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950A -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950A
KR20210000950A KR1020190076267A KR20190076267A KR20210000950A KR 20210000950 A KR20210000950 A KR 20210000950A KR 1020190076267 A KR1020190076267 A KR 1020190076267A KR 20190076267 A KR20190076267 A KR 20190076267A KR 20210000950 A KR20210000950 A KR 2021000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gae
food waste
inclined surfac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690B1 (ko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이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준 filed Critical 이정준
Priority to KR102019007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6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개구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처리부 및 개구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부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번데기화 하기 전 동애등에가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사면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로부터 떨어지는 동애등에를 수집하는 동애등에 수집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충 시 음식물 및 분뇨를 가리지 않고 먹어 처리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며 번데기화 하기 전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을 이용함으로써, 처리비용이 감소되고 음식물쓰레기 냄새가 제거되며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번데기화한 동애등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류가 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폐기물은 폐기물의 처리기술 및 오염방지 기술과 정책이 제시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폐기물의 처리기술 및 오염방지 기술로 해결할 수 없거나 폐기물을 수용할 수 없어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폐기물 중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 쓰레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중 음식물 쓰레기는 일부 사료와 및 퇴비화로 재활용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매립 및 소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으나 2005년부터는 직접 땅에 매립하는 것도 금지되어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현재 사료화 및 퇴비화에 의한 재활용과 소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의 직접적인 사료화의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거나, 퇴비화의 경우에는 염분과 침출수 때문에 토양의 오염이 문제가 되었으며, 소각의 경우는 대부분의 소각장에서 다른 쓰레기와 함께 소각을 하고 있어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처리가 필요하였으며 후 처리시 고가의 처리비용 및 불완전 연소 등에 의해 소각 잔재물이 발생되며 이들 잔재물을 다시 매립장에 매립을 하고 있으나, 매립의 경우, 매립장 부지의 확보 내지는 침출수에 의한 토지와 지하수 오염으로 이어지는 2차 환경오염이 문제화되고 있다.
또한 가축 분뇨의 경우에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농촌에서 작물의 영양원 또는 토양 개량제로 주요한 자원이 되었으나 가축 생산농가가 늘어나고 농업구조 변화에 따라 급격히 규모화됨으로써 가축분뇨의 순환체제가 유지되지 않아 오염이 심각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동애등에는 대표적 환경정화 곤충으로서 유충시기에만 먹이활동을 할 뿐, 성충 시기에는 먹이활동을 하지 않는다. 이들은 사람들을 피해 숲으로 이동하며, 축사나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이 야적되어 있는 곳에서 생활을 하는 종이다.
따라서 동애등에는 유충시기 때 왕성한 식욕으로 음식물 쓰레기, 간축분뇨 등을 먹어 분해하고 성충이 되어도 파리와는 달리 집안으로 들어오거나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동애등에는 성충까지 기간이 37~41일 정도이고 유기성폐기물을 분해하는 유충기간은 14일 정도이며, 동애등에 유충 5천마리에게 10㎏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였을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 58% 감소되고 무게는 30% 감소된 양질의 퇴비로 변화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연속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088호)가 제안된바 있다.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다수의 동애등에 유충이 음식물 쓰레기를 먹어 분해시키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를 동애등에 유충에게 공급하는 구조로만 제작되는바, 동애등에 유충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동애등에 유충이 번데기로 변태되었을 때 음식물과 분리되지 못하므로 동애등에 성충을 사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충 시 음식물 및 분뇨를 가리지 않고 먹어 처리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며 번데기화 하기 전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을 이용함으로써, 처리비용이 감소되고 음식물쓰레기 냄새가 제거되며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번데기화한 동애등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개구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처리부 및 개구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부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번데기화 하기 전 동애등에가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사면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로부터 떨어지는 동애등에를 수집하는 동애등에 수집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단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1 본체 및 상단이 전측으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단면의 넓이가 상기 제1 본체의 평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 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의 하단과 제2 본체의 상단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은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되, 전측이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시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수집홀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의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동애등에 수용통에 수집된 동애등에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알림을 주는 알림부;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진동을 주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 하부 내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단이 상기 경사면의 전단 내측면과 접합도록 형성되는 보조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이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수집홀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와 접지되어 연결되는 제1 접지부; 상기 경사면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의 일측에 형성된 수집통 결합홈; 상기 수집통 결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지부 및 상기 수집통 결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센서부, 알림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은 수집홀의 일측에 형성된 수집통 결합돌기 및 상기 수집통 결합돌기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 결합돌기가 상기 수집통 결합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접지부와 제3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개구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공기를 통풍시키는 본체팬 및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개폐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내부에 상기 본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동애등에의 탈출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처리부의 경사면에 있는 동애등에를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경사면 상측으로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거판; 일단이 상기 수거판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회전축; 일단이 상기 제1 회전축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경사면의 하면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래크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을 당기는 것으로 제1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거판이 경사면에 대해 세워지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래크기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가 래크기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거판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유충 시 음식물 및 분뇨를 가리지 않고 먹어 처리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유지비 등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냄새가 제거되고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어 가공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애등에의 번데기화 하기 전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을 이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서 동애등에를 분리할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번데기화한 동애등에를 사료 등에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분리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가 보조경사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전원연결부 및 전원연결부가 동애등에 수집통, 전원부와 연결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본체부에 커버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버부를 투영시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투영정면도.
