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97U -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 Google Patents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397U
KR20210001397U KR2020190005039U KR20190005039U KR20210001397U KR 20210001397 U KR20210001397 U KR 20210001397U KR 2020190005039 U KR2020190005039 U KR 2020190005039U KR 20190005039 U KR20190005039 U KR 20190005039U KR 20210001397 U KR20210001397 U KR 202100013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ence
pressing member
hol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0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이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호 filed Critical 이대호
Priority to KR2020190005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397U/en
Publication of KR20210001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9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47D11/007Children's beds convertible into children's pen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 사이에 결합되고, 상하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가드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내부에 상방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하로 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양측으로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가 결합되고, 눌림 여부에 따라 1차 눌림 시 가드의 각도가 조절되고 2차 눌림 시 각도를 고정시킴으로써, 가드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adjuster of a fence for infants, and is coupled between the guards of the fence for children, and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up and down are provided, and the guard is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a frame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nd a pressing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frame portion as it moves up and dow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ard of the fence for infants is combined on both sides, and the angle of the guard is adjusted when the first is press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sed, and by fixing the angle when the second is pressed, the angle of the guard can be easily adjusted as well as firmly fixed possible effects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본 고안은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활동 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를 서로 연결하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adjuster of a fence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gle adjuster of a fence for infants used to connect and adjust the angle of the guards of the fence for infants used to limit the radius of activity of infants will be.

이제 막 기어 다니거나,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접하는 물건에 대한 호기심이 크다. 유아는 접하는 물건을 만지고, 입에 가져다 대며 물건을 가지고 놀고 한다.Toddlers who have just started crawling or learning to walk are very curious about the objects they come in contact with. Toddlers play with objects by touching them, bringing them to their mouths.

그러나, 사고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유아는 만지지 말아야 하는 물건 그리고 입에 대지 말아야 하는 물건 까지도 만지고 입에 넣는다. 유아의 이런 행동은 안전사고를 일으킨다.However, infants who lack the concept of thinking touch and put in their mouths objects they should not touch and even things they should not put into their mouths. Children's behaviors like this lead to safety accidents.

따라서, 보호자는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험한 물건을 아기가 닿을 수 없는 곳에 두거나, 위험한 물건과 떨어진 곳에 아기가 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guardian puts dangerous objects out of reach of the baby in order to safely protect the baby, or forms a space for the baby to play away from the dangerous object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현재, 많은 보호자는 거실 및 방에 베이비펜스를 설치하여 아기에게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베이비펜스는 집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쉽게 철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Currently, many guardians provide a safe space for babies by installing baby fences in living rooms and rooms. Baby fences are gaining popularity because they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home as well as being easily dismantled, and the demand is growing.

이에 많은 아기 용품회사는 베이비펜스의 수용 증가에 따라 많은 아기펜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양질의 아기펜스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일례로, 많은 아기 용품회사들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3988호에 게시된 바와 같은 베이비룸 연결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309호에 게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안전 울타리 등을 앞다투어 개발하고 있다.Accordingly, many baby products companies are producing many baby fe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acceptance of baby fences, and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high-quality baby fences. For example, many baby products companies are racing to develop a baby room connecting plate as publish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3988, a prefabricated safety fence a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05309, etc. are doing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펜스들은 연결의 편의성 및 연결확장성에 대해 초점이 맞춰 개발되었다. 이러한 펜스들은 규격화 되어, 규격 된 공간 보다 작은 공간에 펜스를 구성하는 모듈들이 겹쳐진 상태로 케이블타이로 묶여 설치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fences released so far have been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convenience of connection and the scalability of the connection. These fences are standardized, and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fence are overlapped and installed in a smaller space than the standard space, tied with cable ties.

케이블타이로 묶여 형성된 펜스는 연결부위가 강성이 낮아 아기가 밀면 쉽게 무너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따라 펜스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The fence formed by being tied with a cable tie has a low rigidity at the connection part, so it easily collapses when a baby pushes it. Due to this problem, the fence is not functioning properly.

