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03A - 건강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03A
KR20210000103A KR1020190074956A KR20190074956A KR20210000103A KR 20210000103 A KR20210000103 A KR 20210000103A KR 1020190074956 A KR1020190074956 A KR 1020190074956A KR 20190074956 A KR20190074956 A KR 20190074956A KR 20210000103 A KR20210000103 A KR 20210000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cal
module
health recor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217B1 (ko
Inventor
최병관
Original Assignee
(주)비주얼터미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주얼터미놀로지 filed Critical (주)비주얼터미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7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2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612 priority patent/WO2020262810A2/ko
Priority to US17/607,276 priority patent/US20220208321A1/en
Publication of KR2021000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병원에 걸쳐서 존재하는 의료 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한 곳에 정리하고 환자가 자신의 증상 정보를 의료 용어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의료기관(H)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록 시스템은 의료기관(H)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210)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00); 상기 의료데이터(210)에서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하는 데이터변환모듈(200);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추출된 문자형데이터(220)를 이용하여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시각화모듈(300);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400); 및 상기 수신모듈(100), 데이터변환모듈(200) 및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저장전송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되는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기설정된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이동형 파일, 병원, 클라우드 서버, 개인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자료를 전송받아 상기 의료데이터(210)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질병의 이름, 질병의 중증도, 급만성 정도 및 악성 정도, 각종 검사 결과, 기능검사 결과 및 기계에서 추출된 데이터 결과를 상기 시각화데이터의 색깔, 밝기 또는 투명도, 무늬 및 텍스쳐(32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의료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또는 해부병리 사진을 텍스쳐(320, texture)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기록 시스템{HEALTH RECORD SYSTEM}
본 발명은 여러 병원에 걸쳐서 존재하는 의료 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한 곳에 정리하고 환자가 자신의 증상 정보를 의료 용어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의료기관(H)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기록하는 분야에서 IT 기술의 접목으로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그 중의 하나가 종이로 존재하던 차트를 전자정보로 처리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이다. 전자 차트 시스템은 병원의 업무를 효율화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예를 들면, 의료인은 병원 어느 곳에서나 전자 차트만 열면 환자의 정보를 조회하고 기록하는 일을 할 수 있고, 간호사 물리 치료사 등도 동시에 다른 장소에서 각기 다른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어 업무 능률의 향상을 가져왔고 종이 차트로 보관하던 공간을 절약하고 차트를 운반해야 했던 불필요한 물류 업무 등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들도 개개인의 관점에서 보면 치료를 받는 병원이 여러 곳인 경우가 많다 보니 환자가 이전에 치료 받았던 내역을 여러 병원을 걸쳐서 한꺼번에 모아서 관리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미국과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병원간 진료 정보를 교류(Hospital Information Exchange)하여 개개인의 건강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하고 당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이는 미국의 Blue button, 호주의 My Health Record, 구글의 Google Health,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Health Vault 같은 형태로 선보여 왔다. 이러한 플랫폼은 단지 정보를 조회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개인이 건강을 직접 관리 할 수 있게 하고 질병이 생기기 전에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정보의 주인이란 점에서 병원에서 사용하는 EMR(electornic Medical Record) 혹은 HIS(Hostpial information system)와는 차이가 있다. 현재 기술의 이러한 개인단위의 정보는 복잡한 구조의 정보로서 개인이 관리하기 쉽지 않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입장에서는 의료용어가 익숙하지 않아 의료 용어로 표현된 정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예를 들어 환자가 해부학적 명칭이나 질병명을 잘 알 수 있는 의료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 한 의료정보에 대한 언어의 차이도 문제점일 수 있다.
자료의 정리(organization)도 문제가 된다. 기본적으로 의료 데이터는 증상의 발생, 외래 진료, 입원, 각종 검사의 시행, 질병의 확인, 투약, 질병 상태의 변화와 같은 복잡한 의료 이벤트(medical event)가 비슷한 시기에 여러 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의료 데이터로는 이러한 데이터들은 잘 정리하기가 어렵다. 한 명의 환자가 맹장 수술을 받고 퇴원하기 까지 수십장의 차트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병력지를 평생을 걸쳐서 수집하게 될 경우 수만자 내지 수십만자의 텍스트의 집합은 환자의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가 힘들어지게 만든다.