도 10의 (a) 내지 (c)는 도 8의 수거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분리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가 보조경사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전원연결부 및 전원연결부가 동애등에 수집통, 전원부와 연결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본체부에 커버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커버부를 투영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본체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동애등에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처리부(10) 및 덮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0)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동애등에가 투입되는 부분으로, 수용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충인 동애등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처리부(10)는 동애등에가 번데기화 하기 전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을 이용한 구조로 형성되어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와 동애등에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10)는 본체(100), 동애등에 배출홀(101), 동애등에 수집통(102), 온도조절부(103), 센서부(미도시), 알림부, 제어부(104), 전원부(105), 진동부(미도시) 및 바퀴(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일측이 개구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통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구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각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제1 본체(100a), 제2 본체(100b) 및 경사면(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00a)는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된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본체(100b)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이 전측으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본체(100b)는 평단면의 넓이가 제1 본체(100a)의 평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본체(100a)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본체(100a)의 하단과 제2 본체(100b)의 상단은 경사면(100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본체(100a) 및 제2 본체(100b)를 연결시켜 하나의 본체(100)로 형성함으로써, 경사면(10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수집통(102) 및 전원부(105)가 제2 본체(10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00c)은 본체(100) 내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성되는 경사 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00c)은 평단면의 크기가 다르고 상단 또는 하단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본체(100a)와 제2 본체(100b)를 연결시키는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경사를 가지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번데기화 하기 전 동애등에가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으로 인해, 경사면(100c)을 따라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동애등에 수집통(102)에 자동으로 수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동애등에 유충 또는 번데기가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와 분리되지 못하여, 번데기화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더 이상 처리할 수 없게된 동애등에를 다른 용도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번데기화 되는 동애등에가 음식물쓰레기와 자동으로 분리되게 함으로써, 사료에 사용하는 등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동애등에 배출홀(101)은 경사면(100c) 상측에 형성되어, 경사면(100c)을 따라 기어올라온 동애등에가 떨어져 동애등에 수집통(102)으로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애등에 배출홀(101)은 경사면(100c)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동애등에 수집통(102)은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애등에 배출홀(101)로부터 떨어지는 동애등에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동애등에는 번데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애등에 수집통(102)은 본체(100)에서 제2 본체(100b)에 결합되되, 경사면(100c)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측이 경사면(100c)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동애등에 수집통(102)은 본체(100)에 결합 시 경사면(100c)과 전면이 밀착되어 수집홀(미도시)이 동애등에 배출홀(101)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하여 딱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수집홀(미도시)은 동애등에 배출홀(101)의 형상과 상응되게 형성되어 크기가 동일하거나 큰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애등에 배출홀(101)로부터 떨어지는 동애등에가 이탈되지 않고 동애등에 수집통(102)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수집통(102)은 본체(100)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수집통(102)은 수집통 결합돌기(102a) 및 연결접지부(10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통 결합돌기(102a)는 수집홀(미도시)의 일측에 형성되어, 경사면(100c)에 형성된 수집통 결합홈(108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본체(100)에 결합될 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경사면(100c)과 밀착될 수 있다.
