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57U -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 Google Patents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57U
KR20210000857U KR2020210001057U KR20210001057U KR20210000857U KR 20210000857 U KR20210000857 U KR 20210000857U KR 2020210001057 U KR2020210001057 U KR 2020210001057U KR 20210001057 U KR20210001057 U KR 20210001057U KR 20210000857 U KR20210000857 U KR 20210000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waste
waste
recycled
main conveyor
trans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5517Y1 (en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15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85447A/en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2020210001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17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5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외부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소정의 위치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 유닛과,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투입 유닛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를 갖는 메인 컨베이어와,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고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는 광학 분석기와, 재활용 폐기물을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메인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개구를 통해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바깥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 선택된 것을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과, 광학 분석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광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선별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한다.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recycled waste from the outside and inputting it to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the recycled waste from the input unit. An optical analyzer that detects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waste by irradiating light to the recycled waste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and the recycled waste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and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cycled waste, and the recycled waste intersect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A plurality of sub-conveyors arranged above the main conveyor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that is transported by inject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and carried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rranged to push up a selected one of recycled wastes to a plurality of sub-conveyor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an optical analyz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respectively, so that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can select and transport the recycled wastes of the materi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among the recycled wastes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Recycled waste sorting device{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본 고안은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폐기물이 혼합된 혼합 폐기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재질 별로 자동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orting recycled wastes by material from mixed wastes in which various wastes are mixed.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혼합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고, 캔이나 병, 플라스틱 등은 재활용품으로 선별되어 재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mixed wastes discharged from homes or factories are collected at a garbage collection point, and cans, bottles, plastics, etc. are sorted and recycled as recyclables.

폐기물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거된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종류별로 선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recycling efficiency of waste, it is important to sort and separate recyclable waste by type from the collected waste.

종래에는 폐기물 선별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작업에 의한 폐기물 선별 시, 작업자가 컨베이어의 옆쪽에 서서 운반중인 혼합 폐기물을 종류, 재질, 크기, 색깔 등에 따라 선별 분류하게 된다.In the past, waste sorting was mostly done by hand. When sorting waste by hand, the operator stands on the side of the conveyor and sorts and sorts the mixed waste being transported according to type, material, size, color, etc.

이러한 수작업 선별 방법은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인건비 등을 포함한 비용의 부담이 증가된다.This manual sorting method takes a long time to work, lowers work efficiency, and increases the burden of expenses including labor costs.

근래에는 다양한 자동화시스템이 도입되어 폐기물 선별 작업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재활용 폐기물을 종류나 재질 별로 정확하게 자동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Recently, various automated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to automate waste sorting, but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 system that accurately classifies recycled waste by type or material.

또한, 선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를 길게 하거나, 센서나 폐기물 픽업수단 등 폐기물 인식 및 선별을 위한 구성요소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면 설비 비용의 과도한 증가로 실용성이 떨어지므로, 선별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if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is lengthened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or if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waste recognition and sorting such as sensors or waste pick-up means is increased, practicality decreases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equipment cost, thus increasing sorting efficiency.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ystem.

등록특허공보 제0492696호 (2005. 06. 0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492696 (2005. 06. 07)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재활용 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int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cycled waste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sorting efficiency of recycled waste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외부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소정의 위치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 유닛;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 유닛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를 갖는 메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고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을 검출하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서 배치되는 광학 분석기;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광학 분석기보다 하류에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하되,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바깥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 및 상기 광학 분석기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학 분석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상기 광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선별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한다.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recycled waste from the outside and inputting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main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having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recycled waste from the input unit; An optical analyzer disposed i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to detect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waste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recycled waste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and receiving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cycled waste; O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the main conveyor is located at a distance along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downstream of the optical analyzer, but the recycled waste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A plurality of sub-conveyors disposed above; Air is in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o push up a selected one of recycled wastes carried by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o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rbital transfer membe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optical analyzer and control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analyz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by the main convey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is controlled so as to select and transport the recycled waste of the materi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among the transferred recycled was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각기 다른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각각 운반하되, 각 서브 컨베이어에는 동일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이 운반되도록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transport the recycled wastes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main conveyor to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so that the recycled wastes of the same material are transported to each sub-conveyor. Each can be controlled.

상기 에어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중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에어 분사 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는 서브 컨베이어로 재활용 폐기물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해당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is a plurality of sub-conveyor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ub-conveyor so as to push up the recycled waste to a sub-convey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injection unit on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path of the main conveyor among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It may include an air nozzle.

