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53U -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53U
KR20210000153U KR2020190002909U KR20190002909U KR20210000153U KR 20210000153 U KR20210000153 U KR 20210000153U KR 2020190002909 U KR2020190002909 U KR 2020190002909U KR 20190002909 U KR20190002909 U KR 20190002909U KR 20210000153 U KR20210000153 U KR 20210000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stener
filtration filter
filter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3767Y1 (en
Inventor
손장웅
박준석
정태훈
Original Assignee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주)동양공조
Priority to KR2020190002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67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5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6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은, 공기여과필터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 일단은 상기 틀체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수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틀체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치수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의 직경은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다.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air filter is accommodated; A fixing portion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the frame body, the other end being formed as a free e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 head portion supporting the air filtering filter and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leg portion includes a fastener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ortion is the leg from an inner plane of the frame body. It protrudes inward with a dimens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Description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스너 장착시 발생하는 고정부 형상의 영구 변형을 억제하고 패스너의 분실 가능성을 줄이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ilter frame supporting the air filter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iltering filter frame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which suppresses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that occurs when the fastener is mounted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losing the fastener.

일반적으로, 대형 공장 등에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보통 환풍기 등을 많이 사용하며, 반도체 공장 등의 고도의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천정에 환풍구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교환이 가능한 필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가 이용된다. In general, large factories use a lot of ventilation fans to purify or remove pollutants in the indoor air, and a ventilation hol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maintain a highly clean state of semiconductor factories, etc.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filter is used where possible.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교환가능한 필터는 롤타입의 필터를 설치한 다음 일정 주기별로 공기여과기의 내부 여과부의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만큼씩 롤필터를 인출하고 권취하는 방식이나 카트리지식으로 제조되어 일정 시간 사용 후에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placeable filter provided in such an air conditioner is manufactured in a method of installing a roll-type filter and then drawing and winding the roll filter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nternal filtration unit of the air filter at regular intervals or a cartridge type. A method of replacing with a new filter after use may be applied.

공기조화기에서 카트리지식 필터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실내 공간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오염된 롤필터를 주기적으로 갈아주어야 한다. 따라서, 필터 교체 작업의 단순화를 위하여,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은, 패스너(fastener)가 틀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When a cartridge type filter is used in an air conditioner, the contaminated roll filter must be changed periodically to keep the indoor space clean. Therefore, in order to simplify the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er is fixed to the frame body.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패스너(30)가 틀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부(20)의 자유단 끝단(23)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만, 상기 구조에 의하면, 패스너(30)를 고정부(20)에 끼우기 위하여,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외력을 가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2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의 고정부(20)의 형상이 영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패스너(30)의 다리부(32)와 고정부(20)간 맞물리는 결합력이 저하되어, 약간의 진동에 의해서도 패스너(30)가 회전하여, 패스너(30)의 머리부(31)가 필터(300)로부터 이탈되고, 패스너(30)가 프레임(1)으로부터 빠져버릴 가능성이 있다.In general,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S. 1 to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er 30 is fitted and fixed to the free end end 23 of the fixing portion 2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n order to insert the fastener 30 into the fixing part 20, the operator must additionally use a separate tool or appl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by th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rt 20,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20 of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1 may be permanently deformed. In addition, the engagement force between the leg portion 32 and the fixing portion 20 of the fastener 30 decreases, and the fastener 30 rotates even with a slight vibra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31 of the fastener 3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ter 300 comes off and the fastener 30 comes off the frame 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과도한 힘을 부과하지 않고도 패스너를 고정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패스너 고정시 발생하는 고정부 형상의 영구 변형을 억제하고, 패스너가 고정된 후에도 고정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that occurs when fixing the fastener by allowing the fastener to be easily mounted on the fixing part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And, even after the fastener is fixed, to provide an air filtration filter frame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easily come off from the fixing portion. However, these task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은, 공기여과필터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 일단은 상기 틀체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수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disposed therebetween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is accommodated; A fixing portion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the frame body, the other end being formed as a free e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 head portion supporting the air filter and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the le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er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서,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틀체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치수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ortion may protrude inward from an inner plane of the frame body with a dimens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서,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의 직경은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서,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는 끝단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may be bent.