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08U -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08U
KR20210001108U KR2020210001527U KR20210001527U KR20210001108U KR 20210001108 U KR20210001108 U KR 20210001108U KR 2020210001527 U KR2020210001527 U KR 2020210001527U KR 20210001527 U KR20210001527 U KR 20210001527U KR 20210001108 U KR20210001108 U KR 20210001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or
sterilization
sterilization cha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093Y1 (ko
Inventor
황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to KR2020210001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9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chem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살균실(10); 살균실(20)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20); 살균실(10)에 설치되며 건전지(B)가 연결되는 건전지끼우개(30); 자외선램프(20)로의 전원공급을 연결 및 해제하는 스위치(50); 살균실(10)을 운반할 수 있게 살균실(10)에 설치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저학년 아이들에게 만드는 재미와 흥미 및 관심도를 유발할 수 있고, 제작 후에는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할 수 있어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Teaching tools}
본 고안은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개별부품으로 제작된 살균기를 저학년의 아이들이 직접 조립해 보고 실험해 볼 수 있어 만드는 재미와 더불어 살균기의 원리를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램프의 자외선을 이용해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기가 보급되어 있다.
자외선 파장은 1nm ∼ 400nm라고 알려져 있는데, 파장의 성격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400nm-320nm)과 중파장 자외선(320nm-280nm) 및 단파장 자외선(280nm 이하)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를 검게 타게 하고, 세포증식억제, 생물의 유전자 파괴 등과 같이 생물에 유해하며, 이러한 성질에 의해 살균 기능 또는 탈취 기능 시에 이용된다.
상기 자외선은 254nm의 파장대와 185nm의 파장대가 가장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는 파장으로, 254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생물의 단백질을 공격하여 생물을 사멸시킴에 따라 현재 자외선 살균기에서 많이 사용되고, 185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산소를 오존으로 만들며 이렇게 만들어진 오존은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기의 살균원리를 저학년 아이들에게 이론교육을 한다 하더라도 저학년의 아이들이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더군다나 눈으로 직접 보여 주지 않는 이상 이를 이해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저학년 아이들에게 살균원리를 쉽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학습교구에 대한 필요성이 교육현장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221호(2017.05.16)
본 고안은 개별부품으로 제작된 살균기를 저학년의 아이들이 직접 조립해 보고 실험해 볼 수 있어 만드는 재미와 더불어 살균기의 원리를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연결구설치부가 상호 대향되게 일측에 마련된 직사각형상의 상판과, 연결구설치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런지설치부를 갖추고서 상판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전판 및 후판과, 상판의 양단에 각각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좌판 및 우판과, 플런지삽입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를 갖추고서 우판에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하판으로 구성되며, 전·후·좌·우판 및 하판을 각각 절곡하여 살균대상물을 덮을 수 있게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절곡된 하판에 의해 개구부가 일부 폐쇄되고, 절곡된 하판에 의해 살균대상물의 이동이 제한되는 살균실;
상기 개방된 개구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좌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게 살균실에 내설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하판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연결구설치부 사이에 배치되게 살균실에 내설되어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전지끼우개;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어 건전지로부터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치;
상기 한 쌍의 연결구설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구와, 연결구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연결핀과, 살균실을 운반할 수 있게 연결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파지부;로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저학년 아이들에게 만드는 재미와 흥미 및 관심도를 유발할 수 있고, 제작 후에는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할 수 있어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저면사시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것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정단면도이며, 도 2a 내지 도 2g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는, 살균실(10)과 자외선램프(20), 건전기끼우개(30), 스위치(40), 코끼리 모양의 종이(50) 및 손잡이(6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저학년 아이들이 살균기를 직접 제작 및 실험해 볼 수 있어 만드는 재미와 더불어서 그 구조와 원리를 쉽게 체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실(10)은 상자모형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종이재질의 전개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살균대상물(예: 휴대폰 등)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실(10)은 직사각형상의 상판(11)을 기준으로 전판(12)과 후판(13), 좌판(14) 및 우판(15)이 일체로 형성되며, 우판(15)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판(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11)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연결구설치부(1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판(12)과 후판(13)에는 플런지설치부(12a,13a)가 각각 형성되되, 플런지설치부(12a,13a)는 연결구설치부(11a)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플런지설치부(12a,13a)에는 이후 설명될 하판(16)의 플런지(16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전판(12)에는 연결구설치부(11a)와 플런지설치부(12a) 사이에 스위치설치부(12b)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스위치설치부(12b)는 후판(13), 좌판(14), 우판(15)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살균실(10)을 조립하는 방법은, 먼저 전판(12)과 후판(13)을 상판(11)과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절곡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좌판(14)과 우판(15)을 상판(11)과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절곡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해준다.