상기 에어 분사 유닛에 구비되는 에어 노즐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nozzles provided in the air injection unit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transfer direction of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and a transfer direction of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는 상기 에어 분사 유닛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서 튕겨나가지 못하게 막는 차단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sub-conveyor to prevent the recycled waste pushed up by the air injection unit from being bounced off the sub-conveyor.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벨트들 사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transfer direction of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and the open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belts.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이송부재 바디의 중간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transfer member body having a belt structure,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disposed in a middle of the transfer member body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그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재활용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 바디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transfer member body so as to contact the recycled waste in ord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recycled waste placed thereon, and the transfer member body is provided with the Som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dis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중간에 상기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상기 이송부재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은,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is a transfer member body having a belt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the middle,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so as to contact the recycled waste placed on the transfer member body. And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which are formed in a row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member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are used to transfer recycled waste that is longer than a wid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It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so as to be alig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보다 위쪽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투입 유닛에서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 바디를 향해 늘어져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정렬 스트랩을 구비하는 폐기물 정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정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정렬 스트랩이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하여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면서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 열 사이로 들어가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fixedly disposed above the main conveyor, and from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transport member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cycled waste input from the input unit to the transport member body. A waste sor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straps that are stretc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wherein the waste sorting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sorting straps inserted onto the transport member body. In contact with the recycled waste, the length of the recycled waste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is plac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and aligned so that it enters between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 rows mad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I can.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따르면,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 광학 분석기와,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와,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배치되어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광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재활용 폐기물의 이송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짧은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내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재질 별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설치 공간 및 구성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optical analyzer, a plurality of sub-conveyors,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re arranged in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path of the main conveyor, so that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re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The recycled waste can be selectively transported to a plurality of sub-conveyors by spraying air on the recycled waste made of the material.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ransfer path of the recycled wast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lect the recycled waste by material within the short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reducing equipment cost.

본 고안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메인 컨베이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분석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구비되는 에어 분사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the main conveyor of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analyzer provided i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provided i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show some configurations of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a representative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ar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재활용 폐기물(R)을 소정의 위치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 유닛(110)과, 투입 유닛(110)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R)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메인 컨베이어(120)와, 메인 컨베이어(120)의 위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와,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의 재질 또는 재질과 크기 등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 분석기(140)와, 재활용 폐기물(R)을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운반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과,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메인 컨베이어(120)를 따라 운반되는 재활용 폐기물(R)을 재질 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운반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ycled waste s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recycled waste 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recycled waste from the input unit 110 Recycling transferred by the main conveyor 120 receiving and transferring (R), a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134 disposed above the main conveyor 120, and the main conveyor 120 Optical analyzer 140 for detecting the material or material and size of waste (R),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for transporting recycled waste (R) to a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134) It includes (150) (160) (162) (164) and a controller 180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164). The recycled waste sorting apparatus 100 may classify the recycled waste R transported along the main conveyor 120 by material and transport them to each of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투입 유닛(110)은 외부로부터 재활용 폐기물(R)을 공급받아 메인 컨베이어(120)로 투입한다. 투입 유닛(110)은 재활용 폐기물(R)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 스크린(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섞여있는 다양한 재활용 폐기물(R)을 진동 스크린(111)으로 진동을 가하여 메인 컨베이어(120) 상에 고르게 펴서 투입할 수 있다. 이 밖에, 투입 유닛(110)은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recycled waste R from the outside and puts it into the main conveyor 120.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vibrating screen 111 capable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recycled waste R, and the main conveyor 120 by vibrating the mixed various recycled wastes R with the vibrating screen 111 ) Can be spread evenly on the top.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be changed to a variety of other structures other than the illustrated structure.

메인 컨베이어(120)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124)(126)와, 회전 지지부(12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부(128)를 포함한다.The main conveyor 120 includes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and a pair of rotation support parts 124 and 126 supporting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to enable orbital motion,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124. It includes a conveyor drive unit 128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124)(126)에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이송 벨트(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송 벨트(122)는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송 벨트들(122) 사이에는 개구(123)가 마련된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122 supported by a pair of rotational support portions 124 and 126 to enable orbital motion. The plurality of conveying belt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conveying direction. An opening 123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belts 122.

한 쌍의 회전 지지부(124)(126) 중 하나의 회전 지지부(124)는 컨베이어 구동부(128)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이송 벨트(122)에 이송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24)는 복수의 이송 벨트(122)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홈(125)을 갖는다. 복수의 가이드홈(125)은 회전 지지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다른 하나의 회전 지지부(126)도 복수의 이송 벨트(122)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홈(127)을 갖는다. 복수의 가이드홈(127)은 회전 지지부(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송 벨트(122)가 각 회전 지지부(124)(126)의 가이드홈(125)(127)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이송 벨트(122)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궤도 운동할 수 있다.One of the pair of rotation support parts 124 and 126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conveyor drive unit 128 to transmit the transfer force to the plurality of transfer belts 122. The rotation support 124 ha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25 into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122 can be partially inserted.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125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124. The other rotation support 126 also ha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27 into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122 can be partially inserted.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127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126. Since the transfer belt 122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25 and 127 of each rotation support 124 and 126, the plurality of transfer belts 122 can orbi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는 광학 분석기(140)에 의해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R)을 재질 별로 운반할 수 있도록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광학 분석기(140)보다 하류에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들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는 재질 별로 분류되는 재활용 폐기물(R)을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메인 컨베이어(120)의 위쪽에 메인 컨베이어(120)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를 메인 컨베이어(120)와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에는 차단부재(136)가 배치된다. 차단부재(136)는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의 일측에 세워져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부터 상부로 연장됨으로써,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재활용 폐기물(R)이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에서 튕겨나가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134 are optical analyzers 140 o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so that the recycled waste R divided by the optical analyzer 140 can be transported by material. )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of the recycled wast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hese sub-conveyors 130, 132, 134 are above the main conveyor 120 so that the recycled waste R classified by material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120. It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main conveyor 120. By arranging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to intersect with the main conveyor 120,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may be reduced. Blocking members 136 are disposed on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The blocking member 136 is erected on one side of the sub-conveyor 130, 132, 134 and extends upward from the sub-conveyor 130, 132, 134, and thus the air injection unit 150, 160, 162 It serves to prevent the recycled waste (R) pushed up by the sub-conveyor 130, 132, 134 bounced off.

