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54A -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 Google Patents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54A
KR20210000054A KR1020190074824A KR20190074824A KR20210000054A KR 20210000054 A KR20210000054 A KR 20210000054A KR 1020190074824 A KR1020190074824 A KR 1020190074824A KR 20190074824 A KR20190074824 A KR 20190074824A KR 20210000054 A KR20210000054 A KR 2021000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danger
infant
warning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디안
Priority to KR102019007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054A/en
Publication of KR2021000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3System arrangements with pre-alarms, e.g. when a first distance is exceed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earable system for the safety of infants and children. The wearable device is a wearable device, which is worn on the body of infants and children, an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a danger warning tag disposed in a danger element or danger zon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state or location of the infant and child to a user device used by a guardian in real time, and transmi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dangerous situ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and a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 warning tag, identifies whether the danger warning tag exists in the vicinity,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to transmit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부모의 목소리를 이용한 영유아 안전 모니터링 및 경고 웨어러블 시스템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Infant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earable system using the voice of parents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본 발명은 영유아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가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영유아 안전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system for infant safety that prevents infants and toddlers from accessing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머리, 손, 팔, 다리, 발 등)에 착용될 수 있는,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임의의 물건(모자, 장갑, 신발 등)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다른 전자 장치와 다르게, 웨어러블 장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 정보나 사용자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be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head, hands, arms, legs, feet, etc.) or may be provided inside of any object (hat, gloves, shoes, etc.) worn on the user's body. Represents a computer system. Unlike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wearable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collec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changes in the user's individual body in real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유아 안전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ystem for infant safe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유아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에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상기 영유아의 위험 상황에서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위험 경고 태그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상황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body of an infant and toddler, receiving a signal from a danger warning tag disposed in a danger element or a danger zone, and the guardian of the infa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r location of the infant to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infant, and by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 warning ta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the danger warning tag exists, and to transmit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위험 경고 태그는,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사전 녹음하는 마이크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anger warning ta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 danger warning tag disposed in a danger element or a danger zone, and a sens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wearable device and detects the approach of the wearable device , A microphone unit for pre-recording the warning voice of the parent's voice,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the pre-recorded warning voice of the parent's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he wearable device in the vicinity by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it exists, and to output the warning voice by controlling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웨어러블 시스템은,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영유아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위험 경고 태그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경고 태그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사전 녹음하는 마이크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earabl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body of an infant and toddler, and a risk warning tag disposed in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and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risk factor Alternativel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danger warning tag placed in a danger zone and transmits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to a user device used by a guardian of an infant and toddler, and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 warning tag, It identifies whether a warning tag exist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wherein the danger warning tag receives a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accesses the wearable device.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 microphone unit that pre-records the warning voice of the parent's voice, a speaker unit that outputs the warning voice of the pre-recorded parent's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the wearable device exists in the vicinity, and to output the warning voice by controlling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 본 발명의 웨어러블 시스템에 의하면, 영유아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가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에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영유아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채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접근하게 되면, 위험 경고 태그가 영유아의 접근을 식별하여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영유아가 위험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더 이상 접근하는 것이 차단되고, 영유아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earab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r location of an infan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 user device used by a guardian, and if an infant approaches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while wearing a wearable device, a danger warning The tag identifies the approach of infants and toddlers and outputs a pre-recorded warning of parents' voices,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are prevented from further accessing the danger or danger zone, and infant safety can be ensu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고 태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ar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nger warning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technicia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Used in the specification "includes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us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us,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is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may b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ar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웨어러블 장치(100), 위험 경고 태그(200), 사용자 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 includes a wearable device 100, a danger warning tag 200, and a user device 300.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본 실시예에서는, 영유아 등)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밴드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와 같은 사지에 착용되거나,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될 수 있으며, 기타 부위(머리, 손, 발 등)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임의의 물건(모자, 장갑, 신발 등)의 내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worn on the body of a user (in this embodiment, an infant, etc.).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and may be worn on a user's wrist or ank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orn on a limb such as an arm or leg of the user, or on a user's torso. It may be worn, and may be worn on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including other parts (head, hands, feet, etc.). Alternativel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side an arbitrary object (hat, gloves, shoes, etc.) worn on the user's body.

웨어러블 장치(100)는 주변에 위험 경고 태그(200)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와 위험 경고 태그(200)가 통신 가능 범위(또는 거리 등) 내에 위치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와 위험 경고 태그(200) 간의 신호 송수신에 의해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주변에 위험 경고 태그(2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The wearable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anger warning tag 200 around it.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danger warning tag 200 are located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or distance, etc.), the wearable device 1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danger warning tag 20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anger warning tag 200 around it

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험 경고 태그(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주변에 위험 경고 태그(20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험 경고 태그(200)의 존재에 대한 식별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있다.can do. Alternatively, the wearable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anger warning tag 200 exists around the danger warning tag 200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 warning tag 200. However, a method of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the danger warning tag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300)와 페어링되어,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이동통신,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음파, 적외선, RF(Radio Frequency) 등과 같은 각종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paired with the user device 300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or information. The wearable device 100 use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WiBro, WiFi, Bluetooth, Zigbee, ultrasound, infrared, and RF (Radio Frequency)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device 300. Can communicate.