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서, 상기 패스너의 머리부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of the fastener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서, 상기 틀체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body may include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ing filter.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출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은, 공기여과필터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 상기 틀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부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분을 향하여 절곡되어 수납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the air intake and the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discharged between the air outlets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is accommodated; A bracket including a first portion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rame body and a second portion at least partially bent toward the first portion to form a receiving portion; And a head portion supporting the air filter and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the le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er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브라켓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치수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rtion of the bracket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plane of the first portion with a dimens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브라켓의 수납부의 직경은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racket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는 끝단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may be bent.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패스너의 머리부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er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틀체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body may include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브라켓은 용접에 의해 상기 틀체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may be fixed to the frame body by welding.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filtering filter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도한 힘을 부과하지 않고도 패스너를 고정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부의 형상이 영구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패스너의 다리부와 고정부 간의 결합력을 높여, 공기조화기 작동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바람에 의해서도, 패스너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고정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fastener to the fixing part without imposing excessive forc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is permanently de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eg portion of the fastener and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fastener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or easily detached from the fixed portion even by a minute vibration or wind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인 복수개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에 수납된 공기여과필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패스너가 장착되지 않은 종래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패스너가 장착된 종래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고정부 및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a plurality of air filtration filter fram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of FIG. 2.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air filtering filter housed in a conventional air filtering filter frame.
5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filtration filter frame in which fasteners are not mounted.
6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filtration filter frame equipped with a fastener.
7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er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ering filter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nd a bracke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 Thus,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namely,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7(a)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ration fil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a faste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upled; 7(b)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ration fil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a faste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은, 공기여과필터(300)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110), 고정부(120) 및 패스너(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110)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100 disposed in may include a rectangular frame body 110 in which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is accommodated, a fixing part 120 and a fastener 130. In addition, the fram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14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의 일단(121)은 상기 틀체(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틀체(110)는 구멍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부(15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은 상기 일단(12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멍부(150)에 노출되어 놓여질 수 있다. 다만, 구멍부(150)는 'ㄷ'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타단(122)을 둘러싸는 구멍의 형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구멍부(150)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일단(121)과 타단(122) 사이에 수납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달리, 고정부의 끝단이 아닌 중간 부분, 즉 고정부의 일단(121)과 고정부의 타단(122)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기 패스너(130)와 상기 고정부(120) 간의 맞물리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요컨대, 패스너(130)를 고정부(120)에 장착할 때,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른 고정부(12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기술보다 패스너(130)를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패스너(130)가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one end 121 of the fixing part 120 may extend from the frame body 110. This includes being formed integrally extending.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as a free end, and for this purpose, the fram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hole part 150. As shown in Fig. 7(a), the hole part 150 may have a'c' shape, and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art 120 extends from the one end 121 to the hole It may be exposed and placed on the part 150. However, the hole portion 150 is not limited to a'C' shape, and a shape of a hole surrounding the other end 122 is sufficient so that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ortion 120 is formed as a free end. . Further, the hole portion 150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as a hole, but may be formed as a groove. Meanwhile, the fixing part 12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123 between the one end 121 and the other end 122. Unlike the prior art shown in FIGS. 1 to 6, the receiving part 123 of the fixing part 120 has an intermediate part other than the end of the fixing part, that is, one end 121 of the fix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 122),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ngagement force between the fastener 130 and the fixing unit 120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short, when the fastener 130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120,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tool or apply excessive force, and thus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fixing part 120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er 130 can be more firmly fixed than the prior art, the risk of losing the fastener 130 can be prevented.