또한, 의료인이 아닌 개인의 입장에서는 질병이 의료 용어로만 표현되어 있어 질병을 이해하는데 어려움도 있어 일반인이 개인 건강기록을 활용하기 어려운 장벽으로 존재하고 있다.
한편,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기록하고 병원에 전달하고 싶을 때도 문제는 존재한다. 환자는 자신이 아픈 부위를 의료 용어로 표현할 수 없고, 특히 표준 의료용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환자가 서술식(narrative description)으로 작성한 정보들은 의미가 불분명하고 의료진이 잘 이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료형태로 구조화하기 힘들어 병원에서 전문적인 의료 정보로 활용을 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의료정보의 주요 형태였던 글자(문자형) 정보를 보완하여 여러 곳의 병원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의료 이벤트를 그림을 이용한 이미지형데이터(310)로 정리함으로써 환자가 이해하기 쉽고, 자료를 잘 정리해서 볼 수 있으며 심지어 언어가 다른 여러 병원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기록 시스템을 발명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9886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형데이터(310)를 활용하여 여러 병원에 걸쳐서 존재하는 개인의 의료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한 곳에 정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그림에서 자신의 아픈 부위를 표시함으로써 의료용어를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의료기관(H)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마련된 의료데이터(210) 생성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록 시스템은,
의료기관(H)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210)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00);
상기 의료데이터(210)에서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하는 데이터변환모듈(200);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추출된 문자형데이터(220)를 이용하여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시각화모듈(300);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400); 및
상기 수신모듈(100), 데이터변환모듈(200) 및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저장전송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되는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기설정된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이동형 파일, 병원, 클라우드 서버, 개인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자료를 전송받아 상기 의료데이터(210)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질병의 이름, 질병의 중증도, 급만성 정도 및 악성 정도, 각종 검사 결과, 기능검사 결과 및 기계에서 추출된 데이터 결과를 상기 시각화데이터의 색깔, 밝기 또는 투명도, 무늬 및 텍스쳐(32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의료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또는 해부병리 사진을 텍스쳐(320, texture)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 병원에 걸쳐 존재하는 개인의 의료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한 곳에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는 전문지식이 없는 개인을 위해서 시각화화여 개인 기기에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자신의 증상정보를 기록한 의료용어를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증상정보를 의료기관(H)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언어가 다른 여러 가지 정보를 이미지형데이터(310)로 관리함으로써 언어적인 장벽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병원에서 생성된 의료데이터(210)를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의 형태로 생성하여 이미지형 자료로 변환할 수 있는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병원에서 생성되어 모호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면서 데이터의 크기나 종류가 다르던 문자형 자료를 이미지형데이터(310)를 기반으로 한 표준화된 건강기록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형 데이터로 기록된 의료 정보에 이미지형 자료로 변환하여 더 풍부한 의미를 가지는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의 만성질환 관리, 혈압 영양, 운동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질병 데이터를 표준화한 이미지형데이터(310)로 변환하여 국가적으로 질병의 집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가 다른 병원 혹은 개인 기기로 원격으로 전달되어 맞춤형 상담 및 진료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의 질과 효율성 향상 뿐 아니라, 의료 관련 사업의 발전과 이를 통한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인프라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강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건강기록 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기록하고 정보를 병원에 전달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데이터변환모듈(200)의 구성 중 의료데이터(210)를 2차원의 의료정보모형(312)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데이터변환모듈(200)의 구성 중 의료데이터(210)를 3차원의 의료정보모형(312)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데이터변환모듈(200)의 구성 중 기본모형(311)에서 의료정보모형(312)을 추가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데이터변환모듈(200)의 구성 중 2차원의 기본모형(311)에서 의료정보모형(312)을 추가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시각화모듈(300)의 구성 중 둥근무늬(321), 얇은사선무늬(322), 굵은사선무늬(323) 및 점선사선무늬(324)로 텍스쳐(320)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9는 의료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해부병리 소견 및 피부병 사진 등을 텍스쳐(320)로 사용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의료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뇌출혈이 있는 환자의 의료정보모형(312)을 위한 텍스쳐(320)를 생성하기 위해 CT 이미지의 일부를 가져오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시각화모듈(300)의 정보 표현력을 더 확대하기 위해 의료데이터(210)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기본모형(311)에서 신체의 내부 및 외부에 해부학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질병이나 증상을 더 표현하는 의료정보모형(312)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기 위한 문자형데이터(220)가 의료데이터(210)에 별도의 항목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4는 데이터변환모듈(200)이 의료데이터(210)가 이미지형데이터(310) 생성을 위한 문자형데이터(220)가 “진단명”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5는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이미지형데이터(310) 생성을 위한 문자형데이터(220)가 별도의 항목으로 정리되지 않은 자유 진술형의 데이터나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BLOB(Binary large object) 형태의 데이터인 경우 문자형데이터(220)로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6은 시각화모듈(300)에서 하나 이상의 기본모형(311)에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7은 병원이나 국가에서 다수의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모듈(400)에서 사용자가 GUI 이벤트를 처리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건강기록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모듈(100), 데이터변환모듈(200), 시각화모듈(300), 디스플레이모듈(400) 및 저장전송모듈(500)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강기록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개인건강기록은 상기 저장전송모듈(500)에 의해 단말기(D)로 전송되어 상기 단말기(D)의 화면을 통해 환자 또는 의료기관(H)이 필요로 하는 환자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D)는 의료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나 환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개인 기기(personal device)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신모듈(100)은 의료기관(H)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210)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모듈(100)은 각 병원에 흩어져 있던 한 개인의 의료정보를 모을 수 있는 통신 장치이거나 소프트웨어 혹은 서버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상기 의료데이터(210)에서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작성하기 위한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한다. 추출이 되는 대상은 병원 뿐 아니라 USB나 메일로 전달 받은 임상문서나, 병원에 저장된 전자차트자료 일 수 있다. 이러한 자료 들은 문서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혹은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로 저장이 되어 있을 수 있다. 환자가 여러 번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을 할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로부터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작성하기 위한 필요한 형태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타병원의 자료를 받거나 혹은 병원 외부 서버에 저장된 자료, 개인 기기에 저장된 자료, 각종 의료기기에서 전달 받은 자료에서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이미지형데이터(310)란 사람, 장기, 질병 등의 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말한다. 이러한 이미지형데이터(320)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SVG(Scalable Vector Graphic), TIFF(Tag Image File Format),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STL(Standard Triangulated Language), OBJ, FBX(Filmbox), COLLADA(Collabarative Design Activity) 등일 수 있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2차원, 혹은 3차원의 데이터 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20)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이미지형데이터(320)의 조합으로 시간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는 의무기록 문서(clinical record), 전자화된 문서(electronic medical record), 경과기록지, 퇴원요약지, 의료용어 또는 그 이외에 수많은 문자형 혹은 숫자형으로 나타낸 상기 의료데이터(210) 중에서 획득된 데이터로, 병명 또는 진단명, 증상, 혈액 검사결과, 판독지, 수술명, 간호기록, 간호처치 등 의료 데이터라는 범주에 포함되는 문자형의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는 비단 진단명에 국한 되지 않으며,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는 해부학적 부위, 시술명, 측정된 혈압값, 마사지 의료인 또는 의료보조인 환자의 동작을 정의하는 데이터이거나 “위중하다”, “가볍다”, “크다”, “작다” 등의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문자형 자료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는 ‘지방간’, ‘ankle pain’, ‘heart failure’과 같은 한글 또는 영문과 같은 각종 언어를 표현하는 문자이거나, 숫자 혹은 문자와 숫자의 조합인 ‘K76.0’, ‘61515’, ‘N05’, ‘M51.0’과 같은 표준화된 데이터, 표준의료용어 혹은 의료 용어 코드일 수 있다. 상기 표준화된 의료 용어 코드는 의료개념을 SNOMED-CT, ICD-9, ICD-10, ICD-11, LOINC, CPT, ATC, RxNorm, ICNP, NMDS 등에서 정의한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혈색소 수치 10.3 gram/deciliter의 검사결과로,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3과 14는 의무기록 문서 등에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하기 위한 필요한 데이터가 전자 차트 시스템에 별도의 항목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예를 들면, 문자형의 “개인건강기록”으로 정의되는 데이터 셋이 별도의 시스템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문서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에서는 도 14와 같이 JSON이나 XML 형태의 데이터가 진단명, 수술명 혹은 증상으로 구분이 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도 필요한 항목을 읽어서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하여 필요한 항목만 읽어오면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의 종류에는 기존의 문자형 데이터가 아닌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작성하기 위한 자료도 포함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모델의 고유번호, 의료정보 모델의 식별 번호(ID), 기본 모델 내부의 의료 정보 모델의 위치 , 텍스처 종류, 밝기, 투명도, 색깔 등의 이미지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건강기록”에 이와 같은 이미지형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셋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형데이터(220)가 별도의 항목으로 정리되지 않은 자유 진술형의 데이터나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이거나 데이터베이스의 BLOB(Binary large object) 형태의 데이터인 경우,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요한 항목을 상기 문자형데이터(220)의 목록(list)을 지정해두고 필요한 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여러 병원에 흩어지고 외부 서버에 분산 된 데이터로부터도 정보를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추출된 문자형데이터(220)를 이용하여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된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를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로 변환한다.