연결접지부(102b)는 수집통 결합돌기(102a)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경사면(100c)에 밀착되어 수집통 결합돌기(102a)가 수집통 결합홈(108b)에 삽입되면 수집통 결합홈(108b)에 노출되어 있는 제2 접지부(108c) 및 제3 접지부(108d)와 각각 접하여 제2 접지부(108c)와 제3 접지부(108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경사면(100c)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수집홀(미도시)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101)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전원부(10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덮개부(11), 제어부(104), 센서부(미도시), 알림부 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사용하려 할 경우 작동되지 않음에 의해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음에 따라 동애등에 배출홀(101)에서 떨어지는 동애등에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103)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동애등에의 생육조건을 맞추어 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본체 내부 온도가 약 25℃의 적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부(미도시)는 감지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104)가 음식물 재활용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0)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양, 동애등에 수집통(102)에 수집된 동애등에의 양, 본체 내부 온도, 본체 내부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들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알림부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104)를 통해 제어되어 알림을 줄 수 있다.
이때, 알림부는 스피커 또는 경고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덮개부(11)의 개폐 등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설정값과 비교하여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4)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동애등에의 양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알림부를 작동시켜 알림을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본체 내부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부(103)를 조절하여 본체 내부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덮개부(11)의 실린더(112)를 작동시켜 처리부(1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거나, 본체팬(111)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전원부(105)는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5)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5) 또한 동애등에 수집통(102)과 같이 제2 본체(100b)에 결합될 수 있는데, 제2 본체(100b)에 결합되되, 전면이 경사면(100c)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시 경사면(100c)과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05)는 동애등에 수집통(102)의 하측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부(105)는 본체(100)에 결합 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부(105)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경사면(100c)에 형성된 제1 접지부(108a)와 접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알림부 및 제어부(104)가 처리부(10)에 포함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부(11)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커버부(2)를 더 포함할 경우 커버부(2)에 형성되거나, 본체부(1) 및 커버부(2)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진동부(미도시)는 진동을 주는 것으로, 처리부(10)에 진동을 주어 처리부(10) 내부에 있는 음식물쓰레기와 동애등에가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애등에가 음식물쓰레기 밑에 깔려 있지 않고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 보다 수월하고 자유롭게 음식물쓰레기를 섭취하며 처리할 수 있다.
바퀴(106)는 본체(100)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리부(10)는 보조 경사면(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경사면(107)은 본체(100) 하부 내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단이 경사면(100c)의 전단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적어 경사면(100c)에 도달하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 경사면(107)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동애등에는 음식물쓰레기 양이 적은 경우에도 경사면(100c)을 따라 용이하게 기어올라갈 수 있으며 이에 동애등에 수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리부(10)는 전원연결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연결부(108)는 경사면(100c)에 형성되어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경사면(100c)과 밀착되어 수집홀(미도시)이 동애등에 배출홀(101)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전원부(105)로부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108)는 제1 접지부(108a), 수집통 결합홈(108b), 제2 접지부(108c) 및 제3 접지부(108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부(108a)는 경사면(100c)에 형성되어 본체(100)에 결합된 전원부(105)와 접지될 수 있다.
수집통 결합홈(108b)은 경사면(100c)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집통 결합돌기(102a)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접지부(108c)는 수집통 결합홈(108b) 내부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제1 접지부(108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접지부(108d)는 수집통 결합홈(108b) 내부에 노출되게 형성되고,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덮개부(11), 센서부(미도시), 알림부, 제어부(104), 진동부(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 접지부(108c)와 제3 접지부(108d)는 연결되어 있지 않는데, 수집통 결합홈(108b)에 수집통 결합돌기(102a)가 삽입되어 제2 접지부(108c)와 제3 접지부(108d)가 각각 연결접지부(102b)와 접하게 되면 제2 접지부(108c)와 제3 접지부(108d)는 연결접지부(102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전원부(10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제1 접지부(108a)를 통해 제2 접지부(108c)로, 제2 접지부(108c)에서 제3 접지부(108d)로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사용하려 할 경우 작동되지 않음에 의해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동애등에 수집통(102)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음에 따라 동애등에 배출홀(101)에서 떨어지는 동애등에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11)는 개구된 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는데, 덮개(110), 본체팬(111) 및 실린더(11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10)는 본체(100)의 상측, 개구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된 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팬(111)은 덮개(110)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팬(111)이 덮개(110)에 형성됨으로써 동애등에가 번데기화될 시기가 되면 작동되어 상측이 더 건조하도록 하여 동애등에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더 유도할 수도 있다.