또한, 기존의 펜스들은 각도 조절이 불가능 하거나, 용이하지 않거나 각도 조절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fenc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ngle adjustment is impossible, not easy, or the angle adjustment is not firmly fixed.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745271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74527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82267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20-0482267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78622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20-047862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펜스의 가드들을 연결하여 가드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가드들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nect the guards of the fence to adjust the connection angle of the guards,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angle adjustment of the guards.

또한, 펜스 가드들의 조절 각도를 견고하게 고정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object to firmly maintain the adjustment angle of the fence guar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는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 사이에 결합되고, 상하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가드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내부에 상방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하로 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ngle adjuster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the guards of the fence for children, and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up and down are provided, the guard a frame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 pressing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frame portion as it moves up and down.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제1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내부공간의 내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된 제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내부공간의 내주면에 제2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방에 위치 시 상기 제1 톱니와 제2 톱니에 동시에 맞물리고 하방에 위치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톱니바퀴체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바퀴체의 하방에는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방으로 밀어내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has a first inner space with an open lower portion, first teeth ar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lower frame has a second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pace A second tooth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and i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at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When located at the upper side, the second teeth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eeth, and when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 seco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cogwheel body drawn into the inner space, the lower side of the cogwheel body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or pushing the cogwheel body upward.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 사이에는 일측 상방에서 타측 하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다시 하방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에는 파형편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하 이동시키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의 상면에는 제3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1차 가압 시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톱니바퀴체를 하방에 위치 고정시키고, 2차 가압 시 상기 제2 경사면을 다라 안내되어 상기 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방에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fixing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between the fixing grooves, the first inclin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ther side is downwar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 step is formed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gain is formed, a corrugated piece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vertically along the fixing groove. A moving first protrusion is formed, is disposed below the pressing member, and moves the gear body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guid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 protrusion is formed,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in the rotary member, the second protrusion is guid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during the first pressing of the pressing member and caught on the step, and the sawtoo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body is fixed in the lower position, and is guide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hen the second pressure is applied and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gear body upward.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포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포트 및 하부 프레임의 포트는 상기 프레임부에 편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에 따라 접힘 시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ort into which the guard is inserted is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port of the upper frame and the port of the lower frame are formed to be eccentric to the frame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is rot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verlaps each other when folded along.

또한, 상기 포트에는 상방으로 관통된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탄이 외부로 돌출된 제1 회전핀이 삽입되고, 상기 제2 홀에는 일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 회전핀이 삽입되며, 상기 가드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수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hole penetrating upward is formed in the port, and a second hole connec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portion into which the guard is inserted, and the first hole has one end of the A first bevel gear is formed in a por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hole, a first rotation pin with a tartan projecting to the outside is inserted, and a second bevel gear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is formed in the second hole. A second rotating pin having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male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serted, and a mov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ar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rotating pin, and a spring is formed inside the moving groove. It is coupled, and the moving groove is movably coupled by the spr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ving member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coupled to the male screw thread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rotation pin.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에 따르면, 양측으로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가 결합되고, 눌림 여부에 따라 1차 눌림 시 가드의 각도가 조절되고 2차 눌림 시 각도를 고정시킴으로써, 가드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s of the fences for infants are coupled to both sides, and the angle of the guard is adjusted when the first is press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sed, and the angle of the guard is adjusted by fixing the angle when the second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not only adjusting easily, but also firmly fixing i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바퀴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바퀴체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adjuster of a fence for childr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ar whe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gear whe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econd protru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바퀴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톱니바퀴체의 동작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의 동작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의 확대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adjuster of a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ar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econd protru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는 가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firmly fixing the adjusted angle as well as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ard.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1000)는 프레임부(1100), 가압부재(1200), 회전부재(1300), 톱니바퀴체(1400) 및 탄성체(1500)를 포함한다.The angle adjuster 1000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is a frame portion 1100, a pressing member 1200, a rotating member 1300, a cogwheel body 1400 and an elastic body 1500 ) is included.