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너(130)는, 공기여과필터(300)를 지지하는 머리부(131) 및 상기 머리부(131)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130)의 다리부(132)는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130)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공기여과필터(300)가 필터 프레임 안에 수납될 때, 상기 공기여과필터(300)가 필터 프레임으로부터 빠져나가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필터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스너(130)는, 머리부(131)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필터(300)를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fastener 130 may include a head 131 supporting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and a leg 132 extending from the head 131. I can.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130 may be inserted from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ortion 120 and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120 to be fixed. The fastener 130 serves to support and fix the filter so that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does not escape from the filter frame or twist when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frame. Do it. The fastener 130 may support or release the support of the filter 300 by rotating the head 131.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130)의 다리부(132)는 끝단(132a)의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패스너(130)가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에 끼워져 고정될 때 길이 방향, 특히 다리부(132)에서 머리부(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패스너(130)는 머리부(131) 및 다리부(132)의 끝단(132a) 형상에 의해, 머리부(131)를 향하는 길이 방향 내지 다리부(132)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132a of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130 may be bent. In the case of having such a shape, when the fastener 1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120, it falls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in the direction from the leg portion 132 to the head portion 131. You can prevent it from going out. As a result, the fastener 130 may esc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head 131 or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132 by the shape of the ends 132a of the head 131 and the leg 132. Can't.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130)의 머리부(131)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131a)는 상기 필터와 접촉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131a)는 상기 머리부(131)가 휘어짐으로 인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131)는 대략 2회 이상 휘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머리부(131)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여과필터(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면 충분하다.In addition,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131 of the fastener 130 is a pressing portion 131a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 Can be inclu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art 131a includes a curv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contacting the filter.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131a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head portion 131, and the head portion 131 may be bent approximately two or more times. However, the shape of the head part 131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sufficient to have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에 있어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은 틀체(110)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130)의 다리부(132)의 직경(d2)과 같거나 큰 치수(h)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의 직경(d1)은 상기 패스너(130)의 다리부(132)의 직경(d2)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로 인해, 상기 패스너(130)의 다리부(132)는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패스너(130)를 고정부(120)의 수납부(123)에 쉽게 끼울 수 있으며, 상기 패스너(130)를 끼우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쏟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고정부(20) 자유단의 끝단(23)에 패스너(30)를 고정시키므로, 결합력이 약하여 패스너(30)가 쉽게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패스너(30)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고정부(20)로부터 쉽게 빠져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패스너(130)가 고정부(120)에 단단히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20)의 수납부(123) 내에서 헛돌지 않으며, 상기 고정부(1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패스너(130)의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In addition, 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ortion 120 is inside the frame body 110 From the plane, it may protrude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a dimension (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130. In addition, the diameter d1 of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12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130. Due to this relationship,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130 may be inserted from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ortion 120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120 to be firmly fixed. have. That is,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it the fastener 130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120, and there is no need to exert excessive force to fit the fastener 130.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S. 5 and 6, since the fastener 30 is fixed to the end 23 of the free end of the fixing portion 20, the fastener 30 can easily rotate due to a weak coupling for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astener 30 is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or is easily lost from the fixing part 20,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er 130 is firmly fixed to the fixing part 120 so that the fixing part 120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ecause it does not rotate inside the receiving part 123 and does not easily come out from the fixing part 12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losing the fastener 130.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공기여과필터(300)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필터(300)의 육면체의 어느 하나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여과필터의 전면은 보는 관점에 따라 공기여과필터의 후면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공기여과필터의 후면은 보는 관점에 따라 공기여과필터의 전면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전면 및 후면은 공기가 여과될 때 공기가 유입되거나 빠져나가는 면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며,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면 및 공기가 빠져나가는 측의 면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기재한 것에 불과하다. Meanwhil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referring to only one of the hexahedral bodies of the filter 3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is an air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 viewing point of view. The rear of the air filter can be the rear of the filter, and the rear of the air filter can be the front of the air filter depending on the viewing point of view. That i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refer to any one of a sid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or exited when air is filtered, and a side on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side from which air is exited. It is only described for relative classification.

