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988U - Decorative lighting - Google Patents

Decorative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988U
KR20210000988U KR2020190004381U KR20190004381U KR20210000988U KR 20210000988 U KR20210000988 U KR 20210000988U KR 2020190004381 U KR2020190004381 U KR 2020190004381U KR 20190004381 U KR20190004381 U KR 20190004381U KR 20210000988 U KR20210000988 U KR 20210000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ulb
support member
installation surface
bott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병희
Original Assignee
나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희 filed Critical 나병희
Priority to KR202019000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988U/en
Publication of KR20210000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8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조명등에 대한 것이다. 개시되는 장식용 조명등이 전구 수용 부재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에 수용된 전구의 종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구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임의로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상기 전구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전구가 점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design is for decorative lighting. As the disclosed decorative lighting includes a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a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type of light bulb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even when the light bulbs are of the same type, the user ca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simply shaking the light bulb arbitrarily, and the plurality of the light bulbs in a state in which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re changed or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re arbitrarily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n atmosphere in various forms by turning on the light bulb.

Description

장식용 조명등{Decorative lighting}Decorative lighting

본 고안은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lighting lamp.

조명등이란 아파트나 상가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거나 다리나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그 주변의 일정한 공간을 밝게 비추는데에 쓰이는 등을 말한다.A lighting lamp refers to a lamp that is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shopping centers, or is installed around a bridge or road, and is used to brightly illuminate a certain space around it by applying power by wire or wirelessly.

최근에는 조명등이 밝게 비추는 용도 외에 여러 가지 색깔의 LED 전구 등을 이용하여 여러 색상을 빛을 발산하여 분위기를 연출하는 장식용으로 활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brightly shining a lighting lamp, it is used as a decoration to create an atmosphere by emitting light in various colors using LED bulbs of various colors.

이러한 장식용 조명등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Examples of such decorative lighting can be presented as those of the patent documents presented below.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장식용 조명등에 의하면, LED 등의 전구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항상 동일한 형태로 조명을 비추게 됨으로써, 초기에는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나 시간이 지나면서 식상함을 줄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식용 조명등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corative lighting including the patent documents presented below, the light bulbs such as LEDs are always fixed in a fixed position and always illuminate in the same form, so that the atmosphere can be created at the beginning, but it gets bored over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ecorative lighting is relatively lowered accordingly.

등록특허 제 10-1760712 호, 등록일자 : 2017.07.18., 발명의 명칭 : 장식용 LED 조명장치Registration Patent No. 10-1760712, Registration Date: July 18, 2017, Title of Invention: Decorative LED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조명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전구의 종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동일한 종류의 전구로도 조명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ation of the light to be freely moved, the type of light bulb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and the light typ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even with the same type of light bulb. Its purpose is to provide decorative lighting that can be used.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전구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구 수용 부재;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수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전구 수용 부재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in which a light bulb that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is accommodated therein;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while standing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herein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and the light bulb The receiving member is supported by inserting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also installed as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It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and accordingly,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그 내부에 병이 삽입되어 상기 병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병의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일측 말단부에서 그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점등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병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 상기 병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병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타측 말단부가 설치면 상에 접촉되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병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병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le inserted into the bottle to support the bottle and brightly illuminate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l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A support member that is formed in a shape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supporting the bottle; And a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each of which at least a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i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and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wherein a part of the bottl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and the bottle is support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bottle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one end portion It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so that the bottle is also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l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의하면, 장식용 조명등이 전구 수용 부재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에 수용된 전구의 종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구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임의로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상기 전구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전구가 점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includes a light bulb receiving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the type of the light bulb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as well as the same type of the light bulb. Even in the case of,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may be arbitrarily changed by simply a simple action such as the user shaking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arbitrarily, and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may be changed or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re lit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is arbitrarily changed, thereby creating an atmosphere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서 전구가 점등된 모습을 촬영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전구 수용 부재와 지지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전구 수용 부재가 지지 부재에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병이 거치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에 충격이 감지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1 is a view photograph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ulb is turned on in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constituting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of FIG. 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ttle is mounted on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constituting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act is sensed by an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constituting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서 전구가 점등된 모습을 촬영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전구 수용 부재와 지지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1 is a view photograph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ulb is turned on in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constituting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100)은 전구 수용 부재(115) 및 지지 부재(120)를 포함한다.1 to 3 together, the decorative light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nd a support member 1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식용 조명등(100)은 전원 인가체(130)를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corative lighting 100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30.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LED 전구 등의 전구(110)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a light bulb 110 such as an LED light bulb that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is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는 상기 전구(110)가 점등될 때 상기 전구(110)의 불빛이 외부로 비추어질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preferably formed to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bulb 110 can be illuminated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bulb 110 is turned on.

