트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여서 굳거나 남아있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페인트 작업을 위해 뚜껑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The paint bucket 100 has a groove to which the lid is coupled to cover the paint bucket lid, and this part corresponds to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depth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about 8 mm, and the width corresponds to about 10 mm. A plurality of holes 120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 and when the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paint flows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0 . Accordingly, the amount of paint that is solidified or remain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reduced, and inconvenience cau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for paint work can be reduced.

그리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0)을 형성할 때 각각의 홀(120)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각각의 홀(120) 사이의 간격은 20mm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20)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홀(120)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페인트가 효과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완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forming the plurality of holes 120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spacing between the respective holes 120 may be adjusted as needed. 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respective holes 120 may be It may be formed from 20 mm to 30 mm. The plurality of holes 120 may be formed in a press manner from top to bottom, so that each hole 120 has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paint can flow effectively.

또한, 복수 개의 홀(120) 각각의 크기는 약 5mm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홀(120) 각각의 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0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5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과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뚜껑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nt canister and a lid for preventing paint from poo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3 as viewed from abov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of Figure 3;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100)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1)이 형성되고, 페인트통의 뚜껑(2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돌기(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to 5 , in the paint canister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121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of the paint canister 100 , and the lid of the paint canister is formed.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21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121).

페인트통(100)에는 페인트통 뚜껑(200)을 덮기 위해 뚜껑(200)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상부 테두리 영역(110)에 해당한다.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깊이는 약 8mm이고, 폭은 약 10mm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1)이 형성되며, 도 4에서는 복수 개의 홀(121)이 4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복수 개의 홀(121)이 형성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홀(121)이 지나치게 많이 형성되면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강성이 약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홀(121)이 지나치게 적게 형성되면 페인트가 아래로 흘러 내리는 효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A groove is formed in the paint bucket 100 to which the lid 200 is coupled to cover the paint bucket lid 200 , and this part corresponds to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depth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about 8 mm, and the width corresponds to about 10 mm. A plurality of holes 121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 and in FIG. 4 , four holes 121 are formed. Howeve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les 121 formed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if the plurality of holes 121 are formed excessively, the rigidity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may be weakened, and the plurality of holes ( 121) is formed too little, the effect of the paint dripping down may not be good.

페인트통의 뚜껑(200)에는 복수 개의 돌기(210)가 형성되어 뚜껑(200)을 닫았을 때 페인트통(100)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121)이 대응하여 덮이고, 이를 통해 페인트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성페인트의 경우 가스로 인하여 뚜껑(200)이 팽창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are formed on the lid 200 of the paint canister, so that when the lid 200 is closed, a plurality of holes 121 formed in the upper rim region 110 of the paint canister 100 are covered correspondingly, This will prevent the paint from spilling o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oil pai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d 200 from being expanded and opened due to gas.

페인트 작업 중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이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홀(121)을 통해 아래로 페인트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여서 굳거나 남아있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페인트 작업을 위해 뚜껑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When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during the paint operation, the paint flows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1 . Accordingly, the amount of paint that is solidified or remain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reduced, and inconvenience cau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for paint work can be reduced.

그리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1)을 형성할 때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홀(121)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페인트가 효과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완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holes 121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by a press method from top to bottom, each hole 121 has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paint can flow effectively. can be completed so that

또한, 복수 개의 홀(121) 각각의 크기는 약 10mm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홀(121) 각각의 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1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10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1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6 as viewed from abov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100)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2)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측벽면(111)은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 in the paint canister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122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area 110 of the paint canister 100 , and the upper edge area The side wall surface 111 of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페인트통(100)에는 페인트통 뚜껑을 덮기 위해 뚜껑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상부 테두리 영역(110)에 해당한다.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깊이는 약 8mm이고, 폭은 약 10mm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2)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측벽면(111)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페인트통(100)의 뚜껑도 대응하는 부분은 주름진 형태로 형성된다. The paint bucket 100 has a groove to which the lid is coupled to cover the paint bucket lid, and this part corresponds to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depth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about 8 mm, and the width corresponds to about 10 mm. A plurality of holes 122 are formed in the upper rim region 110 ,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wall surface 111 of the upper rim region 11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id of the paint bucket 100 is also formed in a wrinkled shape.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측벽면(111)이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복수 개의 홀(122)이 존재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어 페인트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되며, 페인트의 점성으로 인해 페인트가 빨리 흘러내리지 못하더라도 페인트통(100)의 외부로 페인트가 흘러넘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reason that the side wall surface 111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is that the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122 exist is relatively wide,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paint can stagnate is secured relatively wide, Even if the paint does not flow down quickly due to the viscosity of the pain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overflow of the paint to the outside of the paint bucket 100 .