실린더(112)는 일단이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덮개(110)에 연결되어,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덮개(110)를 회동시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커버부(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는 내부에 본체부(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2중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동애등에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아파트, 식당가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부(2)는 하우징(20), 도어(21), 하우징덮개(22) 및 하우징팬(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부 및 제어부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본체부(1)를 수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21)는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20)의 전면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우징(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도어(21)가 하우징(20)을 개방함에 따라 하우징(20) 내부에 본체부(1)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도어(21)로 하우징(20)의 전면을 폐쇄하여 동애등에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덮개(22)는 하우징(20)의 상면에 형성되어 본체부(1)의 가림막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 덮개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에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은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팬(23)은 하우징(20) 일측에 형성되어 통풍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투영정면도이며, 도 10의 (a) 내지 (c)는 도 8의 수거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의 본체부(1)는 수거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거부(12), 이에 따른 동애등에 배출홀(101) 및 수집홀(미도시)의 형상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수거부(12), 동애등에 배출홀(101) 및 수집홀(미도시)의 형상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부(1)는 수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부(12)는 처리부(10)의 경사면(100c)에 있는 동애등에를 동애등에 수집통(102)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거부(12)는 가이드홀(120), 수거판(121), 제1 회전축(122), 연결축(123), 제2 회전축(124), 피니언기어(125) 및 래크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120)은 본체(100)에 경사면(100c) 상측으로, 즉 제1 본체(100a)에서 경사면(100c)과 인접하게 경사면(100c)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홀(120)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받으면서 기어올라가 있는 동애등에를 수거할 수 있도록 경사면(100c)의 중간 또는 상측부분에서부터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수거판(121)이 가이드홀(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본체(100) 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거판(121)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시에는 동애등에가 경사면(100c)을 따라 기어올라가는 것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거판(121)이 경사면(100c)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거판(121)은 경사면(100c)을 따라 이동하여 경사면(100c)에 남아있는 동애등에를 동애등에 배출홀(101)까지 밀어올릴 수 있다.
제1 회전축(122)은 일단이 수거판(121)에 연결되고 가이드홀(120)을 관통하여 타단이 본체(1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22)은 회동에 의해 수거판(121)이 회동하여 경사면(100c)에 대해 세워지거나 다시 눕혀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축(123)은 일단이 제1 회전축(122)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회전축(124)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회전축(124)이 당겨짐에 따라 제1 회전축(122)이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24)은 연결축(123)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과 피니언기어(12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 역할을 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125)는 제2 회전축(124)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제2 회전축(124)이 당겨져 래크기어(126)와 맞물려지고, 더 당겨지게 되면 래크기어(126)를 따라 회전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수거판(12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래크기어(126)는 경사면(100c)의 하면에 경사면(100c)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피니언기어(125)와 맞물릴 수 있고 이에 피니언기어(125)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회전축(124)을 당기는 것으로 제1 회전축(122)의 회동에 의해 수거판(121)이 경사면(100c)에 대해 세워지고, 피니언기어(125)와 래크기어(126)가 맞물리며(도 10의 (b)),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25)가 래크기어(126)를 따라 이동하여 수거판(121)이 경사면(100c)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10의 (c)).
이에 건조한 곳을 찾아 경사면(100c)을 기어올라간 동애등에가 동애등에 수집통(102)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경사면(100c)에 남아 있을 경우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이때, 수거판(121)에 의해 밀어올린 동애등에가 동애등에 배출홀(101)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동애등에 배출홀(101)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면(100c) 상측에서 양측으로 경사면(100c)을 따라 형성되되, 양끝단이 경사면(100c)의 라운드 끝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유충 시 음식물 및 분뇨를 가리지 않고 먹어 처리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유지비 등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냄새가 제거되고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어 가공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애등에의 번데기화 하기 전 건조한 곳을 찾는 습성을 이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서 동애등에를 분리할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번데기화한 동애등에를 사료 등에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본체부
10: 처리부
100: 본체
100a: 제1 본체
100b: 제2 본체
100c: 경사면
101: 동애등에 배출홀
102: 동애등에 수집통
102a: 수집통 결합돌기
102b: 연결접지부
103: 온도조절부
104: 제어부
105: 전원부
106: 바퀴
107: 보조 경사면
108: 전원연결부
108a: 제1 접지부
108b: 수집통 결합홈
108c: 제2 접지부
108d: 제3 접지부
11: 덮개부
110: 덮개
111: 본체팬
112: 실린더
12: 수거부
120: 가이드홀
121: 수거판
122: 제1 회전축
123: 연결축
124: 제2 회전축
125: 피니언기어
126: 래크기어
2: 커버부
20: 하우징
21: 도어
22: 하우징덮개
23: 하우징팬

Claims (10)

  1.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개구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처리부 및 개구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부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번데기화 하기 전 동애등에가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경사면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로부터 떨어지는 동애등에를 수집하는 동애등에 수집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단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제1 본체 및
