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48A - 캐뉼라 고정구 - Google Patents

캐뉼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48A
KR20210001148A KR1020190076786A KR20190076786A KR20210001148A KR 20210001148 A KR20210001148 A KR 20210001148A KR 1020190076786 A KR1020190076786 A KR 1020190076786A KR 20190076786 A KR20190076786 A KR 20190076786A KR 20210001148 A KR20210001148 A KR 2021000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user
nostril
fixing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722B1 (ko
Inventor
김세환
김상관
Original Assignee
(주)세종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세종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9007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61M16/0672Nasal cannula assemblies for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비강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캐뉼라를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하기 위한 캐뉼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비공에 삽입되는 비공관이 마련된 캐뉼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천공되어 상기 비공관을 삽입 고정하는 삽입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강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뉼라 고정구{CLIP FOR CANNULA}
본 발명은 캐뉼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비강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캐뉼라를 사용자의 비강에 고정하기 위한 캐뉼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량의 산소를 포함한 호흡용 기체를 환자의 기도로 보내는 인공 호흡기나, 산소 흡입 요법을 위한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호흡용 기체는 캐뉼라 장치를 통해 인체에 공급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29645호에는 종래의 캐뉼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캐뉼라 장치는 비공 캐뉼라의 비공관을 환자의 비공에 삽입하고, 공급 튜브를 인공 호흡기 등에 접속함으로써, 비공관으로부터 호흡용 기체가 환자에게 공급된다.
종래의 캐뉼라 장치는 산소공급기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커넥터와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받고 산소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산소연결튜브와 산소연결튜브로부터 환자의 양 비강으로 산소공급관을 양분하는 Y자관과 Y자관의 튜브 분산을 조절할 수 있게 조여주는 조임관과 Y자관과 비공관을 연결하는 나샬튜브와 환자의 비강에 삽입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비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캐뉼라 장치는 환자의 비강에 삽입되는 비공관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29645호의 캐뉼라 장치는 고무 밴드로 이루어진 고정용 부재를 제시하고 있지만 환자의 머리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경우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비공관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비공에 삽입되는 비공관을 사용자의 비공에 직접 고정할 수 있는 캐뉼라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는 사용자의 비공에 삽입되는 비공관이 마련된 캐뉼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천공되어 상기 비공관을 삽입 고정하는 삽입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비강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판체이고, 상기 사용자의 비공 입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단부는 아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사용자의 인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한 쌍이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삽입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비공관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삽입홀의 길이를 따라 상기 비공관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일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의 중앙부에 돌출된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소재이고,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타측부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되고, 상기 이격된 사이로 상기 캐뉼라를 끼움 고정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는 라운드(round)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아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단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타 부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의 비공관을 사용자의 비공에 직접 고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비공에 본 발명의 캐뉼라 고정구를 쉽게 탈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쉬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비공에 본 발명의 캐뉼라 고정구를 접착용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테이프의 접착제 등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을 입는 등의 부작용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 고정구가 사람의 비공 입구와 인중 등에 쉽게 안착할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고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 고정구의 고정부는 단부의 두께가 두껍고 라운드 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비공에 안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의 코에 고정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캐뉼라에 결합한 주요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을 좌측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을 우측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의 코에 고정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캐뉼라에 결합한 주요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는 사용자(P)의 비공에 삽입되는 비공관(11)이 마련된 캐뉼라(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천공되어 상기 비공관(11)을 삽입 고정하는 삽입홀(11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P)의 비강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의료용 클립(clip)일 수 있다.
몸체부(100)는 판체일 수 있고, 도 1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시 중앙이 하측으로 기울어지고 양단부가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라운드(round)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은 캐뉼라 고정구가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할 시 몸체부(100)는 사용자(P)의 비공 입구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P)의 코 밑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몸체부(100)의 형상을 라운드 되게 형성하여 몸체부(100)가 사용자(P)의 코에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P)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단부 중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할 시 몸체부(100)가 사용자(P)를 향하는 측의 단부와 그 반대 측의 단부는 아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부(100)의 단부 중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사용자(P)를 향하는 측의 단부는 사용자(P)의 인중부위에 안착하기 때문에 사용자(P)의 굴곡진 인중 형상에 대응하는 아치형을 형성하여 사용자(P)의 인중에 안정되게 안착되면서 사용자(P)에게 불편함이나 부상을 초래하지 않으며 안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가 사용자(P)를 향하는 측의 반대 측 단부를 아치형으로 형성하여 몸체부(100)의 모서리 부분의 뽀족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어 캐뉼라 고정구를 취급하는 사용자(P)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는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사용자(P)를 향하는 측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된 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캐뉼라 고정구를 사용하여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자(P)의 인중부위에 안착하여 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40)는 도 4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아 아치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즉, 지지부(140)는 몸체부(100)의 아치형 단부로부터 절곡되기 때문에 몸체부(100)의 아치형 단부와 같은 아치형을 형성하여 지지부(140)가 안착되는 사용자(P)의 굴곡진 인중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40)가 아치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지지부(140)가 사용자(P)의 인중에 안착되어도 안정되게 안착되고 사용자(P)에게 불편함이나 부상을 초래하지 않으며 안착하게 할 수 있다.
삽입홀(110)은 비공관(11)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비공관(11)의 개수와 같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삽입홀(110)은 비공관(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천공될 수 있다.
삽입홀(110)은 비공관(11)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비공관(1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홀(110)의 일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비공관(11)이 삽입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P)가 고개를 좌우상하로 이동할 경우 비공관(11)이 전혀 이동하지 못하면 사용자(P)의 비공에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비공관(11)이 사용자(P)의 비공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홀(11)을 일측으로 길게 연장함에 따라 비공관(11)이 삽입홀(110)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여 비공관(11)이 사용자(P)의 비공에서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10)은 연장된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돌출된 단턱(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단턱(111)은 삽입홀(110) 내에서 비공관(11)에 가압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비공관(11)이 삽입홀(110)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이동 시에 비공관(11)이 삽입홀(11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비공관(11)이 삽입홀(110) 안에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홀(110)에 단턱(111)을 형성하여 비공관(11)에 가압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부(120)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소재이고,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00)의 일측부 즉 캐뉼라를 사용자(P)의 코에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사용자(P)를 향하는 측부로부터 연장되되, 한 쌍의 삽입홀(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고정부(120)는 비공관(11)을 삽입홀(110)에 끼움 고정한 상태에서 비공관(11)을 사용자(P)의 코에 삽입하고 고정부(120)는 사용자(P) 코의 비주연골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120)의 사이에 사용자(P) 코의 비주연골을 강제 삽입하면 고정부(120)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 고정되어 캐뉼라 고정구는 사용자(P)의 코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가 한 쌍의 삽입홀(110)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삽입홀(110)에 관통 삽입된 비공관(11)을 사용자(P)의 코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120)를 사용자(P) 코의 비주연골에 끼움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을 좌측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3을 우측에서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3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는 단부의 두께를 고정부(120)의 타 부위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고, 고정부(120)의 단부를 라운드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정부(120)의 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고정부(120)가 사용자(P)의 비주연골에 끼움 고정될 시 고정부(120)의 단부에 비주연골의 내측부를 걸리게 하여 쉽제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의 단부를 라운드 되게 하여 고정부(120)를 비주연골에 강제 끼움 결합하여도 사용자(P)의 비주연골부가 고정부(120)에 의해 상처 등의 부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는 끼움부(13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끼움부(130)는 몸체부(100)의 타측부 즉 고정부(120)가 형성된 측부의 반대측부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될 수 있다.
끼움부(130)는 서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된 끼움부(130)의 사이로 캐뉼라의 관부를 쉽게 끼워 탈착되게 고정 할 수 있다.
끼움부(130)에 캐뉼라의 관부를 끼워 탈착 고정함에 따라 캐뉼라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P)의 비공에 삽입된 비공관(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의 비공관을 사용자의 비공에 직접 고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비공에 본 발명의 캐뉼라 고정구를 쉽게 탈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쉬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비공에 본 발명의 캐뉼라 고정구를 접착용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고정할 수 있어 테이프의 접착제 등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을 입는 등의 부작용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 고정구가 사람의 비공 입구와 인중 등에 쉽게 안착할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고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 고정구의 고정부는 단부의 두께가 두껍고 라운드 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비공에 안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 고정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캐뉼라
11: 비공관
100: 몸체부
110: 삽입홀
111: 단턱
120: 고정부
130: 끼움부
140: 지지부