그리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바닥면에 복수 개의 홀(122)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akening of the rigidity of the upper rim region 110 due to the plurality of holes 12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upper rim region 110 .

도 7에서와 달리, 복수 개의 홀(122)이 형성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홀(122)이 지나치게 많이 형성되면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강성이 약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홀(122)이 지나치게 적게 형성되면 페인트가 아래로 흘러 내리는 효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Unlike in FIG. 7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les 122 formed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if the plurality of holes 122 are formed excessively, the rigidity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may be weakened, If the plurality of holes 122 are too small, the effect of the paint flowing down may not be good.

페인트 작업 중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이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홀(122)을 통해 아래로 페인트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여서 굳거나 남아있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페인트 작업을 위해 뚜껑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When the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during the paint operation, the paint flows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2 . Accordingly, the amount of paint that is solidified or remain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reduced, and inconvenience cau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for paint work can be reduced.

그리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2)을 형성할 때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홀(122)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페인트가 효과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완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holes 122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by a press method from top to bottom, each hole 122 has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paint can flow effectively. can be completed so that

또한, 복수 개의 홀(122) 각각의 크기는 약 5mm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홀(122) 각각의 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2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5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2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페인트통 상부 테두리 영역의 일부를 A 영역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의 측벽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paint stagn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upper rim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8 as viewed from above.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upper edge area of the paint canister of FIG. 8 as area A;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dewall surface of area A of FIG. 10 .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은 페인트통(100)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측벽(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to 11 , in the paint canister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123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area 110 of the paint canister 100 , and the upper edge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idewalls 112 are formed in the 110 .

페인트통(100)에는 페인트통 뚜껑을 덮기 위해 뚜껑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상부 테두리 영역(110)에 해당한다.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깊이는 약 8mm이고, 폭은 약 10mm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의 양 옆으로 측벽(112)이 각각 형성된다.The paint bucket 100 has a groove to which the lid is coupled to cover the paint bucket lid, and this part corresponds to the upper edge region 110 . The depth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about 8 mm, and the width corresponds to about 10 mm. A plurality of holes 123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area 110 ,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wall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in the upper edge area 110 , respectively. do.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에 대해 각각 양 옆으로 측벽(112)이 형성되는 이유는 복수 개의 홀(123)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강성이 약해지므로 이러한 강성을 보강하고자 측벽(112)이 형성된다. The reason that the sidewall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in the upper edge area 110 is that the rigidity of the upper edge area 110 is relatively weak due to the plurality of holes 123 being formed. Therefore, the side wall 112 is formed to reinforce this rigidity.

도 10의 A 영역에 대해 측벽(112)이 형성된 부분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 11의 A1을 참조하면,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바닥면에 복수 개의 홀(123)이 형성되고, 도 11의 A2를 참조하면,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 각각의 양 옆으로 측벽(112)이 약 4mm 높이로 형성된다. 측벽(112)은 상부 테두리 영역(110)이 갖는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힘을 분산시키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측벽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Looking in detail at the portion where the sidewall 112 is formed with respect to area A of FIG. 10 , referring to A1 of FIG. 11 , a plurality of holes 12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upper edge area 110 , and A2 of FIG. 11 . Referring to , sidewalls 112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are formed to have a height of about 4 mm. The sidewall 112 distributes a force to prevent the rigidity of the upper rim region 110 from being weakened and serves to support the sidewall surfaces of the upper rim region 110 .

도 9에서와 달리, 복수 개의 홀(123)이 형성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홀(123)이 지나치게 많이 형성되면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강성이 약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홀(123)이 지나치게 적게 형성되면 페인트가 아래로 흘러 내리는 효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Unlike in FIG. 9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formed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if the plurality of holes 123 are formed too much, the rigidity of the upper edge region 110 may be weakened, If the plurality of holes 123 are too small, the effect of the paint flowing down may not be good.

