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83U - 천장 직착등 - Google Patents

천장 직착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83U
KR20210000083U KR2020190002794U KR20190002794U KR20210000083U KR 20210000083 U KR20210000083 U KR 20210000083U KR 2020190002794 U KR2020190002794 U KR 2020190002794U KR 20190002794 U KR20190002794 U KR 20190002794U KR 20210000083 U KR20210000083 U KR 202100000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luminaire
mounting
locking groove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25Y1 (ko
Inventor
김광우
Original Assignee
룩스플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룩스플랜(주) filed Critical 룩스플랜(주)
Priority to KR2020190002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2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직착등의 설치를 쉽고 빠르게 하고, 도배 등을 실시할 때 등기구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 그대로 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를 갖는 장착수단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를 상기 장착부재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 가능하면서, 상기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등기구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직착등{CEILING LIGHT}
본 고안은 천장 직착등의 설치를 쉽고 빠르게 하고, 도배 등을 실시할 때 등기구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 그대로 위치만을 이동시켜 다른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를 갖는 장착수단을 구비한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를 상기 장착부재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 가능하면서, 상기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등기구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의 건물 내에서 실내의 우수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대부분 실내의 천장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형태에 따라 천장 직착등 또는 천장 매입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조명등에 내장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형광등과 백열등 및 엘이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가장 보편적인 천전용 조명등은 원형이 사각 형태로 금속 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본체의 내측에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을 내장하여 설치하고, 본체의 저면에 유백색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조명커버를 결합하여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천장용 조명등은 본체를 별도의 설치구에 장착하되, 설치구를 천장의 하부면에 미리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구에 등기구 본체를 결합하여 천전용 조명등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12765호와 같이 조명등을 고정하는 고정판의 상부면에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고정대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고정대를 천장 하부면에 장착한 후 상기 고정대와 조명등의 고정판을 서로 체결함에 따라 천장용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안출된 바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1572568호의 경우 고정브라켓의 저면에 복수의 탄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저면으로부터 상향 홈 형태로 된 컨트롤러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지편과 대응하는 조명본체의 상부에는 탄지공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조명본체에 대한 장착과 분리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명본체 및 고정브라켓 간의 착탈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64372호의 경우 천장 직착등의 본체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사출 성형의 본체 상에 다양한 형태로 된 고정브라켓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매우 경량화된 상태의 천장 직착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천장 직착등 본체에 대하여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설치구를 천장 하부면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것과 별개로, 등기구 본체를 설치구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다시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것을 물론 작은 부품인 볼트 또는 너트 등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부속품의 분실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등기구 본체가 설치구와 볼팅 결합으로 장착되어 있어, 도배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등기구 본체를 일일이 볼트를 풀어 분리한 후 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볼트로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착부재를 천장에 고정, 설치한 후, 별도의 볼트 조임 등이 없이 등기구 본체를 장착부재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 장착하여 천장 직착등의 설치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하며, 도배 등의 추가 작업을 실시할 때 등기구 본체를 장착부재에서 분리한 후 재설치할 필요가 없이 등기구 본체가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추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등기구 본체가 장착부재의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천장 직착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은,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를 갖는 장착수단을 구비한 장착부재;을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를 상기 장착부재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 가능하면서, 상기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등기구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에서,
상기 장착부재는, 하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측판에 상기 볼부재가 출몰하는 출몰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에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출몰공의 내측에서 상기 하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내측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측 일부가 상기 출몰공을 통해 측판 외부로 노출되는 볼부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볼부재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에서,
상기 등기구 본체는 프레임들 중 하나에 광원이 장착된 측광형 등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은,
등기구 본체를 장착부재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할 수 있어, 천장 직착등의 설치 작업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고,