    상단이 전측으로 후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단면의 넓이가 상기 제1 본체의 평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 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의 하단과 제2 본체의 상단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은,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되, 전측이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시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수집홀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의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동애등에 수용통에 수집된 동애등에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알림을 주는 알림부;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진동을 주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 하부 내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단이 상기 경사면의 전단 내측면과 접합도록 형성되는 보조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이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수집홀이 상기 동애등에 배출홀의 위치에 상응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와 접지되어 연결되는 제1 접지부;
    상기 경사면 상측에 형성되는 동애등에 배출홀의 일측에 형성된 수집통 결합홈;
    상기 수집통 결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지부 및
    상기 수집통 결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센서부, 알림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은,
    수집홀의 일측에 형성된 수집통 결합돌기 및
    상기 수집통 결합돌기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 결합돌기가 상기 수집통 결합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접지부와 제3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접지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개구된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공기를 통풍시키는 본체팬 및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개폐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는,
    내부에 상기 본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동애등에의 탈출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처리부의 경사면에 있는 동애등에를 상기 동애등에 수집통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경사면 상측으로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거판;
    일단이 상기 수거판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제1 회전축;
    일단이 상기 제1 회전축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 타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경사면의 하면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래크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을 당기는 것으로 제1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거판이 경사면에 대해 세워지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래크기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가 래크기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거판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KR1020190076267A 2019-06-26 2019-06-26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KR10222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67A KR102229690B1 (ko) 2019-06-26 2019-06-26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67A KR102229690B1 (ko) 2019-06-26 2019-06-26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50A true KR20210000950A (ko) 2021-01-06
KR102229690B1 KR102229690B1 (ko) 2021-03-17

Family

ID=7412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67A KR102229690B1 (ko) 2019-06-26 2019-06-26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6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40A (ko) * 2000-03-06 2001-09-15 구자홍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9964Y1 (ko) * 2001-10-12 2002-01-09 유성과학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5340A (ko) * 2009-08-07 2011-02-15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40014911A (ko) * 2012-07-27 2014-02-06 이승현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396182B1 (ko) * 2013-12-30 2014-05-19 이명수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20150057579A (ko) * 2013-11-20 2015-05-28 손주현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869502B1 (ko) *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40A (ko) * 2000-03-06 2001-09-15 구자홍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9964Y1 (ko) * 2001-10-12 2002-01-09 유성과학산업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5340A (ko) * 2009-08-07 2011-02-15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40014911A (ko) * 2012-07-27 2014-02-06 이승현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50057579A (ko) * 2013-11-20 2015-05-28 손주현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396182B1 (ko) * 2013-12-30 2014-05-19 이명수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101869502B1 (ko) *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690B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77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8152B1 (ko) 애벌레 사육장치
KR102099630B1 (ko)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KR102013244B1 (ko) 곤충의 대량 사육 모듈화 시스템
KR101443736B1 (ko)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166308B1 (ko) 동애등에 사육시설물
KR101815115B1 (ko) 동애등에 산란장치
KR20110015340A (ko)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US10398124B2 (en) Cat litter process
KR20120050833A (ko) 악취저감형 동애등에 유충사육 자동화장치
KR102229690B1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장치
KR101396182B1 (ko)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102601559B1 (ko) 발전시스템의 폐열을 곤충사육에 적용한 스마트 영농 시스템
US6620613B2 (en) Organic waste disposer
KR102145046B1 (ko)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장치
CN109047292B (zh) 自繁殖式厨余废弃物生物联合处理装置
KR101584205B1 (ko) 파리 애벌레 사육시스템
CN110038879B (zh) 高有机质混合型生活垃圾处理装置
US5341592A (en) Bat elimination and containment device
KR20200129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곤충 애벌레 사육 장치
GB2472456A (en) Garbage bin with vermin control station.
KR20210156938A (ko) 오염저감장치를 갖는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TWM566625U (zh) Waste treatment plant
KR20230016402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해 남은 음식물 자원을 처리하는 친환경 원점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원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