상세히,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는 상기 전구(110)가 수용되는 전구 수용부(116)와, 상기 수용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120)에 형성되고 후술되는 삽입 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17)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formed with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light bulb receiving portion 116 in which the light bulb 110 is accommodated and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120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17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4 to be inserted.

상기 전구 수용부(116)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구(110)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하나의 전선으로 서로 연결된다.A plurality of the bulbs 110 accommodated in the bulb receiving part 116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ngle electric wire.

그러면, 상기 장식용 조명등(1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전구 수용부(116)를 상하로 흔들거나 하는 행동에 의해 상기 전구 수용부(116)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선 및 상기 전구(110)에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가 흔들리면서 상기 전구(110)의 위치가 임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는 다양한 형태로 점등될 수 있게 된다.Then, the electric wire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unit 116 and a plurality of the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light bulb 110 by the action of the user using the decorative light 100 shaking the light bulb receiving unit 116 up and down. As the two bulbs 110 shake, the positions of the bulbs 110 are arbitrarily moved,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ulbs 110 can be lit in various forms.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구(110)는 상기 전원 인가체(130)를 분리하면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외부로 빼낼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거나, 다른 색깔로 점등되는 전구로 교체가 가능하다.The light bulb 110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by separating the power supply unit 130, so the shap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 it can be replaced with a light bulb that lights up in a different color.

상기 지지 부재(120)는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120 supports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while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지지 부재(120)는 사용자에게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나무 등의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20 may be made of wood such as wood so as to give a warm feeling to the user.

상세히, 상기 지지 부재(120)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되, 일측 말단부(121)에서 타측 말단부(12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124)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support member 120 has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bu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portion 121 to the other end portion 122, and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 An insertion hole 124 into which a part of 115)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일측 말단부(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타측 말단부(122)가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를 지지하게 된다.The support member 120 supports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while the other end portion 122 having a relative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ne end portion 121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기 타측 말단부(122)에는 상기 지지 부재(1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세워되도록 경사면(1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123 is formed on the other end portion 122 of the supporting member 120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120 is erected in a form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그러면, 상기 경사면(123)이 상기 설치면 상에 밀착될 때, 상기 지지 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질 수 있게된다.Then, when the inclined surface 1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upport member 120 can b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s shown in FIG. 2. .

상기 지지 부재(12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는 상기 지지 부재(120)의 삽입 홀(124)에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된다.As the support member 1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supported by inserting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nto the insertion hole 124 of the support member 120.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가 상기 지지 부재(120)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일부가 상기 삽입 홀(124)을 관통한 후 상기 설치면 상에 접촉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Whe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0,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installed after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4 It can be erected while touching the surface.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기 삽입 홀(124)에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123)이 상기 설치면 상에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 부재(1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지지 부재(120)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 각이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및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설치면과 함께 삼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질 수 있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4 of the support member 120, the inclined surface 123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By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also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ccordingly, the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20, and as shown in FIG. 2,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nd the support member 120 It can b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forming a triangular shape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지지 부재(1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일정 각도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일정 각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A predetermined angl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angle in which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전원 인가체(130)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전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11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 인가체(13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구(110)가 점등될 수 있다.The power applying body 130 is connected to the light bulb 110 while being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to apply power to the light bulb 110, from the power applying body 130 The light bulb 110 may be turned on by the transmitted pow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 인가체(130)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내측,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중 상기 삽입부(117)의 말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applying member 13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more precisely, to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17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그러면, 상기 전원 인가체(130)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의 개방된 입구를 막아서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power applying member 130 blocks the open inle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to prevent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110 from being removed from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t any time.