도면에는 서브 컨베이어(130)(132)(134)가 메인 컨베이어(120)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메인 컨베이어(120)에 대한 각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의 교차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의 개수나 배치 간격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는 벨트 컨베이어나 체인 컨베이어, 또는 그 밖에 재활용 폐기물(R)을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cros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conveyor 120, but each of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with respect to the main conveyor 120 The crossing angle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number or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sub-conveyors 130, 132, and 134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sub conveyors 130, 132, and 134 may tak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transporting a belt conveyor, a chain conveyor, or other recycled waste (R).

광학 분석기(140)는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에 광을 조사하여 재활용 폐기물(R)의 재질 또는 재질과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학 분석기(140)는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 투입 유닛(110)에 의해 재활용 폐기물(R)이 투입되는 위치와 첫 번째 에어 분사 유닛(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analyzer 140 irradiates light to the recycled waste R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120 to detect the material or material and size of the recycled waste R. It is placed in the transport path. Specifically, the optical analyzer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ir injection unit 150 and the position where the recycled waste R is input by the input unit 110 i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have.

광학 분석기(140)는 메인 컨베이어(120)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41)와, 메인 컨베이어(120) 상의 재활용 폐기물(R)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42)를 포함한다.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는 하나씩 짝을 이루며 복수가 메인 컨베이어(1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40)는 근적외선(NIR) 또는 다른 분석용 광을 연속적으로 메인 컨베이어(120)에 조사하고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여 반사광을 분석함으로써,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에 함유된 성분 및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분석기(140)는 메인 컨베이어(120)의 위쪽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메인 컨베이어(1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메인 컨베이어(120) 상에 실려 이송되는 모든 재활용 폐기물(R)의 재질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The optical analyzer 14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41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the main conveyor 120 and a light receiving unit 142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recycled waste R on the main conveyor 120. The light-emitting unit 141 and the light-receiving unit 142 are paired one by one, and a plurality of the light-emitting units 141 and 142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The optical analyzer 140 continuously irradiates near-infrared (NIR) or other analysis light onto the main conveyor 120 and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cycled waste R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120 to analyze the reflected ligh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omponents and sizes contained in the recycled waste (R)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120. The optical analyzer 140 is one or more than the main conveyor 120 is dispos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the material of all the recycled waste (R) carried on the main conveyor 120 May be detected and the detecti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80.

예를 들어, 광학 분석기(140)는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을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 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분석기(140)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활용 폐기물을 PET, PP, PE, PS 등의 재질별로 분석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40)의 검출 신호는 제어부(180)로 송신된다.For example, the optical analyzer 140 may classify the recycled waste R transported by the main conveyor 120 by materials such as plastic, glass, and metal. In addition, the optical analyzer 140 may analyze plastic-based recycled waste for each material such as PET, PP, PE, and P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analyzer 1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의 개구(123)를 통해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의 바깥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에 실려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을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로부터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무한궤도형 이송부재(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안쪽 공간에 배치된다. 이들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 중에서 하나의 에어 분사 유닛(164)은 메인 컨베이어(120)의 끝단에 배치되어 메인 컨베이어(120) 상의 재활용 폐기물을 소정의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 컨베이어(120)의 끝단 상부 영역에는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메인 컨베이어(120)로부터 밀어 올려지는 재활용 폐기물(R)을 이송할 수 있으며, 메인 컨베이어(120)의 끝단 하부 영역에는 또 다른 서브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재활용 폐기물(R)의 선별이 완료된 나머지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세 개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은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에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광학 분석기(140)에 의해 분석된 재활용 폐기물을 각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운반할 수 있다. 이들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은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해당 서브 컨베이어보다 상류에 배치되어 해당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비스듬하게 에어를 분사한다.The air injection unit 150, 160, 162, 164 injects air to the outside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through the opening 123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to transfer the caterpillar type. It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so that the recycled waste R carried on the member 121 can be pushed up from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121. One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164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main conveyor 120 to place the recycled waste on the main conveyor 120 at a predetermined location. Can be transported. Although not shown, another sub-conveyor is install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nd of the main conveyor 120 to transport the recycled waste R pushed up from the main conveyor 120, and in the lower region of the end of the main conveyor 120 Another sub-conveyor may be installed to transport the remaining wastes that have been sorted out of the recycled waste (R). In addition, the thre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ub-conveyors 130, 132, and 134, respectively, in the recycled waste transport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so that the optical analyzer 140 The recycled waste analyzed by may be transported to each of the sub-conveyors 130, 132, and 134. Thes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are disposed upstream of the sub-conveyor o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to inject air obliquely toward the sub-conveyor.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은 설치 위치만 다르고, 그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상 첫 번째 에어 분사 유닛(1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나머지 에어 분사 유닛(160)(162)(16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164 differ only in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and have the same specific configuration or ac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to 9,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air injection unit 150 will be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air injection units 160, 162, and 164 will be omitted.

