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683A -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683A
KR20200145683A KR1020200064264A KR20200064264A KR20200145683A KR 20200145683 A KR20200145683 A KR 20200145683A KR 1020200064264 A KR1020200064264 A KR 1020200064264A KR 20200064264 A KR20200064264 A KR 20200064264A KR 20200145683 A KR20200145683 A KR 2020014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communication
bwp
communication nod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14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9Closed loop measurement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으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위성으로부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BWP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BWP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지상 네트워크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ELL IN NON-TERRESTRIAL NETWORK}
본 발명은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을 위한 셀 설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또는, LTE-A)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네트워크)가 고려되고 있다. NR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고, LTE 통신 네트워크에 비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R 통신 네트워크는 지상(terrestrial)에 위치한 단말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지상뿐만 아니라 비-지상(non-terrestrial)에 위치한 비행기, 드론(drone), UAV(unmanned aerial vehicle), UBS(UAN base station), 위성(satellite) 등을 위한 통신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를 위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NR 기술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과 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 또는 비-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비행기, UAV, 드론) 간의 통신은 NR 기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은 NR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과 통신 노드 간의 RTD(round trip delay)는 NR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 통신 노드 간의 RTD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도플러(Doppler) 효과는 NR 통신 네트워크에서 도플러 효과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을 가지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 BWP(bandwidth part) 설정,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절차, 셀 내의 위치 추정 등을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을 위한 셀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위성으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위성으로부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BWP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BWP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BWP 집합은 상기 제1 위성을 위해 전용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BWP 집합은 상기 제2 위성을 위해 전용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은 위성들과 다중 연결될 수 있으며, 위성들은 서로 다른 자원(예를 들어, BWP(bandwidth part), 안테나 극성)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자원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최초 데이터가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재전송 데이터는 최초 데이터를 전송한 위성 대신에 다른 위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들 간의 차등 지연(differential delay)을 고려하여 복수의 존들이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동기는 존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동기 절차에 따른 오버헤드는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이동 빔 시나리오에서 단말 위치의 판단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고정 빔 시나리오에서 단말 위치의 판단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4G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통신 네트워크), 5G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는 지상(terrestrial) 네트워크로 분류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LTE 기술 및/또는 NR 기술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5G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위성(110), 통신 노드(120), 게이트웨이(gateway)(130), 데이터 네트워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는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페이로드 기반의 비-지상 네트워크일 수 있다. 위성(110)은 LEO(low earth orbit) 위성, MEO(medium earth orbit) 위성, GEO(geostationary earth orbit) 위성, HEO(high elliptical orbit) 위성, 또는 UAS(unmanned aircraft system) 플랫폼일 수 있다. UAS 플랫폼은 HAPS(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110)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UBS(UAN base st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노드(120)는 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 단말(terminal)) 및 비-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비행기,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110)과 통신 노드(120) 간에 서비스 링크(service link)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서비스 링크는 무선 링크(radio link)일 수 있다. 위성(110)은 하나 이상의 빔들을 사용하여 통신 노드(12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110)의 빔의 수신 범위(footprint)의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위성(110)은 특정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110)은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셀마다 하나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셀에서 복수의 빔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노드(120)는 LTE 기술 및/또는 NR 기술을 사용하여 위성(110)과 통신(예를 들어, 하향링크 통신,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성(110)과 통신 노드(120)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C(dual connectivity)가 지원되는 경우, 통신 노드(120)는 위성(110)뿐만 아니라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LTE 및/또는 NR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LTE 및/또는 NR 규격에 정의된 기술에 기초하여 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는 지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위성(110)과 게이트웨이(130) 간에 피더(feeder)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피더 링크는 무선 링크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는 "NTN(non-terrestrial network) 게이트웨이"로 지칭될 수 있다. 