장착부재에 장착된 등기구 본체가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도배 등의 추가 작업을 실시할 때 등기구 본체를 분리할 필요 없이 장착된 상태 그대로 작업을 실시하여 편리하게 하며,
장착수단의 간소화 구조 및 소형화로 등기구 본체의 경량화를 달성하면서, 설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직착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천장에 장착부재(20)를 먼저 설치한 후, 등기구 본체(10)를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부재(20)에 장착하면서 등기구 본체(10)의 탈거 없이 등기구 본체(1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천장 직착등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11A)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4)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10);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걸림홈(14)이 구비된 프레임(11A)에 대응하는 외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32)를 갖는 장착수단(30)을 구비한 장착부재(20);을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10)를 상기 장착부재(20)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 가능하면서, 상기 걸림홈(14)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등기구 본체(10)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등기구 본체(10)는 사각 프레임 조립체로써, 프레임(11A)(11B)들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프레임(11A)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내측단이 개구된 걸림홈(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등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프레임(11A)(11B)은 측벽부(12)와 바닥부(13)의 'ㄴ'자형 절곡 구조로써, 측벽부(12)의 내측면 중단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걸림홈(14)을 형성하는 받침부(15)(16)들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바닥부(13)의 내측면 중단부에 장착부재(20)가 지지되는 지지부(17)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등기구 본체(10)는 프레임(11A)(11B)들에 투광판(미도시)이 장착되어 내측에 형광등이나 엘이디 등의 광원(미도시)이 구비되는 등기구로써,
특히 프레임(11A)(11B)들 중 하나에 광원이 장착된 측광형 등기구(에지등)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지지부(17)로 형성된 장착부재(20)와의 사이 공간은 투광판이 끼워지는 안착홈(18)으로 사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착홈(18)에는 투광판의 측단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되는 광원이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등기구 본체(10)의 측벽부(12)는 장착부재(20)의 측판(22A)과 상기 지지부(17)의 전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져, 등기구 본체(10)를 장착부재(20)에 장착하였을 때, 등기구 본체(10)의 상면이 천장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14)이 구비된 프레임(11A)의 길이는 이에 대응하는 장착부재(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20)는 하판(21)과 측판(22A)(22B)으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A)에 접하여 서로 대향하는 측판(22A)에 상기 볼부재(32)가 출몰하는 출몰공(22a)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천장에 기설치(매립형을 포함한다.)된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에 결합되어 천장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브래킷은 장착부재(20)가 천장에 안전하게 설치되는 형태이면 족하고, 그 형태나 구조 등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장착부재(20)는 하판(21)에 배선공(21a)을 구비하여 전기 배선을 위한 전선이 장착부재(20)의 내부를 통해 보호되어 광원 및 광원의 on/off 제어에 필요한 안정기 등의 각종 제어수단(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출몰공(22a)의 내측에서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31),
내측 일부가 상기 하우징(31)에 수용되고, 외측 일부가 상기 출몰공(22a)을 통해 측판(22A) 외부로 노출되는 볼부재(32),
상기 하우징(31)에 내장되어 상기 볼부재(32)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은 하판(21)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며,
탄성체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의 외측단에 볼부재(32)가 끼워져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 노출공이 구비된다.
상기 볼부재(32)는 원구 형으로써, 노출공 상에서 상하좌우 전방위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를 위해 하우징(31)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일종의 볼 캐스터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볼부재(32)의 내측단 일부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써, 외측단이 볼부재(32)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내측단이 하우징(31)에 지지되면서 압축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상기 장착부재(20)를 천장의 설치 브래킷 등에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등기구 본체(10)에 배선을 연결한 후,
등기구 본체(10)를 장착부재(20)로 밀어 넣으면, 볼부재(32)가 장착부재(20)의 하부 받침부(16)에 가압되면서 인입되어 장착부재(20)가 등기구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고,
이때 볼부재(3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볼부재(32)가 걸림홈(14)을 향해 인출되면서, 볼부재(32)의 상하단이 상, 하부 받침부(15)(16)에 걸려서 등기구 본체(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렇게 장착된 등기구 본체(10)는 측판(22A)(22B)의 상단이 천장에 거의 밀착됨에 따라 천장과 등기구 본체(10) 사이의 틈이 메워지며,
이때 상기 볼부재(32)가 상, 하부 받침부(15)(16) 사이에 지지됨에 따라 볼부재(32)의 자유 회전을 이용해 등기구 본체(10)를 걸림홈(14)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이동을 할 수 있어, 장착부재(20)의 고정 위치에 상관없이 등기구 본체(10)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배 등의 추후 작업이 필요할 때에도, 등기구 본체(10)를 장착부재(20)에서 완전하게 탈거할 필요가 없이, 등기구 본체(10)를 좌우 어느 일측으로 밀은 상태에서 천장에 대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등기구 본체(10)를 일측으로 완전하게 밀어서 장착부재(20)의 타측에 대한 추가 작업을 실시하고,
추가 작업이 완료되면, 등기구 본체(10)를 반대편 타측으로 완전하게 밀어서 장착부재(20)의 일측에 대한 추가 작업을 실시한 후,
등기구 본체(10)를 원래의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등기구 본체(10)의 탈거 없이 천장에 대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등기구 본체(10)의 장착 시 상면이 천장에 밀착되어 등기구 본체(10)가 별도의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등기구 본체(10)의 측판(22A) 상단이 천장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틈새를 메우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 하여, 미세 틈새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면서 등기구 본체(10)의 오작동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상기 등기구 본체(10)의 원터치 장착 및 슬라이드 이동 구조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등기구 본체(10)의 상면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는 기밀수단(40)을 도입하였다.