에어 분사 유닛(150)은 유닛 바디(151)와, 유닛 바디(151)에 구비되는 복수의 에어 노즐(152)과, 에어 노즐(152)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유닛 바디(151)에 연결되는 복수의 에어 공급 튜브(154)를 포함한다. 에어 공급 튜브(154)는 에어 공급부(17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 노즐(152)에 전달한다. 에어 노즐(152)은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이보다 하류에 배치되는 서브 컨베이어(13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 노즐(152)은 해당 서브 컨베이어(130)를 향해 비스듬하게 에어를 분사하여 재활용 폐기물(R)을 해당 서브 컨베이어(130)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 분사 유닛(150)이 재활용 폐기물(R)을 서브 컨베이어(130)로 밀어 올릴 때, 서브 컨베이어(130) 상에 도달하는 재활용 폐기물(R)은 차단부재(136)에 의해 막혀 서브 컨베이어(130)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서브 컨베이어(13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unit body 151 to supply air to the unit body 151, a plurality of air nozzles 152 provided in the unit body 151, and the air nozzle 152. It includes a plurality of air supply tubes (154). The air supply tube 154 delivers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70 to the air nozzle 152. The air nozzle 152 is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ub-conveyor 130 disposed downstream of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Accordingly, the air nozzle 152 may inject air obliquely toward the sub-conveyor 130 to push up the recycled waste R to the sub-conveyor 130. In this way, when the air injection unit 150 pushes up the recycled waste R to the sub-conveyor 130, the recycled waste R reaching on the sub-conveyor 130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136 and serves as a sub-conveyor. It can not escape from the conveyor 130 and may be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ub conveyor 130.

에어 노즐(152)은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메인 컨베이어(1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된다. 광학 분석기(140)에서 검출한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되며, 제어부(180)는 특정 서브 컨베이어(130)로 밀어 올려지는 특정 재활용 폐기물이 에어 분사 유닛(150)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에어 노즐(152)이 서브 컨베이어(130)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여 특정 재활용 폐기물을 서브 컨베이어(130)로 밀어 올리게 된다. 광학 분석기(140)에서 검출된 신호는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과 크기 등을 포함하므로, 제어부(180)는 에어 분사 유닛(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 크기 및 메인 컨베이어(120)의 이송 속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갯수의 에어 노즐(152)을 구동하여 특정 재활용 폐기물을 특정 서브 컨베이어(130)로 운반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분사 유닛(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에어 노즐(153)을 구동하도록 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서브 컨베이어(130)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어 노즐(152)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단위 노즐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학 분석기(140) 각각의 폭(메인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에어 노즐(152) 각각을 단위 노즐부로 묶고 이들을 제어부가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광학 분석기(140) 중 신호가 검출된 광학 분석기(140)에 대응하는 단위 노즐부를 구동시켜 재활용 폐기물을 서브 컨베이어(130)로 운반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air nozzles 152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and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120. do. The sign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1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and when the specific recycled waste pushed up by the specific sub-conveyor 130 is located above the air injection unit 150, The air nozzle 152 injects air toward the sub conveyor 130 to push up the specific recycled waste onto the sub conveyor 130. Since the sign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140 includes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recycled waste, the controller 180 is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fer speed comprehensively, the number of air nozzles 152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ycled waste is driven to transport the specific recycled waste to the specific sub-conveyor 1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air nozzle 153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ycled waste positioned above the air injection unit 150 as shown in FIG. 7 to transport the recycled waste to the sub-conveyor 13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nozzles 152 may be grouped to form one unit nozzle unit. For example, each of the air nozzles 152 corresponding to the width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ptical analyzers 140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may be bundled into unit nozzle units, and the control unit may individually control them.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transport the recycled waste to the sub conveyor 130 by driving a unit nozzle unit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analyzer 140 in which a signal is detected among the plurality of optical analyzers 140.

제어부(180)는 광학 분석기(140)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광학 분석기(140)의 검출 신호에 따라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을 각각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이 메인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R) 중에서 광학 분석기(140)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R)을 선별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164)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optical analyzer 140 and control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164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analyzer 140, respectively. That is, the control unit 180 is a materi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140 among the recycled wastes R in which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164 are transported by the main conveyor 120.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164 can be controlled, respectively, so that the recycled waste R can be sorted and transported.