상기 전원 인가체(130)에는 스위치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버튼에 조작에 따라 상기 상기 전구(110)에 대한 상기 전원의 인가가 이루어지게 된다.A switch button is formed on the power applying body 130,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light bulb 110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상기와 같이 상기 장식용 조명등(100)이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및 상기 지지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에 수용된 상기 전구(110)의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구(110)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를 임의로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상기 전구 수용 부재(115)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전구(110)가 점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As the decorative lighting 100 includes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nd the support member 12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he type of the light bulb 110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It can be changed, of course, even when the light bulb 110 is of the same type, a plurality of the light bulbs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only by a simple action such as the user shaking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115 arbitrarily ( 110) may be arbitrarily changed, and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110 are lit in a state in which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110 are changed, or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110 are arbitrarily changed. You can create an atmosphere with 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carrying out this description, descriptions that are alread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replaced therewith, and will be omitted here.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구 수용 부재가 지지 부재에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of FIG. 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은 전구 수용 부재와 지지 부재 및 무선 전원 인가 부재(2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 supporting member, and a wireless power applying member 235.

상기 전구 수용 부재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전구(210)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a light bulb 210 that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is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지지 부재는 설치면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is position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supports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상기 무선 전원 인가 부재(235)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전구(210)를 무선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wireless power applying member 235 is capable of wirelessly lighting the light bulb 210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상세히, 상기 무선 전원 인가 부재(235)는 전원 공급부(236)와, 송신부(237) 및 수신부(238)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wireless power applying member 235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36, a transmission unit 237 and a reception unit 238.

상기 전원 공급부(236)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36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ember and supplies power, and a battery or the like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236)가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전원 공급부(236)가 보조 배터리 또는 충전기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ower supply unit 236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emb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wer supply unit 236 is formed of an auxiliary battery or a charger, and may be installed externally. Of course there is.

상기 송신부(237)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전원 공급부(236)와 전선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236)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송신하는 것으로, 복수 회 감겨진 코일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237 is moun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36 to transmi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6, and a coil wound a plurality of times will be presented as an example. I can.

상기 수신부(238)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전구(210)와 전선 연결되는 것으로, 복수 회 감겨진 코일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38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 bulb 210 with a wire, and a coil wound a plurality of times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상기 송신부(237) 및 상기 수신부(238)는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전원이 전달된다.The transmitting unit 237 and the receiving unit 238 are powered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상세히, 상기 전원 공급부(236)에서 공급된 상기 전원이 송신부(237)에 전달되면 상기 송신부(237)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수신부(238)가 상기 송신부(237)와 대면되도록 위치되면서 일정 거리 서로 근접하게되면 상기 수신부(238)에는 전기가 유도된다.In detail,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6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unit 237, the transmission unit 237 generates a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reception unit 238 faces the transmission unit 237 Electricity is induced to the receiving unit 238 when they are positioned and close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송신부(237) 및 상기 수신부(238) 사이의 전자기 유도 원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기유도 방식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unit 237 and the reception unit 238 is a generally used magnetic induction metho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in this embodiment.

상기 전원 공급부(236)와 상기 송신부(237)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236)에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상기 송신부(237)까지 전달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224)에 삽입되면, 상기 수신부(238)는 상기 송신부(237)에서 송신된 전원을 수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236)에서 공급된 상기 전원이 상기 송신부(237)를 거쳐 상기 수신부(238)까지 수신된 다음 상기 수신부(238)와 연결된 상기 전구(210)까지 통전됨으로써 상기 전구(210)가 점등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wer supply unit 236 and the transmission unit 237 are connected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6 is delivered to the transmission unit 237,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When inserted into the hole 224, the receiving unit 238 receive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237, and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6 passes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237 The light bulb 210 may be turned on by being received to the receiving unit 238 and then energized to the light bulb 210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238.

반면,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224)에서 분리되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수신부(238)는 상기 송신부(237)에서 송신된 전원을 미수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구(210)가 멸등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224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spac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by a certain distance, the receiving unit 238 does not receiv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237. , Accordingly, the light bulb 210 can be turned off.

상기와 같이, 상기 장식용 조명등이 상기 전구 수용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무선 전원 인가 부재(235)를 포함함에 따라, 외부에서의 전원 공급이 어려운 야외 등에서도 간편하게 상기 전구(210)를 점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decorative lighting includes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the support member, and the wireless power supply member 235, the light bulb 210 can be easily turned on even in an outdoor light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from the outside. There will b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carrying out this description, descriptions that are alread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replaced therewith, and will be omitted here.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병이 거치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ttle is mounted on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300)은 그 내부에 병(15)이 삽입되어 상기 병(15)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병(15)의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 부재(320)와, 복수 개의 점등체(339)를 포함한다.6 and 7 together, the decorative ligh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ottle 15 inserted therein to support the bottle 15 and brighten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le 15.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320 and a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that can be illuminated.

