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39A -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439A
KR20210000439A KR1020190075532A KR20190075532A KR20210000439A KR 20210000439 A KR20210000439 A KR 20210000439A KR 1020190075532 A KR1020190075532 A KR 1020190075532A KR 20190075532 A KR20190075532 A KR 20190075532A KR 20210000439 A KR20210000439 A KR 2021000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ame
sensing
depth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영선
홍이수
김기홍
남요상
소진환
한길수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439A/en
Publication of KR2021000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4Lifting or lowering mechanisms for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eanut harvester that can control the depth of dig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comprises: a digging frame (20) supported rotatably for a predetermined section with respect to a driving body (10) about a support shaft (28) and having a digging blade (22) installed at an end thereof; a wheel frame having an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4) rotatably supported about a support shaft (48) with respect to the digging frame (20); a sensing wheel (40)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for a predetermined s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4); a sensing means for sensing a change i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ensing wheel (40); and a hydraulic cylinder supported by the digging frame (20)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ing wheel (40) by rotating the wheel frame around the support shaft (48).

Description

땅콩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지인 두둑에서 땅콩을 채취하기 위하여 일정한 깊이로 세팅된 굴취 깊이를 작업과정동안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anut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excavation depth of a peanut harvester configured to maintain the oyster depth set to a certain depth during the working process in order to collect peanuts from the cultivation area.

땅콩 수확기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6-0079010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여 공개된 기술 내용은 땅콩 수확을 위한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기는 하나, 설정된 굴취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는 다소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79010 may be cited as a prior patent document for a peanut harvester. Although the technical content disclosed by this prior patent document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depth of oyster for harvesting peanuts, it is judged that it is somewhat unsatisfactory in terms of maintaining the set depth of oyster.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하면서 땅콩을 수확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주행형 땅콩수확기에서, 주행 중 자동으로 굴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anut harveste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epth of oyster while driving in an automatic running type peanut harvester configured to harvest peanuts while driving.

이와 같이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굴취 깊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땅콩 수확의 효율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depth of the oyst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while driving in this way means that in reality, the efficiency of harvesting peanuts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는, 주행본체에 대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 설치된 굴취날을 구비하는 굴취프레임; 상기 굴취프레임에 대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휠프레임을 구비하는 휠프레임; 상기 상하 휠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감지휠; 감지휠의 상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굴취프레임에 지지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휠프레임을 회동시킴으로써, 감지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excavation depth of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lch frame supported by a gulchwi blade installed at an end portion and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for a certain section about a support shaft with respect to a traveling body; A wheel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rotatably supported about a support shaft with respect to the gulch frame; A sensing wheel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 predetermined s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in height of the sensing wheel; And it is supported by the gulch frame, by rotating the wheel frame around the support shaft, it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ing wheel.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휠이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하 휠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휠지지링크와, 상하 휠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휠지지링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휠지지링크에 설치되어 상하 휠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성형된 슬롯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감지휠과 연동하는 연동돌기, 그리고 연동돌기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된다.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n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wheel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and the wheel support link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wheel support link. It consists of a spr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installed on the wheel support link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a slot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and interlocking with the sensing wheel, and a potentiometer that dete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protrusio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땅속의 땅콩을 수확하는 땅콩수확기의 굴취날은 항상 일정한 지중 깊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으로 땅콩을 수확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gulchwi blade of a peanut harvester for harvesting peanuts in the ground while autonomously driving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depth of the groun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harvesting peanuts most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부분 확대도를 같이 도시한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단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땅콩 수확기의 깊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eanut harvester.
Figure 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eanut harvester.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eanut harvest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en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eanut harvester.
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pth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peanut harvester.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based o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는, 주행 가능한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는 주행본체(10)와, 상기 주행본체(10)에 지지되어 있는 굴착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다. 엔진 등과 같은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는 주행본체(10) 자체는 알려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주행을 위하여 설치되는 예를 들면 크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부(12)와, 수확기 본체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운전부(14)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body 10 having a driving source capable of driving, and an excavation frame 20 supported by the driving body 10, have. The running body 10 itself having a driving source such as an engine, etc., can be said to be known, and the running unit 12 configured of, for example, a crawler installed for running, and an operating device for overall control of the harvester body It includes a driving unit 14 is installed.