일례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이 각기 다른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R)을 메인 컨베이어(120)로부터 밀어내어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각각 운반하되, 각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에는 동일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R)이 운반되도록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광학 분석기(140)가 재활용 폐기물(R) 중에서 PET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P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E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검출한다고 할 때, 제어부(180)는 메인 컨베이어(120) 상에서 PET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P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E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 각각의 위치와 메인 컨베이어(120)의 이송 속도에 따라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이 PET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P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과, PE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각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운반하도록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광학 분석기(14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첫 번째 에어 분사 유닛(150)은 PET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첫 번째 서브 컨베이어(130)로 운반하고, 두 번째 에어 분사 유닛(160)은 PP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두 번째 서브 컨베이어(132)로 운반하고, 세 번째 에어 분사 유닛(162)은 PE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세 번째 서브 컨베이어(134)로 운반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pushes the recycled waste R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main conveyor 120 by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a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 Each transported to 134, but each sub-conveyor 130, 132, and 134 each control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so that the recycled waste (R) of the same material is transported can do. When the optical analyzer 140 detects PET material recycled waste, PP material recycled waste, and PE material recycled waste among the recycled wastes R, the controller 180 uses PET material on the main conveyor 120.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each of the recycled wastes, recycled wastes made of PP and recycled wastes made of PE, and the transfer speed of the main conveyor 120. The spraying units 150, 160, and 162 spray air onto the recycled waste made of PET, recycled waste made of PP, and recycled waste made of PE and transported to each sub-conveyor 130, 132, and 134.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may be controlled so as to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air injection unit 150 located closest to the optical analyzer 140 on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path of the main conveyor 120 injects air to the recycled waste made of PET material, and the first sub-conveyor 130 The second air injection unit 160 sprays air onto the recycled waste made of PP material and transports it to the second sub-conveyor 132, and the third air injection unit 162 sprays air on the recycled waste made of PP material.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third sub-conveyor 134 by spraying.

다른 예로, 메인 컨베이어(120)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R) 중에서 특정 한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의 양이 많은 경우, 광학 분석기(140)가 해당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만 검출하고, 제어부(180)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 모두가 재활용 폐기물(R) 중에서 한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만 선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컨베이어(120) 상에서 검출된 재활용 폐기물의 위치와 메인 컨베이어(120)의 이송 속도에 따라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의 동작이 최적화되도록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에 의해 모든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에 한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이 운반되어 해당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amount of a specific type of recycled waste among the recycled wastes R input to the main conveyor 120 is large, the optical analyzer 140 detects only the corresponding type of recycled waste, and the controller 180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can control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so that only one type of recycled waste can be selectively transported among the recycled wastes (R). hav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is configured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each air injection unit 150, 160, 162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cycled waste detected on the main conveyor 120 and the transfer speed of the main conveyor 120.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In this case, one kind of recycled waste is transported to all of the sub-conveyors 130, 132, 134 by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thereby increas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corresponding recycled waste. .

또 다른 예로, 광학 분석기(140)가 두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 중에서 하나는 한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을 운반하고, 나머지 두 개가 다른 한 종류의 재활용 폐기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각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tical analyzer 140 detects two types of recycled waste, the controller 180 transports one type of recycled waste among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nd ,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of the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so that the other two can transport the other type of recycled waste.

상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메인 컨베이어(120)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 광학 분석기(140)와,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와,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이 배치되어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150)(160)(162)이 광학 분석기(140)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130)(132)(134)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재활용 폐기물의 이송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짧은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내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재질 별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설치 공간 및 구성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설비 비용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analyzer 140 and a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 134)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162 are disposed so that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150, 160, and 162 collect recycled waste of the materi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140. Optionally, it may be transported to a plurality of sub-conveyors 130, 132, and 134.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ransfer path of the recycled wast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lect the recycled waste by material within the short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reducing equipment cost.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에 구비되는 에어 분사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에어 분사 유닛에 구비되는 단위 노즐부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하나의 단위 노즐부를 구성하는 에어 노즐의 개수나 배치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provided i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That is, the number o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nit nozzle units provided in the air injection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number o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air nozzles constituting one unit nozzle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100)에 구비되는 메인 컨베이어의 구체적인 구성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0은 메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ain conveyor provided i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As an example, FIG. 10 shows a modified example of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provided on a main conveyor.

도 10에 나타낸 무한궤도형 이송부재(210)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미도시)에 지지되어 움직이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211)를 포함한다. 이송부재 바디(211)에는 에어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212)와, 재활용 폐기물(R)과 접촉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213)가 구비된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0 shown in FIG. 10 includes a transfer member body 211 having a belt structure that is supported and moved by a plurality of rotational supports (not shown). The transfer member body 2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212 through which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passes, and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213 that can contact the recycled waste R.

