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89A -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89A
KR20210000189A KR1020190075196A KR20190075196A KR20210000189A KR 20210000189 A KR20210000189 A KR 20210000189A KR 1020190075196 A KR1020190075196 A KR 1020190075196A KR 20190075196 A KR20190075196 A KR 20190075196A KR 20210000189 A KR20210000189 A KR 2021000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medium
liquefied gas
gas
expansion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시진
오유택
이종철
최병윤
권기정
민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89A/ko
Publication of KR2021000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9/00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 F01K9/003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condenser coolin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은,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액화가스 이송라인; 상기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기화된 열매체의 열에너지 및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액화가스 이송라인의 액화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기화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팽창 터빈; 및 상기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씰(seal)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ORGANIC RANKIN CYCLE AND LIQUEFIED GAS RE-GASIFICATION A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의 재기화 과정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된 열매체의 냉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이 적은 천연가스와 같은 연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천연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액화 상태로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키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은 해수 등의 열원과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열교환시켜 액화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의 천연가스로 재기화시키고 있다. 고온의 열원을 통해 흡수되는 대규모의 냉열은 회수되지 못한 채 해역 또는 열원의 공급처로 버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액화 가스의 재기화 과정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된 열매체의 냉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 Cycle) 방식의 냉열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냉열 발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팽창 터빈(일명 터빈이라고도 함 turboexpander)는 냉열 발전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공정 가스(예를 들면 냉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이중 드라이 가스 시일(double dry gas seal)과 같은 밀봉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이때, 밀봉 메커니즘에는 질소가스와 공정 가스를 각각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열 발전 시스템의 팽창 터빈에서는 질소 가스와 공정 가스가 섞인 혼합물(혼합가스)이 실링부로부터 배출되게 되는데, 이를 다시 재사용할 경우 공정 라인(냉매 순환라인)에 질소 가스가 누적되어 공정 효율을 저감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당 혼합물은 벤트(Vent) 혹은 플레어(Flare)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지속적인 공정 가스의 누출로 인해 해당 양만큼 보충하는 과정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이로 인한 공정 효율의 저하 및 운전 용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가스 배출 혹은 플레어로 태우는 경우 독성 문제 혹은 환경 문제를 일으킬 위험이 있고, 별도의 플레어 스택을 구성해야 하는 등 비용적 측면에서의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혼합 가스를 재사용할 수 있는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전 용이성을 향상되는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액화가스 이송라인; 상기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열원과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기화된 열매체의 열에너지 및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액화가스 이송라인의 액화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기화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팽창 터빈; 및 상기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씰(seal)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는 상기 혼합 가스를 냉열 공급원을 통해 비등점 이하로 냉각 처리하는 냉각처리부; 및 상기 냉각 처리부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열매체 및 씰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분리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화기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열매체가 저장되는 열매체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 탱크로 회수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씰 가스가 대기 배출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상단에 제공되는 배기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씰 가스는 질소 가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처리부는 상기 열매체 순환 라인상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처리부는 상기 액화가스 이송라인상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터빈 작동에 사용되는 기화된 열매체의 누출 방지를 위해 상기 씰 가스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기화된 열매체 중 일부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용 열매체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터빈에서 씰용으로 사용된 열매체는 씰용 열매체 리턴라인을 통해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으로 리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기에 의해 재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수요처에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는 제1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1열원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되; 상기 제1열원 공급라인은 상기 팽창 터빈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기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의 압력을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수요처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2열원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되; 상기 제2열원 공급라인은 상기 팽창 터빈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기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에 증발기, 팽창 터빈, 기화기, 열매체 탱크 및 펌프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된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되는 씰 가스 공급라인;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기화된 열매체 중 일부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용 열매체 공급라인; 및 상기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씰(seal)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유기랭킨사이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는 상기 혼합 가스를 냉열 공급원을 통해 비등점 이하로 냉각 처리하는 냉각처리부; 및 상기 냉각 처리부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열매체 및 씰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분리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는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 탱크로 회수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 및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씰 가스가 대기 배출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상단에 제공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처리부는 상기 열매체 순환 라인상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혼합 가스에서 질소 가스를 분리한 열매체를 열매체 탱크에 재공급할 수 있어, 열매체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열매체를 보충하는 과정 등으로 인한 공정 효율 저하 및 운전 용이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누설되는 혼합 가스에 의한 독성 문제 혹은 환경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열매체의 엔탈피와 압력에 따른 열매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냉매 특성 곡선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냉매의 안전등급 분류기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 냉매의 혼합 비율별로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은 적어도 20℃ 이상의 끓는점 차이를 가지는 냉매들이 혼합된 혼합 냉매를 이용하고, 또한 10 ~ 20 barg 압력 구간에서 이슬점 온도와 끓는점 온도 간의 차이가 10℃ 이상인 혼합 냉매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기화시킴으로써, 혼합 냉매가 증발기에서 기화되는 상변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고, 액화가스의 기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은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NG; Natural Gas), 석유가스(Petroleum Gas) 등의 연료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동시에, 액화가스를 재기화시키는 열교환 과정에서 액화가스의 냉열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은 액화가스 이송라인(112), 기화기(120), 열매체 순환라인(130), 펌프(140), 열매체 탱크(150), 증발기(160), 팽창 터빈(170), 혼합 가스 분리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에 증발기, 팽창 터빈, 기화기, 열매체 탱크 및 펌프 순으로 구성된 것을 유기랭킨사이클이라 할 수 있다.