위험 경고 태그(200)는 영유아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난로, 다리미, 각종 화기 등)에 부착되거나, 또는 위험 구역(베란다, 주방, 화장실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위험 경고 태그(200)도 주변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경고 태그(200)와 웨어러블 장치(100) 간의 신호 송수신에 의해서,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위험 경고 태그(200)는 주변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be attached to a risk factor (such as a stove, iron, various firearms, etc.) that may cause a safety accid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or may be disposed in a dangerous area (a veranda, a kitchen, a toilet, etc.).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also identify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exists in the vicinity. As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between the danger warning tag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or based o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danger warning tag 200 It can be determined that (100) exists.

사용자 장치(300)는 사용자(본 실시예에서는, 영유아의 보호자 등)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The user device 300 represents a computer system used by a user (in this embodiment, a guardian of an infant, etc.).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00)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치(300)는 예시되지 않은 다른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300)는 앱 마켓 또는 다운로드 사이트 등으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00)와의 접속 및/또는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이들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device 300 may be a computer system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User device 300 may be any other computer system not illustrated. The user device 300 may download an application for connection and/or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from an app market or a download site, and install and execute them.

도 1에는 하나의 위험 경고 태그(200)와 하나의 사용자 장치(300)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복수의 위험 경고 태그(200) 및/또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300)가 제공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In FIG. 1, only one danger warning tag 200 and one user device 300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unlike the illustration, a plurality of danger warning tags 200 and/or a plurality of user devices 300 ) Can be modified to provi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2,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V input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d an interface. A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are included.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디바이스(또는, 서버)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와이브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초음파, 적외선, RF 등과 같은 각종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111)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or ser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WiBro, Wi-Fi, Bluetooth, Zigbee, ultrasound, infrared, and R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data and/or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ler 180 and transmit the data and/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80 to the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o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2.

A/V 입력부(120)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을 포함할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 video or audi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The camera module 121 may include, for example, an image sensor such as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and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휠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rom a user.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button, a switch, a touch pad, and a jog wheel.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to be described later, a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상태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한다. 센싱부(14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의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state of a user or a state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sensing means such as a touch sensor,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 vib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biometric sensor. The sensing unit 140 may be used for user input.

출력부(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통보한다. 출력부(150)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및 스피커 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 수단(햅틱 모듈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notifies the user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information in text, image, video, audio, or other various forms.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d a speaker module 152. The display module 151 i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an electronic ink display, or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in any for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it belongs. The output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ny type of output means (haptic module, etc.)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저장부(160)는 각종 데이터 및 명령을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stores various data and commands. The storage unit 160 may also store various software modules including system software, applications, or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storage unit 160 is a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PROM), Flash Memory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it belongs.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접속되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 (1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장치(100) 내부의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외부 디바이스에 웨어러블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내부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충전용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and/or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and/or information to the components inside the wearable device 100, or transmits data and/or information inside the wearable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Can transmit or supply internal power. The interface unit 17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 charging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 port to connect a device,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nd a video input/output (I/O) port

제어부(18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웨어러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other componen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various software modules including system software,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전원 공급부(190)는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V input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nd a control unit.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18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uilt-in battery.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he wearab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some components not shown, or may be modified so as not to include some components among the shown components.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고 태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nger warning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위험 경고 태그(200)는 마이크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스피커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60), 전원 공급부(2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anger warning tag 200 includes a microphone unit 210, an input unit 220, a sensing unit 230, a speaker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 control unit 260, and a power supply unit ( 270).

마이크부(210)는 외부로부터의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것이다. 부모는 마이크부(210)를 통해서 사전에 본인의 목소리로 된 경고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The microphone unit 210 is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Parents may record a warning voice in their own voice in advance through the microphone unit 210.

입력부(220)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20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button, a switch, a touch pad, and a jog wheel.

센싱부(230)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접근을 감지한다. 센싱부(230)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주변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3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sensing unit 23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identify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exists.

스피커부(240)는 각종 정보를 통보한다. 스피커부(240)는 제어부(2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unit 240 notifi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speaker unit 240 may output a pre-recorded warning voice of a parent's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260.

저장부(250)는 각종 데이터 및 명령을 저장한다. 저장부(250)는 위험 경고 태그(2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50 stores various data and commands. 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various software modules including system software, applications, or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danger warning tag 200.

제어부(26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위험 경고 태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other componen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anger warning tag 200.

전원 공급부(270)는 마이크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스피커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6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70)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7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unit 210, the input unit 220, the sensing unit 230, the speaker unit 240, the storage unit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The power supply 270 may include a built-in battery.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위험 경고 태그(2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further include some components not shown, or may be modified so as not to include some components among the shown components.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이 존재하고, 위험 경고 태그(200)가 위험 요소에 부착되거나,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re are a plurality of danger elements or danger zones, and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be attached to the danger element or disposed in the danger zone.

영유아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는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300)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Information on the status or lo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user device 300 used by the guardian.