이 때,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기설정된 3차원 모델로, 3차원 모델인 기본모형(311)에 하나이상의 의료정보모형(312)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의료데이터(210)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로 표현된다.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인체의 어떤 부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인 상기 기본모형(311)에 상기 의료데이터(210) 중에서 획득된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를 이미지로 나타낸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은 점, 선, 면적, 체적 혹은 다양한 도형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더욱 세부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3차원 모델뿐만 아니라 2차원 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어떤 조건에서 미리 약속된 문자형데이터(220)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를 입력 인자로 하는 어떤 함수나, generative model 등의 하나 이상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모형(311)에는 다수의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을 포함하여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마련해 둘 수도 있으며, 이렇게 사전에 만들어서(pre-made)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의료정보모형(312)은 상기 의료데이터(210)에서 추출된 문자형데이터(220)에 참조되어 어떤 환자의 의료정보모형(312)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본모형(311)은 아무 그림도 그려지지 않은 빈 공간일 수도 있으며 이때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을 비어있는 공간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전신이거나 소화기계 혹은 호흡기계와 같은 인체의 일부 시스템만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고, 좌측 다리 혹은 머리 등과 같이 신체의 일정 영역만을 표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은 신체의 어떤 장기의 전부 혹은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에 발생한 종양인 경우 간 장기 전체를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종양이 발생한 일부, 즉 간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위인 segment(예; posterior lateral segment)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는 간의 해부학적인 분획과 관련 없이 종양이 발생한 모양 그대로를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의료정보 모형은 해부학적인 특징을 따르는 상세한 모델일 수도 있으나 손으로 그려서 얻은 곡선, 동그라미, 직선, 사각형, 구, 정육면체와 같은 간단한 도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은 추출된 상기 문자형데이터(220)에 의해서 자동으로 선택 되고 사람의 개입이 없이 자동으로 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이미 작성된 의료데이터(210)에서 추출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처음부터 직접 추가되거나 사용자가 그려서 작성 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은 환자나 의료진이 아픈 부위를 직접 그리거나 반점이 있는 자리, 가려운 자리, 혈압을 잰 자리, 배가 아픈 자리 및 주사를 맞은 자리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주사를 맞은 자리를 표현할 때 의료진이 상기 의료데이터(210)에 문자형 자료를 기록한 다음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상기 기본모형(311)을 배경으로 그릴 수 있다. 또는 환자가 지방간이 있을 때 의료진이 상기 의료데이터(210)에 기록을 하지 않고 직접 상기 기본모형(311)을 배경으로 그릴 수 있다. 또는 의료진이나 환자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사전에 만들어진(pre-made) 의료정보모형(3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어떤 환자의 질병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질병의 이름, 질병의 중증도, 급만성 정도 및 악성 정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색깔, 밝기 또는 투명도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의료데이터(210)의 특징을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의 속성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이미지의 색깔을 붉은색, 초록색, 푸른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색을 선택 혹은 조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환자의 tibialis anterior 근육의 마비가 있는 환자를 표현할 경우, 해당 근육의 근력(muscle strength)이 정상의 20%라고 한다면 근육의 힘을 표현하는 색깔인 RGB 채널 중 붉은 색을 표현하는 R 값이 최고값의 20%로 근력을 표현할 수 있는데, 만약 붉은 채널의 최대값이 255일 경우 255*0.2 = 50.5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신장의 기능은 혈액 검사의 하나인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수치로 