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31A -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31A
KR20210001031A KR1020190076444A KR20190076444A KR20210001031A KR 20210001031 A KR20210001031 A KR 20210001031A KR 1020190076444 A KR1020190076444 A KR 1020190076444A KR 20190076444 A KR20190076444 A KR 20190076444A KR 20210001031 A KR20210001031 A KR 2021000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y coaxial
coaxial cabl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31A/ko
Publication of KR2021000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8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near field of leaky cables, e.g. of leaky coaxial cables
    • H04B5/00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In-building) 환경 등 통상적인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포설작업을 최소화하며 4x4 MIMO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aky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물 내부(In-building) 환경 등 통상적인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포설작업을 최소화하며 MIMO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In-building) 또는 지하공간 환경 등 통상적인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종래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예는 누설동축케이블(140')의 일단에 RRH 등의 무선중계노드(110')를 연결하여 경우 단일 신호 송수신(SISO, Single-Input Single-Output)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시스템(100')를 구성할 수 있으나, 최근 많이 사용되는 4세대 이후, 예를 들면 4세대 이동통신 LTE(Long-term evolution) 무선통신시스템 등에서는 통신 데이터량 또는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하여 다중 신호 송수신(MIMO, Multi-Input Multi-Output) 통신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누설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MIMO 무선통신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무선중계노드(110')에 SISO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를 연결하여 다중 신호 송수신 무선통신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시스템(100')은, 무선통신망 전체에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포설한다. 따라서, 무선통신망 전체에 다중 신호 송수신 무선통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가의 누설동축케이블 자체의 비용 및 이를 포설하는 위 방법은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무선통신시스템(100')은 하나의 누설동축케이블(140')의 양단에 무선중계노드(110')를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여 MIMO 무선통신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주파수 분할방식인 FDD(Frequency-Division Duplex) 네트워크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하나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한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한 시분할 방식인 TDD(Time Division Duplex) 네트워크에는 MIMO 무선통신시스템을 구현하기 어려워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In-building) 환경 등 통상적인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포설작업을 최소화하며 MIMO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 개의 노드용 포트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구비하며, 복수의 신호들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로 상호 변환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안테나용 포트에 폐루프를 구성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를 통해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입력 받고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통해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통해 입력 받아 분배된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를 통해 상기 무선중계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는 각각 4개가 구비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2개가 구비되어 4x4 MIMO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중첩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설치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상기 누설동축케이블 각각이 상기 3부분 중 1부분에서 중첩 영역이 존재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누설동축케이블 각각은 4개의 안테나용 포트 중 인접하지 않은 2개의 안테나용 포트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와 해당 누설동축케이블 사이에 감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FDD(Frequency-Division Duplex) 네트워크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N x N (N은 2n, n은 2 이상의 자연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 폐루프를 구성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N/2 개의 누설동축케이블; 상기 무선중계노드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송하거나,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수의 분배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중계노드로 전송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하면 건물 내부(In-building) 등 통상적인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포설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MIMO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4x4 MIMO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누설동축케이블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포설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과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종래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은 무선중계노드(110), 커플러(coupler)(120),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감쇄기(attenuator)(130) 및 MIMO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누설동축케이블(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설동축케이블(140)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된 RF 신호 누설용 슬롯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형 건물이나 건물 내부, 지하, 터널 안 등 외부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에 안테나 보다는 누설동축케이블(140)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효율적인 MIMO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최소화하면서도, 복수 개(2개, 3개, 4개 등)의 누설동축케이블(140)에 의한 다양한(2x2, 4x4, 8x8 등) 다중 MIMO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였다.
결국,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N x N (N은 2n, n은 2 이상의 자연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가 구비되어, N x N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구현하는 경우, 폐루프(closed-loop)를 구성하며 커플러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의 개수는 N/2 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무선중계노드(110)는 이동통신망(WCDMA, LTE, 5G 등의 장비)과 이동통신단말기(10) 사이의 데이터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노드로서, 이동통신 중계기일 수 있으며, RRH(Remote Radio Head), RRU(Remote Radio Unit) 등, 교환국사나 기지국사(DU, Digital Unit)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무선중계노드(11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장비로 구성된다.