상기 프레임부(1100)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110) 및 하부 프레임(1120)을 포함한다.The frame unit 1100 includes an upper frame 1110 and a lower frame 1120 that are arranged vertically a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1110)을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내부공간(1111)이 형성되고, 상방으로 관통된 관통공(1113)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frame 11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inner space 1111 that is opened downward, and the through hole 1113 penetrated upwardly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내부공간(1111)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1 톱니(111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13)에는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홈(11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114) 사이에 일측 상방에서 타측 하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1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1115)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단턱(1116)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1116) 상단에서 다시 경사진 제2 경사면(1117)이 형성된다.Here, first teeth 1112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1111 , and fixing grooves 111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through hole 1113 , and the fixing A first inclined surface 1115 inclin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ther side is formed between the grooves 1114, and a step 1116 is formed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5, and from the upper end of the step 1116,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5 is formed. A photo second inclined surface 1117 is formed.

상기 하부 프레임(1120)은 상기 상부 프레임(1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제2 내부공간(1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1111)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2 톱니(1122)가 형성된다.The lower frame 112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frame 1110, a second inner space 1121 opened upwardly is formed thereon,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111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 second tooth 1122 is formed.

이때, 상기 제2 톱니(1122)는 상기 제1 톱니(111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tooth 1122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tooth 1112 .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110)의 일측 및 하부 프레임(1120)의 타측에는 상기 가드(10)가 삽입되는 포트(1130)가 각각 형성된다.Meanwhile, ports 1130 into which the guard 10 is inserted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1120 , respectively.

상기 상부 프레임(1110)의 포트(1130) 및 하부 프레임(1120)의 포트(1130)는 상기 프레임부(1100)에 편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1100)의 회동에 따라 접힘 시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된다.The port 1130 of the upper frame 1110 and the port 1130 of the lower frame 1120 are formed to be eccentric to the frame part 1100, and overlap each other when fol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ame part 1100. is formed

또한, 상기 포트(1130)에는 상방으로 관통된 제1 홀(1131)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10)가 삽입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홀(1131)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홀(1132)이 형성되며,In addition, a first hole 1131 penetrating upward is formed in the port 1130 , and a second hole connec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le 1131 at a position facing the portion where the guard 10 is inserted. (1132) is formed,

상기 제1 홀(1131)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홀(1132)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1134)가 형성되고 타탄이 외부로 돌출된 제1 회전핀(1133)이 삽입되고, 상기 제2 홀(1132)에는 일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1134)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136)가 형성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1137)이 형성된 제2 회전핀(1135)이 삽입되며,In the first hole 1131, a first bevel gear 1134 is formed in a portion having one end orthogonal to the second hole 1132, and a first rotation pin 1133 with a tartan projecting to the outside is inserted, and the A second rotating pin (1136)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134) is formed in the second hole (1132),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a male thread (113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1135) is inserted,

상기 가드(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1135)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1)의 내측에는 스프링(12)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홈(11)에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1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핀(1135)과 마주보는 위치에 수나사산(1137)과 체결되는 암나사산(14)이 형성된 이동부재(13)가 구비된다.A moving groove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ard 10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rotating pin 1135 , and a spring 12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oving groove 11 , and the movement The groove 11 is movably coupled to the spring 12 and connected by the spring 12, and the second rotation pin 1135 is a moving member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14 fastened to the male screw thread 1137 at a position facing the moving member ( 13) is provided.

상기 가압부재(1200)는 상기 관통공(1113)에 삽입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눌림편(12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홈(1114)에 삽입된 제1 돌기(1220)가 형성되고, 하단에 파형편(1230)이 형성된다.The pressing member 1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3,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pressing piece 1210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portion is a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14 along the periphery ( 1220 is formed, and a corrugated piece 1230 is formed at the lower end.