액화가스 이송라인(112)은 액화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된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수요처는 예를 들면, 가스 터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매체는 열매체 순환라인(130)을 통해 펌프(140)와 증발기(160), 팽창 터빈(170) 및 기화기(120)를 순환한다. 혼합 냉매가 증발기(160)에서 기화되어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과정에서 혼합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기 위하여, 열매체는 적어도 20℃ 이상의 끓는점 차이를 가지는 냉매들이 혼합된 냉매로 제공되고, 동시에 혼합 냉매의 10 ~ 20 barg 압력(증기압) 구간에서 혼합 냉매의 이슬점 온도와 끓는점 온도 간의 차이가 10℃ 이상이 되도록 냉매들의 혼합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고압 부스터 펌프(110)는 사용처에서 요구되는 압력을 고려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 또는 버퍼 탱크 등으로부터 액화가스 이송라인(112)으로 극저온의 액화가스를 가압 공급할 수 있다. 고압 부스터 펌프(110)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기화기(120)를 거쳐서 기화 및 가열되어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다.
열매체 순환라인(130)에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순환된다. 열매체는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에 표기된 유체 및/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에탄 프로판 I-부탄 N-부탄 R13B1
R143a R134a R152a R22 R12
R13 R125 R500 R502 R507
R114 R14 R23 R744
열매체는 열매체 순환라인(130)을 따라서, 열매체 탱크(150), 펌프(140), 증발기(160), 팽창 터빈(170), 기화기(1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순환한다.
기화기(120)는 열매체의 열에너지 및 잠열을 이용하여 액화가스 이송라인의 액화가스를 재기화시킨다.
열매체 탱크(150)는 기화기(120)에서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한다. 열매체 탱크(150)는 운전 조건에 따른 열매체의 압력 변화를 흡수하고, 열매체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하여 정해진 압력 범위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열매체 탱크(150)는 팽창 탱크(expansion tank)로 제공될 수 있다. 열매체 탱크(150)는 운전 조건에 따른 열매체의 압력 변화를 흡수하고, 열매체 탱크(150)로 회수되는 열매체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하여 정해진 압력 범위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열매체 탱크(150)에는 2종 이상의 액화 냉매들이 저장될 수 있다.
펌프(140)는 열매체 탱크(150)에서 배출되는 열매체를 가압하여 열매체 순환라인(130)에서 순환시킨다. 펌프(140)는 열매체 탱크(150)의 후단, 증발기(160)의 전단에 설치되고, 열매체를 가압하여 증발기(16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화기(120)와 펌프(140) 사이의 열매체 순환라인(130)에는 제1 압력센서(P1)와 제1 온도센서(T1)가 설치된다. 제1 압력센서(P1)와 제1 온도센서(T1)는 기화기(120)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열매체의 압력과 온도를 측정한다.