여기서 굴착프레임(20)은 주행본체(10)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운전부(14)에는 땅콩수확기의 전체적인 주행 및 굴취 제어를 위한 다양한 조작장치가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HST의 제어를 통하여 주행본체(10)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와 조향제어를 위한 조향레버(파워스티어링 레버) 등을 들 수 있다. Here, the excavation frame 20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support shaft 28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body 10. And the driving unit 14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operating devices for the overall driving and oyster control of the peanut harvester, for example, the peripheral speed lever and steering control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10 through the control of HST. For example, a steering lever (power steering lever) is mentioned.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는, 굴취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포텐셔미터)와 이러한 센서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 땅콩수확기는, 주행본체(10)의 전진 또는 후진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주변속레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4)에 설치되는 주변속레버(18)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Sa)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potentiometers) and a driving device (hydraulic cylinder) driven by these sensors in order to control the depth of the oyster. First,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traveling body 10. As shown in FIG. 3, a first detection sensor Sa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14 is installed.

운전부(14)에 설치되는 주변속레버(18)는 전후방향의 동작으로 전진 및 후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변속레버(18)의 회동 움직임은 제1지지축(18c)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주변속레버(18)는 지지브라켓(18a)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감지센서(Sa)는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로 구성되고 있고, 제1포텐셔미터(Sa)라고 칭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14 is capable of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is made around the first support shaft 18c, and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rotat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8a. In addi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Sa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potentiomet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tentiometer Sa.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와 연결된 포크(Sp)는, 주변속레버(18)가 지지되고 있는 지지브라켓(18a)에 설치되는 연동돌기(18b)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Sp)는 통상 포텐셔미터에 조립된 상태로 현재 판매되고 있고, 제1포텐셔미터(Sa)는 포크(Sp)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현재 주변속레버(1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변속레버(18)의 위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주변속레버(18)가 전진 상태인가 후진 상태인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The fork Sp connected to the first potentiometer Sa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interlocking protrusion 18b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18a on which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is supported. This fork (Sp) is currently sold in a state assembled to a conventional potentiometer, and the first potentiometer (Sa) can know the position of the current peripheral speed lever 18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fork (Sp). Here, being able to know the posi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peripheral speed lever 18 is in a forward or reverse state.

도 2의 확대도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에는 제2감지센서(Sb)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감지센서(Sb)는,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굴취프레임(2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굴취프레임(20)의 전방 단부에는 굴취날(32)이 설치되어 있는데, 제2감지센서(Sb)는 굴취프레임(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궁극적으로는 굴취날(32)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ure 2 and Figure 4,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cond detection sensor (Sb). The second detection sensor Sb is for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gulch frame 20 that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shaft 28 in a certain range. At the front end of the gulch frame 20, a gulchwi blade 32 is installed,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Sb measures the inclination of the gulch frame 20 to ultim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gulchwi blade 32. It can be said that it is for judgment.