그리고 상기 좌판(14)과 우판(15)의 양단에 마련된 짜투리부분(도 2b 참조)을 절곡하고, 절곡된 짜투리부분에 접착수단(예:양면테이프, 본드, 풀 등)을 부착한 다음 접착수단을 매개로 전판(12)과 후판(13)의 내측면에 짜투리부분을 부착하여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살균실(10:도 2c 참조)을 완성한다.
한편, 상기 살균실(10)은 하판(16)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하판(16)은 살균대상물이 자외선램프(20)를 벗어나지 않게 살균대상물의 이동(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판(16)은 건전지가 하부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건전지의 떨어졌을 때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16)은 우판(15)에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플런지삽입부(12a,13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16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우판(15)과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판(16)을 단차지게 2단절곡하여 살균실(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플런지(16a)를 플런지삽입부(12a,13a)에 삽입하게 되면, 도 1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살균실(10)의 내측으로 배치된 하판(16)의 단부는 자외선램프(20)의 단부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살균실(10)로 테이블(T)에 배치된 살균대상물을 덮어주게 되면 테이블(T)로부터 상방으로 하판(16)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있는 살균대상물의 위치이동을 하판(16)이 제한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살균대상물의 위치가 변동된다고 하더라도 자외선램프(20)의 설치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줌에 따라 살균대상물이 살균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판(16)이 살균실(10)의 하단부 일부를 가려줌에 따라 건전지가 살균실(10)의 하부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고, 건전지가 떨어졌을 때 떨어진 건전지를 떠받치게 되므로 건전지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b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램프(20:ultraviolet rays LED)는 접착수단(예:양면테이프, 본드 등)을 매개로 살균실(10)에 설치되어 건전지(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살균대상물로 방출해 살균대상물을 살균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20)는 살균실(10)에 내설되고, 좀 더 명확하게는 상판(11)에 설치되며, 보다 명확하게는 연결구설치부(11a)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상판(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참고로, 자외선 파장은 1nm-400nm라고 알려져 있는데, 파장의 성격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400nm-320nm)과 중파장 자외선(320nm-280nm) 및 단파장 자외선(280nm 이하)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를 검게 타게 하고, 세포증식억제, 생물의 유전자 파괴 등과 같이 생물에 유해하며, 이러한 성질에 의해 살균 기능 또는 탈취 기능 시에 이용된다.
