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04U - Bee br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ee br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04U
KR20210001004U KR2020190004393U KR20190004393U KR20210001004U KR 20210001004 U KR20210001004 U KR 20210001004U KR 2020190004393 U KR2020190004393 U KR 2020190004393U KR 20190004393 U KR20190004393 U KR 20190004393U KR 20210001004 U KR20210001004 U KR 20210001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unit
buoyancy
housing
groove
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규
Original Assignee
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규 filed Critical 정영규
Priority to KR2020190004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04U/en
Publication of KR20210001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0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꿀벌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먹이 배출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부가 사양액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벌 사양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조절부의 부력부의 승하강에 의해 사양액(2)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부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되는 부분에 사양액이 묻지 않도록 하여 부력부의 고착을 방지하며, 차단벽으로 인해 꿀벌이 생성한 프로폴리스에 의해 사양액의 통로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feeding machine, in particular, a bee specification regulator that can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food discharged and prevents the control section from being fixed by the feeding liqu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ing liquid (2 ), the water level of the buoyant part can be adjusted, and the part that slides so that the buoyancy part is elevated is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buoyant part, and the passage of the feeding liquid is prevented by the propolis generated by the bees due to the barrier wa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logging problems.

Description

꿀벌사양기 {Bee breeding apparatus}Bee breeding apparatus

본 고안은 꿀벌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먹이 배출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부가 사양액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벌 사양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 feeding machine, and in particular, to a bee feeding regulator that can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food discharged, and prevents the control portion from being fixed by the feeding liquid.

일반적으로, 양봉은 왕유, 벌꿀, 화분, 밀랍 등을 생산하기 위해서 벌을 사양하는 것으로, 벌을 벌통에서 사육함으로써 상기 생산물을 얻는다.In general, beekeeping is to refrain from bees in order to produce royal oil, honey, pollen, beeswax, and the like, and the product is obtained by rearing bees in a hive.

벌통은 기본통 하나로 구성되는 단상형 벌통과 기본통에 상하단이 트인 벌통을 하나 더 적치한 계상형 벌통이 있으며, 최근에는 대량 생산에 알맞은 계상형 벌통이 주를 이루고 있다.There are single-bed type beehives consisting of one basic hive, and one more hives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in the basic hive. Recently, hierarchical beehive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re dominated.

이때 벌통에는 양봉업자가 벌에게 먹이(사양액)를 공급하기 위한 사양기를 설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a beekeeper installs a feeding machine in the beehive to supply food (supplement) to the bees.

본 고안자는 꿀벌 사양을 위한 장치로 실용신안출원 제20-2017-0002417호, 제20-2018-0006029호와 같은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techniques such as utility model application Nos. 20-2017-0002417 and 20-2018-0006029 as devices for bee specific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사양액에 의해 조절부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djustment part from being fixed by the feeding liqu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봉하는 벌통에 설치하여 벌(3)에 먹이인 사양액(2)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꿀벌사양기(1)로, 몸체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부터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형의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의 말단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조절부(10)와 상기 조절부(10)의 일측에 설치된 차단벽(4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가 개방된 개방면(21)이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평면의 하우징정면(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40)에는 사양액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4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10)는 상면의 조절부상면(110)과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 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면부(120)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면부(130)와 상기 조절부상면 아래쪽에 위치한 부력부(14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가이드(15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가이드(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상면, 좌측면부, 우측면부에 의해 조절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부력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상면(110)에는 공급관(30)의 말단과 연결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봉이,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봉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111)은 조절부상면(110)의 위에서 조절부(10)의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의 우측면에는 홈형태의 좌측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부(130)의 좌측면에는 홈형태의 우측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관(111)의 하측 말단과 대응하여 폐쇄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140)의 폐쇄부(141)의 양측에는 경사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 정면과 배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43)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가이드(15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봉(112)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우측가이드(16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봉(113)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부력부에 의해 유입관(111)이 폐쇄되는 사양액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bee feeding machine (1) for adjusting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2) fed to the bee (3) by installing in a beehive for beekeeping, and a housing that forms the body and accommodates the rest of the body. (20) And the tubular supply pipe 30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ly pipe 30, the adjustment unit 10 and the adjustment unit 10 install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barrier wall 4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housing has an open surface 21 with an open top portion, a flat housing front 22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barrier wall 40 has specifications A discharge port 41 in the form of a hole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be discharged is formed, and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on the upper surface and a left surfac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120) And the right side 1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the buoyancy unit 140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and a left guide 15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unit ) And a right guide 16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buoyancy par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adjusting part 10 by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the left part, and the right part, An inlet pipe 11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ly pipe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and a left bar extending downward is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A right rod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let pipe 111, and the inlet pipe 111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110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adjusting part 10, and the right side of the left-side part 120 has a groove shape. The left groove 121 is formed, a groove-shaped right groove 131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side portion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unit 1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losing portion 141 is formed, inclined portions 1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ing portion 141 of the buoyancy portion 140, and the upp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oyancy portion 140 A protruding wall 143 extending to the top is formed, and the left guide 150 slides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bar 112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adjustment unit is inserted, and the right guide 160 is It slides up and down with the right bar 113 of the upper surface 110 inserted,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1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130 It is installed at an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pace between the right side portion 130 and the housing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evel of the water supply liquid at which the inlet pipe 111 is closed by the buoyancy portion.

