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95U - 팽이 완구 세트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95U
KR20210001095U KR2020190004543U KR20190004543U KR20210001095U KR 20210001095 U KR20210001095 U KR 20210001095U KR 2020190004543 U KR2020190004543 U KR 2020190004543U KR 20190004543 U KR20190004543 U KR 20190004543U KR 20210001095 U KR20210001095 U KR 20210001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entral hole
toy set
protru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27Y1 (ko
Inventor
최효묵
Original Assignee
최효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묵 filed Critical 최효묵
Priority to KR2020190004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2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동도 사용 가능한 완구용 팽이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팽이몸체의 중심에서 위로 솟은 팽이축에, 상부로 개방된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팽이, 상기 중앙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팽이축의 외주면 둘레에 감기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팽이 완구 세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 세트{Top toy set}
본 고안은 아동도 사용 가능한 완구용 팽이와 관련된다.
팽이 완구는 회전하면서 서 있는 작동이 재미있어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인기가 있다. 그 유래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되었으며 거의 전 세계적으로 전래되어 왔다. 팽이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세워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식 자이로스코프가 발명되는 등 인류사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
전통적인 팽이치기는 짧은 막대 끝에 질긴 끈이 달린 팽이채를 이용하는 것으로, 팽이 둘레에 끈을 여러 번 감은 후 팽이채 끝을 잡고 팽이를 던져, 팽이를 회전시키면서 땅에 올려놓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전통 방식은 상당한 숙련을 요구하는 것으로 쉽게 배워 해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묵직한 팽이를 줄에 감아 던지게 되므로 초보자의 경우 안전 사고의 우려가 매우 크다. 따라서 전통 팽이치기는 실내에서 간단히 해볼 수 없는 놀이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4420호 (2015.01.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578호 (2002.03.06)
본 고안은 취급이 쉽고 잘 쓰러지지 않아 저연령에서도 실내에서 재미있게 가지고 놀 수 있는 팽이 완구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팽이몸체의 중심에서 위로 솟은 팽이축에, 상부로 개방된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팽이, 상기 중앙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팽이축의 외주면 둘레에 감기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팽이 완구 세트를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홀에 들어가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홀의 주변부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기 거치부는 상기 팽이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앙홀에 헐겁게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팽이몸체는 하단부가 지면에 접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서부터 회전 중심을 향하여 평면상 곡선을 이루는 한편 수평면으로부터는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휨벽이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된 회오리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휨벽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이상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오리날개부의 중심에는 원통 형상의 중심벽이 형성되고, 상기 휨벽의 내측 끝단은 상기 중심벽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저연령대에서도 다루기 쉬우며, 바람을 이용한 팽이 세우기를 통하여 흥미를 증진시키고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회오리날개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팽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펌프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와 관련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는 팽이(100), 파지부재(200) 및 끈부재(300)를 포함한다.
끈부재(300)는 굵은 실이나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팽이(100)에 10 회 전후 감겨질 수 있는 수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파지부재(200)는 팽이의 상단부에 임시로 끼워져 끈부재(300)를 당기기 전에 팽이(100)를 임시 고정하는 수단이다.
팽이(100)는 대략 뒤집은 원추형상의 팽이몸체(10)와, 팽이몸체(10)의 중심에서 위로 솟은 팽이축(20)을 포함한다.
팽이몸체(10)는 지면에 접하는 지지부(11)와, 지지부(11)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오리날개부(12)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지면에 접촉하는 뾰족한 하단부에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원추형상이다. 지지부의 하단부에는 쇠구슬(111)이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회오리날개부(12)는 지지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 하의 마감부재(121) 사이에 세워지는 복수의 휨벽(122)을 구비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휨벽(122)은 원형의 평면상에서 외주면으로부터 팽이의 회전 중심(G)을 향하여 곡선을 이루며 말리는 형상이다. 다수의 휨벽(122)이 회전 중심(G)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휨벽(122)의 수는 실시예별로 달라질 수 있다.
방사상으로 배치된 휨벽들(122)은 평면상에서 서로 접하지 아니함에 따라 이웃하는 휨벽들(122) 사이로 빈 공간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휨벽(122)의 내측 끝단은 회오리날개부(12)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벽(124)과 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중심벽(124)은 원통형 형상으로서 중앙은 비워진 형태로 원통형 공간부(123)를 형성한다. 중심벽(124)의 아래쪽은 지지부(11)가 마감부재(121)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중심부의 위쪽은 마감부재(121)를 통과한 팽이축(2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팽이는 바람이 휨벽(122)을 타고 유입되면서 휨벽(122)과 중심벽(124)을 충격하여 팽이를 원활하게 회전시킨다. 특히 약한 바람을 불어주더라도 바람의 힘이 온전히 전달되어 팽이가 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팽이가 회전함에 따라 바람이 유입된 지점이 이동하면서 유입된 바람이 유출되고 팽이의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휨벽(122)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달팽이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휨벽(122)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휨벽(122)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27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특히 휨벽(122)을 180도 이상의 회전하는 달팽이관 모양으로 구성하면 바람이 휨벽(122)을 따라 크게 회전하면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팽이의 회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휨벽(122)의 내측 끝단은 중심벽(124)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회전 중심(G)을 향하는 휨벽들의 내측 끝단부가 중심벽(124)에 이르지 아니함으로써, 회오리날개부(12)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휨벽들 사이의 틈(V)과 연결되는 슬릿 형상의 연결공간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휨벽(122)은 상하 방향으로는 수직을 이루고, 휨벽의 상부는 마감부재(121)가 덮어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공간부(125)가 형성된 경우 바람이 연결공간부(125)를 지나 각 휨벽(122)들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공간부(125)는 강한 바람을 불어줄 경우에도 팽이가 흔들리지 않고 잘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외주면 둘레에 끈부재(300)가 감기는 팽이축(20)은 회오리날개부(12)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운데에는 중앙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홀(21)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으며, 회오리날개부(12)의 중앙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부(123)와 연결된다.