복수의 개구(212)는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개구(212)는 에어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서브 컨베이어 쪽으로 비스듬하게 분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nings 212 are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ub conveyor. The opening 212 may guide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to be injected obliquely toward the sub conveyor.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213)는 이송부재 바디(211)로부터 돌출되도록 이송부재 바디(211)의 중간에 돌출 구비된다. 이들 이송부재 돌기(213)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210)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R)과 접촉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R)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213 ar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member body 211 so as to protrude from the transfer member body 211. These transfer member protrusions 213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recycled waste R by contacting the recycled waste R that is put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0.

무한궤도형 이송부재(210)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R)의 위치나 자세가 광학 분석기(140)가 배치된 위치와 에어 분사 유닛이 배치된 위치에서 서로 다르면 재활용 폐기물(R)의 선별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즉, 무한궤도형 이송부재(210) 위로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R)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광학 분석기(140)의 검출 위치를 통과한 재활용 폐기물(R)이 에어 분사 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움직이게 되면 에어 분사 유닛이 해당 재활용 폐기물(R)을 향해 정확하게 에어를 분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무한궤도형 이송부재(2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213)는 재활용 폐기물(R)과 접촉하여 재활용 폐기물(R)이 이송 중에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부재 돌기(213)에도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재 돌기(213)의 모양이나 배치 간격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f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recycled waste (R) placed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0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where the optical analyzer 140 is disposed and the location where the air injection unit is disposed, the accuracy of sorting the recycled waste (R) may be reduced. I can. That i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ecycled waste (R) put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0, when the recycled waste (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optical analyzer 140 is mov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o the air injection unit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njection unit cannot accurately inject air toward the corresponding recycled waste (R).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213 provided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0 contact the recycled waste R to prevent the recycled waste R from moving during transfer, thereby reducing such a problem. As shown, the transfer member protrusion 213 may also have an opening 212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shape or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ransfer member protrusion 213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다른 변형예의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1 and 12 show a part of a recycling waste sorting apparatus including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of another modified example.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미도시)에 지지되어 움직이는 이송부재 바디(311)를 포함한다. 이송부재 바디(311)에는 에어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312)와, 재활용 폐기물(R)과 접촉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이 구비된다.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shown in FIGS. 11 and 12 includes a transfer member body 311 tha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tational support portions (not shown) and moves. The conveying member body 3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312 through which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can pass,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member pins 313 that can contact the recycled waste R.

복수의 개구(312)는 에어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서브 컨베이어 쪽으로 비스듬하게 분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openings 312 are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ub-conveyor so as to guide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sub-conveyor.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은 이송부재 바디(311)로부터 돌출되도록 이송부재 바디(311)의 중간에 돌출 구비된다. 이들 이송부재 핀(313)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R)과 접촉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R)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재활용 폐기물(R)을 정렬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의 폭 방향, 즉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배치된다.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 핀의 열은 복수 개가 이송부재 바디(311)의 길이 방향, 즉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313 ar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member body 311 so as to protrude from the transfer member body 311. These transfer member pins 313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recycled waste R and sort the recycled waste R by contacting the recycled waste R that is put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313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that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transfer direction. A plurality of rows of conveying member pins made of a plurality of conveying member pins 313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body 311, that is, the recycling waste conveying direction.

이와 같이,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은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R)을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이송부재 바디(311) 위로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될 때,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R)은 이송부재 핀(313)에 접촉함으로써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 정렬된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313 form row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so that, as shown in FIG. The waste (R)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direction. That is, when the recycled waste is put on the transfer member body 311, the recycled waste R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contacts the transfer member pin 313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plac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It is arranged so that it is.

복수의 이송부재 핀(313)을 통해 재활용 폐기물(R)을 이송부재 바디(311) 위에 정렬시키면 에어 분사 유닛이 재활용 폐기물(R)을 서브 컨베이어로 운반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특히, 에어 분사 유닛은 재활용 폐기물(R)이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면, 재활용 폐기물(R)의 더 넓은 면적에 걸쳐 더 균일하게 에어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폐기물(R)을 더욱 원활하게 서브 컨베이어 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When the recycled waste R is aligned on the transfer member body 311 through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313, the air injection unit works advantageously to transport the recycled waste R to the sub-conveyor. In particular, if the recycled waste R is alig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conveying direction, the air injection unit can spray air more evenly over a larger area of the recycled waste R, Recycling waste (R) can be more smoothly pushed up to the side of the sub-conveyor.

이러한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재활용 폐기물(R)을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 상에 정렬시키기 위한 폐기물 정렬 유닛(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정렬 유닛(320)은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보다 위쪽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321)과,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에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R)에 접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321)으로부터 이송부재 바디(311)를 향해 늘어지도록 배치되는 정렬 스트랩(322)을 구비한다. 정렬 스트랩(322)은 복수 개가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The recycled waste sorting apparatus having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may further include a waste sorting unit 320 for aligning the recycled waste R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The waste sorting unit 320 includes a support frame 321 fixedly disposed above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and a support frame ( It includes an alignment strap 322 disposed so as to hang from 321 toward the transfer member body 311. A plurality of alignment straps 3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transport direction.