상기 지지 부재(320)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되, 그 일측 말단부(321)에서 그 타측 말단부(32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병(15)을 지지하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320 has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bu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portion 321 to the other end portion 322,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It is to support the bottle 15 while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상세히, 상기 지지 부재(320)는 상기 일측 말단부(3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타측 말단부(322)가 설치면 상에 접촉되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져 상기 병(15)을 지지하게 된다.In detail, the support member 320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the other end portion 322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one end portion 321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support the bottle 15 .

상기 지지 부재(320)는 사용자에게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나무 등의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20 may be made of wood such as wood so as to give a warm feeling to the user.

상기 지지 부재(320)에는 상기 병(15)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324)이 상기 지지 부재(32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324)에 상기 병(15)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병(15)이 지지된다.In the support member 320, an insertion hole 324 into which a part of the bottle 15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20, and a part of the bottle 15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324. The bottle 15 is supported by being inserted.

또한, 상기 지지 부재(320)의 상기 타측 말단부(322)에는 상기 지지 부재(3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세워되도록 경사면(3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323 is formed on the other end portion 322 of the support member 320 so that the support member 320 is erected in a form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그러면, 상기 경사면(323)이 상기 설치면 상에 밀착될 때, 상기 지지 부재(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질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inclined surface 3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upport member 320 can b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s shown in FIG. 7. .

상기 지지 부재(32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320)의 상기 삽입 홀(324)에 상기 병(15)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병(15)이 지지될 수 있다.As the support member 3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15 may be supported by inserting a part of the bottle 15 into the insertion hole 324 of the support member 320.

도면 번호 325는 상기 지지 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절단선이다.Reference numeral 325 denotes a cutting line formed in a cut form so that the support member is separa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320)는 상기 절단선(325)을 기준으로 두 개로 분리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를 가공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점등체(339)를 점등시키는 전선 모듈 등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320 can be separated into two based on the cutting line 325. The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inside of the support member 320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member 320, and accordingly, the lighting body 339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320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n electric wire module to be lit.

상기 병(15)은 상기 병(15)의 일부가 상기 삽입 홀(324)을 관통한 후 상기 설치면 상에 접촉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The bottle 15 may be erected while a part of the bottle 15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4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3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것으로, LED 전구 등이 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ar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and disposed i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320, respectively, and may be turned on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may be an LED bulb.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함께 점등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전선 모듈에 서로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one of the electric wire modules so that they can be lighted together by the applied power.

상기 지지 부재(3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은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지지 부재(320)의 외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320 penetrat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320 and the out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3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러면,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홀은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에서 외측면까지 관통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 모듈은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 모듈에 연결된 상기 각 점등체(339)는 상기 지지 부재(32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각 홀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Then, whil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member 320, the hole is formed through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member 320 to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wire modu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is Each of the lighting bodies 339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320 and connected to the wire module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holes in a direc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member 320.

이 때,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몸체 전체가 상기 홀에 삽입될 수도 있고, 일부분이 상기 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지지 부재(320)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e lighting bodies 339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by the user, and a portion of the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nd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20 for a predetermined length. It could be.

도면 번호 329는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연결기이다.Reference numeral 329 denotes a power connector capable of a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상세히, 외부의 전원 케이블이 상기 전원 연결기(329)에 연결되면, 외부 전원이 상기 전원 연결기(329)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까지 전달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가 점등될 수 있게 된다.In detail, when an external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329, exter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through the power connector 329, so that 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will be lit. You will be able to.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 연결기(329)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지지 부재(320)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 등의 내부 전원 공급기를 장착시켜 외부에서의 전원 인가 없이 상기 점등체(339)를 점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ower connector 329 is formed and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n internal power supply such as a rechargeable battery is moun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320 to provide external power. Needless to say, the lighting body 339 may be turned on without applying power at.

