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75A -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175A KR20210001175A KR1020190076842A KR20190076842A KR20210001175A KR 20210001175 A KR20210001175 A KR 20210001175A KR 1020190076842 A KR1020190076842 A KR 1020190076842A KR 20190076842 A KR20190076842 A KR 20190076842A KR 20210001175 A KR20210001175 A KR 20210001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ament
- nonwoven fabric
- melting point
- hot air
- air bo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490 calen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634 Co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732 tuf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000572983 Rattus norvegicus POU domain, class 3, transcription fac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4 polymer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01—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 D04H13/007—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 together the various component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점이 서로 다른 필라멘트 성분의 혼섬사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때, 열풍접착 공정의 온도와 열풍접착 공정 전후의 장력범위를 1.0kgf/m 내지 3.0kgf/m로 조절함으로써, 부직포 자체의 열적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여, 완제품으로 적용시 타일 카페트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필라멘트를 면 형태로 배치하여 만들어진 제품으로 필라멘트의 길이에 따라 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로 크게 나뉘어 진다. 단섬유 부직포는 5mm 이하의 짧은 섬유를 면 형태로 배치 하고 섬유간 교락 또는 수지 접착을 통해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신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장섬유 부직포는 끊어짐 없는 섬유를 면 형태로 배치하고 섬유간 교락 또는 수지 접착을 통해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강도가 높은 특징을 가진다.
강도가 우수한 장점으로 장섬유 부직포는 건설용, 토목용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소재의 경량화 트랜드에 따라 자동차 내/외장재 용도로 확대 적용 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던 직물 또는 단섬유 부직포 형태의 내장재와 동일한 강도이면서 중량이 낮은 장섬유 부직포가 적용 되고 있으며, 주로 적용되고 있는 제품 군에는 타일 카페트, 자동차 바닥재 카페트, Under Cover, Head linear 제품 등이 있다.
타일 카페트는 부직포에 터프팅 (Tufting) 공정 (부직포에 실을 심는 공정)과 백 코팅(Back Coating) 공정 (Tufting된 부직포 후면에 PVC 조액을 묻힌 후, Chamber를 통해 열 경화시키는 공정)을 거친 후, 커팅 공정 (규격: 50cm × 50cm)을 끝으로 제조된다.
이 때, 백 코팅 공정 이후 열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이미 열 접착 공정 및 장력을 통해 부직포에 잠재되어 있는 응력이 서서히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잠재응력이 모두 완화될 때까지 부직포를 구성하고 있는 필라멘트들이 자발적인 수축 과정을 겪게 되며, 이는 완제품 타일 카페트의 형태안정성 (Curl 현상: Tile CPT 모서리 부분이 뜨는 현상)이 열위 해지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 부직포 제조시의 형태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접착 공정 온도 및 열접착 전후 구간별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부직포의 형태안정성을 확보하여, 완제품 타일 카페트의 물성은 물론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킨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로 제조되는 제1 필라멘트 및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 2 필라멘트의 블렌딩 혼합물을 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섬사를 웹 적층하고 캘린더 공정을 수행하여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층의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공정 및 열풍접착 공정 사이와, 상기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 사이의 구간에 각각 장력을 1.0kgf/m 내지 3.0kgf/m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접착 공정에서, 상기 열풍접착 온도는 제2 필라멘트의 융점보다 5 내지 10℃ 높은 온도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 및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의 혼섬사로부터 얻어진 부직포이며, 인장강도가 20 내지 50kgf/5cm이상이고, 응력이 500cN 이하이며, JIS L 4406법에 의해 측정된 Curl 높이가 0.60mm 미만인,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1 필라멘트 및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 2 필라멘트의 블렌딩 혼합물을 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섬사를 웹 적층하고 캘린더 공정을 수행하여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층의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공정 및 열풍접착 공정 사이와, 상기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 사이의 구간에 각각 장력을 1.0kgf/m 내지 3.0kgf/m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접착 공정에서, 열풍 접착 온도는 제2 필라멘트의 융점보다 5 내지 10℃ 높은 온도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일 카페트의 형태안정성(Curl)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직포 제조 공정 중 열 접착 공정의 온도 및 부직포의 구간별 장력 조절을 통해 부직포 자체의 열적 형태 안정성이 확보된 부직포를 제조하여, 완제품 타일 카페트의 형태안정성 (Curl)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2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블렌딩 과정을 거친 후 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1 필라멘트 및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 2 필라멘트의 블렌딩 혼합물을 방사한다.
