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59A -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59A
KR20210001159A KR1020190076808A KR20190076808A KR20210001159A KR 20210001159 A KR20210001159 A KR 20210001159A KR 1020190076808 A KR1020190076808 A KR 1020190076808A KR 20190076808 A KR20190076808 A KR 20190076808A KR 20210001159 A KR20210001159 A KR 20210001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power
radio unit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923B1 (ko
Inventor
윤진석
장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9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와, 상기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RADIO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THE SAME}
본 발명은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LTE에서 소모전력 절감은 크게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과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에 의해 구현된다. 예컨대 전력절감 솔루션 중에서 디지털 소자와 관련된 내용은 주로 DU 또는 데이터 센터에 의해 제어되고, RF의 파워 앰프 등에 대한 실제 전파 출력은 RU 등에 의해 제어된다.
그런데, 5G NR에서는 RU에 새로운 function이 추가되면서 하드웨어 적으로 보았을 때 FPGA와 같은 디지털 소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RU에서 디지털부의 소모 전력이 상시로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RU의 디지털부의 소모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030978호 (2019.03.25.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5G 장비에서 DU-L에 새로운 function이 추가됨에 따라 디지털 소자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소모 전력이 증가하게 된 것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결함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와, 상기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라디오 유닛에 포함되어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가,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소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장비에서 디지털부의 추가로 인해 증가하게 된 소비 전력량이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을 기초로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지국 운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라디오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5G 장비에서 소모 전력이 증가하게 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라디오 유닛(10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디오 유닛(1000)은 인터페이스부(100), 디지털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부(200)는 처리 유닛,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라디오 유닛(10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인터페이스부(100), 디지털부(200) 및 제어부(300)는 각각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먼저,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1000)은 단말이나 전자기기와 같은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가리킨다. 아울러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은 라디오 유닛(100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해서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을 가리킨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1000)은 디지털 유닛과 분리된 형태의 기지국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각 셀 사이트에는 라디오 유닛(1000)이 배치되고 디지털 유닛은 한 곳에 모이는 분리형 기지국(Centralized RAN) 구조로 구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00)는 라디오 유닛(1000)과 디지털 유닛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예컨대, 라디오 유닛(1000)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서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정보에는 무선자원(PRB/layer) 부하량 정보, 즉 라디오 유닛(1000)이 부담하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부(200)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디지털부(200)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칩에 의해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프리코딩(precoding), 리맵퍼(remapper),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부(200)에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라디오 유닛(1000)에는 디지털부(200) 이외에도 RF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RF부에는 주로 파워 앰프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1000)이 5G NR의 기지국의 요소라면, 이러한 라디오 유닛(1000)은 5G AAU(Active Antenna Unit)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0)는 디지털부(200)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 때 제어부(300)는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기초로 이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가 이와 같이 제어를 수행하는 배경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5G 장비에서 소모 전력이 증가하게 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4G LTE에서 라디오 유닛의 경우 RF부와 디지털부가 소비하는 전력의 비율이 80:20 정도였다. 반면, 5G에서 라디오 유닛(10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부(200)가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디지털부(200)는 주로 FPGA나 ASIC과 같은 칩으로 구현되기에, 그만큼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2에는 이렇게 증가하게된 만큼의 소비 전력(전력 증가분)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는 디지털부(200)에 의해 증가한 소비 전력에 대해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을 고려해서 제어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부하량에 따라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이 라디오 유닛(1000)에 새로이 추가된 디지털부(2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G에서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력 소비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부(200)에 의해 증가한 소비 전력에 대해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부(200)는 처리 유닛,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300)는 이들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을 기초로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처리 유닛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APU 또는 RPU를 부하량에 따라 normal/standby/shutdown 중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부하량 상태에 따라 전력 절감 모드가 low/down/maximum 