확인 할 수 있는데 eGFR수치에 녹색의 값을 나타내는 G값을 연동하여 eGFR이 100인 경우 255, eGFR이 50인 경우 그의 절반인 255/2로 표시 되게 할 수 있다. eGFR이 0인 경우 G값을 0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즉 혈액 검사의 결과 값을 인자로 하는 함수에 의해서 이미지의 속성을 변동하여 표현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임상데이터를 인자로 하는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색깔을 정의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람이 쉽게 필요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에 색깔, 밝기, 투명도와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 속성 외에 텍스쳐(320, texture)를 상기 기본모형(311)에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에 질병의 이름, 의료용어코드, 급 만성도, 위중도, 악성도에 따라 상기 텍스쳐(320)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협착증(stenosis)에 대해서는 둥근무늬(321)로 표현할 수 있고, 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에 대해서는 얇은사선무늬(322)로 표현할 수 있고, 혈관종(hemangioma)에 대해서는 굵은사선무늬(323)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근육마비(paralysis)에 대해서는 점선사선무늬(324)로 표현한다. 여기서 제시한 무늬는 상기 텍스쳐(320)의 몇 가지 예를 제시한 것으로 상기 텍스쳐(320)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 만든 모형(figure)이나 질병을 표현하는 아이콘(icon)등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쳐(320)를 만들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의료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또는 해부병리 소견을 나타낸 사진이나 이미지, 피부병 사진 등 촬영하거나 추출된 이미지를 상기 텍스쳐(320)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모든 의료 영상을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 현미경 조직 소견을 상기 텍스쳐(320)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전형적인 병리 소견이거나 해당 환자의 사진을 직접 가져온 것일 수 있다. 도 9(b)는 피부 병변을 촬영한 이미지로, 상기 이미지를 해당 부위에 상기 텍스쳐(320)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환자의 피부를 직접 촬영한 사진일 수 있다. 도 9(c)는 MRI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일부이다. 또한, 도 10은 뇌출혈이 있는 환자를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의 텍스쳐(320)를 만들기 위해 CT 이미지의 일부를 가져오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의료영상을 다시 확인해야할 수고를 덜어주고 의료 사용자에게 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기본모형(311)에서 보여지는 신체의 내부 및 외부에 해부학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환자의 질병이나 증상을 더 표현하도록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인체를 표현하는 상기 기본모형(311)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으로 표현할 수 없는 의료 정보들이 더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혈압과 당뇨이다. 물론 당뇨의 경우 췌장의 기능 이상이 원인이 될 수 있겠으나, 췌장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이 발병에 의해서 정보를 표현하기 힘들 수 있다. 도 15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신체의 외부에 당뇨병과 고혈압 모델을 추가로 도시하는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모형들은 “불안”과 “활력징후 위중”과 같은 추상적인 상태를 표현하는 개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시각화모듈(300)에서 복수의 상기 기본모형(311)에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질병별, 증상별, 시술별로 분류된 정보를 각각의 상기 기본모형(311)에 상기 의료정보모형(312)으로 시각화 하는 예를 나타낸다. 복수의 상기 기본모형(311)에 상기 문자형데이터(220)의 분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렇게 나타낸 경우 상기 의료데이터(210)를 필요에 따라 종류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은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갖추고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받아들이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환자가 보는 상기 이미지형 데이터를 보여주면서 특정 질환들을 설명하는 정보를 부가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간단한 상병 이름이나 발생한 시점, 즉 년월일이나 투약하고 있는 약품의 종류, 만성정도(chronicity)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은 상기 GUI를 이용해서 다른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GUI는 손가락 터치나, 마우스 이벤트 클릭, 휠, 마우스 떠남 GUI 포커싱 키보드 입력, 소리 인식, 기기 동작 등과 같은 이벤트일 수 있는데, 이러한 이벤트를 이용해서 건강기록 시스템이 아닌 시스템 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는 기본 도형의 어떤 부위를 클릭하거나 의료정보 모형의 일부를 클릭할 때는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시행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환자 자신의 해당 신체부위의 이상으로 방문 했던 병원방문 이력을 보여 줄수 있다. 