도시한 실시 예에서, 제2감지센서(Sa)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되고 있어서, 제2포텐셔미터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포텐셔미터(Sb)는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굴취프레임(20)의 회동을 감지하는 것이고, 굴취프레임(10)의 일부분(29)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연동링크(26)의 타단부가 포텐셔미터(Sa)의 포크(Sp)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하는 풀취프레임(10)의 회전 각도는 연동링크(26)를 통하여 포텐셔미터(Sa)에 전달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detection sensor Sa is composed of a potentiometer,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tentiometer. As can be seen from the enlarged views of FIGS. 1 and 2, the second potentiometer (Sb) senses the rotation of the gulch frame 20 with the support shaft 28 as the center, and a part of the gulch frame 10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link 26 that is connected and interlocked with (29) is coupled between the forks (Sp) of the potentiometer (Sa).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of the pull frame 10 centered on the support shaft 28 is transmitted to the potentiometer Sa through the interlocking link 26.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취프레임(20)의 선단부에는 감지휠(40) 및 굴취날(22)이 설치되어 있다. 실제 작업시 굴취날(22)이 지중에서 일정한 깊이로 파고 들어간 상태로 주행됨에 비하여, 이러한 감지휠(40)은 지면을 타고 구르게 된다. 이러한 감지휠(40)은 휠지지링크(4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데, 휠지지링크(42)는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휠프레임(44)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감지휠(40)은 상하 구간으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고, 스프링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기준 높이)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sensing wheel 40 and a gulch blade 22 ar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gulch frame 20. In actual work, while the gulchwi blade 22 is driven in a state where it digs into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the detection wheel 40 rolls on the ground. This sensing wheel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wheel support link 42, the wheel support link 42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4, the built-in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4 It is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at all times by a spring. That is, the sensing wheel 40 is movable in a certain section in the vertical sec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reference height) by a spring.

본 발명에서 감지휠(40)을 지지하는 휠프레임(44,46)은 굴취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대략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휠프레임(46)과 좌우 휠프레임(26)의 선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 휠프레임(4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휠프레임(44,46)은 굴취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휠지지링크(42)는 휠프레임 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하 휠프레임(44)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내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frames 44 and 46 supporting the sensing wheel 40 are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upport shaft 48 with respect to the gulch frame 20, and the left and right wheel frames ( 46) and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wheel frames 26. The wheel frames 44 and 46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the support shaft 48 with respect to the gulch frame 20, and the wheel support link 42 is a vertical wheel tha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wheel frames.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4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built-in spring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inside the frame 44.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하 휠프레임(44)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롯(45)이 성형되어 있고, 휠지지링크(42)에 설치된 연동돌기(47)가 슬롯(45)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제3감지센서(제3포텐셔미터)(Sc)의 포크(Sp)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기준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휠지지링크(42)가 기준위치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3포텐셔미터(Sc)는 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lot 45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4, and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installed on the wheel support link 42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ot 45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ork Sp of the third detection sensor (third potentiometer) Sc. Therefore, when the wheel support link 42,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a predetermined position (reference position) can be maintained by a spring inside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moves upward or down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third potentiometer (Sc) becomes possible to detect this.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땅콩수확기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취프레임(20)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제1유압실린더(Ca)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즉, 주행본체(10)에 하단부가 지지되고, 동작 피스톤이 굴취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실린더(Ca)에 의하여 굴취프레임(20)이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N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ok at the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in the peanut harvester. As shown in FIG. 1, the gulch frame 20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support shaft 28, and can be moved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That is,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traveling body 10, and the rig frame 20 can be rotated around the support shaft 28 b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in which the operating piston is connected to the rig frame 20. Is configured to do.