한편 중심벽(124)에 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팽이에 휨벽(122)의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홀을 형성하면 유입된 바람의 일부는 중심벽(124)을 충격하고 다른 일부의 바람은 원통형 공간부(123)와 중앙홀(21)을 통해 배출되어 팽이가 흔들림이 적고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팽이축(20)의 상단에는 끈부재(300)가 감기는 하부보다 직경이 넓은 상판부(22)가 구비되어, 끈부재(300)를 좀 더 쉽게 감을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파지부재(200)는 팽이축의 중앙홀(21)에 삽입되는 거치부(30)와, 거치부(30)의 상부로 길게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부(40)를 포함한다.
거치부(30)는 하부로 연장되어 있어 중앙홀(21)에 들어가는 돌출부(31)와, 돌출부(31)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플랜지부(32) 및 손잡이부(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3)를 포함한다.
돌출부(31)의 직경은 중앙홀(21)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하여, 중앙홀(21)에 헐겁게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중앙홀(21)에 들어갔던 돌출부(31)가 쉽게 빠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플랜지부(32)는 돌출부(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중앙홀(21)의 주변과 접하여 돌출부(31)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진입하지 않게 한다.
연결부(33)는 플랜지부(32) 위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손잡이부(4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손잡이부(40)의 하단부는 연결부 내부로 들어가는 작은 직경의 원형봉으로 구비되고, 이러한 손잡이부(40)의 하단부와 연결부(3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B)이 개재된다. 이로써 거치부(30)는 팽이축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끈부재(300)를 팽이축(20) 외주면에 수 회 감은 상태에서, 팽이축(20)의 중앙홀(21)에 파지부재(200)의 돌출부를 끼운다. 팽이(100)는 지면에 세워진 상태에서 파지부재(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파지부재(200)의 손잡이부(4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끈부재(300)를 쥐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끈부재(300)를 잡아당겨 팽이(100)를 회전시키면서, 파지부재(200)를 들어올려 팽이(100)와 분리하여 팽이를 돌린다.
이때 거치부(30)가 손잡이부(40)에 대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서툰 저연령대 아동이라도 팽이(100)를 돌리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다.
즉 팽이(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끈부재(300)를 당기는 동작과, 파지부재(300)를 팽이(10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이 기민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팽이(100)와 함께 거치부(30)가 회전함으로써, 팽이(100)의 속도가 크게 떨어져 팽이 세우기에 실패할 확률이 낮아진다.
도 4를 참고하면, 팽이(100)를 더욱 빠르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오리날개부(12) 옆에서 바람을 불어줄 수 있다.
여기서 바람은 빨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 생성하거나 손에 쥐고 수축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고무 펌프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바람을 불어주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공기펌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공기펌프장치(400)는 수동 고무 펌프(50)와 거치대(60)를 포함한다. 수동 고무 펌프(50)는 수축이 가능한 고무 주머니(51)의 전방부에 노즐(54)이 형성된 공기토출관(52)이 구비되고 후방부에 흡기체크밸브(53)가 구비된 형태이다. 거치대(60)에는 이 수동 고무 펌프(5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거치대(60)는 배드부(61)와 후방측거치부(62) 및 전방측거치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방측거치부(62)는 배드부(61)의 일측에 상부로 세워지고 흡기체크밸브(53)가 구비된 고무 주머니(51)의 후방부가 끼워지는 끼움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거치부(63)는 배드부(61)의 타측에 상부로 세워지며, 공기토출관(52)이 돌출된 고무 주머니(51)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장착부(6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100)의 배드부(10)에는 굴림 가능한 바퀴부재(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펌프장치(400)를 사용함으로써 저 연령층대의 어린이도 팽이(100)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해 수동 고무 펌프(50)를 손쉽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토출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공기펌프장치(400)는 상술한 팽이 완구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회전하는 팽이(100)의 옆에서 비스듬히 불어낸 바람은 휨벽들(122) 사이의 틈(V)으로 들어가면서 팽이(100)를 더 빠르게 회전시키게 된다. 비스듬히 불어준 바람은 휨벽(122)의 벽면을 팽이(100)의 회전 방향에 맞춰 밀어준다.