그리고, 영유아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채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접근하게 되면, 위험 경고 태그(200)와 웨어러블 장치(100)는 신호를 송수신하여 서로의 존재를 식별한다. 이를 통해서, 위험 경고 태그(200)는 영유아의 접근을 식별하고,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경고 태그(200)는 진동을 통해서, 특정 색상을 발광하거나,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 또는 미리 저장된 음향 등을 함께 출력하여 영유아에게 위험 상황임을 경고할 수 있다. 위험 경고 태그(200)는 영유아의 접근 거리에 따라 또는 위험 요소 또는 위험구역의 사전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출력의 크기, 세기, 형태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유아가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접근하는 것이 중지되거나 지연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infant approaches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while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the danger warning tag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each other. Through this,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identify the approach of infants and toddlers, and output a warning of a pre-recorded parental voice. For example,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emit a specific color through vibration, or output a display indicating a danger situation, or a pre-stored sound, to warn the infant that it is a danger situation. The danger warning tag 200 may change the size, intensity, shape, etc. of the output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infants or children or according to a risk factor or a predetermined risk level of a danger zone. Thereby, the access of the risk factor or danger zone by infants and toddlers is stopped or delayed.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도 영유아가 위험 요소 또는 위험구역에 접근한 것을 식별한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이 같은 위험 상황 정보를 사용자 장치(300)에게 전달하여, 영유아의 보호자가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영유아의 보호자는 위험 경고 태그(20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 음성을 듣고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험 경고 태그(200)의 식별자를 분석하고, 이와 상응하는 위험 요소 또는 위험구역의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유아의 보호자는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받고, 영유아가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더 이상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100 also identifies that an infant has approached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The wearable device 100 may transmit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300 so that the guardian of the infant and toddler can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Guardians of infants and toddlers may recognize the danger situation by listening to the warning voice output from the danger warning tag 200. The wearable device 100 may analyze the identifier of the danger warning tag 200 and transmit information on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corresponding thereto. Thereby, guardians of infants and toddlers can receiv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nd block further access to risk factors or danger zone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00: 웨어러블 장치
200: 위험 경고 태그
300: 사용자 장치
100: wearable device
200: danger warning tag
300: user device

Claims (3)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유아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에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상기 영유아의 위험 상황에서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위험 경고 태그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안전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A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body of an infant, it receives a signal from a danger warning tag placed in a risk factor or a danger zone, and delivers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r location of the infant to the user device used by the guardian of the infant in real time. And, by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isk warning tag that transmi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infant, identifies whether the danger warning tag exists,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A wearable device for infant safety,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사전 녹음하는 마이크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험 경고 태그.As a danger warning tag disposed in a dangerous element or a danger zone, a sens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detects the approach of the wearable device is pre-recorded according to the microphone unit control signal that pre-records the warning voice of the parent's voice. A speaker unit that outputs a warning voice of a parent's voice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identifies whether the wearable device is present, and controls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to output the warning voice Including, hazard warning tag. 영유아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위험 요소 또는 위험 구역에 배치되는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영유아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에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상기 영유아의 위험 상황에서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위험 경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위험 경고 태그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 상황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경고 태그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사전 녹음하는 마이크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전 녹음된 부모 목소리의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주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식별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안전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Include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body of an infant and a risk warning tag disposed in a risk factor or danger zone, wherein the wearable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a danger warning tag disposed in a risk factor or danger zone, and the guardian of the infa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tatus or location of the infant to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infant, and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isk warning tag,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identify whether the danger warning tag exists and to transmit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wherein the danger warning tag receives a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 child, a microphone unit that pre-records a warning voice of the parent's voice, a speaker unit that outputs the warning voice of the pre-recorded parent's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A wearable system for infant safety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identifying whether the wearable device is present, and controlling the speaker unit to output the warning voic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KR1020190074824A 2019-06-24 2019-06-24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KR202100000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24A KR20210000054A (en) 2019-06-24 2019-06-24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24A KR20210000054A (en) 2019-06-24 2019-06-24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54A true KR20210000054A (en) 2021-01-04

Family

ID=7412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24A KR20210000054A (en) 2019-06-24 2019-06-24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0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494B1 (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utomatic access mode control
US10484780B2 (en) Audi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udio output apparatus
US10409394B2 (en) Gesture based control system based upon device orientation system and method
EP2991370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2876907A1 (en) Device control using a wearable device
US20160241553A1 (en)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390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229699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nformation
US2018013203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11695B2 (en) Wireless earpieces for hub communications
CN105160806B (en) Realize the wearable device and its alarm method of alarm
EP340723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46675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90090812A1 (en) Smart socks
US201602700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549931B1 (en) Metho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displaying alrams in cooperat mobile device with an accessorie
KR20140077726A (en) Robot monitering baby
KR20210000054A (en) Parents voice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warable system for infant
JP73841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1580317B1 (en) Pos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smartphone
KR20170066205A (en) Wearable system for safety of infants
Alharbi et al. Smart Room Control System
Karim et al. Wearable computing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160104327A (en) Baby thermometer with the alarm system
KR20160104328A (en) Baby thermometer with the alarm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