따라서,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되는 필라멘트는 제1 필라멘트와 제2 필라멘트의 중합체가 일정 비율로 구성되는 혼섬사를 이용하여, 부직포 웹 형성한다. 구금을 통해 방사된 필라멘트는 냉각을 거쳐 고압의 공기 연신 장치로 이동하며, 필라멘트를 방사속도가 4,000 내지 6,000m/min이 되도록 충분히 연신시켜 제1 필라멘트 4 내지 10 데니어 및 제2 필라멘트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공정 후, 상기 혼섬사를 웹 적층하고 캘린더 공정을 수행하여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는 네트 위에 웹으로 포집되며, 캘린더 공정을 통해 적정 수준의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섬유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 필라멘트의 용융점 범위의 온도에서 열풍 온도를 조절한 후, 열풍 접착 공정 전후 장력을 특정 범위로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권취 공정을 통해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일 카페트 기포지용 부직포로 제조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섬유층의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시, 본 발명의 스펀본드의 제조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방사 구금을 거친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웹 적층된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캘린더 롤 10에서 두께를 조절하고, 네트 컨베이어 12를 통해 이동되도록 한 후 열풍 건조기 20을 사용하여 특정 온도에서 열풍 접착 공정을 이용해 열 접착 후, 권취수단 40을 거쳐 최종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캘린더 공정은 18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네트 컨베이어를 통해 부직포가 캘린더 공정,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접착 공정에서, 열풍 접착 온도는 제2 필라멘트의 융점보다 5℃ 내지 10℃ 높은 온도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열풍접착 온도가 제2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5℃ 이하로 낮으면 부직포의 물성이 낮아 터프팅 시 부직포의 찢어짐에 대한 문제가 있고, 상기 열풍접착 온도가 제2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10℃ 이상으로 낮으면 부직포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직포를 형성하는 웹이 박리되는 한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의 장력 조절을 통해, 부직포 자체의 잠재되어 있는 응력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부직포의 잠재응력은 최종 완제품 Tile CPT의 형태안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의 장력 값은 1.0kgf/m 내지 3.0kgf/m로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각 구간에서의 장력 값이 1kgf/m 미만에서는 부직포 Sheet의 말림 및 권취 폼이 열위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력 값이 4kg /m이상에서는 권취 장력의 증가에 따라 부직포 내의 Filament의 잠재응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완제품 타일 카페트 제조 時, Back Coating 공정에서의 부직포의 과다수축으로 인해 형태 안정성 (Curl)이 열위 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혼섬사는 상기 제1필라멘트 및 제2 필라멘트를 50:50 내지 90:1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섬사는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 및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데니어는 국제적으로 잘 이용되고 있는 단위로서, 단위중량 1g을 표준 길이 9000m로 뽑는 것을 1데니어라고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직포에 포함되는 제1, 2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경우 고분자 섬유로서, 데니어의 값은,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라멘트의 섬도가 4 데니어 이하이면 필라멘트가 가늘고 강도가 약하며 단위 면적당 필라멘트 수가 많아져 터프팅 공정에서 필라멘트의 파손이 많아 물성 저하에 문제가 있고, 10 데니어 이상이면 필라멘트의 결정화를 위한 냉각길이가 길어져 부직포를 상업적으로 균일하게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필라멘트의 섬도가 1 데니어 이하이면 필라멘트가 가늘어 제 1필라멘트와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5 데니어 이상이면 필라멘트의 결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필라멘트는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부직포의 내열성, 내후성 등을 고려할 때, 제1, 2 필라멘트 성분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면, 부직포 자체의 열적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여, 완제품으로 적용시 타일 카페트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 및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의 혼섬사로부터 얻어진 부직포이며, 인장강도가 20 내지 50kgf/5cm이상이고, 응력이 500cN 이하이며, JIS L 4406법에 의해 측정된 Curl 높이가 0.60mm 미만인,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섬도 및 함량 범위가 다른 제1 필라멘트 및 제2 필라멘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필라멘트는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부직포 전체의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융점이 220℃ 이하인 코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부직포 전체의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단위면적 당 중량이 약 80 내지 120g/m2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정을 거친 부직포는 통상의 공정에 따라 완제품 타일 카페트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직포는 Tufting (부직포 위에 실을 심는 과정) 및 Back Coating 공정 (Tufting된 부직포 후면에 PVC 조액을 묻힌 후, Chamber를 통해 열 경화시키는 공정)을 거친 후, Cutting 공정 (규격: 50cm × 50cm)을 끝으로 완제품 타일 카페트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열 접착 온도 및 열풍접착 공정 전후의 장력 범위 조절을 통하여, 부직포 자체의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도 열적 형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완제품 타일 카페트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직포의 응력에 따른 열 수축율이 낮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완제품 타일 카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원료로 제1 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융점: 약 255℃) 수지와, 제2 성분인 아디프산 및 이소프탈릭에시드가 함유된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o-PET, 융점: 약 220℃)를 블랜딩 하였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의 중량비율 = 80: 20).