회전 속도가 오른 팽이(100)는 다시 곧추서게 되어 지속적인 팽이 돌리기가 진행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완구 세트는 실내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으며, 저연령대에서도 안전하게 갖고 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팽이치기를 대체하여 바람을 이용하여 팽이를 돌려 세움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바람을 불어주는 각도에 따른 팽이의 거동을 관찰하여 효과적인 바람 방향과 팽이 거동의 상관관계 학습을 통한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여 팽이의 위치를 조종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팽이와 부딪치면서 팽이 싸움을 하는 식으로 놀이 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팽이 완구 세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팽이 G : 회전 중심
10 : 팽이몸체 11 : 지지부 111 : 쇠구슬
12 : 회오리날개부 121 : 마감부재 122 : 휨벽
V : 틈 123 : 원통형 공간부 124 : 중심벽 125 : 연결공간부
20 : 팽이축 21 : 중앙홀 22 : 상판부
200 : 파지부재
30 : 거치부 31 : 돌출부 32 : 플랜지부 33 : 연결부
40 : 손잡이 부 B : 베어링
300 : 끈부재
400 : 공기펌프장치
50 : 수동 고무 펌프
51 : 고무 주머니 52 : 공기토출관 53 : 흡기체크밸브 54 : 노즐
60 : 거치대
61 : 배드부 62 : 후방측거치부 621 : 끼움부
63 : 전방측거치부 631 : 장착부 64 : 바퀴부재

Claims (6)

  1. 팽이몸체의 중심에서 위로 솟은 팽이축에, 상부로 개방된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팽이,
    상기 중앙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팽이축의 외주면 둘레에 감기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팽이 완구 세트.
  2. 제1항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홀에 들어가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앙홀의 주변부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기 거치부는 상기 팽이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
  3. 제2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앙홀에 헐겁게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
  4. 제1항에서,
    상기 팽이몸체는
    하단부가 지면에 접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서부터 회전 중심을 향하여 평면상 곡선을 이루는 한편 수평면으로부터는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휨벽이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된 회오리날개부를 포함하는
    팽이 완구 세트.
  5. 제4항에서
    상기 휨벽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이상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세트.
  6. 제4항에서,
    상기 회오리날개부의 중심에는 원통 형상의 중심벽이 형성되고, 상기 휨벽의 내측 끝단은 상기 중심벽과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팽이 완구 세트.
KR2020190004543U 2019-11-13 2019-11-13 팽이 완구 세트 KR200495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43U KR200495627Y1 (ko) 2019-11-13 2019-11-13 팽이 완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543U KR200495627Y1 (ko) 2019-11-13 2019-11-13 팽이 완구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95U true KR20210001095U (ko) 2021-05-24
KR200495627Y1 KR200495627Y1 (ko) 2022-07-08

Family

ID=7614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543U KR200495627Y1 (ko) 2019-11-13 2019-11-13 팽이 완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2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45Y1 (ko) * 1988-04-07 1990-07-16 이동희 유아용 자동 목마
KR19980015786U (ko) * 1996-09-12 1998-06-25 조양규 팽이
KR200268578Y1 (ko) 2001-01-30 2002-03-16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팽이 완구
KR200330754Y1 (ko) * 2003-04-02 2003-10-22 김성식 팽이
KR101484420B1 (ko) 2013-12-18 2015-01-19 이규휘 팽이완구
JP2015231489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発射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345Y1 (ko) * 1988-04-07 1990-07-16 이동희 유아용 자동 목마
KR19980015786U (ko) * 1996-09-12 1998-06-25 조양규 팽이
KR200268578Y1 (ko) 2001-01-30 2002-03-16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라 팽이 완구
KR200330754Y1 (ko) * 2003-04-02 2003-10-22 김성식 팽이
KR101484420B1 (ko) 2013-12-18 2015-01-19 이규휘 팽이완구
JP2015231489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発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27Y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83603A (en) Projectile for erratic flight
US3350097A (en) Ball target with multi-directional discharge openings
US3502335A (en) Orbiting and soaring skill toy
US20050282665A1 (en) Killer applications of golh, golfishing, golfrisbee, golfball, basedisc, golfrisbee basket
US20090011870A1 (en) Baseball toy with tail
US6135455A (en) Disk toss and peg game
US20140091525A1 (en) Bean Bag Toss Device with Raised Exterior Lip and Elevated Central Section
US611504A (en) Game apparatus
US3069804A (en) Cartwheeling stick
US4813680A (en) Game with liquid solution release device
CN108786070A (zh) 一种兵乓球智能训练器材
US9707472B2 (en) Tethered ball toy
US4600398A (en) Spinning toy
US4019738A (en) Game device and game
US4611812A (en) Ball game goal
KR200495627Y1 (ko) 팽이 완구 세트
US20160367878A1 (en) Flexible tether ball
US5348307A (en) Paddle game apparatus
US3003766A (en) Amusement device or game
US4757996A (en) Paddle ball game
US7789394B2 (en) Swinging horseshoe game
US20180280776A1 (en) Competitive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3539186A (en) Combined lift stick and ball
US1846412A (en) Game apparatus
US4194316A (en) Self balancing diabolo top with attachment for vertical spi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