또는 해당 부위가 아플 때 필요한 의료기기 용품 쇼핑몰의 리스트 혹은 상품을 보여주는 상품 조회화면 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보여지는 데이터의 종류는 사용자가 실행한 상기 GUI 이벤트의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는 함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화면에서 발을 클릭하거나 영역을 표시할 경우 클릭한 위치, 영역의 크기를 입력 받아 검색을 실한 다음 해당 위치와 관련된 무좀, 혹은 신발과 관련된 쇼핑몰의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혹은 환자가 심장을 원으로 표시할 경우 심장질환을 치료하는 병원의 홈페이지가 검색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 이벤트를 이용하여 질병상태의 시점을 변환할 수도 있다. 버튼이나 슬라이더나 스크롤을 이용하여 시각화된 이미지의 시점을 변환 할 수 있다. 쓸어냄(swife) 을 이용해서 상기 실시례를 기준으로 B 병원을 방문 하고 난 뒤인 신장염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가 버튼 혹은 쓸어냄 이벤트를 매개로 하여 과거 신장염이 발생하기 전 시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전방(forward) 버튼이나 다른 방향으로 쓸어냄 이벤트를 통해서 C병원 방문 한 이후에 간염이 발생한 후의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혹은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필요한 시점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의료 데이터는 증상의 발생, 외래 진료, 입원, 각종 검사의 시행, 질병의 확인, 투약, 질병 상태의 변화와 같은 복잡한 의료 이벤트(medical event)가 동시에 여러 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이와 같은 시간의 변이에 따른 다양한 의료 이벤트를 반영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만들어서 개인건강기록 저장소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살 때 방문한 병원 정보로 제1데이터를 생성하고, 30살 때 방문한 병원 정보로 제2데이터를 생성하며, 40살 때 방문해서 발생한 제3데이터가 생성되어 총 3개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점을 달리하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 혹은 동영상으로 만들어서 시간의 흐름이 반영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여러 시점에서 작성된 자료를 조합하여 시점 변화에 따른 데이터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정보의 표현력을 더 확대하기 위해서 상기 의료데이터(210)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콩팥에 다수의 질병이 있는 경우 다수의 레이어를 활용하여 질병 상태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병성 신장질환(Diabetic), 감염성 신장 질환(Infectious), 종양성 신장질환(Neoplastic)을 동시에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전송모듈(500)은 상기 수신모듈(100), 데이터변환모듈(200) 및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한다. 상기 저장전송모듈(500)은 원격저장소(510)나, 개인단말기(D)를 통해 상기 각 모듈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의료기관(H)의 전자차트시스템(C)에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는 본 발명인 건강기록 시스템을 일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건강기록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로, 환자 한 명이뇌졸중을 앓아 a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이벤트가 있다면, 본 발명인 건강기록 시스템을 통해 뇌졸중이 발생하기 전 상태를 표현하는 환자의 이미지형데이터(310)가 환자의 개인단말기(D)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에 의해 뇌졸중이라는 환자의 현재 질병정보를 추가하거나, 혹은 뇌졸중이 추가된 이미지형데이터(300)로 대치되게 된다.
시간이 지나 상기 환자는 다시 신장염이 발생하여 b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 b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마친 환자는 외래 통원 치료를 하게 된다. 이 때의 입원 이벤트에 대해서, b병원의 전자차트시스템(C)에서 전송한 의료정보모형(312)이 환자의 개인단말기(D)에 전송되어 표시된다. 기존 a병원에서 치료된 뇌졸중은 치료되었지만, 후유증이 남은 상태를 노란색 등으로 표시하게 되고, 신장염은 치료를 계속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빨간색 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신장모델은 병변의 크기 추이에 따라 의료정보모델이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혈액검사결과를 연동하여 색깔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혈중 크레아티닌(creatinnine) 검사결과를 인자로 하는 함수에 의해서 반환된 값으로 색깔을 정하는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rgb 투명도 값을 결정하여 시각화할 수도 있다.