이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an air filtering filter fram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a)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ration fil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a faste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upled; 8(b) is a view showing an air filtration fil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a faste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은, 공기여과필터(300)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210), 브라켓(220) 및 패스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210)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200 disposed in may include a rectangular frame body 210, a bracket 220, and a fastener 230 in which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frame body 2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24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20)은 제1 부분(221), 제2 부분(222) 및 수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20)의 제1 부분(221)은 상기 틀체(2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220)의 제2 부분(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분(221)을 향하여 절곡되어 수납부(223)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브라켓(220)은 상기 틀체(210)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부분(222)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221) 위에 살짝 들려져 있는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20)은,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패스너(230)가 살짝 들려져 있는 상기 제2 부분(222)을 통해 상기 수납부(223)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브라켓(220)의 수납부(223)에 쉽게 패스너(23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패스너(230) 장착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는 바, 브라켓(220) 형상의 영구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패스너(230)가 브라켓(220)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으로부터 상기 패스너(230)가 빠지게 되어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bracket 22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21, a second portion 222,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223. The first part 221 of the bracket 2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body 2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art 222 of the bracket 220 is the first part 221 It may be bent toward to form the receiving part 2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racke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from the frame body 210. The second part 222 is formed as a free end and may be placed in a state that is slightly lifted on the first part 221.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bracket 220 ha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3 through the second portion 222 in which the fastener 230 is slightly lif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fastener 230 to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or applying excessive force. In addition, when the fastener 230 is mounted, an excessive force is not applied, and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bracket 22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fastener 230 is firmly fixed to the bracket 220, the risk of loss due to the fastener 230 being removed from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200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은 용접에 의해 상기 틀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틀체(210)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용접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220)이 틀체(210)에 고정되는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가공을 통해 틀체(210)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220 may be fixed to the frame body 210 by welding. However, the method of fixing the bracket 220 to the frame body 210 is not limited to welding, but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In addition, the bracket 220 is not only fixed to the frame body 210,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from the frame body 210 through, for example, processing.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스너(230)는, 공기여과필터(300)를 지지하는 머리부(231) 및 상기 머리부(231)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230)의 다리부(232)는 상기 브라켓(220)의 제2 부분(222)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20)의 수납부(22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230)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공기여과필터(300)가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안에 수납될 때, 공기여과필터(300)가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으로부터 빠져나가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상기 필터(30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8(b), the fastener 230 may include a head 231 supporting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and a leg 232 extending from the head 231. I can.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230 may be inserted from the second portion 222 of the bracket 220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to be fixed. When the air filter 300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is accommodated in the air filter frame, the fastener 230 may prevent the air filter 300 from escaping or twisting from the air filter frame 200. It serves to support and fix the filter 300.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230)의 다리부(232)는 끝단(232a)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패스너(230)가 상기 수납부(223)에 끼워져 고정될 때 길이 방향, 특히 패스너의 다리부(232)에서 패스너의 머리부(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패스너(230)는 상기 머리부(231) 및 상기 다리부(232)의 끝단(232a) 형상에 의해, 머리부(231)를 향하는 길이 방향 내지 다리부(232)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end 232a of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230 may be bent. In the case of having such a shape, when the fastener 230 is fit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3, it is prevented from esca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in the direction from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toward the head portion 231 of the fastener. Can be prevented. Eventually, the fastener 230 falls ou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head 231 or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232 by the shape of the end 232a of the head 231 and the leg 232. Can't go out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230)의 머리부(231)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231a)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와 접촉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231a)는 상기 머리부(231)가 휘어짐으로 인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231)는 대략 2회 이상 휘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머리부(2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여과필터(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231 of the fastener 230 includes a pressing part 231a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Can inclu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231a includes a curv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contacting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231a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head portion 231, and the head portion 231 may be bent approximately two or more times. However,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231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is sufficient.