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19A -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19A
KR20210001119A KR1020190076705A KR20190076705A KR20210001119A KR 20210001119 A KR20210001119 A KR 20210001119A KR 1020190076705 A KR1020190076705 A KR 1020190076705A KR 20190076705 A KR20190076705 A KR 20190076705A KR 20210001119 A KR20210001119 A KR 2021000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ynthetic resin
manufacturing
resin pip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량
Original Assignee
김경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량 filed Critical 김경량
Priority to KR102019007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119A/ko
Publication of KR2021000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2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위권선구간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을 제조할 수 있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서 '」'자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단부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는 프로파일 제조단계(S10); 상기 프로파일의 표면에 대한 진공흡착을 통해 프로파일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사이징 단계(S20); 사이징 작업을 마친 프로파일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프로파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30); 및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관성형 단계(S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성형 단계(S40)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에 형성된 걸림단부가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권선구간의 사이로 용융된 접착용수지를 공급하여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의 사이에 위치한 걸림단부가 접착용수지에 매립되어 고정되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이 물리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ynthetic resin pipe having loosening preve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면에 걸림단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제조하고, 제조되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단부가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수지층에 매립되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이 견고히 결속되어 프로파일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 상수도관, 오수관, 폐수관 등은 지하에 매설되는 특성 상 어느 정도의 연성과 함께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 내화학성, 내수성이 요구되므로,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관은 토양에 존재하는 부식성 물질에도 녹이 슬거나 부패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지반에 매립되는 농수로, 오폐수 및 우수배관인 하수관로, 독성이 강한 폐수 등의 공업용 배관 등 여러 산업분야 및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일정한 단면 모양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나오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중대형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합성수지관 제조장치는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을 성형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나오는 프로파일이 목적으로 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를 거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목적으로 한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성형기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프로파일은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며, 중공형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따라 합성수지관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재료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합성수지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은 밋밋한 4개의 측면으로 둘러싸인 4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의 경우, 단위권선구간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된 '단위권선구간'은 관성형기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이 관성형기에 한 바퀴 감김으로 형성되는 구간이며, 프로파일은 나선형의 구조로 연속적으로 감기게 되므로, 결국 관성형기에는 다수의 단위권선구간이 형성되며, 이들 다수의 단위권선구간은 접착용수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합성수지관의 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이 접착용수지를 매개로 서로 결합됨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밋밋한 측면이 단순히 접착용수지를 매개로 서로 부착됨에 따라 내압이나 충격에 의해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의 결합력이 떨어지면서 나선형으로 감긴 프로파일이 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5812호(2015.12.31.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위권선구간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을 제조할 수 있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서 '」'자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단부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는 프로파일 제조단계(S10); 상기 프로파일의 표면에 대한 진공흡착을 통해 프로파일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사이징 단계(S20); 사이징 작업을 마친 프로파일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프로파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30); 및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관성형 단계(S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성형 단계(S40)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에 형성된 걸림단부가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권선구간의 사이로 용융된 접착용수지를 공급하여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의 사이에 위치한 걸림단부가 접착용수지에 매립되어 고정되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이 물리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의 표면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에서 관형성 단계(S40)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 단계(S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의 사이 틈새를 폐쇄하면서 합성수지관의 안쪽에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내층을 성형하는 내층 성형단계(S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과 내층의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를 개재시켜 프로파일과 내층의 사이에서 필름형 핫멜트가 용해되면서 프로파일과 내층의 접착을 유도하는 필름설치단계(S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권선구간에 형성된 걸림단부가 접착용수지에 매립되면서 고정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이 물리적으로 견고히 결속되므로, 나선형으로 감긴 프로파일이 내압이나 충격에 의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합성수지관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서 '」'자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단부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는 프로파일 제조단계(S10); 상기 프로파일의 표면에 대한 진공흡착을 통해 프로파일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사이징 단계(S20); 사이징 작업을 마친 프로파일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프로파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30); 및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관성형 단계(S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압출성형부(100), 사이징부(200), 냉각부(300), 관성형부(400)로 구성된 합성수지관 제조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합성수지관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분해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금형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출성형부(100)는 합성수지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0)을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걸림단부(12)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0)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출성형부(100)는 알갱이 형태의 합성수지 펠렛을 공급받아 용융시키는 압출기(110)와, 상기 압출기(110)로부터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받아 프로파일(10)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금형(12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압출금형(120)은 몸체부(11)와 걸림단부(12)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0)의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도록 이루어지며, 금형본체(121)와 중심다이(122) 및 외부다이(123)로 구성된다.