그리고 제1포텐셔미터(Sa)는 주변속레버의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와 제1유압실린더(Ca)의 연동 제어에 대한 예를 들면, 제1포텐셔미터에 의하여 주변속레버의 상태가 감지되면, 즉 주행본체의 후진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하여 굴취프레임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실질적으로 후진이 수행되는 도중 지중에 있는 굴취 부분이 예상치 못한 동작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tentiometer Sa can detect the forward or reverse stat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For the interlocking control between the first potentiometer Sa and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for example, when the stat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is sensed by the first potentiometer, that is, when the reverse of the driving body is detected, the controller 1 The hydraulic cylinder (Ca) is controlled to raise the rig frame. This control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o prevent damage to the excavation part in the ground due to unexpected motion while the reversing is performed.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지휠(40)도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Cb)가 설치된다. 제2유압실린더(Cb)의 상단부는 굴취프레임(2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으며, 제2유압실린더(Cb)의 동작 피스톤은 좌우 휠프레임(46)에 핀연결(46a)되어 있다. 따라서 제2유압실린더(Cb)의 피스톤이 신장되면 감지휠(40)이 하강하고, 제2유압실린더(Cb)의 피스톤이 수축하면 감지휠(40)이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2유압실린더(C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지휠(40)이 항상 기준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And,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5, a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is installed so that the sensing wheel 40 can als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rig frame 20, and the operating pistons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are pin-connected 46a to the left and right wheel frames 46.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pist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is extended, the sensing wheel 40 descends, and when the pist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is contracted, the sensing wheel 40 rises. This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is installed so that the sensing wheel 40 can always maintain the reference pos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Nex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땅콩수확기의 실제 작업이 시작되기 전, 초기 세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땅콩재배지(두둑)에서 실제 수확작업이 진행되는 곳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앞에서 준비 작업을 실시한다. 즉 땅콩수확기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굴취프레임(20)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기 때문에, 재배지에 도착하면 굴취프레임(20)이 실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상태로 제어해야 한다. First, before the actual work of the peanut harvester begins, let's look at the initial settings. Preparatory work is carried out in front of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2m) from the place where the actual harvesting work is in progress in the peanut cultivation area (head bank). That is, since the lower end of the gulch frame 20 is lifted upward while the peanut harvester is moving, the gulch frame 20 must be controlled in a ready state to perform the actual work upon arrival at the cultivation site.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운전석 조작장치(110)를 조작하는데,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조향레버를 일회 터치하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운전석의 다른 레버 또는 버튼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운전석 조작장치(110), 예를 들면 조향레버를 간단하게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조작하여 굴취날(22)이 재배지의 지면에 접촉하도록 굴취프레임(20)을 하강시킨다. To this end,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driver's seat manipulation device 110, which may be possible by touching the steering lever once, for example. Or, of course, it could be replaced by performing another lever or button on the driver's seat. And when the driver's seat operation device 110, for example, a steering lever is simply operated, the control unit 110 manipulate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so that the gulch blade 22 contacts the ground of the cultivation site. 20) to descend.

실제 수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땅콩수확기가 주행을 시작해야 함과 동시에 굴취날(22)이 지면에서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현재 땅콩수확기의 현재 위치는 실제 땅콩이 재배되는 지점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앞에 있다. 이러한 현재 위치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주변속레버(120)를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땅콩수확기에서 주변속레버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서도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HST에서의 사판의 각도 및 회전수와 관련되고, 주행본체(10)의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버이다. In order to perform the actual harvesting operation, the peanut harvester must start running and the gulchwi blade 22 must go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at a certain depth.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anut harvester is in front of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2m) from the point where peanuts are actually grown. In order to start driving at this current posi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peripheral speed lever 120. Here, the peripheral speed lever in the peanut harvester is related to the angle and rotational speed of the swash plate in HST, as known in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a lev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veling body 10 and the speed. to be.

작업자가 주변속레버(120)를 조작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제1포텐셔미터(Sa)는 주행본체(10)가 전진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포텐셔미터(Sa)의 감지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주변속레버(120)의 조작 신호는 직접 제어부(100)로 전달되어 실제 주행을 위한 다른 신호처리(엔진 및 HST 등)도 같이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When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peripheral speed lever 120, the first potentiometer Sa described above can detect that the traveling body 10 is moving forwar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potentiometer S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2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other signal processing (engine and HST, etc.) for actual driving is also performed.

이렇게 하여 일정 거리(예를 들면 1-2m) 주행하면서, 제어부(100)는 제1유압실린더(Ca)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까지 굴취프레임(20)을 하강시킬 것을 명령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1유압실린더(Ca)로의 오일의 출입 포트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압실린더(Ca)가 원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In this way, while traveling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2m), the control unit 100 command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to lower the rig frame 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Here, that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means that the hydraulic cylinder Ca controls the hydraulic cylinder Ca to execute the desired operation by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oil entry port to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to be.