또한 부력부의 정면부와 배면부에는 골형태의 배출로(144)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ne-shaped discharge path 144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uoyancy unit.

또한 조절부(10)의 내측 수용공간에 조절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부(10)의 조절부상면, 좌측면부, 우측면부가 하우징과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djusting part of the adjusting part 1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so that air outside the adjusting part does not flow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adjusting part 10.

본 고안은 조절부의 부력부의 승하강에 의해 사양액(2)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부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되는 부분에 사양액이 묻지 않도록 하여 부력부의 고착을 방지하며, 차단벽으로 인해 꿀벌이 생성한 프로폴리스에 의해 사양액의 통로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is design can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feeding liquid 2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uoyancy part of the adjusting part, and prevents sticking of the buoyant part by preventing the liquid from adhering to the part that slides so that the buoyancy part is elevated and lowered, and the barrier wall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passage of the feeding liquid is blocked by the propolis produced by the bee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측면방향의 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정면방향에서 사용상태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front direction of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실시예인 꿀벌사양기(1)는 양봉하는 벌통에 설치되어 꿀벌(3)에 사양액(2)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공급관(30), 조절부(10), 차단벽(40)을 포함한다.The bee feeding machine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eehive for beekeeping to supply the feeding liquid 2 to the bees 3, and as shown in Figs. 1 to 2, the housing 20, the supply pipe ( 30), the control unit 10, and includes a blocking wall (40).

하우징(20)은 몸체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상면부가 개방된 개방면(21)이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평면의 하우징정면(22)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하우징배면이 형성된다.The housing 20 is a part that forms a body and accommodates the rest, and has an open surface 21 with an open top, a flat housing front 22 on the front, and a housing rear on the rear. .

공급관(30)은 하우징의 상부부터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형의 부분으로 상부에서는 사양액을 별도의 관이나 주입기 등으로 주입할 수 있으며, 하부 말단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조절부(10)에 연결되어 조절부(10)의 개폐에 의해 공급관(30)을 통해 사양액의 유입이 제어된다.The supply pipe 30 is a tubular part that extends from the top of the housing to the inside, and at the top, it is possible to inject the liquid with a separate tube or an injector, and the low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Thus, the inflow of the feed solution through the supply pipe 30 is controlled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unit 10.

조절부(10)는 공급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사양액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하우징 내측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안쪽의 좌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도록 하여 꿀벌이 조절부와 하우징 사이에 프로폴리스로 접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djusting part 10 is a part that adjusts the feeding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pipe 30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housing, and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be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and the housing. It can prevent adhesion with propolis between.

상기 조절부는 상면의 조절부상면(110)과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 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면부(120)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면부(130)와 상기 조절부상면 아래쪽에 위치한 부력부(14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가이드(15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가이드(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상면, 좌측면부, 우측면부에 의해 조절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부력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상면(110)에는 공급관(30)의 말단과 연결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봉이,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봉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111)은 조절부상면(110)의 위에서 조절부(10)의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의 우측면에는 홈형태의 좌측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부(130)의 좌측면에는 홈형태의 우측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관(111)의 하측 말단과 대응하여 폐쇄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140)의 폐쇄부(141)의 양측에는 경사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 정면과 배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43)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가이드(15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봉(112)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우측가이드(16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봉(113)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부력부에 의해 유입관(111)이 폐쇄되는 사양액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게 하여 우측면부의 하단 간격이 항상 사양액에 의해 공기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adjusting part is the adjusting part top surface 110 of the upper surface, the left side par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adjusting part top surface 110, and the right sid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adjusting part top surface 110 It consists of (130) and a buoyancy part 140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part, a left guide 15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and a right guide 16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and the adjustment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buoyancy part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adjustment part 10 by the floating surface, the left surface part, and the right surface part, and the inlet pipe 11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ly pipe 30 on the control part upper surface 110 ) Is formed, and a left bar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art top surface 110, and a right bar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part top surface 110, and the inlet pipe 111 is formed on the control part. It extends from the top of the surface 110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djustment unit 10, a groove-shaped left groove 121 is formed on the right surface of the left surface portion 120,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left surface of the right surface portion 130. A right groove 131 of the shape is formed, and a closing part 141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140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111, and a closed part of the buoyancy part 140 Inclined portions 1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141, protruding walls 143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oyancy unit 140 are formed, and the left guide 150 is formed on the adjustment unit. The left bar 112 of the surface 110 slides up and down with the inserted state, and the right guide 160 slides up and down with the right bar 113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adjustment part inserted,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part 1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part 130 is installed at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side part 130 and the housing The inlet pipe 111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closed liquid by the buoyancy part, so that the gap at the bottom of the right side always prevents air inflow by the liquid.