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있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20)의 제2 부분(222)은 제1 부분(210)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230)의 다리부(232)의 직경(d2)과 같거나 큰 치수(h)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20)의 수납부(223)의 직경(d1)은 상기 패스너(230)의 다리부(232)의 직경(d2)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로 인해, 상기 패스너(230)의 다리부(232)는 상기 브라켓(220)의 제2 부분(222)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20)의 수납부(223)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패스너(230)를 브라켓(220)의 수납부(223)에 쉽게 끼울 수 있으며, 상기 패스너(230)를 끼우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쏟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패스너(230)를 수납부(223)에 고정시킬 때 발생하는 브라켓(220) 형상의 영구 변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패스너(230)가 브라켓(220)에 단단히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220)의 수납부(223) 내에서 헛돌지 않으며, 상기 패스너(230)가 상기 수납부(223)로부터 빠져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b), the second part 222 of the bracket 220 is the first part 210 It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plane to a dimension 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230. Also. The diameter d1 of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230. Due to this relationship,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230 can be inserted from the second portion 222 of the bracket 220 and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to be firmly fixed. hav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it the fastener 230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there is no need to exert excessive force to fit the fastener 2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bracket 220 that occurs when fixing the fastener 230 to the receiving part 223.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er 230 is firmly fixed to the bracket 220 so that it does not rotate in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220, and the fastener 230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23. You can avoid the risk of being lost and los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 공기여과필터(300) 및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 200)은 상기 공기흡입구 공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여과필터(300)는 상기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 200)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 200)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이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an air filtering filter 300 and an air filtering filter It may include frames 100 and 200.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s 100 and 200 are disposed between the air intake and air outlets, and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s 100 and 200. In addition,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s 100 and 200 are air filtration filter frames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110, 210 : 틀체
120 : 고정부
220 : 브라켓
123, 223 : 수납부
130, 230 : 패스너
131, 231 : 머리부
132, 232 : 다리부
100, 200: air filtration filter frame
110, 210: frame body
120: fixed part
220: bracket
123, 223: storage unit
130, 230: fastener
131, 231: head
132, 232: leg

Claims (12)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에 있어서,
공기여과필터(300)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110);
일단(121)은 상기 틀체로부터 연장되고, 타단(122)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단(121)과 타단(122) 사이에 수납부(123)를 구비하는 고정부(120); 및
상기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머리부(131)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132)는 상기 수납부(123)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스너(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타단(122)은 틀체(110)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132)의 직경(d2)과 같거나 큰 치수(h)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100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In ),
A rectangular frame body 110 i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is accommodated;
One end 121 extends from the frame body, the other end 122 is formed as a free end, the fixing portion 12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23 between the one end 121 and the other end 122; And
A head portion 131 supporting the air filter and a leg portion 132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the leg portion 132 includes a fastener 130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3 Including,
The other end 122 of the fixing part 120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plane of the frame body 110 in a dimension (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art 132 of the fasten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수납부(123)의 직경(d1)은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132)의 직경(d2)과 같거나 작은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d1) of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fixing por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132)는 끝단(132a) 일부분이 절곡된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leg portion 132 of the fastener has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132a bent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의 머리부(131)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131a)를 포함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ortion 131 of the fasten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131a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10)는 상기 공기여과필터(3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40)을 포함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body 110 includes a support plate 14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300
Air filtration filter frame.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배출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200)에 있어서,
공기여과필터(300)가 수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체(210);
상기 틀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부분(22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분(221)을 향하여 절곡되어 수납부(223)를 형성하는 제2 부분(222)을 포함하는 브라켓(220); 및
상기 공기여과필터를 지지하는 머리부(231) 및 상기 머리부(231)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232)는 상기 수납부(223)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스너(23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 부분(222)은 제1 부분(221)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232)의 직경(d2)과 같거나 큰 치수(h)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I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 blowing mean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casing, the air filtering filter frame 200 discharg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In ),
A rectangular frame body 210 i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300 is accommodated;
Bracket 220 including a first portion 22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body and a second portion 222 at least partially bent toward the first portion 221 to form a receiving portion 223 ; And
It includes a head portion 231 supporting the air filter and a leg portion 232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231, and the leg portion 232 is a fastener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223 ( 230),
The second part 222 of the bracket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plane of the first part 221 with a dimension (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art 232 of the fasten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수납부(223)의 직경(d1)은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232)의 직경(d2)과 같거나 작은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The diameter (d1) of the receiving portion 223 of the bracke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의 다리부(232)는 끝단(232a) 일부분이 절곡된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The leg portion 232 of the fastener has a portion of the end 232a bent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의 머리부(231)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전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부(231a)를 포함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d portion 231 of the fasten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231a capable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10)는 상기 공기여과필터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40)을 포함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The frame body 210 includes a support plate 24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air filtration filter.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은 용접에 의해 상기 틀체(210)에 고정되는
공기여과필터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The bracket 220 is fixed to the frame body 210 by welding
Air filtration filter frame.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여과필터 프레임(100,20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Including the air filtration filter frame (100, 2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ir conditioner.