위성(110)과 게이트웨이(130)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 또는 SRI(satellite radio interface)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는 데이터 네트워크(140)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와 데이터 네트워크(140)의 사이에 "코어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130)는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 네트워크(140)와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NR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NG-C/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130)와 데이터 네트워크(140) 사이에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130)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 네트워크(14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는 NR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와 기지국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AMF, UPF, SMF) 간의 통신은 NG-C/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위성 #1(211), 위성 #2(212), 통신 노드(220), 게이트웨이(230), 데이터 네트워크(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는 재생성(regenerative) 페이로드 기반의 비-지상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1-2(211, 212) 각각은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엔터티(entity)(예를 들어, 통신 노드(220),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수신한 페이로드에 대한 재생성 동작(예를 들어, 복조 동작, 복호화 동작, 재-부호화 동작, 재-변조 동작, 및/또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재생성된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위성 #1-2(211, 212) 각각은 LEO 위성, MEO 위성, GEO 위성, HEO 위성, 또는 UAS 플랫폼일 수 있다. UAS 플랫폼은 HAPS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1-2(211, 212) 각각은 UAV 또는 UBS를 의미할 수 있다. 위성 #1(211)은 위성 #2(212)와 연결될 수 있고, 위성 #1(211)과 위성 #2(212) 간에 ISL(inter-satellite link)이 설정될 수 있다. ISL은 RF(radio frequency) 주파수 또는 광(optical)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ISL은 선택적(optional)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신 노드(220)는 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UE, 단말) 및 비-지상에 위치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비행기,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1(211)과 통신 노드(220) 간에 서비스 링크(예를 들어, 무선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위성 #1(211)은 하나 이상의 빔들을 사용하여 통신 노드(22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노드(220)는 LTE 기술 및/또는 NR 기술을 사용하여 위성 #1(211)과 통신(예를 들어, 하향링크 통신,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성 #1(211)과 통신 노드(220)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C가 지원되는 경우, 통신 노드(220)는 위성 #1(211)뿐만 아니라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LTE 및/또는 NR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LTE 및/또는 NR 규격에 정의된 기술에 기초하여 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는 지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위성 #1(211)과 게이트웨이(230) 간에 피더 링크가 설정될 수 있고, 위성 #2(212)와 게이트웨이(230) 간에 피더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피더 링크는 무선 링크일 수 있다. 위성 #1(211)과 위성 #2(212) 간에 ISL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위성 #1(211)과 게이트웨이(230) 간의 피더 링크는 의무적으로(mandatory) 설정될 수 있다.
위성 #1-2(211, 2122) 각각과 게이트웨이(230)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 또는 SR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는 데이터 네트워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와 데이터 네트워크(240)의 사이에 "코어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230)는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 네트워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NR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는 AMF, UPF, SM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NG-C/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230)와 데이터 네트워크(240) 사이에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230)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 네트워크(24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는 NR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와 기지국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AMF, UPF, SMF) 간의 통신은 NG-C/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들(예를 들어, 위성, 통신 노드, 게이트웨이 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엔터티(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터티(3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저장 장치(3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엔터티(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3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엔터티(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370)가 아니라, 프로세서(3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송수신 장치(3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시나리오들은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1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110)이 GEO 위성(예를 들어,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기능을 지원하는 GEO 위성)인 경우, 이는 "시나리오 A"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 #1-2(211, 212)가 GEO 위성인(예를 들어, 재성성(regenerative) 기능을 지원하는 GEO)경우, 이는 "시나리오 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110)이 조정 가능한(steerable) 빔들을 가지는 LEO 위성인 경우, 이는 "시나리오 C1"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110)이 위성과 함께 이동하는 빔들(beams move with satellite)을 가지는 LEO 위성인 경우, 이는 "시나리오 C2"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 #1-2(211, 212)가 조정 가능한 빔들을 가지는 LEO 위성인 경우, 이는 "시나리오 D1"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성 #1-2(211, 212)가 위성과 함께 이동하는 빔들을 가지는 LEO 위성인 경우, 이는 "시나리오 D2"로 지칭될 수 있다.
표 1에 정의된 시나리오들을 위한 파라미터들은 아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표 1에 정의된 시나리오들에서 지연 제약(delay constraint)은 아래 표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을 위한 셀 설정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 연결을 위한 셀 설정]
도 4는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위성 #1(411), 위성 #2(412), 및 통신 노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위성 #1(411) 및 위성 #2(4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420)는 위성들(411-412)에 다중 연결될 수 있다. 위성 #1(411)은 A1 영역(즉,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위성 #2(412)는 A2 영역(즉,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 #1(411)의 타입(예를 들어, LEO 위성, MEO 위성, GEO 위성, HEO 위성, 또는 UAS 플랫폼)은 위성 #2(412)의 타입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를 위한 자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성 #1(411)을 위한 시스템 대역폭은 위성 #2(412)를 위한 시스템 대역폭과 동일할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주파수 재사용(reuse)=1), 위성 #1(411) 및/또는 위성 #2(412)의 이동, 새로운 위성의 배치 등으로 인하여 위성 #1(411)의 서비스 영역(즉, A1 영역)은 위성 #2(412)의 서비스 영역(즉, A2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성 #1(411)의 자원 및 위성 #2(412)의 자원은 BWP(bandwidth part) 또는 안테나 극성(polarization)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1(411)은 BWP #1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위성 #2(412)는 BWP #2를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 #1(411)의 안테나 극성은 위성 #2(412)의 안테나 극성과 다를 수 있다.