상기 자외선은 254nm의 파장대와 185nm의 파장대가 가장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는 파장으로, 254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생물의 단백질을 공격하여 생물을 사멸시킴에 따라 현재 자외선 살균기에서 많이 사용되고, 185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산소를 오존으로 만들며 이렇게 만들어진 오존은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도 1c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건전지끼우개(30)는 살균실(10)에 내설되어 자외선램프(20)와 스위치(40)가 건전지(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전지끼우개(30)는 자외선램프(20)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연결구설치부(11a)가 형성된 상판(11)에 배치되고, 건전지끼우개(30)에는 자외선램프(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B)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건전지(B)는 접착수단(예:양면테이프, 본드 등)을 매개로 연결구설치부(11a) 사이에 설치되어 건전지끼우개(3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자외선램프(20)와 건전지끼우개(30) 및 스위치(40)는 전선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살균실(10)은 재질이 종이이므로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외력에 쉽게 위치이동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일정한 중량을 갖는 건전지(B)가 해소해 줌에 따라 살균실(10)이 외력에 의해 쉽게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참고로, 상기 자외선램프(20)와 건전지(B)는 살균실(10)을 조립하기 전에 접착수단을 매개로 상판(1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살균실(10)을 조립한 이후에 접착수단을 매개로 상판(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40)는 살균실(10)에 설치되어 건전지(B)로부터 자외선램프(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치(40)는 살균실(10)을 구성하는 전판(12)의 스위치설치부(12b)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전선을 매개로 자외선램프(20)와 건전지끼우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a와 도 1b, 도 2c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코끼리 모양의 종이(50)는 살균실(10)의 외면 즉, 상판(11)의 상면에 접착수단(예:양면테이프, 본드 등)을 매개로 설치되어 저학년 아이들에게 만드는 재미와 더불어 제작 후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코끼리 모양의 종이(50)에는 연결구설치부(11a)와 상호 연통되는 구멍이 마련되며, 이 구멍에는 손잡이(60)를 구성하는 연결구(61)의 돌부(61a)가 관통되게 끼워진다.
도 1a과 도 1c, 도 2f 및 도 2g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60)는 살균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살균실(10)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면서 저학년 아이들에게 코끼리 모양의 종이(50)와 더불어 만드는 재미와 제작 후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60)는 한 쌍의 연결구(61)와 연결핀(62) 및 파지부(63)로 구성되며, 튜브(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구(61)는 서로 이격배치되게 살균실(10)을 구성하는 상판(11)의 연결구설치부(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핀(6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61)는 직육면체형상의 블록을 기준으로 상면에는 코끼리 상아와 같은 형상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연결부설치부(11a)에 대응되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연결구설치부(1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돌부(6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62)는 일종에 축으로, 한 쌍의 연결구(61)에 관통되게 끼워져 연결구(61)와 파지부(63)를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파지부(6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코끼리 코 모양을 제작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구(61)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핀(6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튜브(64)는 고무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구(61)의 일측으로 돌출된 연결핀(62)의 단부 외주면, 연결구(61)와 파지부(63) 사이로 노출된 연결구(61)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튜브(64)는 연결구(61)와 파지부(6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연결핀(62)의 이동에 따른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61)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핀(62)의 단부를 튜브(64)가 감싸 줌에 따라 아이들이 사용하는 과정에 피부가 긁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60)를 매개로 살균실(10)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실(10)로 살균대상물을 덮거나 살균대상물로부터 살균실(10)을 이탈시켜주는데 매우 용이하며, 특히 코끼리 모양의 종이(50)와 더불어 코리끼 상아 모양의 연결구(61)와 및 연결핀(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코끼리 코 모양의 파지부(63)를 통해 저학년 아이들에게 만드는 재미와 흥미 및 관심도를 유발할 수 있고, 제작 후에는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할 수 있어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것을 보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T)의 상면에 지우개, 휴대폰과 등과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가진 살균대상물(M)을 배치한 다음, 실험자는 손잡이(60)의 파지부(63)를 잡고 살균실(10)을 이동시켜 살균대상물(M)을 덮어준다.
상기와 같이 살균대상물(M)을 살균실(10)로 덮어준 상태에서 OFF 상태의 스위치(40)를 ON상태로 전환시켜주게 되면, 건전지끼우개(30)에 설치된 건전지(B)이 전원이 스위치(40)를 거쳐 자외선램프(20)로 공급되고, 자외선램프(20)는 건전지(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살균대상물(M)로 방출하며, 살균대상물(M)은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상기 살균대상물(M)의 살균처리가 완료되면, ON 상태의 스위치(40)를 OFF상태로 전환시켜 건전지(B)의 전원이 자외선램프(2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 다음 실험자는 파지부(63)를 잡고 살균대상물(M)을 덮고 있는 살균실(10)을 살균대상물(M)로부터 이탈시켜 준다.