이때, 상기 가압부재(1200)는 상기 눌림편(1210)이 외력에 의해 눌려 하방으로 이동되고, 후술될 탄성체(15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1200 is moved downward by pressing the pressing piece 1210 by an external force, and is moved upward by an elastic body 15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회전부재(1300)는 상기 가압부재(1200)의 하방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제2 돌기(1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1310)의 상단에는 제3 경사면(1320)이 형성된다.The rotating member 1300 is disposed below the pressing member 1200, a second protrusion 1310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13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310. this is formed

이때, 상기 제3 경사면(1320)은 상기 제1 경사면(1115) 및 제2 경사면(1117)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다.In this case, the third inclined surface 1320 has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5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17 .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300)는 상기 가압부재(1200)의 하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돌기(1310)가 상기 제1 경사면(1115)에 의해 안내되며 회전된다.Here, the rotating member 1300 is rotated while the second protrusion 1310 is guid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5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200 .

그리고, 후술될 탄성체(15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단턱(1116)에 걸려 위치 고정된다.Then, the position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step 1116 while moving upward by the elastic body 15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회전부재(1300)는 상기 가압부재(1200)가 다시 하방 이동 시 상기 제2 돌기(1310)가 상기 제2 경사면(1117)을 따라 안내되며 회전되고 다시 탄성체(1500)에 의해 상방 이동 시 상기 고정홈(1114)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1300 is rotated while the second protrusion 1310 is guided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17 when the pressing member 1200 moves downward again and is moved upward again by the elastic body 1500 .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14, the position is fixed.

상기 톱니바퀴체(1400)는 상기 제1 내부공간(1111) 및 제2 내부공간(1121)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톱니(1112) 및 제2 톱니(1122)와 맞물리는 제3 톱니(1410)가 형성된다.The gear body 1400 is disposed in the first inner space 1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121 , and a third cog engaged with the first cog 1112 and the second cog 112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10 is formed.

여기서, 상기 톱니바퀴체(1400)는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톱니(1112) 및 제2 톱니(1122)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상기 제2 톱니(1122)에만 맞물리게 된다.Here, the gear body 1400 is engaged with the first teeth 1112 and the second teeth 1122 at the same time as the vertical movement, or is engaged only with the second teeth 1122 .

구체적으로, 상기 톱니바퀴체(1400)는 후술될 탄성체(1500)에 의해 상방 이동 시 상기 제1 내부공간(1111) 및 제2 내부공간(11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톱니(1112) 및 제2 톱니(1122)와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Specifically, the cog wheel body 1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space 1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121 when moving upward by an elastic body 1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cog 1112 and It is engaged with the second tooth 1122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200)의 하방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300)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1121)에만 배치되고, 상기 제2 톱니(1122)에만 맞물리게 된다.And,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200, it is pressed by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1300 and moved downward to be disposed only in the second inner space 1121, and to engage only the second teeth 1122. do.

이에 따라, 상기 톱니바퀴체(1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톱니(1112) 및 제2 톱니(1122)에 체결 여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ear body 1400, the rotation of the frame unit 1100 is controlled through whether the first teeth 1112 and the second teeth 1122 are fastened to each other.

상기 탄성체(1500)는 상기 하부 프레임(1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톱니바퀴체(14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톱니바퀴체(1400)를 상방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진다.The elastic body 15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frame 1120 , is disposed below the cogwheel body 1400 , and has elasticity for pushing the cogwheel body 1400 upward.

한편, 본 발명의 각도 조절구(1000)는 또 다른 각도 조절구(1000')와 동시에 사용되고, 동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adjus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the same time as another angle adjuster 1000', it can be operatively coupled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구(1000) 및 또 다른 각도 조절구(1000')는 상기 가드(10)들 사이에 배치된 지주(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angle adjusting member 1000 and another angle adjusting member 1000 ′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post 20 disposed between the guards 10 .