증발기(160)는 기화기(120)에서 배출되어 순환하는 액상의 열매체를 열원과의 열교환에 의해 기화시킨다. 열원은 해수, 증기, 선박 내 엔진의 폐열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증발기(160)는 해수라인(90)을 통해 공급되는 열원과의 열교환에 의해 열매체를 증발시킬 수 있다. 열원은 해수 가압 펌프(미도시됨)에 의해 해수라인(90)을 통해 증발기(160)로 공급될 수 있다. 열원의 증발기 유입 온도는 약 14℃이고, 배출 온도는 약 7 ~ 8℃일 수 있다. 증발기(160)는 열매체의 압력(예를 들어, 10 ~ 20 barg 증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증발기(160)가 예를 들어, 티타늄 재질의 판형 열교환기(PHE; Plate type Heat Exchanger)로 제작되는 경우, 0.6mm 이하 두께의 티타늄을 열교환 플레이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매체의 설계 압력(증기압)이 16 barg 이하가 되어야 한다. 설계 압력을 높이기 위해 0.7mm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티타늄 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0.6mm 두께의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가격이 10배 이상 상승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혼합 냉매의 경우, 혼합된 냉매들의 종류 및 냉매들의 혼합 비율에 따라, 혼합 냉매의 이슬점과 끓는점이 변화하여 혼합 냉매의 상 변화시의 온도 변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증발기(160)에서의 상 변화 과정에서 혼합 냉매의 압력(증기압) 또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60)의 설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혼합 냉매의 상 변화 구간에서 바람직한 온도 변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냉매들의 종류를 선택하고, 혼합 비율(중량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열매체가 증발기(160)에서 상 변화하는 과정에서 혼합 냉매의 온도가 증가하도록 하기 위하여, 끓는점 차이가 20℃ 이상인 냉매들이 혼합된 열매체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재기화할 수 있다. 또한, 열매체는 약 10 ~ 20 barg 압력에서 열매체의 이슬점(dew point) 온도와, 끓는점(bubble point) 온도 간의 차이가 적어도 10℃ 이상이 되는 동시에, 열매체의 압력이 약 20 barg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6 barg 이하)가 되도록, 냉매들의 혼합 비율(중량비)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열매체는 제1 냉매와, 제1 냉매보다 20℃ 이상 끓는점이 낮은 제2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열매체가 증발기(160)에서 상 변화하는 과정에서 열매체의 온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증대시키는 관점에서, 제2 냉매의 끓는점은 제1 냉매의 끓는점보다 3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냉매와 제2 냉매의 끓는점 차이는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팽창 터빈(170)은 고압의 유체(기화된 열매체)가 팽창할 때에 터빈(172)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전기(174)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팽창 터빈(170)은 증발기(160)와 기화기(120) 사이에 설치된다. 팽창 터빈(170)은 증발기(160)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동력에 의해 발전한다.
팽창 터빈(170)은 냉열 발전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을 때의 열매체(공정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드라이 가스 시일(double dry gas seal)과 같은 밀봉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밀봉 메커니즘에는 질소 가스와 기체 상태의 열매체를 사용하게 된다. 질소 가스는 질소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 씰 가스 공급라인(202)을 통해 그리고 기체 상태의 열매체는 씰용 열매체 공급라인(204)을 통해 각각 팽창 터빈(170)의 실링부(178)로 공급될 수 있다. 팽창 터빈(170)의 실링부(178)로 공급되는 씰용 열매체(기체 상태의 열매체)는 증발기를 통과하여 기화된 열매체 중 일부를 사용하게 된다.
팽창 터빈(170)의 실링부(178)에서 누설되는 혼합물은 혼합가스 분리기(200)로 제공된다. 혼합물은 실링부(178)로 공급된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질소 가스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유체일 수 있다.