상기 기밀수단(40)은,
양측 측판(22B) 내측에 상기 걸림홈(14)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설되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권취롤(41),
상기 권취롤(41)에 권취되어 있되, 풀림측 끝단부가 상기 측판(22B)의 풀림공(22b)을 관통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10)의 프레임(11B)에 연결되고, 양측 단부가 걸림홈(14)의 상부 받침부(15)를 덮으면서 형성된 커버(42),
상기 권취롤(41)을 감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권취수단(미도시),
상기 커버(42)의 양측 단부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받침부(15)에 자력 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자석(43),
각 풀림공(22b)의 양측 단부에서 풀림공(22b)을 기준으로 상하 배열되면서 측판(22A)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커버(42)의 하면과 상부 받침부(15) 사이로 끼워지는 들림부(44a)와, 상기 커버(42)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부(44b)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4)를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10)가 좌우 중 어느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일측 탈착부재(44A)의 들림부(44a)가 상부 받침부(15)에 부착된 커버(42)를 들어서 이격시키고, 타측 탈착부재(44B)의 누름부(44b)가 커버(42)를 상부 받침부(15)로 눌러서 커버(42)를 상부 받침부(15)에 부착시켜, 등기구 본체(10)의 좌우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커버(42)에 의해 등기구 본체(10)의 상면 개구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42)는 직조물과 같은 연질 소재로써, 상기 권취롤(41)에 감겨서 끝단부가 풀림공(22b)으로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끝단부에 프레임(11A)에 걸림 가능한 고리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42)는 풀림공(22b)보다 넓은 좌우 너비를 가지면서, 양측 단부에 자석(43)들이 내장되어 금속 재질의 상부 받침부(15)에 부착 가능하며, 이때 커버(42)의 길이방향으로 주름부가 형성되어 커버(42)가 풀림공(22b)으로 인입될 때 커버(42)가 풀림공(22b)에 의해 중앙 내측으로 오므려들면서 권취롤(41)에 감기고, 커버(42)가 풀림공(22b)에서 인출될 때 커버(42)가 탈착부재(44)에 의해 양 외측으로 펴지면서 풀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42)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태엽 스프링 등의 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롤(41)에 감김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탈착부재(44)는 들림부(44a)와 누름부(44b)의 각 내측단에서 각각 상하로 절곡된 안내부(44c)를 구비하여, 커버(42)의 양측 단부에 내장된 자석(43)이 상기 안내부(44c)의 외측면에 걸려서, 풀림공(22b)으로 풀리거나 감기는 커버(42)의 양측 끝단이 오므려지거나 펴지면서 상부 받침부(15)를 덮도록 가이드되게 한다.