위성 #1(411)은 BWP(예를 들어, BWP #1)의 설정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MAC(medium access control) 메시지(예를 들어, MAC CE(control element)), 및 PHY(physical) 메시지(예를 들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위성 #2(412)는 BWP(예를 들어, BWP #2)의 설정 정보를 RRC 메시지, MAC 메시지, 및 PHY 메시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BWP의 설정 정보는 위성의 좌표 및 각도를 지시하는 천문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BWP의 설정 정보는 SMTC(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이 서로 다른 BWP에서 동일한 시점에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노드(420)와 위성 #1(411) 간의 지연 시간은 통신 노드(420)와 위성 #2(412) 간의 지연 시간과 다르기 때문에 통신 노드(420)에서 BWP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BWP #1과 BWP #2 사이에 보호 대역(guard band)이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중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을 위한 BWP가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BWP #1 및 BWP #2가 설정될 수 있다. BWP #1의 주파수 영역 크기는 BWP #2의 주파수 영역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BWP #1과 BWP #2 사이에 보호 대역이 위치할 수 있다. BWP #1은 위성 #1(411)을 위해 설정된 BWP일 수 있고, BWP #2는 위성 #2(412)를 위해 설정된 BWP일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은 자신이 사용하는 BWP의 설정 정보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1(411)은 BWP #1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BWP 인덱스, 주파수 영역 정보)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성 #2(412)는 BWP #2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BWP 인덱스, 주파수 영역 정보)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위성들(411, 412)로부터 BWP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BWP와 위성 간의 매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노드(420)는 BWP #1이 위성 #1(411)에 매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BWP #2가 위성 #2(412)에 매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는 위한 공통(common) BWP를 설정할 수 있다. 공통 BWP는 다중 연결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다중 연결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을 위해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공통 BWP는 BWP #1 및 BWP #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은 공통 BWP 또는 공통 BWP에 속하는 BWP(들)를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성-특정(specific) BWP가 설정될 수 있다. 위성 #1(411)을 위한 위성1-특정 BWP(예를 들어, 위성 #1(411)을 위해 전용으로(dedicated) 설정된 BWP 집합)는 BWP #3 내지 BWP #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2(412)를 위한 위성2-특정 BWP(예를 들어, 위성 #2(412)를 위해 전용으로 설정된 BWP 집합)는 BWP #6 내지 #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은 공통 BWP 및/또는 위성-특정 BWP를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특정 BWP의 설정 정보는 위성(411, 412)에서 통신 노드(42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위성-특정 BWP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위성(411, 41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공통 BWP 및/또는 위성-특정 BWP는 위성 #1(411)과 위성 #2(412) 간에 자원 영역이 중첩되는 것과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절차]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420)는 위성 #1(411) 및 위성 #2(412)에 다중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위성 #2(412)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2(412)는 데이터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고, 통신 노드(420)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예를 들어,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을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이 NACK인 경우, 해당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는 위성 #2(412) 또는 위성 #1(4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서 #2(412) 대신에 위성 #1(411)은 재전송 데이터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위성 #1(411) 및 위성 #2(412)는 통신 노드(420)와 다중 연결된 위성들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통신 노드(420)는 다중 연결된 위성들의 정보(예를 들어, 위성 식별자)를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위성 #1(411) 및 위성 #2(412)는 통신 노드(420)로부터의 피드백 없이 위성들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통신 노드(420)와 다중 연결된 위성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420)는 재전송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예를 들어, 어떤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위성 #1(411) 및 위성 #2(412) 각각은 자원 할당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등을 포함하는 DCI를 통신 노드(4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DCI에 포함된 정보 요소들(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번호, RV, NDI)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최초(initial) 데이터 또는 재전송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노드(420)가 위성 #1(411) 및 위성 #2(412)와 다중 연결된 경우, 통신 노드(420)는 위성 #1(411)에 의해 할당된 자원(예를 들어, BWP #1)을 통해 위성 #1(411)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위성 #2(412)에 의해 할당된 자원(예를 들어, BWP #2)을 통해 위성 #2(412)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 #1(411)이 위성 #2(412)의 재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재전송 데이터의 구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ARQ 프로세스 번호(H2)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의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댓값은 H1(예를 들어, 16)일 수 있다. 임의의 캐리어 주파수의 동일한 시스템 대역폭에서 통신 노드(420)와 다중 연결 가능한 위성들의 최대 개수는 N1로 제한될 수 있다. N1은 임의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시스템 대역폭 내의 BWP의 개수(NB)보다 클 수 없다. 