혼합가스 분리기(200)는 팽창 터빈(170)으로부터 누설되는 혼합가스로부터 질소 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혼합가스 분리기(200)는 열매체와 질소 가스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를 분리하고, 열매체는 상변화된다. 일 예로, 혼합가스 분리기(200)는 냉각 처리부(212)와 분리 탱크(214) 그리고 리턴 라인(206)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처리부(212)는 혼합 가스를 별도의 냉열 공급원(미도시됨)을 통해 비등점 이하로 냉각 처리한다. 이렇게 냉각 처리부(212)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열매체는 질소 가스(씰 가스)와 함께 분리 탱크(214)에 일시 저장된다. 분리 탱크(214)에 저장된 질소 가스는 분리 탱크(214) 상단에 제공되는 배기 포트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리 탱크(214)에 저장된 액상의 열매체는 리턴 라인(206)을 통해 열매체 탱크(150)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혼합가스 분리기(200)에서 분리된 순도 높은 질소 가스는 안전하게 대기 방출이 가능하고,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없는 구성으로 별도의 운전비가 소모되지 않고서도 열매체의 회수가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증발기(160)와 팽창 터빈(170) 사이에는 제2 압력센서(P2)와 제2 온도센서(T2)가 설치된다. 제2 압력센서(P2)와 제2 온도센서(T2)는 증발기(160)에서 기화된 열매체의 압력 및 온도를 측정한다.
기화기(120) 후단에는 제3 온도센서(T3)가 설치된다. 제3 온도센서(T3)는 기화기(120)에 의해 기화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열매체의 유량은 제1 온도센서(T1), 제1 압력센서(P1), 제2 온도센서(T2), 제2 압력센서(P2), 제3 온도센서(T3)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액화가스의 냉열을 회수하는 사이클은 랭킨 사이클이 적용된다. 즉, 저온의 액체 상태 열매체는 펌프(140)를 통해 가압되고, 이후 증발기(160)에서 열원을 통해 기화, 가열된다. 이후, 발전을 위해 팽창 터빈(170)을 거쳐 압력 강하가 일어나고, 이후 저압의 냉매가 기화기(120)를 통해 다시 액화되어 순환된다.
랭킨 사이클 적용시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가스 온도와 압력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액화가스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냉열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열매체의 종류, 압력과 유량에 따라 냉열 발전의 효율이 좌우되므로, 가압되는 열매체의 압력과 유량을 최적화하여 냉열 발전의 효율을 최대화할 필요가 있다.
열매체의 유량 및 압력은 기화기(120)에서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 및 압력, 증발기(160)에 사용되는 열원의 온도, 열매체의 가압 지점, 수요처로 송출되는 가스의 온도 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열매체의 엔탈피와 압력에 따른 열매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냉매 특성 곡선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팽창 터빈(17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량 및 압력은, 팽창 터빈(17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가 팽창 터빈(170)이 정상 운전 가능한 기액 혼합 구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기화기(120)에서 배출되는 열매체가 액상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팽창 터빈(170)에 인입되는 열매체가 배출될 때 팽창 터빈(170)이 운전 가능한 기액 혼합 구간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가압하는 압력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기(290)는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냉매 특성 곡선을 기반으로, 기화기(120)의 열매체 배출 온도 등을 고려하여, 기화기(120)의 기화 성능 및 터빈(170)의 발전 효율 등을 최적화하기 위한 열매체의 가압 압력 값을 계산하여 설정한다. 이때 제어기(290)는 팽창 터빈(170)에서 압력 강하된 열매체가 팽창 터빈(170)의 상변화 허용 범위를 만족하도록 열매체의 압력 최적점을 제한한다.
냉매 유량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소비처에서 요구되는 NG 가스의 양을 고려, 기화기(120)에서 냉열 회수율을 높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LNG를 기화, 가열하는 구간인 기화기(120)의 열량 공급량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화기(120)를 통과하는 열매체는 기화기(120)에서 배출된 후 펌프(140)에 인입되기 때문에, 액상으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기(290)는 기화기(120) 후단의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화기(120)의 압력 조건에서 액상이 되는 온도가 되도록 열매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제어기(290)에서 유체의 특성과 각 지점의 온도, 압력의 조합으로 계산 과정을 통해 최적 계산된 열매체/열원의 열교환기 후단 압력 및 유량은 펌프(140)에 연결된 주파수 제어기(VFD; Variable Frequency Drive) 또는 펌프(140) 후단에 설치된 제1 유량조절밸브(132)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액화가스의 재기화를 위해 순환되는 열매체의 유량이 팽창 터빈(170)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열매체의 유량이 팽창 터빈(170)의 허용 용량으로 인해 제한되어 액화가스의 재기화에 필요한 충분한 열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팽창 터빈(170)을 대용량으로 설치할 경우 주요 사용 시점이 적정 순환량을 항상 초과하여 운전하게 되므로 발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a)은 제1열교환기(22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컨대, 열매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 상태를 유지하며 운용할 수 있는 압력이 높아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열매체를 최대 압력으로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화기(120)에서 열매체와 열교환되어 기화된 액화가스의 온도를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온도로 맞추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열매체의 압력 조건에 제약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제약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제1열교환기(220)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열매체의 압력 강하를 최대로 변경하여 냉열 발전량을 높이는 동시에,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가스 온도를 맞출 수 있다.