이 때, 상기 지지 부재(320)의 외측에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점등체(339)까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인가 스위치가 설치된다.In this case, a power application switch is installed outside the support member 320 to apply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339.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320)의 상기 삽입 홀(324)에 상기 전구 수용 부재(315)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323)이 상기 설치면 상에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 부재(3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병(15)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320)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병(15)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한 각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3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4 of the support member 320, the inclined surface 323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bottle 15 is also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so that the bottle 15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320 A constant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le 15.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320)에 의해 상기 병(15)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부재(320) 및 상기 병(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과 삼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질 수 있다.By being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15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320, and the support member 320 and the bottle 15 may be It may be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forming a triangular shape.

상기 지지 부재(320)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병(15)이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member 3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ngle in which the bottle 1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을 구성하는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에 충격이 감지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constituting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inclination constituting a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act is detected in the impact detection member.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400)은 전구 수용 부재(415)와, 지지 부재(420)와,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ogether, the decorative lighting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bulb receiving member 415, a support member 420, and an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440.

상기 전구 수용 부재(415)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전구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415 is a light bulb that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is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지지 부재(420)는 설치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415)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420 is to support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415 while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상기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440)는 상기 지지 부재(42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 부재(42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기울어지는 기울어짐 및 상기 지지 부재(420)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부(450)와, 감지부(460)와, 접촉 감지 센서부(470)를 포함한다.The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440 is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420 to detect an inclina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420 is inclined arbitrarily by an external force and an impact generated by the support member 420. As such, it includes a body part 450, a sensing part 460, and a contact detection sensor part 470.

상기 본체부(450)는 상기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44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측 케이스(451)와, 삽입홈부(452)와, 경사형 연장체(455)를 포함한다.The body part 450 forms an outer periphery of the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440 and includes a body-side case 451, an insertion groove 452, and an inclined extension 455.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body-side case 451 has a cross-section formed in an oval shape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상기 삽입홈부(45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464)의 일부가 삽입된다.The insertion groove 452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side case 451, and a part of the sensor-side shaft 46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삽입홈부(45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46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됨으로 인해 점선으로 도시되었다.In FIGS. 9 and 10, the insertion groove 452 is shown as a dotted line because i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side case 451, that is, a portion covered by the sensing unit 4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부(45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대면되면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452 is formed while a pair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side case 451 face each other.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삽입홈부(45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이다.The inclined extension body 455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ide case 451 toward the insertion groove 452.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평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는 상기 삽입홈부(45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The inclined extension body 455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reof, so that the plane as a whole has a triangular shape, and a pair of the inclined extension bodies 455 are virtually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452. They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상기 감지부(460)는 상기 본체부(450)의 내부에서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 부재(420)의 임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몸체(461)와, 감지부측 축(464)과, 무게추(465)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460 is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of gravity inside the main body 450 to detect an arbitrary inclination of the support member 420, and the sensing body 461 and the sensing unit side shaft ( 464) and a weight 465.

상기 감지 몸체(461)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The sensing body 461 is formed to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protruding a certain length outward from the center thereof.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몸체(461)가 이격되면서 두 개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상기 감지 몸체(461)는 상기 삽입홈부(45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bodies 46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two sensing bodies 461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a virtual vertical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452 Is formed by

상세히, 상기 감지 몸체(46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 중 일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1 날개(46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 중 타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2 날개(463)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sensing body 461 includes a first wing 462 form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 members 455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on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 members 455, and a pair of the inclined extension body 455 ) It includes a second wing (463)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n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ky.

상기 감지부측 축(464)은 상기 감지 몸체(461)의 중앙부에서 상기 삽입홈부(452)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부(452)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sensing part side shaft 464 protrudes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sensing body 461 toward the insertion groove 452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2.

한 쌍의 상기 삽입홈부(452)에 상기 감지부측 축(464)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461)는 상기 감지부측 축(46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As the sensor-side shafts 464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insertion grooves 452, the sensing body 461 is rotatabl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part-side shaft 464.

상기 무게추(465)는 상기 감지 몸체(46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46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461)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The weight 465 imparts weight to the sensing body 461 so that the sensing body 461 face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sensing body 461 downward for a certain length.

상기 본체부(45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감지 몸체(461)는 상기 무게추(465)에 의해 항상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그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Even when the main body 450 is rotated, the sensing body 461 may maintain its fixed position so as to always face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weight 465.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470)는 상기 본체부(45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46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The contact detection sensor unit 47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450 and senses a contact with the detection unit 460.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470)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접촉 센서(47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45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접촉 센서(473)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unit 470 includes a first contact sensor 472 installed to protrude from an upper inclined surface of one of the inclined extensions 455 among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s 455, and a pair of And a second contact sensor 473 installed to protrude from an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extension 455 of the other of the inclined extensions 455.