페인트 작업 중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이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홀(123)을 통해 아래로 페인트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페인트가 고여서 굳거나 남아있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페인트 작업을 위해 뚜껑을 여닫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When the paint accumulate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during the paint operation, the paint flows down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3 . Accordingly, the amount of paint that is solidified or remains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is reduced, and inconvenience cau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for paint work can be reduced.

그리고,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복수 개의 홀(123)을 형성할 때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홀(123)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페인트가 효과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완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holes 123 are formed in the upper edge region 110 by a press method from top to bottom, each hole 123 has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paint can flow effectively. can be completed so that

또한, 복수 개의 홀(123) 각각의 크기는 약 5mm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홀(123) 각각의 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5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123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100: 페인트통
110: 상부 테두리 영역
111: 측벽면
112: 측벽
120, 121, 122, 123: 홀
200: 뚜껑
210: 돌기
100: paint bucket
110: upper border area
111: side wall
112: side wall
120, 121, 122, 123: Hall
200: lid
210: turn

Claims (2)

페인트통의 상부 테두리 영역(110) 내에, 상기 상부 테두리 영역(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페인트통을 덮는 뚜껑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rim region 110 in the upper rim region 110 of the paint bucket; and
A paint bucket for preventing stagnant paint, comprising a;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from positions corresponding to positions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lid covering the paint buc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페인트 고임 방지용 페인트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press manner from top to bottom,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has an inclined surface in the top to bottom direction.
KR2020190005057U 2019-12-14 2019-12-14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KR2004943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57U KR200494300Y1 (en) 2019-12-14 2019-12-14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57U KR200494300Y1 (en) 2019-12-14 2019-12-14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01U true KR20210001401U (en) 2021-06-23
KR200494300Y1 KR200494300Y1 (en) 2021-09-10

Family

ID=766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057U KR200494300Y1 (en) 2019-12-14 2019-12-14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00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122A (en) * 1996-09-30 1998-04-21 Yoshihiro Saito Construction of paint can
KR200230622Y1 (en) 1998-05-07 2001-11-22 김익신 Paint Bucket
KR20020068044A (en) * 1999-11-05 2002-08-24 토마스 에스 쉬와츠 Multipurpose container structure
US20150001252A1 (en) * 2013-06-28 2015-01-01 Phil Eberhardt Dripless Paint Can and Paint Can Lid
JP2017197198A (en) * 2016-04-25 2017-11-02 一夫 河内 Can lidd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122A (en) * 1996-09-30 1998-04-21 Yoshihiro Saito Construction of paint can
KR200230622Y1 (en) 1998-05-07 2001-11-22 김익신 Paint Bucket
KR20020068044A (en) * 1999-11-05 2002-08-24 토마스 에스 쉬와츠 Multipurpose container structure
US20150001252A1 (en) * 2013-06-28 2015-01-01 Phil Eberhardt Dripless Paint Can and Paint Can Lid
JP2017197198A (en) * 2016-04-25 2017-11-02 一夫 河内 Can lid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00Y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348A (en) Auxiliary paint brush bucket
US4225064A (en) Painter's accessory
US4312459A (en) Paint can rim cover and lid combination
US3980213A (en) Covers for paint cans
US4009802A (en) Paint can attachment
US20060226154A1 (en) Handheld painter finishing bucket
DE10005976A1 (en) Machine for set of tools has inside of inlet union, pair of sealing lips arranged as separate part, connected in one-piece fashion with closing flaps
CA2604825A1 (en) Paint distribution device
HUE026167T2 (en) Re-closable can end lid with a rotatable opening and re-sealing tab, drink can equipped with the re-sealable can end lid, manufacturing process
US5960979A (en) Plastic bucket with lid and sealing lip
US20100230413A1 (en) Paint can liner
KR200494300Y1 (en) The paint bucket to prevent paint stagnating
US20070221675A1 (en) Brush wi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767891A (en) Combination paint can spout and scraper
CN109174500B (en) Local spraying tool
US6358321B1 (en) Corner paint shield
US7121425B2 (en) Paint can with drain holes and tool for forming the holes
DE2810624A1 (en) TRAY LID FOR A CONTAINER FOR POWDER PRODUCTS
KR200230622Y1 (en) Paint Bucket
CN217615717U (en) Dispensing platform
JPH0725248Y2 (en) painting booth
JPH07149257A (en) Reinforcement of body panel
JP3173105U (en) Paint handle
JP6632584B2 (en) Inner container for paint
CN107747355A (en) Floor buildings waterproof structure and drip form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