제1열교환기(220)는 증발기(160)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1열원 공급라인(230)을 통해 공급받는다. 제1열원 공급라인(230)은 팽창 터빈(170) 전단에서 분기되어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 후 기화기(120)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20)는 증발기(160)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를 제1열원 공급라인(230)을 통해 공급받아, 기화기(120)에 의해 기화된 액화가스와 열교환하여 기화된 액화가스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열원 공급라인(230)을 통해 공급된 열매체는 제1열교환기(220)에서 기화된 액화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액상화되어 기화기(120)의 선단(또는 후단)으로 공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열원 공급라인(230)에는 제5 압력센서(P5)와 제5 온도센서(T5)가 설치되고, 제1열교환기(220)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유량 및 압력은 제3 온도센서(T3), 제4 온도센서(T4), 제5 압력센서(P5), 제5 온도센서(T5)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기화기(120) 및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열매체의 유량비는 제1열교환기(220)에서 배출되는 열매체가 액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최고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결정된 열매체의 압력 및 유량에 따라 펌프(140) 또는 제1 유량조절밸브(132)가 제어될 수 있다. 펌프(140) 및 제1유량조절밸브(132)는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수, 스팀, 대기 및 선박내 폐열 등으로 별도의 열원을 생성하지 않고, 증발기(160)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제1열교환기(220)의 열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열교환기를 소형화하고 열원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은 유체들(해수, LNG,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유체들의 온도를 나타낸다. 'SW'로 표기된 선은 해수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 'LNG'로 표기된 선은 액화천연가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끓는점 차이가 큰 냉매들이 혼합 냉매로 이용되어,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에서, 액체 상태에서 기화되는 상 변화 시에 온도가 증가하는 온도 상승(temperature gliding) 구간(A)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액화천연가스의 온도 대비 최소 온도차(△T) 조건을 만족시키며 혼합 냉매와 액화천연가스를 열교환시킬 수 있게 된다.
단일 냉매의 경우, 상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온도가 일정하거나 온도가 감소하지만, 끓는 점이 설정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냉매들을 혼합하면 증발기(140)에서 혼합 냉매의 상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혼합 냉매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면서 혼합 냉매가 기화되는 온도 상승(temperature gliding) 효과가 나타난다.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량은 2~3℃ 혹은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 되도록, 끓는점 차이가 큰 냉매들을 이용하는 동시에, 낮은 끓는점을 갖는 냉매의 혼합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혼합 냉매를 기준으로 5중량% 이상)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천연가스와 혼합 냉매 간에 최소 온도차가 확보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재기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화기 후단에 트림 히터(trim heater)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혼합 냉매의 열에너지 및 잠열을 충분히 활용하여 액화가스를 효율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해수와 같이 상대적으로 열원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혼합 냉매의 잠열을 이용해 액화가스에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하며,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운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혼합 냉매를 비가연성 냉매들로 구성하여 프로판과 같이 가연성이 높은 열전달 매체를 사용하는 시스템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은 재기화기(Vaporizer)와 트림 히터(Trimheater)으로 운용되고, 트림 히터에서 냉매를 액체 상태로 운전하기 위해 냉매에 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높은 압력에서 운전해야 하는 관계로 재기화기와 트림 히터 간에 냉매의 운전 압력에 차이가 크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열매체 순환라인(130)의 순환 루프 내의 압력 차이가 작고, 냉매가 단일 열교환 루프만을 순환하기 때문에 순환에 소비되는 압력과 수두 손실만큼 가압을 해주기만 하면 되어 액화가스 재기화를 위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 냉매의 잠열 사용 효과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기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에 필요한 냉매의 사용양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트림 히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기화기로도 액화가스를 기화시킬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2단계의 열교환을 거치지 않고 단일 열교환 프로세스에 의해 액화가스를 재기화시킬 수 있으며, 혼합 냉매의 순환 유량을 줄여 펌프에 필요한 에너지 및 배관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설비 비용과, 공정/운용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낮은 해수 설계 온도 범위에서도 혼합 냉매를 상변화시키면서 혼합 냉매의 잠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증발성 혼합 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잠열이 현열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순환하는 혼합 냉매의 사용 유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혼합 냉매의 순환에 필요한 에너지도 감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혼합 냉매는 -40 ~ -10℃ 의 끓는점을 가지는 제1 냉매와, -60 ~ -90℃ 의 끓는점을 가지는 제2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매와 제2 냉매 간의 보다 바람직한 끓는점 차이는 50℃ 이상이다.