본 고안은 저학년 아이들에게 만드는 재미와 흥미 및 관심도를 유발할 수 있고, 제작 후에는 학습교구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친숙함을 불러 일으키도록 할 수 있어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살균실 20: 자외선램프 30: 건전지끼우개
40: 스위치 50: 코끼리 모양의 종이 60: 손잡이
B: 건전지 M: 살균대상물 T: 테이블

Claims (2)

  1.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연결구설치부가 상호 대향되게 일측에 마련된 직사각형상의 상판과, 연결구설치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플런지설치부를 갖추고서 상판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전판 및 후판과, 상판의 양단에 각각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좌판 및 우판과, 플런지삽입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를 갖추고서 우판에 절곡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하판으로 구성되며, 전·후·좌·우판 및 하판을 각각 절곡하여 살균대상물을 덮을 수 있게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되되, 절곡된 하판에 의해 개구부가 일부 폐쇄되고, 절곡된 하판에 의해 살균대상물의 이동이 제한되는 살균실;
    상기 개방된 개구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좌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게 살균실에 내설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하판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연결구설치부 사이에 배치되게 살균실에 내설되어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전지끼우개;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어 건전지로부터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치;
    상기 한 쌍의 연결구설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구와, 연결구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연결핀과, 살균실을 운반할 수 있게 연결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파지부;로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양단부 그리고 연결구와 파지부 사이에 배치되게 연결핀에 각각 끼워져 연결구와 파지부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튜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KR2020210001527U 2019-07-01 2021-05-14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KR200496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27U KR200496093Y1 (ko) 2019-07-01 2021-05-14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86A KR20210002874A (ko) 2019-07-01 2019-07-01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KR2020210001527U KR200496093Y1 (ko) 2019-07-01 2021-05-14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86A Division KR20210002874A (ko) 2019-07-01 2019-07-01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08U true KR20210001108U (ko) 2021-05-24
KR200496093Y1 KR200496093Y1 (ko) 2022-11-03

Family

ID=741291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86A KR20210002874A (ko) 2019-07-01 2019-07-01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KR2020210001527U KR200496093Y1 (ko) 2019-07-01 2021-05-14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86A KR20210002874A (ko) 2019-07-01 2019-07-01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28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21B1 (ko) 2015-07-17 2017-05-16 박춘봉 자외선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596Y1 (ko) * 2004-03-12 2004-06-22 김대만 이중안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자외선 살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21B1 (ko) 2015-07-17 2017-05-16 박춘봉 자외선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74A (ko) 2021-01-11
KR200496093Y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995B2 (en) Handheld sanitizing device
ATE296589T1 (de) Implantierbare vorrichtung, enthaltend lebende zellen
KR100945407B1 (ko) 도서 소독기
CN109432477A (zh) 具有感应照明功能的空气循环紫外杀菌装置
KR200476335Y1 (ko) 살균 제습 케이스
USD535753S1 (en) Sterilization tray device
KR20210001108U (ko) 살균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구
US20230055756A1 (en) Sanitizing devices and methods
CN113142647A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电子烟收纳盒
CN210581003U (zh) 一种电子雾化设备及收容盒
CN210695977U (zh) 一种光触媒杀菌电子烟烟盒
CN209790437U (zh)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KR102231960B1 (ko) 오카리나 살균케이스
CN206261855U (zh) 紫外线杀菌消毒盒
CN219398746U (zh) 可充电式鼻炎仪
CN214073055U (zh) 一种带音响功能的消毒牙刷架
CN111840594A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电子雾化设备及收容盒
CN212997541U (zh) 一种紫外线消毒包
KR200391490Y1 (ko)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살균기
WO2021230415A1 (ko) 가방 또는 지갑용 수납물품 및 동전 살균기
CN209628639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电子烟
CN215449999U (zh) 一种羊羔恒温装置
CN214230220U (zh) 一种除菌消毒文具盒
CN210169928U (zh) 消毒杯及牙刷消毒组件
KR102384360B1 (ko) 휴대용 복합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89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8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15

Effective date: 202209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