상기 지지 부재(420)가 설치면 상에 일정 각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외력에 의해 초기의 기울어진 각도와 다른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지지 부재(420)의 임의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감지 몸체(461)에 상기 제 1 접촉 센서(472) 또는 상기 제 2 접촉 센서(473)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420)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upport member 420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is inclin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initial inclined angle by an external force, the support member 420 may be The first contact sensor 472 or the second contact sensor 47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body 461 due to the inclination of, and accordingly,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member 420 can be detected. .

상기 지지 부재(42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본체부(450) 역시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날개(463)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473)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본체부(450) 역시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날개(462)와 상기 상기 제 1 접촉 센서(472)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420)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support member 420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the body part 450 is also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second wing 463 and the second contact sensor 473 contact each other. When the frame member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body part 450 is also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first wing 462 and the first contact sensor 472 contact each other. As a result, inclination of the support member 420 in one direction or in the other direction can be detected.

상기 제 1 접촉 센서(472) 또는 상기 제 2 접촉 센서(473)와 상기 감지 몸체(461)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지지 부재(420)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의 앱 또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장식용 조명등(400)을 사용하는 사용자게 전달 가능하다.Information on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member 420 due to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sensor 472 or the second contact sensor 473 and the sensing body 461 may be obtained by using an app or a control unit (not shown) of a smartphone. )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who uses the decorative lighting 400.

한편 상기 삽입홈부(45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451)의 후면 및 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장형 삽입홈(453)과, 상기 장형 삽입홈(453)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453)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464)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45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452 is a long insertion groove 453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being depr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ear and front of the body side case 451, and the long insertion groove 453 on each inner surface of the long insertion groove 453. It includes a shaft locking protrusion 454 that protrude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hape that becomes sharper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453 so that a part of the sensor-side shaft 464 is caught.

상기 축 걸림 돌기(454)는 상기 삽입홈부(452)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shaft locking protrusions 454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insertion groove 452.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454)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464)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46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가, 상기 지지 부재(420)가 중력 방향으로 순간 낙하하게 될 경우, 상기 감지부측 축(46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45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45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464)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461) 역시 하강되어 상기 제 1 날개(462) 및 상기 제 2 날개(46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472)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473)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420)에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When form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9, the sensing unit 460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ile the sensing unit side shaft 464 is caught on the upp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shaft locking protrusions 454. Then, when the support member 420 momentarily fall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sensor-side shaft 464 is separated from the upp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shaft locking protrusions 454, and the plurality of shaft locking protrusions ( The uppermost one of 454 is lowered and caught, and the sensing body 461 is also lower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sensor-side shaft 464, so that the first wing 462 and the second wing ( When 46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ensor 472 and the second contact sensor 473 at the same time, an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member 420 can be detected.

상기 제 1 날개(462) 및 상기 제 2 날개(46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472)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473)에 동시에 접촉되어 감지된 충격 정보 역시 상기 스마트폰 앱 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 가능하다.Impact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wing 462 and the second wing 463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ensor 472 and the second contact sensor 473 simultaneously It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You will see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However,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all of thes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용 조명등에 의하면, 장식용 조명등이 전구 수용 부재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에 수용된 전구의 종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구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임의로 흔드는 등의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상기 전구 수용 부재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전구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전구가 점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전문 주류매장 등 상업시설에서도 그 사용가치가 높아,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According to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ecorative lighting lamp includes a light bulb receiving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the type of the light bulb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as well as the same type of the light bulb. Even in the case of,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may be arbitrarily changed by simply a simple action such as the user shaking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arbitrarily, and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may be changed or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bulbs are lit in a state in which the location of is arbitrarily changed,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tmosphere in various forms, so it is highly useful not only at home but also in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specialized liquor stores, and its industrial applicability is high.