중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럭부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부하량 상태에 따라 클럭의 도메인을 low/full power 로 분리해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머블 로직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프로그래밍 이후에는 저전력 소비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가 라디오 유닛(1000)의 부하량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안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부하량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서로 상이한 소비 전력량을 매칭시킨 뒤, 해당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이 속하는 구간을 복수 개의 구간 중에서 선택해서, 이렇게 선택된 구간에 매칭되는 소비 전력량이 디지털부(200)에서 소비되도록 제어부(300)는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게 되면 이러한 부하량이 속하는 구간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따라서 디지털부(200)에서 소비되어야 하는 부하량 또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어가 미리 정의된 시간에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대에 디지털부(200) 전체에 대한 전력 제어가 수행되거나 또는 디지털부(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인 처리 유닛에 대한 전력 제어만이 수행되도록 제어부(300)는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해서, 이러한 라디오 유닛(1000)에 의해 수행 가능한, 라디오 유닛(1000)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의 절차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전력 제어 방법의 절차가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이러한 전력 제어 방법은 라디오 유닛(1000)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여기서의 정보는 무선자원(PRB/layer) 부하량 정보, 즉 라디오 유닛(1000)이 부담하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0에서 전달받은 정보로부터 라디오 유닛(1000)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러한 S200은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만약, S200에서 획득된 부하량 정보로부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다'라고 판단이 된다면, 이하에서의 언급될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전력 절감을 위한 제어가 수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S200에서 획득된 부하량 정보로부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이 일정 기준 이하다'라고 판단이 된다면, 이하에서 언급될 단계는 수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부하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라디오 유닛(1000)에 포함된 디지털부가 높은 전력을 소비하게 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에, S200에서 획득된 부하량 정보로부터 라디오 유닛(1000)이 부담하는 부하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라디오 유닛(1000)에 포함되어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200)가, 이러한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소비하도로 제어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러한 S300은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지털부(200)는 처리 유닛,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300)는 이들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을 기초로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처리 유닛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APU 또는 RPU를 부하량에 따라 normal/standby/shutdown 중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부하량 상태에 따라 전력 절감 모드가 low/down/maximum 중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클럭부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부하량 상태에 따라 클럭의 도메인을 low/full power 로 분리해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머블 로직에 대해서 제어부(300)는, 프로그래밍 이후에는 저전력 소비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가 라디오 유닛(1000)의 부하량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안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부하량을 복수 개의 구분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서로 상이한 소비 전력량을 매칭시킨 뒤, 해당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이 속하는 구간을 복수 개의 구간 중에서 선택해서, 이렇게 선택된 구간에 매칭되는 소비 전력량이 디지털부(200)에서 소비되도록 제어부(300)는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게 되면 이러한 부하량이 속하는 구간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따라서 디지털부(200)에서 소비되어야 하는 부하량 또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어가 미리 정의된 시간에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대에 디지털부(200) 전체에 대한 전력 제어가 수행되거나 또는 디지털부(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인 처리 유닛에 대한 전력 제어만이 수행되도록 제어부(300)는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라디오 유닛(1000)의 부하량에 따른 소비 전력의 제어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APU, RPU,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각각에 대해, 라디오 유닛(1000)에서 부담하는 부하량에 따른 동작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APU : [shutdown;0~20%], [standby;20~40%], [normal;40~100%]
RPU : [shutdown;0~30%], [standby;30~60%], [normal;60~100%]
메모리 : [low;0~10%], [down;10~70%], [maximum;70~100%]
클럭부 : [low;0~50%], [full power;50~100%]
※ [동작방식;부하량]
만약 라디오 유닛(1000)의 부하량이 10%인 경우라면, 디지털부(200)가 높은 전력을 소비하게 할 필요는 없는 바, 제어부(300)는 APU, RPU, 메모리 및 클럭부를 위의 기준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PU는 shutdown, RPU는 shutdown, 메모리는 low 및 클럭부는 low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라디오 유닛의 부하량이 90%인 경우라면, 디지털부(200) 역시 높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APU, RPU, 메모리 및 클럭부를 위의 기준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PU는 normal, RPU는 normal, 메모리는 maximum 및 클럭부는 full power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라디오 유닛(1000)의 부하량에 따라 APU, RPU, 메모리 및 클럭부가 제어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들이 부하량에 따라 제어될 수 있음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장비에서 디지털부의 추가로 인해 증가하게 된 소비 전력량이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을 기초로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지국 운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술한 제어 방법의 경우 전술한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 또는 이러한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지국 운용이 가능해진다.