상기의 우측가이드와 좌측가이드 부력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사양액의 배출경로와 떨어져 있고 수위보다 높기 때문에 사양액이 묻지 않으며, 따라서 우측가이드와 좌측가이드가 우측봉과 좌측봉에 각각 고착되지 않게 한다.It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of the right and left guides, and it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th of the feed solution and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so that the feed solution does not adhere, so that the right guide and the left guide do not stick to the right bar and the left bar, respectively.

한편 상기 부력부(140)의 정면부와 배면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골형태의 배출로(144)가 형성되게 하여 사양액이 부력부의 정면부와 배면부에 묻어서 정면부와 배면부가 하우징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uoyancy unit 140 are formed with a valley-shaped discharge path 144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water supply is buri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uoyancy unit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fixed to the housing. prevent.

아울러 상기 좌측면부(120)의 우측면에는 홈형태의 좌측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부(130)의 좌측면에는 홈형태의 우측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가이드(150)의 일측부에는 좌측날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가이드(160)의 일측부에는 우측날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날개부(151)는 상기 좌측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우측날개부(161)는 상기 우측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사양기가 경사진 땅에 설치되어 부력부가 기울면서 가이드(150,160)가 봉(112,113)을 슬라이드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력부가 좌우로 편측되는 것을 방지해준다.In addition, a groove-shaped left groove 121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side portion 120, a groove-shaped right groove 131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side portion 130, and the left guide 150 A left wing part 15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ight guide 160, a right wing part 16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ight guide 160, and the left wing part 151 is inserted into the left groove to move up and down. Slide, the right wing part 161 can be inserted into the right groove to slide up and down, which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ground so that the guides 150 and 160 cannot slide the rods 112 and 113 while the buoyancy part is inclined. It prevents the buoyancy part from being unilaterally sided to prevent it.

상기 조절부(10)의 좌측면부(120)와 우측면부(130)의 외측면에는 각각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의 내측 수용공간에 조절부(10)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부(10)의 조절부상면과 좌측면부, 우측면부가 하우징과 밀착하여 설치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조절부 내측의 수용공간에 외부의 공기가 통하여 사양액이 마르면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A seal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side 120 and the right side 130 of the adjusting part 10, respectively, and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djusting part 10 flows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adjusting part 10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10, the left part, and the right part of the adjusting part 10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so that the liquid is dried and adhered to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adjusting part.

1 : 꿀벌사양기
2 : 사양액
3 : 꿀벌
10 : 조절부
110 : 조절부상면
111 : 유입관
112 : 좌측봉
113 : 우측봉
120 : 좌측면부
121 : 좌측홈
122 : 밀폐부
130 : 우측면부
131 : 우측홈
140 : 부력부
141 : 폐쇄부
142 : 경사부
143 : 돌출벽
144 : 배출로
150 : 좌측가이드
151 : 좌측날개부
160 : 우측가이드
161 : 우측날개부
20 : 하우징
21 : 개방면
22 : 하우징정면
30 : 공급관
40 : 차단벽
41 : 배출구
1: Bee feeder
2: Specification amount
3: bee
10: control unit
110: control part upper surface
111: inlet pipe
112: left bar
113: right bar
120: left side
121: left groove
122: sealing part
130: right side
131: Right groove
140: buoyancy part
141: closure
142: slope
143: protruding wall
144: discharge furnace
150: left guide
151: left wing part
160: right guide
161: right wing part
20: housing
21: open side
22: front of the housing
30: supply pipe
40: barrier wall
41: outlet

Claims (4)