그리고 일정거리(예를 들면 1-2m) 주행본체(10)가 주행하게 되면, 굴착날(22)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지중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굴착날(22)이 지중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궁극적으로는 굴착프레임(20)의 경사 각도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고, 이러한 굴착프레임(20)의 경사 각도는 제어부(110)에 미리 저장된 값이다. 따라서 제2포텐셔미터(Sb)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이 정해진 경사에 이르기까지, 제1유압실린더(Ca)는 굴착프레임(20)을 경사시키게 된다. And when the driving body 10 travels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2m), the excavation blade 22 enters the ground to a preset depth. Here, the depth at which the excavation blade 22 enters the ground will ultimately be determ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xcavation frame 20,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xcavation frame 20 is 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ly,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inclines the excavation frame 20 until the value sensed by the second potentiometer Sb reache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이와 같이 하여 굴착프레임(20)이 정해진 경사도를 가지게 되면, 굴착날(22)도 정해진 깊이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Cb)는 감지휠(40)이 기준위치에 세팅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제2유압실린더(Cb)가 동작함으로써, 상하 휠프레임(44) 및 좌우 휠프레임(46)이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동돌기(47)가 슬롯(45) 내부에서 중앙위치에 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동돌기(47)의 위치를 기준위치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기준위치는 감지휠(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excavation frame 20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excavation blade 22 also reaches a predetermined depth.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operates so that the sensing wheel 40 can be set to the reference position.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Cb,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and the left and right wheel frames 46 rotate around the support shaft 48, so that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is inside the slot 45. It is to go to the center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may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position, and this reference posi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nsing wheel 40.

이러한 상태는 실제 땅콩 수확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실제 수확을 위한 세팅이 완료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주변속레버(120)가 주행을 계속하는 상태로 있어도 유지되고, 주변속레버(120)가 중립상태로 되어 굴착날(22)이 현재 지중 깊이를 유지한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This state can be said to be ready to perform actual peanut harvesting, which can be said to be a state in which the setting for actual harvesting is completed. This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eripheral speed lever 120 continues to travel, and the peripheral speed lever 120 is in a neutral state, so that the excavation blade 22 may maintain the standby state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underground depth. have.

이러한 상태는 실제 땅콩 재배지의 직전에 세팅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상태 이후에는 실제 주행 및 땅콩 수확이 진행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땅콩수확기가 땅콩을 수확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굴취날(22)이 지중으로 일정 깊이 들어간 상태로 주행하면서 수확이 진행된다. 그러나 재배지의 경사도, 재배지의 흙의 상태 등에 따라서 굴취날(22)이 위치하는 지중 깊이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 상태에 의하여 굴취날(22)의 깊이가 변하는 것은 효율적인 땅콩 수확을 방해할 수 있다. This state should be able to be set just before the actual peanut cultivation, after which the actual running and peanut harvesting proceeds. Next, the peanut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rvests peanuts. As described above, the harvesting proceeds while driving in a state where the gulchwi blade 22 has entered a certain depth into the ground. However, the depth of the ground where the gulchwi blade 22 is loca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lope of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condition of the soil of the cultivation area. However, changing the depth of the gulchwi blade 22 by this external condition may hinder efficient peanut harvesting.

즉, 땅콩의 수확 동작에서는,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행본체(10)의 주행에 대하여,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굴착날(22)의 깊이 제어를 수행한다. That is, in the operation of harvesting peanuts, it can be said that it is natural that the gulchwi blade 22 is more efficien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epth.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control of the excavation blade 22 is performed so that the excavation blade 22 can have a predetermined depth with respect to the running of the driving body 1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휠(40)은 휠지지링크(42)가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하 휠프레임(44)에 대하여 항상 정해진 기준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준위치는, 예를 들면 휠지지링크(42)와 연결되어 있는 연동돌기(47)가 슬롯(50)에서 정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지휠(40)의 기준위치는, 휠 지지링크(42)에 설치된 연동돌기(47)가 제3포텐셔미터(Sc)의 포크(Sp)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어부(100)에서 항상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wheel 40 always has a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as the wheel support links 42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inside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have. This reference position can be said to be, for example, that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connected to the wheel support link 4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lot 50. And such a reference position of the sensing wheel 40, since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installed on the wheel support link 42 is fitted in the fork Sp of the third potentiometer Sc, the control unit 100 can always detect it. I can.