상기 금형본체(121)는 압출기(110)로부터 용융된 합성수지를 제공받는 유입구(1211)와, 상기 유입구(1211)를 통해 유입되는 합성수지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면서 분산되도록 하는 대기챔버(1212)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금형본체(121)는 대기챔버(1212)가 형성된 본체부(121a)의 일측에 상기 유입구(1211)를 형성하는 관체(121b)가 연결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기챔버(1212)는 본체부(121a)의 전면으로 개방되는 즉, 본체부(121a)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금형본체(121)에 의하면, 유입구(1211)를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는 본체부(121a)의 전면 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 중심다이(122)는 대기챔버(121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금형본체(121)에 결합되며, 프로파일(10)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재(1226)가 선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다이(122)는 제1중심다이(1221)와 제2중심다이(12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중심다이(1221)는 대기챔버(1212)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금형본체(121)에 결합되며, 대기챔버(1212)의 내주면과 마주한 채로 이격된 외주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중심다이(1221)의 선단에는 제2중심다이(1222)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1223)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223)로부터 제1중심다이(12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중심다이(1221)의 배면으로 연결되어 제1중심다이(1221)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공기유입로(1224)가 중심부에 형성된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제1중심다이(1221)의 후단부가 금형본체(121)를 관통하여 금형본체(121)의 뒤쪽으로 돌출되며, 이처럼 돌출된 후단부에 체결링(R)이 결합되어 제1중심다이(1221)가 금형본체(121)에 고정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중심다이(1222)는 제1중심다이(1221)의 선단에 결합되어 외부다이(123)와 함께 프로파일(10)의 압출 성형을 위한 압출공(H)을 형성하는 것으로, 선단에 상기 돌출부재(1226)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중심다이(1222)의 후단부에는 제1중심다이(1221)에 형성된 암나사부(1223)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225)가 형성되고, 수나사부(1225)가 암나사부(1223)에 완전히 체결된 경우, 제1중심다이(1221)와 제2중심다이(1222)는 연속된 하나의 원기둥 형태를 갖는 중심다이(122)를 형성하도록 제1중심다이(1221)의 외주면과 제2중심다이(1222)의 외주면은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재(1226)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모양을 가지며, 하나의 돌출부재(1226)가 제2중심다이(1222)의 중심부에 형성되거나, 다수의 돌출부재(1226)가 사각형이나 원형의 배열구조를 갖도록 제2중심다이(1222)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226)에는 프로파일(10)의 내부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공(1227)이 형성되며, 상기 분출공(1227)은 제2중심다이(1222)의 후단부로 연장되어 제1중심다이(1221)에 형성된 공기유입로(1224)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다이(123)는 중심다이(122)를 감싸면서 중심다이(122)와 함께 상기 압출공(H)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외부다이(1231)와 제2외부다이(12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외부다이(1231)는 대경부(1231a)와 소경부(1231b)의 2단 구조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대경부(1231a)가 후단부에 위치하여 금형본체(121)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소경부(1231b)는 금형본체(12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재(1226)를 감싸하면서 프로파일(10)의 압출을 위한 압출공(H)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압출공(H)은 돌출부재(1226)를 내부에 수용하며 사각형의 단면 모양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프로파일(10)의 몸체부(11)를 성형하는 제1압출영역(H1)과, 상기 제1압출영역(H1)의 좌우 양측에서 제1압출영역(H1)과 연속된 구조를 갖되 '」'자 형상의 단면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부(11)의 좌우양측에 걸림단부(12)를 형성하는 제2압출영역(H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외부다이(1232)는 제1외부다이(1231)를 금형본체(121)에 고정하는 것으로, 금형본체(121)에 결합된 대경부(1231a)를 가압한 채로 금형본체(12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외부다이(1232)는 원형의 링구조를 갖되, 상기 대경부(1231a)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제2외부다이(1232)를 관통하여 금형본체(121)에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에 의해 금형본체(121)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징부(200)는 압출성형부(100)로부터 압출 성형되어 나오는 프로파일(10)의 표면에 대한 진공흡착을 통해 프로파일(10)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제조공정순서를 기준으로 압출성형부(100)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사이징부(200)는 설계값에 따른 프로파일(1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는 틀이 구비되고, 프로파일(10)이 틀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진공흡착하여 당기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부(300)는 사이징부(200)를 거쳐 나오는 프로파일(10)의 냉각하는 것으로, 제조공정순서를 기준으로 사이징부(200)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냉각수의 분사를 통해 프로파일(10)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성형부(400)는 냉각부(300)를 지난 프로파일(10)을 나선형의 구조로 감아 관형태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조공정순서를 기준으로 냉각부(300)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성형부(400)는 다수의 회전봉(410)과, 가이드기구(420)와, 틈새노즐(43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봉(410)은 원형의 구조로 배열되게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다수의 회전봉(410)은 미도시된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원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봉(410) 