상기 들림부(44a)는 밑변을 갖는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누름부(44b)는 상기 들림부(44a)의 빗변에 대응하는 형태로 풀림공(22b)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누름부(44b)의 끝단부에는 상부 받침부(15)와 평행하게 수평 연결된 압착부(44d)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등기구 본체(10)를 장착할 때, 양측 권취롤(41)에서 커버(42)를 풀은 다음 고리부를 등기구 본체(10)의 프레임(11A)에 연결한 상태에서,
등기구 본체(10)를 일측(예를 들어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일측의 탈착부재(44A)는 들림부(44a)가 우측 커버(42A)를 들면서 지나가면서 커버(42A)가 상부 받침부(15)에서 떨어져 우측 권취롤(41A)에 감겨 수용되게 하고, 동시에 타측의 탈착부재(44B)는 누름부(44b)가 좌측 권취롤(41B)에서 풀리는 좌측 커버(42B)를 눌러서 상부 받침부(15)에 부착되게 하고,
반대로 등기구 본체(10)를 타측(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우 탈착부재(44)가 상기와 반대로 기능하여,
등기구 본체(1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커버(42)가 상부 받침부(15)에 부착되면서 등기구 본체(10)의 상면 개구부가 밀폐된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의 탈착부재(44)는 필요 시 등기구 본체(10)를 좌우 어느 일측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커버(42)에 대한 들림 및 누름이 가능해져, 커버(42)가 등기구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에 밀착한 상태에서도 등기구 본체(1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해져, 등기구 본체(10) 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 직착등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등기구 본체 11A, 11B : 프레임
12 : 측벽부 13 : 바닥부
14 : 걸림홈 15 : 상부 받침부
16 : 하부 받침부 17 : 지지부
18 : 안착홈
20 : 장착부재 21 : 하판
22A, 22B : 측판
30 : 장착수단 31 : 하우징
32 : 볼부재

Claims (4)

  1.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측단부에서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를 갖는 장착수단을 구비한 장착부재;을 포함하여,
    상기 등기구 본체를 상기 장착부재에 원터치로 끼워서 장착 가능하면서, 상기 걸림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등기구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하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측판에 상기 볼부재가 출몰하는 출몰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출몰공의 내측에서 상기 하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내측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측 일부가 상기 출몰공을 통해 측판 외부로 노출되는 볼부재,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볼부재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본체는 프레임들 중 하나에 광원이 장착된 측광형 등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직착등.


KR2020190002794U 2019-07-04 2019-07-04 천장 직착등 KR200493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94U KR200493425Y1 (ko) 2019-07-04 2019-07-04 천장 직착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94U KR200493425Y1 (ko) 2019-07-04 2019-07-04 천장 직착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83U true KR20210000083U (ko) 2021-01-13
KR200493425Y1 KR200493425Y1 (ko) 2021-03-29

Family

ID=7413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94U KR200493425Y1 (ko) 2019-07-04 2019-07-04 천장 직착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2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66Y1 (ko) * 2003-07-23 2003-10-11 태주공업 주식회사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20110007616U (ko) * 2010-01-26 2011-08-03 조태형 전등 커버의 고정장치
KR20140074497A (ko) * 2012-12-10 2014-06-18 이영덕 천장 매입등
KR101862992B1 (ko) * 2017-05-15 2018-05-30 이윤황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KR102004338B1 (ko) * 2019-02-08 2019-07-29 (주)경성조명산업 커버체의 간편 탈부착 구조를 갖는 플랫 직착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66Y1 (ko) * 2003-07-23 2003-10-11 태주공업 주식회사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20110007616U (ko) * 2010-01-26 2011-08-03 조태형 전등 커버의 고정장치
KR20140074497A (ko) * 2012-12-10 2014-06-18 이영덕 천장 매입등
KR101862992B1 (ko) * 2017-05-15 2018-05-30 이윤황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KR102004338B1 (ko) * 2019-02-08 2019-07-29 (주)경성조명산업 커버체의 간편 탈부착 구조를 갖는 플랫 직착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25Y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169B2 (en) Snap in retrofit panel
US9115877B1 (en) Mounting apparatus for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US20170284643A1 (en) Recessed downlight fix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universally adjusting the fixture in a retrofit application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KR20200132033A (ko) 조명등 고정기구 어셈블리
KR101879996B1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KR101322295B1 (ko)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200493425Y1 (ko) 천장 직착등
KR101587544B1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101930326B1 (ko) 세이프티 가이드가 장착된 낙하 방지 안전 주거조명등
KR102551593B1 (ko) 등기구용 원터치 설치 브래킷
CN201628117U (zh) 具有多种安装方式的led灯具
CN204756654U (zh) 吸顶式灯具的安装结构以及利用该安装结构的吸顶式灯具
RU266053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4084025U (zh) 一种嵌入式led面板灯箱
KR20210000086U (ko) 천장 장착용 조명기구
JP2012124011A (ja) 照明部品、及びこの照明部品を備えた照明装置
KR101033942B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CN209386080U (zh) 一种改进型壁灯
CN107575795B (zh) 一种改良型集成吊顶灯
KR101901176B1 (ko)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게 한 커버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74513Y1 (ko) 조명등 고정장치
KR20230106418A (ko) 조명등 고정장치
KR20110018667A (ko) 천정 매립형 조명 기구의 체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