그리고 주행에 따른 외부 환경에 의하여, 굴착날(22)이 정해진 깊이보다 더 깊에 땅속을 파고 들어갈 수 있다. 굴착날(22)이 정해진 기준 깊이 이상으로 땅을 파고 들게 되면, 지면과 접촉하면서 구름 접촉하는 감지휠(40)은 상대적으로 높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즉, 굴착날(22)과 감지휠(4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서 감지휠(40)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휠(40)의 상승은 상하휠프레임(44)의 내부에서 연동돌기(47)를 상승시키게 된다. An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the excavation blade 22 can dig deeper than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excavation blade 22 digs into the ground beyond a predetermined reference depth, the detection wheel 40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n cloud contact is bound to rise relatively high. That 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lade 22 and the sensing wheel 40 increases, the sensing wheel 40 rises, and the lifting of the sensing wheel 40 is an interlocking protrusion inside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47) will be raised.

연동돌기(47)가 상승하게 되면, 제3포텐셔미터(Sc)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3포텐셔미터(Sc)를 통하여 감지휠(40)이 상승하였다는 신호를 접수한 제어부(100)는,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하여 굴취프레임(10)이 상승하도록 한다. 굴취프레임(10)이 상승하게 되면, 실제로는 굴취날(22)도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굴취날(22)의 상승은 제3포텐셔미터(Sc)에 의하여 감지된다. When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rises, the third potentiometer Sc senses this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 Upon receiving the signal that the sensing wheel 40 has risen through the third potentiometer Sc,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so that the rig frame 10 rises. When the gulchwi frame 10 is raised, the gulchwi blade 22 is actually raised as well, and the rise of the gulchwi blade 22 is sensed by the third potentiometer Sc.

굴취날(22)의 상승을 감지휠(40)을 통하여 감지하는 제3포텐셔미터(Sc)의 감지값은 다시 제어부(100)로 피드백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감지휠(40)이 기준위치에 오게 되면[연동돌기(47)가 기준위치에 오게 되면], 제3포텐셔미터(Sc)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00)는 굴취프레임(20)을 정지시키도록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한다. The detection value of the third potentiometer Sc, which detects the rise of the gulch blade 22 through the detection wheel 40, is fed back to the control unit 100 again, while the detection wheel 40 is brought to the reference position. When [when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7 comes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to stop the drilling frame 20 by a detection signal of the third potentiometer Sc. .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굴착날(22)이 기준 깊이보다 더 깊에 내려가는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외부 환경에 의하여 굴착날(22)이 기준 깊이보다 상승하여 더 얕은 깊이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러한 제어는 굴취날(22)이 기준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for the case where the excavation blade 22 descends deeper than the reference depth. However, even when the excavation blade 22 rises to a shallower depth than the reference depth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natural to perform the same control as described above, and this control allows the excavation blade 22 to maintain the reference depth. It can be said that it is controlled to be able to do.

이와 같은 피드백 제어를 정리하면, 감지휠(40)이 항상 기준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00)는 제3포텐셔미터(Sc)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1유압실린더(Ca)를 제어함으로써, 굴취날(22)이 정해진 깊이(기준 깊이)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summary, such feedback control,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ensing wheel 40 always maintains the reference pos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Ca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hird potentiometer Sc. By controlling, it can be seen that the gulch blade 22 is controlled to run at a predetermined depth (reference dep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he appended claims.