다양한(2x2, 4x4, 8x8 등) 다중 MIMO 이동통신 구현을 위하여, 상기 무선중계노드(110)는 그에 따른 2x2, 4x4 또는 8x8 다중 MIMO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4x4 MIMO 무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중계노드(110) 역시 4x4 MIMO 송/수신(TX1/RX1 내지 TX4/RX4)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은 복수의 신호들을 결합 하거나,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커플러(12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120)는 복수의 노드용 포트(121)를 통해 무선중계노드(110)와 연결되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를 통해 폐루프를 구성하는 누설동축케이블(140)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러는 신호의 전력을 균등 분배하고 각기 90° 위상차를 갖는 하이브리드 커플러 (Hybrid coupler)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안테나용 포트(122)와 누설동축케이블(140) 사이에 감쇄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쇄기(130)는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 중 적어도 하나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의 길이 또는 커플러(120)와 누설동축케이블(140)의 끝단 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감쇄기(130)는 유입되는 신호를 감쇄하여 장비로 유입되는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120)의 포트간 신호 간섭이 허용되는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수준은 20dB 이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러(120)는 복수의 노드용 포트(121)를 통해 무선중계노드(110)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예, Tx1, Tx2, Tx3, Tx4)을 입력 받고 이들을 결합(합성)한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생성하여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를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120)는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을 매개로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를 통해 입력 받아 분배된 신호들(예, Rx1, Rx2, Rx3, Rx4)을 복수의 노드용 포트(121)를 통해 무선중계노드(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커플러(120)는 복수의 대역(예, 800MHz, 900MHz, 1800MHz 2000MHz 등)의 신호들을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광대역의 다중대역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120)는 복수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서로 위상 차이를 갖도록 한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생성하여 복수의 노드용 포트(121)를 통해 MIMO 신호로서 누설동축케이블(1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를 통해 수신된 MIMO 신호들(예, Rx1, Rx2, Rx3, Rx4)을 복수의 노드용 포트(121)를 통해 무선중계노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플러(120)는 4x4 입출력 포트, 즉, 입력측 노드용 포트(121) 4개, 출력측 안테나용 포트(122) 4개를 갖는 커플러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 포트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커플러(120)의 입출력 포트는 각각 8개 또는 16개씩 구비되어 8x8 또는 16x16 MIMO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커플러(120)에는 복수 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이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안테나용 포트(122)에 2개의 폐루프를 구성하는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플러(120)가 4x4 커플러인 경우에 4x4 MIMO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110); 상기 무선중계노드(110)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 개의 노드용 포트(121)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를 구비하며, 복수의 신호들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로 상호 변환하는 커플러(120); 상기 커플러(120)의 안테나용 포트(122)에 폐루프를 구성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된 무선중계노드(110), 및 이동통신단말기(10)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사이에서, 신호연결을 위한 4x4 커플러(12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120)의 4개의 포트(122)에 연결된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은 각각 폐루프를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각각이 4개의 안테나용 포트(122)에 연결되어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자체적으로 MIMO 안테나로 작용하지만, 4x4 MIMO 무선통신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4개의 양방향 안테나가 요구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은 상호 중첩구간(143)이 형성되도록 포설되어, 위치에 따라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모두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설동축케이블(140)의 설치 영역(S) 또는 서비스 영역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도 4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 중 위에서부터 제1포트와 제3포트에 연결된 누설동축케이블(140a)의 폐루프가 위쪽 2S/3 영역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122) 중 위에서부터 제2포트와 제4포트에 연결된 누설동축케이블(140b)의 폐루프가 아래쪽 2S/3 영역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중 제1 누설동축케이블(140a) 및 제2 누설동축케이블(140b)은 상호 중첩된 영역(143) 및 상호 중첩되지 않은 영역(141, 1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141, 143, 145)은 근접한 양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므로 4x4 MIMO 존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을 커플러(120)에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연결하되 중첩영역을 형성하도록 포설하는 이유는 모든 통신 영역(141, 143, 145)에서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는 방법으로 음영 지역을 최소화하여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이 포설된 전 영역이 4x4 MIMO 존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각각의 모든 통신 영역(141, 143, 145)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는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까지의 거리가 대략 비슷하여 그 위치와 관계없이 음영 지역이 최소화되며, 4x4 MIMO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을 커플러(120)에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연결하되 중첩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통신 영역의 면적은 그 편차가 최소화 되도록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누설동축케이블(140a, 140b)이 겹치지 않으며 폐루프를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폐루프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는 해당 폐루프를 구성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이 아닌 다른 누설동축케이블까지의 거리가 멀어 4x4 MIMO 무선통신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1 