외측에 프로파일(10)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합성수지관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기구(420)는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을 회전봉(410)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관성형부(4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관성형부(400)에 감기는 프로파일(10)이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구조로 감기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틈새노즐(430)은 관성형부(400)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10)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에 용융된 접착용수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틈새노즐(430)에 의해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 틈새가 메워지고 두 단위권선구간(1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출성형부(100)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파일(10)은 좌우 양측면에 걸림단부(12)가 형성되며, 이러한 프로파일(10)을 관성형부(400)에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에 형성된 걸림단부(12)가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충분히 큰 피치로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게 된다.
한편,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에 형성된 걸림단부(12)는 틈새노즐(430)에 의해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로 주입되는 접착용수지에 의해 매립되며, 이러한 상태로 접착용수지가 경화됨으로써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은 물리적으로 견고히 결속된다. 따라서 나선형으로 감긴 프로파일(10)이 내부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틈새노즐(430)에 의해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로 주입되는 접착용수지가 합성수지관의 안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합성수지관의 강도 및 내구성을 한 층 더 향상시키는 내층(20)을 형성하는 내층 성형노즐(440)이 상기 관성형부(4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층 성형노즐(440)은 수평한 일자형의 구조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압출하되,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과 회전봉(410)의 사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압출하면서 내층(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로파일(10)과 접착용수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표면 가열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가열부(500)는 냉각부(300)로부터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터널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를 지나는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510)가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510)는 프로파일(1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발열체(510)가 분산되게 설치되며,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가열부(500)에 의하면,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가열하여 연화시킴으로써, 프로파일(10)과 접착용수지 그리고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결합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결합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필름 공급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필름 공급부(600)는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의 저면에 필름형 핫멜트(30)를 공급하여 필름형 핫멜트(30)가 프로파일(10)과 함께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면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30)를 개재시키도록 구성되며,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 개재된 필름형 핫멜트(30)는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서 열에 의해 액상으로 전환되면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을 더욱 견고하게 접착시키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30은 압출금형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합성수지관 제조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제조단계(S10), 사이징 단계(S20), 냉각 단계(S30), 관성형 단계(S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 제조단계(S10)는 압출성형부(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압출기(110)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압출금형(120)으로 공급되고, 압출금형(120)으로 공급되는 합성수지가 중심다이(122)와 외부다이(123)에 의해 형성되는 압출공(H)을 통해 배출되면서 몸체부(11)와 걸림단부(12)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0)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사이징 단계(S20)는 압출성형부(100)로부터 압출되어 나오는 프로파일을 사이징부(200)로 투입하여 프로파일의 표면을 진공흡착하여 당김으로써, 프로파일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냉각 단계(S30)는 사이징부(200)를 거쳐 나오는 프로파일을 냉각부(300)로 투입하여 냉각수에 의해 프로파일을 냉각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관성형 단계(S40)는 관성형부(400)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10)에 형성된 걸림단부(12)가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10)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로 용융된 접착용수지를 공급하여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에 위치한 걸림단부(12)가 접착용수지에 매립되어 고정되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이 물리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에서 관형성 단계(S40)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 단계(S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단계(S45)는 냉각부(300)와 관성형부(400)의 사이에 구성되는 표면 가열부(500)를 프로파일(10)이 지나면서 