상기 블렌딩된 PET 수지 혼합물을 방사온도 270 내지 290℃에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녹인 다음, 상기 제1, 2 성분의 혼합비율이 되도록 혼섬방사하였다. 이때, 방사장치의 토출량과 구금의 모세공 수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모세공에서 방출된 연속 필라멘트를 20℃ 이하의 냉각풍으로 고화시킨 후, 고압의 공기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가 5,000m/min이 되도록 충분히 연신시켜 혼섬사인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필라멘트 섬유를 통상의 개섬법에 의해 연속 이동하는 금속제 네트상에 웹의 형태로 적층시켰다. 적층된 필라멘트는 도 1의 공정에 따라, 180℃ 온도의 캘린더 롤 10에서 두께를 조절하고, 네트 컨베이어 12를 통해 이동된 후 열풍 건조기 20을 사용하여 220℃ 온도의 열풍 접착 공정을 이용해 열 접착 후, 권취수단 40을 거쳐 단위면적 당 중량이 90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이상의 장력조절수단 30을 이용하여 열접착 공정 전후에서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하는 부직포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즉,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2.0kgf/m 및 2.0kgf/m로 조절하면서 부여한 후, 권취 공정을 수행하여 최종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180℃, 열풍 접착 온도를 220℃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1.0kgf/m 및 3.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180℃, 열풍 접착 온도를 220℃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3.0kgf/m 및 1.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200℃, 열풍 접착 온도를 220℃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2.0kgf/m 및 2.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180℃, 열풍 접착 온도를 225℃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2.0kgf/m 및 2.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180℃, 열풍 접착 온도를 220℃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10.0kgf/m 및 2.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캘린더 롤 온도 180℃, 열풍 접착 온도를 220℃로 설정하고, 캘린더 공정 및 열풍 접착 공정 사이의 구간(①) 및 열풍 접착 공정 및 권취 공정 사이의 구간(②)에 장력을 각각 2.0kgf/m 및 10.0kgf/m로 조절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구 분 | 캘린더 롤 온도 (℃) |
① 구간 장력 (kgf/m) |
열풍 온도 (℃) |
② 구간 장력 (kgf/m) |
①+② 장력 (kgf/m) |
실시예1 | 180 | 2 | 220 | 2 | 4 |
실시예2 | 180 | 1 | 220 | 3 | 4 |
실시예3 | 180 | 3 | 220 | 1 | 4 |
실시예4 | 200 | 2 | 220 | 2 | 4 |
실시예5 | 180 | 2 | 225 | 2 | 4 |
비교예1 | 180 | 10 | 220 | 2 | 12 |
비교예2 | 180 | 2 | 220 | 10 | 12 |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대하여, 다음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kg.f/5cm) 및 인장신율(%)
KS K 0521 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세로 = 5 cm × 20 cm 크기의 시편을 인스트론(INSTRON)사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상/하 5 cm × 5 cm 지그로 물린 후 인장속도 200 mm/min으로 측정하였다.
2) 응력
LENZING INSTRUMENTS 社의 TST-1 측정장비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세로 = 5cm × 55cm 크기의 시편을 지그로 물린 후, 약 180℃의 온도에서 2분간 Heat Setting, 1분간 상온방치 後, 부직포 시편의 응력값을 측정하였다. 시편의 개수는 5ea 측정값의 평균을 대표값으로 한다.
3) 컬특성
완제품 Tile CPT의 형태안정성 (Curl) 평가
JIS L 4406 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세로 = 50cm × 50cm 크기의 시편을 편평한 돌 또는 유리 바닥에서 24시간 방치 후, 네각의 모서리와 바닥과의 거리를 Thickness gauge로 측정하였다. 그 다음 열풍건조기 (온도60℃)에 2시간 방치 후, 시편을 꺼내어 다시 물 속에 2시간 방치하였다. 이후에는 다시 물 속의 시편을 꺼내어 열풍건조기 (온도60℃)에 약 24시간 방치 후 시편을 꺼내어 상온에 24시간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온 방치된 시편에 대하여 네 각의 모서리와 바닥과의 거리를 Thickness gauge로 측정하였다. 이 때 시편의 개수는 3ea로 하며, 시편 하나에서 네 각의 모서리에서 측정된 Curl 값(시편 모서리가 바닥에서 뜬 높이)중, 최대값을 그 시편의 Curl으로 측정하며, 시편 개수3 ea의 평균값을 최종 Curl 값으로 대표한다.