여기서, 상기 지주(2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21)가 삽입된다.Here, the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st 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샤프트(21)는 상단이 상기 각도 조절구(1000)의 하방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1500)에 관통되어 상기 톱니바퀴체(1400)의 하단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haft 21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angle control member 1000 and penetrated through the elastic body 1500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g wheel body 1400 .

이때, 상기 탄성체(150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샤프트(21)가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1500 is formed in a coil shape, and the shaft 21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그리고, 상기 샤프트(21)의 하단은 상기 또 다른 각도 조절구(1000')의 눌림편(1210')에 연결된다.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21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iece 1210' of the another angle adjusting member (1000').

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구(1000) 및 또 다른 각도 조절구(1000')는 상기 각도 조절구(1000)의 눌림편(1210)이 가압 시 일체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거나, 각도가 조절된다.Accordingly, the angle adjusting member 1000 and another angle adjusting member 1000 ′ can be integrally angularly adjusted when the pressing piece 1210 of the angle adjusting member 1000 is pressed, or the angle is adjusted.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에 따르면, 양측으로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가 결합되고, 눌림 여부에 따라 1차 눌림 시 가드의 각도가 조절되고 2차 눌림 시 각도를 고정시킴으로써, 가드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fen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s of the fences for infants are coupled to both sides, and the angle of the guard is adjusted when the first is press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sed, and the angle of the guard is adjusted by fixing the angle when the second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not only adjusting easily, but also firmly fixing it.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utility model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 가드 11: 이동홈
12: 스프링 13: 이동부재
14: 암나사산 1000: 조절구
1100: 프레임부 1110: 상부 프레임
1111: 제1 내부공간 1112: 제1 톱니
1113: 관통공 1114: 고정홈
1115: 제1 경사면 1116: 단턱
1117: 제2 경사면 1120: 하부 프레임
1121: 제2 내부공간 1122: 제2 톱니
1130: 포트 1131: 제1 홀
1132: 제2 홀 1133: 제1 회전핀
1134: 제1 베벨기어 1135: 제2 회전핀
1136: 제2 베벨기어 1137: 수나사산
1200: 가압부재 1210: 눌림편
1220: 제1 돌기 1230: 파형편
1300: 회전부재 1310: 제2 돌기
1320: 제3 경사면 1400: 톱니바퀴체
1410: 제3 톱니 1500: 탄성체
10: Guard 11: Moving home
12: spring 13: moving member
14: female thread 1000: adjuster
1100: frame portion 1110: upper frame
1111: first inner space 1112: first tooth
1113: through hole 1114: fixing groove
1115: first slope 1116: step
1117: second inclined surface 1120: lower frame
1121: second inner space 1122: second tooth
1130: port 1131: first hole
1132: second hole 1133: first rotation pin
1134: first bevel gear 1135: second rotation pin
1136: second bevel gear 1137: male thread
1200: pressing member 1210: pressing piece
1220: first protrusion 1230: corrugated piece
1300: rotating member 1310: second projection
1320: third inclined surface 1400: gear body
1410: third tooth 1500: elastic body

Claims (5)