다시 환자는 간염이 발생하여 c병원에 방문하게 되고, 역시 치료가 끝난 뒤 상기 수신모듈(100)을 통해 의료기관(H)으로부터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을 통해 문자형데이터(220)를 수집한 뒤, 상기 시각화모듈(300)을 통해 상기 문자형데이터(220)로부터 의료정보모형(312)을 생성하여 간염에 대한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완성한다. 상기 간염에 대한 이미지형데이터(310)는 상기 저장전송모듈(500)을 통해 저장된다. 이후, 환자는 좌측 다리의 골절 치료를 위해 d병원에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하게 된다. 환자의 개인단말기(D)에는 신장염은 완전히 치료되어 상기 시각화모듈(300)에 의해 신장염에 대한 의료정보모형(312)은 상기 기본모형(311)에서 제거된다. 한편, 관찰이 필요한 골절병변은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건강을 병원에서 전송 받은 정보로 표현하기 위해서 병변 모델과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 즉, 뇌졸중, 간염과 같은 질병의 이름, 치료 경과, 치료 중인 약물, 해당 질병과 관련되어 발생된 혈액검사, 각종 기능 검사 결과들을 속성으로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표현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환자는 좌측 발에 생긴 통증을 주 증상으로 외래 예약을 하고, 자신의 개인단말기(D)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모형(311)에서 통증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동시에 환자는 ‘통증’이라는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자신의 상태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발생시점, 발생원인, 발생장소 등을 부가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려서 입력받은 이미지형데이터(310)는 상기 원격저장소(510)에 저장된다. 이후, 의료기관(H)을 방문하게 되면 본 발명인 건강기록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개인건강기록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저장전송모듈(500)을 통해 요청하게 되고 요청된 정보는 병원의 전자차트시스템(C)에서 의료진에게 보여질 수 있다.
도 17은 의료기관(H)이나 국가에서 다수의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각기 다른 병변을 가진 환자를 이미지형데이터(310)로 나타냄으로써 환자의 질병 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해주고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환자를 가려내어 집중 관리를 하거나 비슷한 질병을 가진 환자나 비슷한 중증도를 가진 환자 및 비슷한 장기에 생긴 질환 환자들끼리 관리하는 등의 환자 건강관리에 있어서 기존 문자형데이터(220)에 비해 훨씬 나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 병원에 걸쳐 존재하는 개인의 의료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한 곳에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는 전문지식이 없는 개인을 위해서 시각화화여 개인 기기에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자신의 증상정보를 기록한 의료용어를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증상정보를 의료기관(H)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병원에서 생성된 의료데이터(210)를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의 형태로 생성하여 이미지형 자료로 변환할 수 있는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전 기술에 비해서 활용성이 높은 데이터로 구조화 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병원에서 생성되어 모호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면서 길이가 다르던 문자형 자료를 표준화된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형 데이터로 기록된 의료 정보에 이미지형 자료로 변환하여 더 풍부한 의미를 가지는 건강기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의 만성질환 관리, 혈압 영양, 운동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병 데이터를 개인화하여 국가적으로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집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가 원격으로 전달되어 맞춤형 상담 및 진료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의 질과 효율성 향상 뿐 아니라, 의료 관련 사업의 발전과 이를 통한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인프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단말기
H. 의료기관
C. 전자차트시스템
100. 수신모듈
200. 데이터변환모듈
210. 의료데이터
220. 문자형데이터
300. 시각화모듈
310. 이미지형데이터
311. 기본모형
312. 의료정보모형
320. 텍스쳐
321. 둥근무늬
322. 얇은사선무늬
323. 굵은사선무늬
324. 점선사선무늬
400. 디스플레이모듈
500. 저장전송모듈
510. 원격저장소

Claims (16)

  1. 의료기관(H)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210)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00);
    상기 의료데이터(210)에서 문자형데이터(220)를 추출하는 데이터변환모듈(200);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에서 추출된 문자형데이터(220)를 이용하여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시각화모듈(300); 및
    상기 수신모듈(100), 데이터변환모듈(200) 및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저장전송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400);을 포함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하나 이상의 의료정보모형(312)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질병의 이름, 질병의 중증도, 급만성 정도 및 악성 정도, 각종 검사 결과, 기능검사 결과 및 기계에서 추출된 데이터 결과를 상기 시각화데이터의 색깔, 밝기 또는 투명도, 무늬 및 텍스쳐(32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하나 이상의 의료정보모형(312)을 조합하여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에서 생성되는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는,
    기설정된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모듈(200)은,
    이동형 파일, 병원, 클라우드 서버, 개인 기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자료를 전송받아 상기 의료데이터(210)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의료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또는 해부병리 사진을 텍스쳐(320, texture)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의료데이터(210)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기본모형(311)에 신체의 내부 및 외부에 해부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의료정보를 표현하는 의료정보모형(3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작성 시점이 다른 여러 개의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조합하여 시간의 추이에 따른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모듈(300)은,
    상기 문자형데이터(220)에 대해 자동으로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진단명 혹은 증상을 가진 의료이벤트가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10)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이 실시되는 장치의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은,
    사용자가 표시한 위치와 영역을 입력받아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0)은,
    상기 이미지형데이터(300)에서 의료정보모형(310)을 추가 및 제거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록 시스템.