10 ..... 주행본체
20 ..... 굴취프레임
26 ..... 연동링크
28 ..... 지지축
40 ..... 감지휠
42 ..... 휠 지지링크
44 ..... 상하 휠프레임
46 ..... 좌우 휠프레임
47 ..... 연동돌기
48 ..... 지지축
10 ..... Driving body
20 ..... gulch frame
26 ..... Linked Link
28 ..... support shaft
40 ..... sensing wheel
42 ..... Wheel support link
44 ..... upper and lower wheel frame
46 ..... Left and right wheel frames
47 ..... interlocking protrusion
48 ..... support shaft

Claims (2)

주행본체(10)에 대하여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단부에 설치된 굴취날(22)을 구비하는 굴취프레임(20);
상기 굴취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휠프레임(44)을 구비하는 휠프레임;
상기 상하 휠프레임(44)에 대하여 상하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감지휠(40);
상기 감지휠(40)의 상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그리고
상기 굴취프레임(20)에 지지되고,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휠프레임을 회동시킴으로써, 감지휠(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
A gulch frame 20 provided with a gulchwi blade 22 installed at an end thereof and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for a certain s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28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body 10;
A wheel frame having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that are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support shaft 48 with respect to the gulch frame 20;
A sensing wheel 40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 predetermined s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ensing wheel 40; And
A device for adjusting the excavation depth of a peanut harvester comprising a hydraulic cylinder that is supported by the gulch frame 20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nsing wheel 40 by rotating the wheel frame around the support shaft 4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감지휠(40)이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 삽입된 휠지지링크(42)와, 상하 휠프레임(44)의 내부에 설치되어 휠지지링크(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휠지지링크(42)에 설치되어 상하 휠프레임(44)에 상하 방향으로 성형된 슬롯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감지휠(40)과 연동하는 연동돌기(45), 그리고 연동돌기(45)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굴착 깊이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ans,
The sensing wheel 4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the wheel support link 42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and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are installed inside the wheel support link 42 to elastically A spring supported by the wheel support link 42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a slo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wheel frames 44, the interlocking protrusion 45 interlocking with the sensing wheel 40, and interlocking A device for adjusting the depth of excavation of a peanut harvester consisting of a potentiometer that dete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otrusion 45.



KR1020190075532A 2019-06-25 2019-06-25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KR202100004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32A KR20210000439A (en) 2019-06-25 2019-06-25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32A KR20210000439A (en) 2019-06-25 2019-06-25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39A true KR20210000439A (en) 2021-01-05

Family

ID=7414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32A KR20210000439A (en) 2019-06-25 2019-06-25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4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7684B (en) Machine with automated blade positioning system
CA2020234C (en) Automatic excav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50275469A1 (en) Lift Arm and Coupler Control System
JP6521691B2 (en) Shovel
CA2867728C (en) Snow plow
KR102190060B1 (en) Peanut harvest machine capable of pre-setting for harvesting
Shimano et al. Development of PC210LCi-10/PC200i-10 machine control hydraulic excavator
KR102187733B1 (en) Peanut harvest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depth of digging
KR20210000439A (en) Device for keep the depth of digging for peanut harvest machine
JP6460740B2 (en) Ground work vehicle
KR20240032733A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excavators and other power machines
US20170204588A1 (en) Automatic Depth and Traction Control for Ripping Machines
JPS63287407A (en) Rotary covering device in tiller
JPH10155317A (en)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JP3632779B2 (en) Mobile farm machine
JP7142596B2 (en) transplanter
JPH05115211A (en) Controller for lifting and lowering of paddy field working machine
WO2023276421A1 (en) Construction machine
JP3578706B2 (en) Work vehicle rolling control structure
JP4589175B2 (en) Rotary tillage device
JP3717417B2 (en) Tractor lifting control device
JP2003339206A (en)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KR20240024073A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excavators and other power machines
JP2008092866A (en) Transplanter
JP3408863B2 (en) Rice transplanter lif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