폐기물 정렬 유닛(320)은 복수의 정렬 스트랩(322)이 이송부재 바디(311)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R)에 접함으로써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R)을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 정렬할 수 있다. 즉, 재활용 폐기물(R)이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에 실려 이송될 때,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지 않은 재활용 폐기물(R)도 정렬 스트랩(322)에 접하여 움직임으로써 복수의 이송부재 핀의 열 사이로 들어가면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폐기물 정렬 유닛(320)은 광학 분석기(140) 보다 상류에 배치하여 정렬이 완료된 재활용 폐기물(R)을 광학 분석기(140)로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te sorting unit 320 transfers the recycled waste R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by contacting the recycled waste R that is put on the conveying member body 311 by a plurality of sorting straps 322 They can be aligned to li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hat is, when the recycled waste (R) is transported by being carried o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the recycled waste (R) whose length direction is not plac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port direction is also in contact with the alignment strap 322 By moving, it can be aligned as it enters between the rows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te sorting unit 320 is disposed upstream of the optical analyzer 140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sorted recycled waste R with the optical analyzer 140.

무한궤도형 이송부재(310)에 구비되는 이송부재 핀(313)의 모양이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 스트랩(322)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재활용 폐기물(R)에 접하여 재활용 폐기물(R)을 그 길이 방향이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 정렬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렬 스트랩을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shape o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transfer member pin 313 provided in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3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sorting strap 322 is also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one or more sorting straps capable of aligning the recyclable waste R in contact with the recyclable waste R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yclable waste transport direction. It can be changed to a variety of different structures with

지금까지,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Until n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110 : 투입 유닛
120 : 메인 컨베이어 130, 132, 134 : 서브 컨베이어
140 : 광학 분석기 141 : 발광부
142 : 수광부
150, 160, 162, 164 : 에어 분사 유닛
151 : 유닛 바디 152 : 에어 노즐
153 : 단위 노즐부 154 : 에어 공급 튜브
170 : 에어 공급부 180 : 제어부
210, 310 : 무한궤도형 이송부재 211, 311 : 이송부재 바디
213 : 이송부재 돌기 313 : 이송부재 핀
320 : 폐기물 정렬 유닛 321 : 지지 프레임
322 : 정렬 스트랩
100: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110: input unit
120: main conveyor 130, 132, 134: sub conveyor
140: optical analyzer 141: light emitting unit
142: light receiving unit
150, 160, 162, 164: air injection unit
151: unit body 152: air nozzle
153: unit nozzle unit 154: air supply tube
170: air supply unit 180: control unit
210, 310: caterpillar transfer member 211, 311: transfer member body
213: transfer member protrusion 313: transfer member pin
320: waste sorting unit 321: support frame
322: alignment strap

Claims (7)

외부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메인 컨베이어의 소정의 위치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재활용 폐기물에 진동을 가하여 메인 컨베이어의 소정의 위치로 고르게 펴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스크린을 포함하는 투입 유닛;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 유닛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를 갖는 메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고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 및 크기를 검출하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서 배치되는 광학 분석기;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광학 분석기보다 하류에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하되,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바깥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 및
상기 광학 분석기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학 분석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는 상기 에어 분사 유닛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서 튕겨나가지 못하게 막는 차단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에어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중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에어 분사 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는 서브 컨베이어로 재활용 폐기물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해당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상기 광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선별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하되,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된 에어 노즐 중에서 상기 에어 분사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에어 노즐을 구동하여 선별된 재활용 폐기물을 서브 컨베이어로 운반하도록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An input unit including a vibrating screen for receiving recycled waste from the outside and putting it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in conveyor,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recycled waste su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spread evenl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in conveyor. ;
A main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having a caterpillar transfer member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recycled waste from the input unit;
An optical analyzer disposed i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to detect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recycled waste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recycled waste conveyed by the main conveyor and receiving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cycled waste;
On the recycled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the main conveyor is located at a distance along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downstream of the optical analyzer, but the recycled waste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A plurality of sub-conveyors disposed above;
Air is in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hrough the opening of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o push up selected from recycled wastes carried by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to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rbital transfer membe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optical analyzer,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ptical analyzer,
A block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ub-conveyor to prevent the recycled waste pushed up by the air injection unit from being bounced off the sub-conveyor,
The air injection unit is a plurality of sub-conveyor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ub-conveyor so as to push up the recycled waste to a sub-convey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injection unit on the recycling waste transfer path of the main conveyor. Including an air nozzle, wherein the air nozzle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eac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and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so that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can select and transport the recycled wastes of the material detected by the optical analyzer among the recycled wastes transported by the main conveyor, the By driving an air nozz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ycled waste positioned above the air injection unit among a plurality of air nozzles each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and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Recycled waste s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to transport the sorted recycled waste to the sub-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각기 다른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각각 운반하되, 각 서브 컨베이어에는 동일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이 운반되도록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transport recycled wastes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main conveyor to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units so that the recycled wastes of the same material are transported to each sub-conveyor.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ea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벨트들 사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wherein the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belt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이송부재 바디의 중간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erpillar conveying member comprises a conveying member body having a belt structure,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disposed in a middle of the conveying member body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lurality of sub-conveyo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그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재활용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재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 바디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돌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transfer member body so as to contact the recycled wast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recycled waste placed thereon,
Recyclable waste s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in the transfer member body are dis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중간에 상기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상기 이송부재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은,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erpillar transfer member is a transfer member body having a belt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the middle,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ed wast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so as to contact the recycled waste placed on the transfer member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formed in rows and protruding outward of the transfer member body
The plurality of conveying member pi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so that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longer than the width is alig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Recycled waste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form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베이어보다 위쪽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투입 유닛에서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 바디를 향해 늘어져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정렬 스트랩을 구비하는 폐기물 정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정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정렬 스트랩이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하여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면서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 열 사이로 들어가도록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frame fixedly disposed above the main conveyor, and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recycled waste of the main conveyor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transfer member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cycled waste inputted above the transfer member body from the input unit. Including; a waste sor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sorting straps arranged spaced apart in an orthogonal direction,
The waste sorting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sorting straps in contact with the recycling waste that is put on the conveying member body, so that the recycling waste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is plac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ycling wast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ain conveyor. Recyclable waste s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o as to enter between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 row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 pins.
KR2020210001057U 2019-01-07 2021-04-05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KR2004955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57U KR200495517Y1 (en) 2019-01-07 2021-04-05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45A KR20200085447A (en) 2019-01-07 2019-01-07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KR2020210001057U KR200495517Y1 (en) 2019-01-07 2021-04-05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45A Division KR20200085447A (en) 2019-01-07 2019-01-07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57U true KR20210000857U (en) 2021-04-21
KR200495517Y1 KR200495517Y1 (en) 2022-06-13