4) 최종 평가 기준
◎: 터프팅시 부직포의 찢어짐이 없고, 후가공시 부직포의 열 수축 이 낮아 타일 카페트의 형태 안정성 (Curl 0.2 미만) 이 매우 우수한 경우
○: 터프팅시 부직포의 찢어짐이 없고, 후가공시 부직포의 열 수축이 일부 발생하여 타일 카페트의 형태 안정성 (Curl 0.2 이상 1.0 미만)이 우수한 경우
×: 터프팅시 부직포의 찢어짐은 없으나, 후가공시 부직포의 열 수축이 심하여 타일 카페트의 형태 안정성 (Curl 1.0 이상)이 열위한 경우
구 분 | 인장강도 (kgf/5cm) (MD/CD) |
부직포 신율 (%) (MD/CD) |
부직포 응력 (cN) (MD 기준) |
Curl (mm) | 최종 평가 |
실시예 1 | 22.8/24.4 | 23.8/28.6 | 342 | 0.11 | ◎ |
실시예 2 | 23.1/24.6 | 25.1/27.6 | 428 | 0.53 | ○ |
실시예 3 | 24.8/25.1 | 25.2/28.8 | 381 | 0.35 | ○ |
실시예 4 | 27.8/27.2 | 26.1/29.9 | 376 | 0.27 | ○ |
실시예 5 | 30.9/31.3 | 31.2/34.6 | 404 | 0.41 | ○ |
비교예 1 | 22.4/24.9 | 24.8/26.1 | 848 | 1.86 | × |
비교예 2 | 22.4/23.3 | 25.1/25.5 | 913 | 2.16 | × |
표 2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혼섬방사된 필라멘트에 대해, 열풍 접착 전후의 ① 및 ② 구간의 장력을 1~3kgf/m로 조절함과 동시에, 열풍 접착 온도 범위도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5~10℃ 높은 온도로 조절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및 응력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 (컬특성)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 캘린더 롤
12: 금속제 네트 켄베이어
20: 열풍 건조기
30: 장력조절수단
40: 권취수단
12: 금속제 네트 켄베이어
20: 열풍 건조기
30: 장력조절수단
40: 권취수단
Claims (8)
-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1 필라멘트 및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제 2 필라멘트의 블렌딩 혼합물을 방사하여 혼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섬사를 웹 적층하고 캘린더 공정을 수행하여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층의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캘린더 공정 및 열풍접착 공정 사이와, 상기 열풍접착 공정 및 권취공정 사이의 구간에 각각 장력을 1.0kgf/m 내지 3.0kgf/m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접착 공정에서, 열풍 접착 온도는 제2 필라멘트의 융점보다 5 내지 10℃ 높은 온도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섬사는 상기 제1필라멘트 및 제2 필라멘트를 50:50 내지 90:1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 공정은 18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섬사는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 및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방사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는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상기 제 1 필라멘트보다 융점이 30℃ 이상 낮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4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1 필라멘트 및 1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제2 필라멘트의 혼섬사로부터 얻어진 부직포이며,
인장강도가 20 내지 50kgf/5cm이상이고, 응력이 500cN 이하이며,
JIS L 4406법에 의해 측정된 Curl 높이가 0.60mm 미만인,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라멘트는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부직포 전체의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라멘트는 융점이 220℃ 이하인 코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부직포 전체의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842A KR102714210B1 (ko) | 2019-06-27 |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842A KR102714210B1 (ko) | 2019-06-27 |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175A true KR20210001175A (ko) | 2021-01-06 |
KR102714210B1 KR102714210B1 (ko) | 2024-10-04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4359B1 (ko) |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 |
KR101194358B1 (ko) |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 |
KR20130035414A (ko) |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EP3663452B1 (en) | Nonwoven fabric having enhanced pull-out strength for carpet backing fabric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79804B1 (ko) | 폴리에스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77798B1 (ko) |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DE102020114724A1 (de) | Schallabsorptions- und isolationskissen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avon | |
KR102714210B1 (ko) |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01175A (ko) |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37496B1 (ko) |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220228307A1 (en) | Spunbonded nonwoven and tile carpet using the same | |
KR102402948B1 (ko) |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779014B1 (en) | Non-woven fabric for primary carpet bac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6537431B2 (ja) | 芯鞘複合バインダー繊維 | |
KR102617462B1 (ko) | 부직포,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 |
JP7560569B2 (ja) |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イルカーペット | |
KR102617463B1 (ko) |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JP2024500449A (ja) |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80000887A (ko) |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EP4450690A1 (en) | Polyester nonwoven fabric with suppressed reduction in physical properties by tufting proces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backing fabric for carpet comprising same | |
KR101560914B1 (ko) |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제조방법 | |
JP2017145536A (ja) | 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ポリエステル系繊維を用いたパイル布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