이에 기초하면,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댓값은 H1에서 H2로 변경될 수 있다. H2는 N1×H1일 수 있고, log2(N1×H1)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위성(411, 412)으로부터 DCI를 수신할 수 있고, DCI에 포함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HARQ 프로세스 번호가 H1보다 큰 경우, 통신 노드(420)는 해당 HARQ 프로세스 번호를 H1으로 나눈 몫(예를 들어, 정수)에 기초하여 위성(411, 412)을 구별할 수 있고, 나머지를 해당 위성(411, 412)의 HARQ 프로세스 번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BWP 인덱스(예를 들어, BWP ID)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노드(420)는 위성 #1(411)로부터 DCI를 수신할 수 있다. DCI에 포함된 BWP 인덱스가 위성 #1(411)이 아닌 위성 #2(412)에 매핑된 BWP 인덱스(예를 들어, BWP #2)인 경우, 통신 노드(420)는 위성 #2(412)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DCI는 위성 #2(412)에 매핑된 BWP 인덱스뿐만 아니라 위성 #1(411)에 매핑된 BWP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DCI는 복수의 BWP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BWP 인덱스들은 DCI 내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내에서 첫 번째 BWP 인덱스는 기존 위성에 매핑된 BWP 인덱스일 수 있고, DCI 내에서 첫 번째 BWP 인덱스 이후의 BWP 인덱스는 다른 위성에 매핑된 BWP 인덱스일 수 있다. 통신 노드(420)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DCI에 포함된 복수의 BWP 인덱스들 각각이 매핑된 위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통신 노드(420)는 재전송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노드(420)는 최초 데이터를 전송한 위성 및/또는 재전송 데이터를 전송한 위성에 재전송 데이터에 대한 HARQ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셀 내의 위치 추정 방식]
넓은 셀 반경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비-지상 네트워크, 해상 통신 네트워크 등)에서 단말들 간의 차등 지연(differential delay)은 클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들 간의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해, 많은 자원이 소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CH(random access channel)의 전송 절차에서, RACH 프리앰블들 간의 구별을 위해 RACH 프리앰블의 CP(cyclic prefix)는 단말들 간의 차등 지연보다 커야한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절차에서,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들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다중화되는 경우, 단말들 간의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해, 임의의 단말은 다른 단말의 차등 지연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조절하여야 한다. 즉, 단말들 간의 차등 지연이 증가할수록, 자원의 오버헤드(overhead) 또는 지연(latency)이 증가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차등 지연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를 완화하기 위해, 셀 내에서 하나 이상의 존들(zones)이 설정될 수 있다. 존은 단말과 기지국(예를 들어, 위성) 간의 지연 시간(예를 들어, 차동 지연)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존에 위치한 단말들의 지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의 범위에 속하도록, 존이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시간 동기는 존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시간 동기를 위해 해당 존의 차동 지연만 고려될 수 있다. 존의 차동 지연은 전체 셀의 차동 지연보다 작기 때문에, 차동 지연을 고려하여 존이 설정되는 경우에 자원 오버헤드 또는 지연(latency)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존은 RACH 오케이션(occasion)과 매핑될 수 있다. 하나의 셀에 속한 존들 각각을 위한 RACH 오케이션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의 중심에 위치한 단말이 속한 존은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이 속한 존과 다르기 때문에, 셀의 중심에 위치한 단말을 위한 RACH 오케이션은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을 위한 RACH 오케이션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존들에 속한 단말들은 서로 다른 RACH 오케이션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셀 내에서 존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동 빔 시나리오]
도 7은 이동 빔 시나리오에서 단말 위치의 판단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위성 #1(711), 위성 #2(712), 위성 #3(713), 통신 노드 #1(721), 통신 노드 #2(722), 및 통신 노드 #3(72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 #1(721), 통신 노드 #2(722), 및 통신 노드 #3(723) 각각은 단말일 수 있다. 위성 #1(711), 위성 #2(712), 및 위성 #3(713) 각각은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빔은 고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위성들(711-713)이 이동함에 따라 셀들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통신 노드들(721-723) 각각은 위성들(711-713)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SS/PBCH 블록의 수신 시간 차이 및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해당 셀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한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SS/PBCH 블록들의 수신 시간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또는 "SS/PBCH 블록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신 노드(721-723)는 자신이 셀 중심(예를 들어, 셀 중심에 설정된 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통신 노드(721-723)는 자신이 셀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정 빔 시나리오]
도 8은 고정 빔 시나리오에서 단말 위치의 판단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위성 #1(811), 위성 #2(812), 위성 #3(813), 통신 노드 #1(821), 통신 노드 #2(822), 및 통신 노드 #3(82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 #1(821), 통신 노드 #2(822), 및 통신 노드 #3(823) 각각은 단말일 수 있다. 위성 #1(811), 위성 #2(812), 및 위성 #3(813) 각각은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위성들(811-813)의 이동에 따라 빔 패턴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셀의 위치는 일정 시간 동안에 유지될 수 있다. 