Family

ID=8198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57U KR200495517Y1 (en) 2019-01-07 2021-04-05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1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16B1 (en) 2022-04-08 2023-02-10 주식회사 우리산업 The separat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370B1 (en) 2022-02-08 2023-01-27 김지원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purpose Garbage Disposal Device
KR102645658B1 (en) * 2023-06-26 2024-03-11 (주)민창 Rotary disk type Wastes distribu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498A (en) * 1998-08-25 2000-03-28 Binder & Co Ag Apparatus for sorting waste material, especially, plastic waste material
KR20030034483A (en)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Suction separate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and construction-waste separating system
KR100492696B1 (en) 2004-10-19 2005-06-07 엠엔테크(주) System for selection recycling goods
KR20150123405A (en) * 2014-04-24 2015-11-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Magnetic separating apparatus
KR101857940B1 (en) * 2018-02-20 2018-06-19 안성남 Recycled aluminum can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498A (en) * 1998-08-25 2000-03-28 Binder & Co Ag Apparatus for sorting waste material, especially, plastic waste material
KR20030034483A (en)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Suction separate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and construction-waste separating system
KR100492696B1 (en) 2004-10-19 2005-06-07 엠엔테크(주) System for selection recycling goods
KR20150123405A (en) * 2014-04-24 2015-11-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Magnetic separating apparatus
KR101857940B1 (en) * 2018-02-20 2018-06-19 안성남 Recycled aluminum can proces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16B1 (en) 2022-04-08 2023-02-10 주식회사 우리산업 The separat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517Y1 (en)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517Y1 (en)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KR102223381B1 (en)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CN101046480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bottle and analogy container
US10906746B2 (en)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KR102179534B1 (en) Automatic sort and collect device for recyclable product
EP21136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orting, separating and/or transferring laundry items
US5431289A (en) Product conveyor
KR100496104B1 (en) Waste plastic separator
ATE141088T1 (en) FACILITY FOR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PRODUCTS TO BE PROMOTED
JP6641431B2 (en) Fruit and vegetable automatic sorting method, fruit and vegetable body, fruit and vegetable automatic sorting device
US11142406B2 (en) Automated parcel singulator
US6152282A (en) Laned conveyor belt
US61897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lastic hollow bodies
CZ359099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ecking sequence of containers transported one after another on a straight conveyor belt
KR20200085447A (en) Assorting apparatus for recycled product
KR102113531B1 (en) High Speed Bulk Logistics Processing System
JP2000157937A (en) High speed sorting device
JP2009268996A (en)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of empty can and waste pet bottle
JP6867006B2 (en) Fruit vegetable automatic sorting method and fruit vegetable automatic sorting device
JP20150201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orting fruit vegetables
JP2007091395A (en) Aligning device
JP2579006Y2 (en) Crop sorting equipment
JP4150106B2 (en) Waste sorting device in recycling system
JP3350494B2 (en) Waste plastic sorting equipment
CN210022862U (en) Conveying device, piece supplying device and sor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