1000 : 라디오 유닛

Claims (14)

  1.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으로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와,
    상기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디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프리코딩(precoding), 리맵퍼(remapper),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디오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FPGA 또는 ASIC 칩에 의해 구현된 것인
    라디오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라디오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하량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력량을 매칭시킨 뒤, 상기 복수 개의 구간 중 상기 획득된 부하량 정보가 속하는 구간에 매칭되어 있는 전력량이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도록 제어하는
    라디오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대한 적응적 제어가 미리 정의된 시간에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라디오 유닛.
  7.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이 수행하는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디오 유닛이 부담하는 부하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라디오 유닛에 포함되어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부가,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소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프리코딩(precoding), 리맵퍼(remapper),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FPGA 또는 ASIC 칩에 의해 구현된 것인
    전력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량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메모리, 클럭부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전력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부하량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력량을 매칭시킨 뒤, 상기 복수 개의 구간 중 상기 획득된 부하량 정보가 속하는 구간에 매칭되어 있는 전력량이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도록 제어하는
    전력 제어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대한 적응적 제어가 미리 정의된 시간에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전력 제어 방법.
  13. 제 7 항에 따른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4. 제 7 항에 따른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76808A 2019-06-27 2019-06-27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20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08A KR102204923B1 (ko) 2019-06-27 2019-06-27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08A KR102204923B1 (ko) 2019-06-27 2019-06-27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59A true KR20210001159A (ko) 2021-01-06
KR102204923B1 KR102204923B1 (ko) 2021-01-19

Family

ID=7412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08A KR102204923B1 (ko) 2019-06-27 2019-06-27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25B1 (ko) 2021-01-30 2021-12-06 문덕림 욕조 배수트랩용 상부캡 및 그 제조방법
WO2022231734A1 (en) * 2021-04-29 2022-11-03 Google Llc Managing energy usage of a user equipment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298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초소형 기지국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20190030978A (ko) 2017-09-15 201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298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초소형 기지국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20190030978A (ko) 2017-09-15 201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25B1 (ko) 2021-01-30 2021-12-06 문덕림 욕조 배수트랩용 상부캡 및 그 제조방법
WO2022231734A1 (en) * 2021-04-29 2022-11-03 Google Llc Managing energy usage of a user equipment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923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7695B (zh) 一种终端能力上报方法、基站及终端
Zhang et al. Energy-optimal mobile cloud computing under stochastic wireless channel
TWI708521B (zh) 一種調整終端能力的方法、網路側設備及終端
Niu et al. Characterizing energy–delay tradeoff in hyper-cellular networks with base station sleeping control
JP5805855B2 (ja) マルチモード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おける温度に応じたエアリンクの選択
US11690129B2 (en) Hierarchical CDRX configuration for dynamic bandwidth part management and power saving
CN106133641B (zh) 用于共享的功率域中的异构处理器之间的动态功率管理的装置、系统和方法
US11063517B2 (en) Power supply circuit, electronic component, mobile phone terminal,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KR102204923B1 (ko) 라디오 유닛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EP3099138A1 (en) Multi-mode wireless terminal
US10615758B2 (en) Multi-mode power amplifier module
EP3641409B1 (en) Energy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165469B2 (en) RF-antenna archite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uang et al. GreenCoMP: Energy-aware cooperation for green cellular networks
US20130207467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CN105516913A (zh) Wifi连接方法及装置
US20180103425A1 (en) Baseband Power Estimation and Feedback Mechanism
EP2779725B1 (en) Carrier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device
US10736031B2 (en) Access point energy saving method and access point
Khoramnejad et al. On resource management in load-coupled OFDMA networks
CN107395530B (zh) 一种交换芯片、网络设备和功耗控制方法
KR20160030673A (ko) 소모 전력 최소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N115190472A (zh) 一种功率分配的方法和装置
CN10439458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20272627A1 (en) Energy Saving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