위성들(811-813)이 셀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즉, 케이스 A), 통신 노드들(821-823)은 상술한 이동 빔 시나리오와 동일한 조건으로 셀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케이스 B(즉, 위성들(811-813)이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유효한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SS/PBCH 블록들의 수신 신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신 노드들(821-823)은 자신이 셀의 가장자리(예를 들어, 셀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케이스 B에서 SS/PBCH 블록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통신 노드들(821-823)은 자신이 셀 중심(예를 들어, 셀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빔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고정 빔 시나리오에서 유효한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SS/PBCH 블록들의 수신 시간 차이를 기초로 셀 내에서 단말이 위치한 존을 판단하기 위해, 위성은 빔 타입 정보(예를 들어, 이동 빔 또는 고정 빔을 지시하는 정보) 및 위성 위치 정보(예를 들어, 셀 중심 또는 셀 가장자리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통신 노드(예를 들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정보는 셀 내에서 통신 노드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인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SS/PBCH 블록들의 수신 시간 차이 및/또는 수신 신호 세기의 비교 기준인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및 OSI(other system information) 중에서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MIB의 예비 비트(들) 및/또는 추가 비트(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노드(예를 들어, 단말)는 위성으로부터 SS/PBCH 블록을 수신함으로써 MIB를 획득할 수 있고, MIB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SIB1의 예비 비트(들) 및/또는 추가 비트(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S/PBCH 블록을 수신한 통신 노드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정보에 기초하여 SIB1를 획득할 수 있고, SIB1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OSI의 예비 비트(들) 및/또는 추가 비트(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S/PBCH 블록을 수신한 통신 노드는 CORESET 정보에 기초하여 SIB1를 획득할 수 있고, SIB1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OSI를 획득할 수 있고, OSI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SS/PBCH 블록을 수신한 통신 노드는 CORESET 정보에 기초하여 OSI를 획득할 수 있고, OSI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새로운(new) SIB(nSIB)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S/PBCH 블록을 수신한 통신 노드는 CORESET 정보에 기초하여 SIB1를 획득할 수 있고, SIB1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nSIB를 획득할 수 있고, nSIB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SS/PBCH 블록을 수신한 통신 노드는 CORESET 정보에 기초하여 nSIB를 획득할 수 있고, nSIB에 포함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획득된 빔 타입 정보, 위성 위치 정보, 및/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셀 내에서 자신이 위치한 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위성으로부터 제1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위성으로부터 제2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BWP(bandwidth part)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BWP 집합에 속한 하나 이상의 BWP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BWP 집합은 상기 제1 위성을 위해 전용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BWP 집합은 상기 제2 위성을 위해 전용으로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200064264A 2019-06-21 2020-05-28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45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52 2019-06-21
KR20190074452 2019-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83A true KR20200145683A (ko) 2020-12-30

Family

ID=7408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64A KR20200145683A (ko) 2019-06-21 2020-05-28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54A1 (ko) * 2021-01-13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Ntn을 위한 rrm 측정 설정
WO2023075338A1 (ko) * 2021-10-26 2023-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bwp 관리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54A1 (ko) * 2021-01-13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Ntn을 위한 rrm 측정 설정
WO2023075338A1 (ko) * 2021-10-26 2023-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bwp 관리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957A1 (en)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179294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20220140524A (ko) 자원 지시 시그널링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1225A (ko) 활성화 및 시그널링에 의한 대역폭 부분 스위칭
US202301459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45683A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셀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236538A1 (en) Method for performing switching of bwp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00127865A (ko) 타이밍 동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45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7974A1 (en) Satellite cluster system
US2022033735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20220361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by sidelink remote terminal over sidelink relay
EP41423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230107A1 (ja) 通信装置、非静止衛星、地上局、及び通信方法
CN115516915A (zh) 一种综合接入和回程节点的增强上下文转移
US20240163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51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EP42621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vailable harq process of logical channel
EP4280501A2 (en) Method for terminal to evaluate validity of harq process and device for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80504A1 (en) Method by which terminal transmits feedb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19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th switch operation of remote ue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47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flight path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42807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07629A (ko) 비-지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30421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at survival tim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