혼합 냉매의 압력을 증발기(160)의 설계 압력 이하로 제어하고, 동시에 증발기(160)에서의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냉매보다 낮은 끓는점을 가지는 제2 냉매는 혼합 냉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 0.15 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제1 냉매와 혼합될 수 있다.
혼합 냉매는 비가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오존파괴지수가 0 이고, 지구온난화지수가 2000 미만인 냉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냉매의 안전등급 분류기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냉매는 독성(Toxicity)과 가연성(Flammability)에 따라 안전등급이 분류된다.
실시예에서, 혼합 냉매의 냉매들은 안전등급(Safety group)이 B1~B3 또는 A2~A3인 냉매를 제외하고, 안전등급이 A1인 냉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낮은 독성 및 낮은 가연성을 가지는 안전등급을 가지는 냉매들만을 고려하여 혼합 냉매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혼합 냉매의 냉매들은 오존파괴지수가 0 이고, 지구온난화지수가 2000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미만)인 친환경 냉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혼합 냉매는 제1 냉매에 해당하는 테트라플루오르에탄(1,1,1,2-tetrafluoroethane, R134a; CH2FCF3) 및 제2 냉매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R744; CO2)를 포함하여, 적어도 2 이상의 냉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냉매(R134a, R744)는 A1에 해당하는 안전 등급으로 분류되는 냉매로, 독성이 없고 비가연성 특성을 지니며, 오존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가 0 이다. 또한, R744 냉매는 지구온난화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가 1 이고, R134a 냉매는 GWP가 1430으로 R744 냉매보다 높긴 하지만 각종 규제와 선급에서 제시하는 GWP 기준보다는 낮은 값을 가지고 있어서 규제를 만족시키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R744는 R134a보다 휘발성이 높기 때문에 끓는점이 약 50℃ 이상 낮다. R134a는 끓는점이 약 -26℃ 이고, R744는 끓는점이 약 -78℃ 이다. 따라서, 두 냉매(R134a, R744)가 혼합된 혼합 냉매를 이용할 경우, 두 냉매의 큰 끓는점 차이로 인하여 상변화시 온도가 증가하는 온도 상승(temperature gliding)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혼합 냉매는 테트라플루오르에탄(CH2FCF3, R134a) 및 이산화탄소(CO2, R744)를 각각 85 ~ 95% 중량비, 5 ~ 15%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R744 냉매가 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R744와 R134a의 높은 끓는점 차이에 의한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를 얻기 어렵다.
반대로, R744 냉매의 혼합 비율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휘발성을 갖는 R744의 높은 함유량으로 인해 증발기(160)에서 혼합 냉매의 압력이 20 barg 를 초과하게 되고, 20 barg 이상의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발기(160)의 설계 두께를 증가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혼합 냉매의 혼합 비율별로 혼합 냉매의 열 흐름량에 따른 온도 변화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H2FCF3(R134a) 및 CO2(R744)가 혼합된 혼합 냉매를 이용하였으며, R744의 중량비를 0.05, 0.1, 0.15로 변화시키면서 혼합 냉매의 온도 변화 특성, 혼합 냉매와 해수(SW) 간의 최소근접온도, 증발기에서 혼합 냉매의 포화 증기압 및 혼합 냉매 유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2는 혼합 냉매를 이루는 CH2FCF3(R134a) 및 CO2(R744)의 중량비에 따른 혼합 냉매의 최소근접온도(혼합 냉매와 해수 간의 최소온도), 혼합 냉매의 포화 증기압(50℃ 기준) 및 혼합 냉매의 유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1로부터, R744의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증발기에서 혼합 냉매의 포화 증기압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134a와 R744 중 휘발성이 더 큰 것은 R744이다. R744를 많이 혼합할수록, 혼합 냉매의 상 변화시 온도 상승(temperature gliding) 효과가 커져서 냉매 순환 유량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증발기(140)에서 혼합 냉매의 증기압(vapor pressure)이 높아지므로 열교환기 제작에 있어서 설계 압력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해상 플랫폼이나 선박에서는 육상 플랜트와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하는 제한점이 있다. 육상에서는 공기나 해수를 이용하여 유체를 기화시키는 오픈랙 기화기(open-rack vaporiz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선박 위에는 그러한 큰 규모의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이에 따라, 판형 열교환기(PHE; plate heat exchanger), 인쇄기판형 열교환기(PCHE;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와 같이 콤팩트한 장비가 운용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장비의 경우 제작 크기와 가격에 제한이 있다.