KR2020190002909U 2019-07-10 2019-07-10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KR2004937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09U KR200493767Y1 (en) 2019-07-10 2019-07-10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09U KR200493767Y1 (en) 2019-07-10 2019-07-10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53U true KR20210000153U (en) 2021-01-20
KR200493767Y1 KR200493767Y1 (en) 2021-06-02

Family

ID=7423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09U KR200493767Y1 (en) 2019-07-10 2019-07-10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67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470U (en) * 2002-08-30 2003-03-14 有限会社藤村工業 Ventilation fan filter holder
KR200343495Y1 (en) * 2003-12-15 2004-03-02 고재창 Implement for supporting filter in air handling unit
JP2011025157A (en) * 2009-07-24 2011-02-10 Nitta Corp Air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470B2 (en) * 1995-03-07 2000-09-25 日本鋼管株式会社 Two-stream waste inci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470U (en) * 2002-08-30 2003-03-14 有限会社藤村工業 Ventilation fan filter holder
KR200343495Y1 (en) * 2003-12-15 2004-03-02 고재창 Implement for supporting filter in air handling unit
JP2011025157A (en) * 2009-07-24 2011-02-10 Nitta Corp Ai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67Y1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31245A (en) Air guide structure for vehicle
KR20210000153U (en) Air filter fram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JP6088122B2 (en) Filter assembly for vehicle heating or air conditioning system, filter unit for this purpo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lter assembly
CN101457770B (en) Fan frame
KR102443174B1 (en) Filter Case
CN110774871B (en) Combination structure of air filter cover for vehicle
JP4187362B2 (en) Air purifier with air conditioner
KR20170111628A (en) Apparatus for cleaning air
JPH10268717A (en) Filter lock device
JP3655800B2 (en) Filter fixing device
KR200430241Y1 (en) Structure of filter mounting for a dust collector
JP2008149269A (en) Filter
CN217849465U (en) Dustproof dehydrating unit of wireless router
CN214644165U (en) Inferior gram force goods cutting process device
CN105823196B (en) Plasma purifies assembly structure and air purifier of subassembly and complete machine
KR200333188Y1 (en) A structure for fixing filter-unit of air-conditioning unit
JP4632154B2 (en) Air filter
KR200456469Y1 (en) pall ring for preventing secession of ion exchange fiber
CN218513517U (en) Battery system management unit fixing device and battery system
JP2008249290A (en) Heat exchanger and filter for heat exchanger
JP3940849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7046718B2 (en) air filter
ITRM20070506A1 (en) FIXING STRUCTURE WITH BOLT, AIR-CONDITIONER OF THE TYPE ON THE ROOF WITH THE SAME AND METHOD TO SLAVE THE SAME.
KR100461065B1 (en) Air filter for vehicle
JP2005318767A (en) Grip for locking wiring harness to vehic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