유아용 울타리의 가드 사이에 결합되고, 상하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가드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된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내부에 상방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하로 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A frame portion coupled between the guards of the fence for infants and provided with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up and down, wherein the guar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angle adjustment tool of the fence for infant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frame portion as the upper side protrudes to the outside inside the upper frame and moves up and dow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제1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내부공간의 내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된 제2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내부공간의 내주면에 제2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방에 위치 시 상기 제1 톱니와 제2 톱니에 동시에 맞물리고 하방에 위치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톱니바퀴체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바퀴체의 하방에는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방으로 밀어내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frame has a first inner space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first teeth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The lower frame has a second inner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second teeth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pace,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and when it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it meshes with the first and second teeth at the same time, and when located at the lower side, a cogwheel body that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ner space is provided. ,
The angle control tool of the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gear body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or pushing the gear body upwar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 사이에는 일측 상방에서 타측 하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다시 하방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에는 파형편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하 이동시키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의 상면에는 제3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1차 가압 시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톱니바퀴체를 하방에 위치 고정시키고, 2차 가압 시 상기 제2 경사면을 다라 안내되어 상기 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톱니바퀴체를 상방에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3. The method of claim 2,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Fixing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one side upward to the other side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grooves, and a step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upwardly, and again downward.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A wavy pie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and a first protrusion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disposed below the pressing member and moves the gear body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and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guid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protrusion A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 the rotary member, the second protrusion is guid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during the first pressing of the pressing member and caught on the step to fix the position of the gear body downward, and follow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hen the second pressing is performed. Guided angle adjustment tool of the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gear body in the upper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포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포트 및 하부 프레임의 포트는 상기 프레임부에 편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에 따라 접힘 시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4. The method of claim 3,
Ports into which the guard is insert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The port of the upper frame and the port of the lower frame are formed so as to be eccentric to the frame portion, and the angle adjustment tool of the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ping each other when fol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am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는 상방으로 관통된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가 삽입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결된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탄이 외부로 돌출된 제1 회전핀이 삽입되고, 상기 제2 홀에는 일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 회전핀이 삽입되며,
상기 가드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수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hole penetrating upward is formed in the port, and a second hole connect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portion into which the guard is inserted,
In the first hole, a first bevel gear is formed in a portion having one en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le, and a first rotation pin with a tartan projecting to the outside is inserted, and one end of the first bevel gear and the first bevel gear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A second bevel gear that engages is formed,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a second rotation pin having an extern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serted,
A mov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ar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rotating pin, a spring is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moving groove,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and connected by the spring, and the second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fenc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a moving member having a female thread to be fastened to a male thread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rotating pin.
KR2020190005039U 2019-12-13 2019-12-13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KR202100013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39U KR20210001397U (en) 2019-12-13 2019-12-13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39U KR20210001397U (en) 2019-12-13 2019-12-13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97U true KR20210001397U (en) 2021-06-23

Family

ID=7660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039U KR20210001397U (en) 2019-12-13 2019-12-13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39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611B1 (en) * 2022-03-24 2023-09-21 김재한 Acrylic pet fence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22Y1 (en) 2015-08-27 2015-11-02 이광훈 Protecting fence assembly
KR200482267Y1 (en) 2015-04-17 2017-01-05 진양산업 주식회사 Mats fence of assemble type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67Y1 (en) 2015-04-17 2017-01-05 진양산업 주식회사 Mats fence of assemble type
KR200478622Y1 (en) 2015-08-27 2015-11-02 이광훈 Protecting fence assembly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611B1 (en) * 2022-03-24 2023-09-21 김재한 Acrylic pet fence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846Y1 (en) Angle adjustable bracket
KR20210001397U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baby fence
US9175512B2 (en) Curtain pull bead fixing apparatus
JP2022521378A (en)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JP2022520566A (en)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JP6933631B2 (en) Nail massage device
US20090007332A1 (en) Handrail means of bed frame
CN206279812U (en) A kind of ladder of swimming pool structure
US20110036517A1 (en) Safety device for roller blind bead chain
KR101648815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EP2574717B1 (en) Breaking device for a chain of a screen, such as a window covering
CN104127123B (en) A kind of button folding lid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KR200492142Y1 (en) Doorknob for Fence
JP2012070767A (en) Operating handle holding device in fixing mechanism such as grip for bed
KR20180001283U (en) Wall fixing device for babyroom plate
KR200487113Y1 (en) Door latch for baby room
CN202529019U (en) Baby carriage with adjustable backrest
CN207023805U (en) A kind of automatic folding device of Cribguard
US20140235387A1 (en) Active tensioning device
KR20220001873U (en) Babyroom preventanle shake
CN204158086U (en) A kind of safe fence
CN207136653U (en) A kind of new Cribguard
TWM511535U (en) Dual interlocked lock
JPS6081496A (en) Fan
US20190024447A1 (en) Doorway and Passage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