혼합 냉매의 순환 사이클에 사용되는 증발기(160)는 내부 부품인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열교환기의 성능, 가격, 설계 압력 등이 결정된다. 냉매 시스템에서는 특정 온도에서의 증기 포화 압력을 시스템 설계 압력을 설정하여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R744는 R134a보다 휘발성이 크기 때문에 R744의 혼합 조성비를 크게 할수록 설계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에서 사용되는 증발기(160)의 성능과 가격을 고려하여 혼합 냉매의 설계 압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R744의 혼합 조성비는 15 중량%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혼합 냉매의 압력을 설계 압력 이하로 제어하기 위하여, 혼합 냉매에 R744가 5 ~ 15 중량%로 함유되도록 R744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가 16 barg의 혼합 냉매의 압력(포화 증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0.6mm 두께의 텅스텐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판형 열교환기로 제공되는 경우, 외기온도 50°하에서 증발기에서의 혼합 냉매의 압력(포화 증기압)이 16 barg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혼합 냉매 중 끓는점이 낮은 제2 냉매(R744)의 혼합 비율을 1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표 3은 R134a 및 R744의 중량비를 0.95:0.05, 0.85:0.15로 하였을 때, 혼합 냉매의 압력에 따른 혼합 냉매의 끓는점 온도 및 이슬점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R744의 비율이 높은 경우(R744의 중량비가 15%인 경우), 혼합 냉매의 이슬점(Dew point) 온도와 끓는점(Bubble point) 온도 간의 차이가 커지고, 혼합 냉매의 상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가 증대되며, 또한 해수와 LNG의 제한된 온도 조건 내에서 혼합 냉매를 사용하기에 유리해진다.
R744의 비율이 낮은 경우(R744의 중량비가 5%인 경우), 혼합 냉매의 이슬점 온도와 끓는점 온도 간의 차이가 감소한다. R744의 중량비가 5% 미만이 되는 경우, 10 ~ 20 barg 증기압에서 혼합 냉매의 이슬점 온도와 끓는점 온도 간의 차이가 약 10℃ 미만으로 감소하여, 증발기(140)에서 혼합 냉매의 상 변화시 온도 상승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R744를 5 중량%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b)은 발전기(260) 및 제2열교환기(24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발전기(260)는 가열기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의 압력을 직접 이용해 발전하는 팽창 터빈일 수 있다. 제2열교환기(240)는 발전기(260)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를 수요처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240)는 증발기(160)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2열원 공급라인(250)을 통해 공급받으며, 제2열원 공급라인(250)은 팽창 터빈(170) 전단에서 분기되어 제2열교환기(240)를 통과한 후 기화기(120)와 연결된다.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압력에 따라 제1열교환기(220)의 후단 가스 압력을 이용해 추가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이때 발전기(260)에서 가스의 압력 강하에 따라 온도 강하도 같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2열교환기(240)에서 해수, 스팀, 대기 및 선박내 폐열 등을 이용하여 NG를 가열하여 수요처로 공급한다. 발전기(260)의 터빈은 액화가스의 냉열 발전에 활용되는 팽창 터빈(170)과 동축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c)은 혼합가스 분리기(200)의 냉각 처리부(212)가 액화가스 이송라인(112) 상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처리부(212)가 액화가스 이송라인(112) 상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혼합 가스 분리기(200)를 소형화하고 열원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100d)은 혼합가스 분리기(200)의 냉각 처리부(212)가 열매체 순환 라인(130) 상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처리부(212)가 열매체 순환 라인(130) 상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혼합 가스 분리기(200)를 소형화하고 열원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110: 고압 부스터 펌프 112: 액화가스 이송라인
120: 기화기 130: 열매체 순환라인
140: 펌프 150: 열매체 탱크
160: 증발기 170: 팽창 터빈
200 : 혼합 가스 분리기 212 : 냉각 처리부
214 : 분리 탱크

Claims (13)

  1.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액화가스 이송라인;
    상기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열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기화된 열매체의 열에너지 및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액화가스 이송라인의 액화가스를 재기화하는 기화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에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기화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팽창 터빈; 및
    상기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씰(seal)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혼합가스 분리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 분리기는
    상기 혼합 가스를 냉열 공급원을 통해 비등점 이하로 냉각 처리하는 냉각처리부; 및
    상기 냉각 처리부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열매체 및 씰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분리 탱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화기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열매체가 저장되는 열매체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 탱크로 회수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을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씰 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상단에 제공되는 배기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씰 가스는 질소 가스인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처리부는 상기 열매체 순환 라인상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처리부는 상기 액화가스 이송라인상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냉열 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터빈 작동에 사용되는 기화된 열매체의 누출 방지를 위해 상기 씰 가스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기화된 열매체 중 일부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용 열매체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터빈에서 씰용으로 사용된 열매체는 씰용 열매체 리턴라인을 통해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으로 리턴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에 의해 재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수요처에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는 제1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1열원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되;