Claims (14)

  1. 사용자(P)의 비공에 삽입되는 비공관(11)이 마련된 캐뉼라(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천공되어 상기 비공관(11)을 삽입 고정하는 삽입홀(11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P)의 비강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판체이고, 상기 사용자(P)의 비공 입구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단부는 아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사용자(P)의 인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0)은 한 쌍이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한 쌍의 삽입홀(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비공관(11)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삽입홀(110)의 길이를 따라 상기 비공관(11)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일측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110)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의 중앙부에 돌출된 단턱(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소재이고,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부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되고, 상기 이격된 사이로 상기 캐뉼라를 끼움 고정하는 끼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부는 라운드(round)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를 따라 아치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의 단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120)의 타 부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고정구.
KR1020190076786A 2019-06-27 2019-06-27 캐뉼라 고정구 KR10226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86A KR102264722B1 (ko) 2019-06-27 2019-06-27 캐뉼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86A KR102264722B1 (ko) 2019-06-27 2019-06-27 캐뉼라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48A true KR20210001148A (ko) 2021-01-06
KR102264722B1 KR102264722B1 (ko) 2021-06-15

Family

ID=7412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786A KR102264722B1 (ko) 2019-06-27 2019-06-27 캐뉼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712B1 (en) * 2000-06-30 2003-12-30 Norman Cardoso Nasal oxygen cannula with supply tube management
KR20170018560A (ko) * 2015-08-10 2017-02-20 안종요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
US20180236199A1 (en) * 2017-02-23 2018-08-23 Kyle J. Lussier Nasal Cannul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712B1 (en) * 2000-06-30 2003-12-30 Norman Cardoso Nasal oxygen cannula with supply tube management
KR20170018560A (ko) * 2015-08-10 2017-02-20 안종요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
US20180236199A1 (en) * 2017-02-23 2018-08-23 Kyle J. Lussier Nasal Cannu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22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5067B2 (en) Asymmetrical nasal delivery elements and fittings for nasal interfaces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US9205216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nasal cannula
US6012455A (en) Nasal air delivery apparatus
JP6580031B2 (ja) 呼吸装置用の患者接続器およびヘッドギア
US20060090760A1 (en) Release mechanism for masks
US8453649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nasal cannula
US20020046755A1 (en) Gas-supplying device
US20080078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for a breathing passage
EP2705811A2 (en) Apparatus for improved breathing
US10434274B2 (en) Device for securing a nasal cannula
US20140251340A1 (en) Patient interface device for being connected to a patient's respirato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20210001148A (ko) 캐뉼라 고정구
US10912911B2 (en) Device for securing a nasal cannula
EP3534851B1 (en) Apparatus for improved breathing
KR20160023259A (ko) 나잘 캐뉼라 홀더
CN219185022U (zh) 一种鼻插管固定装置
AU2007221908A1 (en) Release Mechanism for Masks
KR20160028175A (ko) 나잘 캐뉼라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