가열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제조방법은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 틈새를 폐쇄하면서 합성수지관의 안쪽에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내층(20)을 성형하는 내층 성형단계(S41)와,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30)를 개재시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30)가 용해되면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접착을 유도하는 필름설치단계(S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층 성형단계(S41)는 내층 성형노즐(440)이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과 회전봉(410)의 사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수평한 일자형의 구조로 압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름설치단계(S42)는 접착필름 공급부(600)가 관성형부(400)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의 저면에 필름형 핫멜트(30)를 공급하여 필름형 핫멜트(30)가 프로파일(10)과 함께 관성형부(400)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파일 10`: 단위권선구간
11: 몸체부 12: 걸림단부
20: 내층 30: 필름형 핫멜트
100: 압출성형부 120: 압출금형
200: 사이징부 300: 냉각부
400: 관성형부 430: 틈새노즐
440: 내층 성형노즐 500: 표면 가열부
510: 발열체 600: 접착필름 공급부

Claims (4)

  1.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좌우 양측에서 '」'자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단부(12)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0)을 압출 성형하는 프로파일 제조단계(S10);
    상기 프로파일(10)의 표면에 대한 진공흡착을 통해 프로파일(10)이 설계값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유도하는 사이징 단계(S20);
    사이징 작업을 마친 프로파일(10)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프로파일(10)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30); 및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관성형 단계(S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성형 단계(S40)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10)에 형성된 걸림단부(12)가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10)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로 용융된 접착용수지를 공급하여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에 위치한 걸림단부(12)가 접착용수지에 매립되어 고정되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이 물리적으로 결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S30)를 거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에서 관형성 단계(S40)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 단계(S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10)을 나선형으로 감아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웃한 두 단위권선구간(10`)의 사이 틈새를 폐쇄하면서 합성수지관의 안쪽에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내층(20)을 성형하는 내층 성형단계(S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30)를 개재시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사이에서 필름형 핫멜트(30)가 용해되면서 프로파일(10)과 내층(20)의 접착을 유도하는 필름설치단계(S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20190076705A 2019-06-27 2019-06-27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20210001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05A KR20210001119A (ko) 2019-06-27 2019-06-27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05A KR20210001119A (ko) 2019-06-27 2019-06-27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19A true KR20210001119A (ko) 2021-01-06

Family

ID=7412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705A KR20210001119A (ko) 2019-06-27 2019-06-27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1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12A (ko) 2014-06-19 2015-12-31 유옥수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12A (ko) 2014-06-19 2015-12-31 유옥수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699B1 (ko) 폐플라스틱과 발포제를 이용한 충진관 제조장치
US86406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ly lining an elongate member
KR101059130B1 (ko)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KR20210001119A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20210001118A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제조장치
KR101979861B1 (ko)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1015326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2022358B1 (ko) 건축용 압출관
KR102030003B1 (ko) 폐플라스틱과 발포제를 이용한 충진관 제조방법
KR102003701B1 (ko)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충진관
KR101825978B1 (ko)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KR102062628B1 (ko)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KR20070102975A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102568004B1 (ko) 차수격벽을 갖는 다중벽관과 이의 제조장치
KR20050018867A (ko)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KR100974833B1 (ko) 견고한 차수벽을 갖는 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97430A (ko) 합성수지 사각봉을 이용한 나선형관 및 제조장치
KR101523006B1 (ko)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KR102247286B1 (ko) 건축용 압출관
KR102441884B1 (ko) 3중구조 중공충진벽관
KR101825977B1 (ko)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20200045888A (ko) 건축용 이중 압출관
KR100483141B1 (ko) 합성수지관 제조용 노즐장치
KR102062629B1 (ko) 3중구조 중공 충진벽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