KR1020190074956A 2019-06-24 2019-06-24 건강기록 시스템 KR10232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56A KR102324217B1 (ko) 2019-06-24 2019-06-24 건강기록 시스템
PCT/KR2020/004612 WO2020262810A2 (ko) 2019-06-24 2020-04-06 건강기록 시스템
US17/607,276 US20220208321A1 (en) 2019-06-24 2020-04-06 Health recor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56A KR102324217B1 (ko) 2019-06-24 2019-06-24 건강기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03A true KR20210000103A (ko) 2021-01-04
KR102324217B1 KR102324217B1 (ko) 2021-11-10

Family

ID=7406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56A KR102324217B1 (ko) 2019-06-24 2019-06-24 건강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08321A1 (ko)
KR (1) KR102324217B1 (ko)
WO (1) WO202026281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30B1 (ko) 2021-01-27 2021-09-06 주식회사 두유비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의료 상담 요약문과 전자 의무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9382A1 (en) * 2022-09-26 2024-04-04 Ajith Kumar Perakathu Somasekharan Method and system for medical record processing and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69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한화 건강검진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JP2017513590A (ja) * 2014-04-17 2017-06-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患者履歴の視覚化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098869A (ko) 2017-02-27 2018-09-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영상 내 정보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904A (ja) * 2005-06-09 2006-12-2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医用画像出力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出力プログラム
US8963914B2 (en) * 2011-01-18 2015-02-24 Rishi Rawat Comput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symptoms analysis, visualization and social network
KR20160004418A (ko) * 2014-07-02 2016-01-13 이주승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AU2017235338B2 (en) * 2016-03-17 2022-02-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l record system using a patient avatar
US10818013B2 (en) * 2019-02-03 2020-10-27 Nec Corporation Of America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ata extracted from frames captured from video sign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3590A (ja) * 2014-04-17 2017-06-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患者履歴の視覚化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60115269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한화 건강검진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180098869A (ko) 2017-02-27 2018-09-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영상 내 정보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30B1 (ko) 2021-01-27 2021-09-06 주식회사 두유비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의료 상담 요약문과 전자 의무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10A2 (ko) 2020-12-30
US20220208321A1 (en) 2022-06-30
WO2020262810A3 (ko) 2021-04-15
KR102324217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929B2 (en) Graphical generation and retrieval of medical records
US11996177B2 (en) Biopsy mapping tools
US10593428B2 (en) Diagnosis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366290B1 (ko) 의료기계 학습 시스템
CN108028077A (zh) 用于整合临床护理的信息学平台
EP2478833A1 (e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05940401A (zh) 背景敏感医学数据输入系统
US11562587B2 (en)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enhancement of data utilized in machine-learning based medical image review
CN102227730A (zh) 基于小工具的应用中临床元素提取、保持和传送的系统和方法
EP3191991B1 (en) Image report annotation identification
Zhang et al. AnamneVis: a framework for the visualization of patient history and medical diagnostics chains
US1121086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reating a computer-generated patient specific image
KR102324217B1 (ko) 건강기록 시스템
CN103098061A (zh) 临床状态时间线
AU2022231758A1 (en) Medical care assistanc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therefor
Samee et al. Clinical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of brain tumor MRIs using a U-Net and DCNN cascaded learning algorithm
CN115249527A (zh) 用于产生医学检查信息并对其进行结构化的方法和系统
JP2018173902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240078089A1 (en) System and method with medical data computing
KR102500378B1 (ko)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Kantode et al. Big-Data in Healthcare Management and Analysis: A Review Article
JP2023114340A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装置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Suo Pictorial Visualization System with Patient Portal for Problem-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HIDKI et al. The MedGIFT project: Global perspectives of a medical doctor
Parry Women’s Health Informatic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