100 : 장식용 조명등 110 : 전구
115 : 전구 수용 부재 116 : 전구 수용부
117 : 삽입부 120 : 지지 부재
121 : 일측 말단부 122 : 타측 말단부
123 : 경사면 124 : 삽입 홀
130 : 전원 인가체 235 : 무선 전원 인가 부재
440 : 기울어짐 및 충격 감지 부재 450 : 본체부
460 : 감지부 470 : 접촉 감지 센서부
100: decorative lighting 110: light bulb
115: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116: light bulb accommodating portion
117: insertion portion 120: support member
121: one end portion 122: the other end portion
123: inclined surface 124: insertion hole
130: power applying body 235: wireless power applying member
440: inclination and impact detection member 450: main body
460: detection unit 470: contact detection sensor unit

Claims (5)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전구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구 수용 부재;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수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전구 수용 부재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A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in which a light bulb that can be lit by the applied power is accommodated therein;
Including;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while being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supported by inserting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s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also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 form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ccordingly, Decorative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측 말단부에서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말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타측 말단부가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구 수용 부재를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I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A decorative lighting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one end portion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o support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조명등은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전구와 연결되어 상기 전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인가체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구가 점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decorative lights are
Including; a power applying body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light bulb to apply power to the light bulb,
Decorative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bulb can be turned on by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power supp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조명등은
상기 전구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전구를 무선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무선 전원 인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원 인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선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전구와 전선 연결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전원을 수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전원이 상기 송신부를 거쳐 상기 수신부까지 수신된 다음 상기 전구까지 통전됨으로써 상기 전구가 점등될 수 있고,
상기 전구 수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서 분리되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전원을 미수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구가 멸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decorative lights are
Including; a wireless power supply member capable of wirelessly lighting the light bulb accommodated in the light bulb accommodating member,
The wireless power supply member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member and supplying power,
A transmission unit that is moun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by wire to transmi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While being mounted inside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ncludes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with the light bulb,
When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passes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to the receiving unit. The light bulb can be turned on by being energized to the light bulb after being received until,
When a part of the light bulb receiv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member by a certain distance, the receiving unit does not receiv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accordingly, the light bulb can be turned off. Decorative lighting characterized by.
그 내부에 병이 삽입되어 상기 병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병의 주위를 밝게 비출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일측 말단부에서 그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면서 상기 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점등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병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삽입 홀에 상기 병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병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기 타측 말단부가 설치면 상에 접촉되면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병도 상기 설치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설치면 상에 세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병의 길이 방향 사이에 일정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A bottle is inserted inside the bottle to support the bottle and to brightly illuminate the surroundings of the bottle,
A support member tha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and stands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o support the bott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ing bodi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disposed i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and can be lit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art of the bottl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The bottle is support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bottle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while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relative to the on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As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bottle is also erec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Decorative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angle is formed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le.
KR2020190004381U 2019-10-30 2019-10-30 Decorative lighting KR2021000098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81U KR20210000988U (en) 2019-10-30 2019-10-30 Decorative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81U KR20210000988U (en) 2019-10-30 2019-10-30 Decorative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88U true KR20210000988U (en) 2021-05-10

Family

ID=7591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81U KR20210000988U (en) 2019-10-30 2019-10-30 Decorative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988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12B1 (en) 2015-10-29 2017-07-24 정해일 Decorative LED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12B1 (en) 2015-10-29 2017-07-24 정해일 Decorative LED ligh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6929A1 (en) Electronic simulation candle
US8348465B2 (en) Safety glow stick with flashlight
USD502276S1 (en) LED utility light
US9970625B2 (en) Method of illuminating ornament
US8418385B2 (en) Lighting device
US20150231297A1 (en) Fragrance diffuser
USD527478S1 (en) LED utility light with magnet
US6948841B2 (en) Light emitting decorative apparatus
KR101468543B1 (en) Cheering device
KR20210000988U (en) Decorative lighting
US20140313704A1 (en) Solar-powered, illuminated decorator balls
CN103104842B (en) Lamp
KR200409681Y1 (en) A Light Emitting Bar
US7896515B2 (en) Decorative object connectable to a connected object
CN211798811U (en) Luminous concatenation module
US20050185402A1 (en) Night lamp with varicolored lamp shield
USD501687S1 (en) Fluorescent utility light with halogen spotlight
US20130016495A1 (en) Structure of candle holder
US20080158899A1 (en) Colorful light-emitting bubble type decoration for automobiles
TWM524424U (en) Decorative light post
KR101240680B1 (en)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cup
KR20120125416A (en) Outdoor lighting device
CN205666005U (en) Novel advertisement light -emitting character structure
KR200494799Y1 (en) Mood lamp
JP3201200U (en) AC adapter cover with 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