누설동축케이블(140a)은 상기 커플러(120)의 안테나용 포트(122)의 2개의 포트(예, 제1포트와 제3포트를 포함한 2개의 포트)를 통해 폐루프를 구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누설동축케이블(140b)은 상기 커플러(120)의 안테나용 포트(122)의 2개의 포트(예, 제2포트와 제4포트를 포함한 2개의 포트)를 통해 폐루프를 구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누설동축케이블 각각은 4개의 안테나용 포트(122) 중 인접하지 않은 안테나용 포트(122) 중 2개의 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통신망(WCDMA, LTE, 5G 등의 장비)과 이동통신단말기(10) 사이의 데이터의 4x4 MIMO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하나의 무선통신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00)에 따르면, 대형 건물이나 건물 내부 등 통상적인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커플러에 복수 개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폐루프를 형성하며 포설하되, 복수 개의 누설동축 케이블이 중첩영역을 형성하면, 포설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최소화 하면서도, 복수조의 누설동축케이블에 의한 다양한 (2x2, 4x4, 8x8 등) MIMO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4x4 MIMO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종래에는 4개의 누설동축케이블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누설동축케이블의 사용량을 1/2로 하여 동일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포설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을 폐루프 형태로 복수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 및 복수의 주파수 결합 신호, 예를 들면 동일 주파수와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 상호 변환하는 커플러에 접속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동일 주파수를 전제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이동통신단말기
100 : 무선통신시스템
110: 무선중계노드
120: 커플러
121: 노드용 포트
122: 안테나용 포트
130: 감쇄기
140: 누설동축케이블

Claims (10)

  1.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 개의 노드용 포트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이 입출력 되는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구비하며, 복수의 신호들 및 복수의 결합 신호들로 상호 변환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안테나용 포트에 폐루프를 구성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를 통해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입력 받고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통해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를 통해 입력 받아 분배된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를 통해 상기 무선중계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용 포트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는 각각 4개가 구비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2개가 구비되어 4x4 MIMO 시스템을 구현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중첩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설치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상기 누설동축케이블 각각이 상기 3부분 중 1부분에서 중첩 영역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누설동축케이블 각각은 4개의 안테나용 포트 중 인접하지 않은 2개의 안테나용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포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와 해당 누설동축케이블 사이에 감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FDD(Frequency-Division Duplex) 네트워크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0.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의 N x N (N은 2n, n은 2 이상의 자연수) 다중 신호 송수신(MIMO)을 중계하는 무선중계노드;
    폐루프를 구성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N/2 개의 누설동축케이블;
    상기 무선중계노드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중계노드로부터 복수의 신호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결합 신호들을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송하거나,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수의 분배된 신호들을 상기 무선중계노드로 전송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KR1020190076444A 2019-06-26 2019-06-26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20210001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44A KR20210001031A (ko) 2019-06-26 2019-06-26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44A KR20210001031A (ko) 2019-06-26 2019-06-26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31A true KR20210001031A (ko) 2021-01-06

Family

ID=7412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44A KR20210001031A (ko) 2019-06-26 2019-06-26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3406B (zh) 中继站及使用该中继站的无线通信系统
CA2221560C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evice coupling distribution of antennas to plurality of transceivers
JP2021510267A (ja) マルチウェイスイッチ、無線周波数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CN104054278A (zh) 点对多点微波通信
US10680790B2 (en) Antenna system
JP2016529837A (ja) 全二重中継装置
CN104067534A (zh) 无线通讯网络
RU2695102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1133632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a multi-antenna environment
US20160261308A1 (en) Architecture for cancelling self interference and enabling full duplex communications
CN108933609B (zh) Tdd/fdd可配置装置、方法、射频模块及通信设备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191030A1 (en) Leaky cable communication
US20220271908A1 (en) Tdd (time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CN103874076A (zh) 基站
US7146131B2 (en) Antenna apparatus of relay system
KR102455651B1 (ko) 전이중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릴레이
KR20210001031A (ko)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CN106025500B (zh) 利用解耦网络的多重天线
US20220200690A1 (en) Repeater system
US111339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69268B2 (en) Multiple device to one-antenna combining circuit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3563167A (zh) 无线通信系统中的节点,该节点具有不同的功能模式
US20220271907A1 (en) Multiband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KR100936000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기반의 인-빌딩 rf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