양봉하는 벌통에 설치하여 벌(3)에 먹이인 사양액(2)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꿀벌사양기(1)에 있어서,
몸체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부터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형의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의 말단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조절부(10)와;
상기 조절부(10)의 일측에 설치된 차단벽(4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면부가 개방된 개방면(21)이 형성되고, 정면부에는 평면의 하우징정면(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40)에는 사양액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4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10)는 상면의 조절부상면(110)과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 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면부(120)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말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면부(130)와 상기 조절부상면 아래쪽에 위치한 부력부(14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가이드(150)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가이드(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상면, 좌측면부, 우측면부에 의해 조절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부력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상면(110)에는 공급관(30)의 말단과 연결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좌측봉이,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측봉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111)은 조절부상면(110)의 위에서 조절부(10)의 수용공간까지 연장되며,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관(111)의 하측 말단과 대응하여 폐쇄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부력부(140)의 폐쇄부(141)의 양측에는 경사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부(140)의 상부 정면과 배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43)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가이드(15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좌측봉(112)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우측가이드(160)은 상기 조절부상면(110)의 우측봉(113)이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상기 우측면부(130)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부력부에 의해 유입관(111)이 폐쇄되는 사양액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사양기(1).
In the bee feeding machine (1)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2) fed to the bees (3) by installing in the beehive to beekeeping,
A housing 20 constituting a body and accommodating the rest of the body;
A tubular supply pipe 3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housing to the inside;
An adjustment part 10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pply pipe 30 and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art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barrier wall 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unit 10,
The housing has an open surface 21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lat housing front 2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barrier wall 40 is formed with an outlet 41 in the form of a hole through which the feeding liquid can be discharged,
The adjustment unit 10 includes an adjustment unit top surface 110 on an upper surface, a left surface uni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a left end of the adjustment unit top surface 110, and downward from a right end of the adjustment unit top surface 110. It consists of an extended right side part 130, a buoyancy part 140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part, a left guide 15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and a right guide 16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Lose,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buoyancy par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adjusting part 10 by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the left part and the right part
An inlet pipe 11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ly pipe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and a left bar extending downward is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10 The right bar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let pipe 111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110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adjusting part 10,
A closing part 141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art 140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111,
Inclined portions 1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ing portion 141 of the buoyancy portion 140,
Protruding walls 143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oyancy unit 140 are formed,
The left guide 150 slides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bar 112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adjustment unit is inserted,
The right guide 160 slides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right bar 113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adjustment unit is inserted,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portion 1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portion 130 is installed at an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bee feeding machin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side portion 130 and the housing is formed lower than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at which the inlet pipe 111 is closed by the buoyanc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40)의 정면부와 배면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골형태의 배출로(1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사양기(1).
The method of claim 1,
The bee feeder (1), characterized in that a bone-shaped discharge path 144 extending from top to bottom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uoyancy unit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0)의 좌측면부(120)와 우측면부(130)의 외측면에는 각각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10)의 내측 수용공간에 조절부(10)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부(10)의 조절부상면과 좌측면부, 우측면부가 하우징과 밀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사양기(1).

The method of claim 1,
A seal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side 120 and the right side 130 of the adjusting part 10, respectively, and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djusting part 10 flows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adjusting part 10 The bee feeder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10,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adjustment unit 10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부(120)의 우측면에는 홈형태의 좌측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면부(130)의 좌측면에는 홈형태의 우측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가이드(150)의 일측부에는 좌측날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가이드(160)의 일측부에는 우측날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날개부(151)는 상기 좌측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우측날개부(161)는 상기 우측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사양기(1).
The method of claim 1,
A groove-shaped left groove 121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side portion 120,
A groove-shaped right groove 131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side portion 130,
A left wing part 15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guide 150,
A right wing part 16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guide 160,
The left wing part 151 is inserted into the left groove and slides up and down,
The right wing portion 161 is a bee feeding machine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right groove and slides up and down.
KR2020190004393U 2019-10-31 2019-10-31 Bee breeding apparatus KR2021000100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93U KR20210001004U (en) 2019-10-31 2019-10-31 Bee br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93U KR20210001004U (en) 2019-10-31 2019-10-31 Bee br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04U true KR20210001004U (en) 2021-05-11

Family

ID=7591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93U KR20210001004U (en) 2019-10-31 2019-10-31 Bee br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04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628B1 (en) Bee feed contalner
KR101348832B1 (en) Honeybee rearing machine
CN2865266Y (en) Self-controlling bee feeder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20180104365A (en) Beehive for improve liv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honey picking
US43228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ees
KR200489815Y1 (en) Bee breeding apparatus
KR20210001004U (en) Bee breeding apparatus
KR200331657Y1 (en) new bee feed
KR20090013146A (en) Bee-breeding apparatus
KR200486334Y1 (en) Bee breeding apparatus
CN2678353Y (en) Self-controlled feeder for bee
KR102266914B1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KR101901052B1 (en) Waterproof-type Automatic Feeding Assembly
KR102098390B1 (en) Beehive with bee-breeding apparatus
KR102360432B1 (en)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KR200254919Y1 (en) Bee feed contalner
CN209473347U (en) A kind of bees feeder
KR20120103315A (en) An automatic supplying device of rearing liquid for be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120978U (en) A kind of bee raising device
KR20210095984A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20240073192A (en) Bee breeding apparatus
KR20120003429U (en) bee feed bucket
KR200186570Y1 (en) bee feed contatner both roayalgeey device
KR200398327Y1 (en) Birds breed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