    상기 제1열원 공급라인은 상기 팽창 터빈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기로 연결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의 압력을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수요처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의 일부를 제2열원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되;
    상기 제2열원 공급라인은 상기 팽창 터빈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기화기로 연결되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11.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라인 상에 증발기, 팽창 터빈, 기화기, 열매체 탱크 및 펌프 순으로 사이클이 구성된 유기랭킨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되는 씰 가스 공급라인;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기화된 열매체 중 일부를 상기 팽창 터빈의 실링부로 공급하는 씰용 열매체 공급라인; 및
    상기 팽창 터빈으로부터 누설되는 기체 상태의 열매체와 씰(seal)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유기랭킨사이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혼합 가스를 냉열 공급원을 통해 비등점 이하로 냉각 처리하는 냉각처리부; 및
    상기 냉각 처리부를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열매체 및 씰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분리 탱크를 포함하는 유기랭킨사이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 탱크로 회수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 및 ,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씰 가스가 대기 배출되도록 상기 분리 탱크의 상단에 제공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유기랭킨사이클.

KR1020190075196A 2019-06-24 2019-06-24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20210000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96A KR20210000189A (ko) 2019-06-24 2019-06-24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96A KR20210000189A (ko) 2019-06-24 2019-06-24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89A true KR20210000189A (ko) 2021-01-04

Family

ID=7412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96A KR20210000189A (ko) 2019-06-24 2019-06-24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0048A (zh) * 2022-04-24 2022-06-03 安徽润安思变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朗肯循环发电机组油分离和工质提纯系统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0048A (zh) * 2022-04-24 2022-06-03 安徽润安思变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朗肯循环发电机组油分离和工质提纯系统和方法
CN114570048B (zh) * 2022-04-24 2022-11-01 安徽润安思变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朗肯循环发电机组油分离和工质提纯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307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US7493763B2 (en) LNG-based power and regasification system
KR102095572B1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US20100083670A1 (en) Method for vaporizing and heating crycogenic fluid
US20130152607A1 (en) Process and plant for the vaporiz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and storage thereof
KR102116544B1 (ko) 듀얼 모드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606578B1 (ko) 선박의 발전 시스템
KR20170135147A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2393101B1 (ko)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189A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20200144805A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20200144803A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102234665B1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102189798B1 (ko)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352669B1 (ko) 액화가스 재기화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188A (ko) 유기랭킨사이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102436050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051739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KR20210021180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210048237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열매체 충전 방법
KR20210021179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2562144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210024850A (ko) 액화가스 재기화 및 냉열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열매체 충전 방법
KR20210000920A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210023027A (ko) Lng 벙커링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