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631A -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 Google Patents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631A
KR20200145631A KR1020190119707A KR20190119707A KR20200145631A KR 20200145631 A KR20200145631 A KR 20200145631A KR 1020190119707 A KR1020190119707 A KR 1020190119707A KR 20190119707 A KR20190119707 A KR 20190119707A KR 20200145631 A KR20200145631 A KR 2020014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ater flow
inner cylinder
uni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ublication of KR2020014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2Injecting air or 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갖으면서 내부에 충분한 유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수납부(100)와 상기 유체수납부(100)에 수용되되 상기 유체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내통(2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에 수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생성 수단(300)과 상기 수류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400)와 상기 동력생성부의 동력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발전기(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단부(100)의 측면;과,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되 상기에서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내통(200)의 형상은 기둥형상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통(200)의 일단이 유체의 수면과 인접하고, 상기 내통(200)의 타단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정하고 원활한 유속으로 발전할 수 있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Generator using buoyancy and gravity}
본 발명은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과 중력으로 인한 유체의 수류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의 산업성장 및 인구증가에 따라 국제적인 에너지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원에 따른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킴에 따라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생산(발전)하는 방식으로는 힘의 근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물을 이용하는 수력 발전, 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하는 화력 발전, 원자력을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 바람을 이용하는 풍력 발전,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열 발전 등으로 분류한다.
그런데 화력 발전장치의 경우에는 한정된 연료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 때문에 발전시설의 증설이 제한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장치의 경우에는 방사능 유출의 위험성 때문에 주민들의 반대가 많아 새로운 발전소 건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자연력을 이용한 발전 시설이 대두되고 있으며 자연력을 이용한 시설로 수력발전과 풍력 발전이 실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조류와 해류, 또는 비교적 큰 하천 등에는 수류가 형성되되, 그 수류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조수의 간만에 의해 큰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소에서 수류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 하는 일예로써 공개특허 10-2010-0093561호에서는 "수류에 의해 회전하는 수중 회전체와, 상기 수중 회전체의 전단을 수중의 소정 위치에 지지하는 구동측 액압펌프와, 상기 구동측 액압펌프에 의해 지지되는 수중 회전체의 회전동력을 수면의 상방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으로 구동 하며,수면의 상방으로 배치된 발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중 회전체는 전단으로부터 후단부쪽으로 유선형상으로 된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전단과 상기 구동측 액압펌프의 사이에서 수중 회전체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동체부의 주위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날개를 가지도록 하여 장기간 안정된 발전이 가능한 수류발전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워서 자급적인 발전기로서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수류를 이용한 자급적인 발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전기는 상기 수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갖으면서 내부에 충분한 유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수납부(100)와 상기 유체수납부(100)에 수용되되 상기 유체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내통(2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에 수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생성 수단(300)과 상기 수류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400)와 상기 동력생성부의 동력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발전기(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단부(100)의 측면;과,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되 상기에서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내통(200)의 형상은 기둥형상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통(200)의 일단이 유체의 수면과 인접하고, 상기 내통(200)의 타단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이고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상기 내통(20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내통(2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생성부(400)의 회전축은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상기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면이 상기 내통(200)의 일측면과 일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면이 상기 내통(200)의 하나이상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통의 타단 테두리부는 내측 방향으로 한번이상 절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에 구비 된 평판형상의 유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유도수단은 일단이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와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벽과 맞닿은 유도수단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 된 하나이상의 유도 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 판은 수류가 형성되는 지점의 상부에 구비 된 제1 유도 판(340)과 상기 제1 유도 판과 마주보도록 구비 된 제2 유도 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 판은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에 의해 생성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를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도 판은 상기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 된 수류를 상기 내통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수류생성수단(300)은 유체수류부(320)와 기체수류부(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수류부(320)는 유체유입부(321)와 유체 배출부(322)와 유체펌프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수류부(310)는 기체유입부(311)와 기체배출부(312)와 기체 펌프부(3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부(321)는 유체 유입공(321a)과 유체유입관(321b)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322)는 유체 배출공(322a)과 유체배출관(322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입부(311)는 기체유입공(311a)과 기체유입관(311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배출부(312)는 기체 배출공(311a)과 기체배출관(312b)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배출부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고, 상기 기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배출부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며, 상기 유체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와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로 인하여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는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되 상기 내통의 가장 하부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322)가 위치하고, 그 위쪽에는 상기 동력생성부(400)가 위치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의 위쪽에 상기 기체배출부(312)가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상기 동력생성부로 이동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에 접근한 유체는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수류에 의해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동력생성부는 상기 내통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와 상기 기체배출부는 상기 내통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며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2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반동 수차인 프란시스 수차, 카플란 수차, 벌브 수차,프로펠러 수차이고 복수의 날개가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가 내통의 타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420)는 일단이 날개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기(500)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타단은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벽과 내통(200)의 외벽을 연결하는 벽부(1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벽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벽에 맞닿는 일측변;과 상기 내통(200)의 외벽에 맞닿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변보다 긴 길이를 갖는 타측변;과 상기 일측변 상단부와 타측변 상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윗변;과 상기 일측변 하단부와 타측변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밑변;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변과 타측변은 평행하고, 상기 윗변과 밑변은 평행하지 않은 한 쌍의 대변이면서,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부(110)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렸을 때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2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벽부(110)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부공간을 동일한 크기로 구획하되, 상기 벽부(110)의 개수가 n 개일 때 n 개의 구획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는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 또는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기체 수류부에 공급되는 기체 공급량은 상기 기체 펌프부(313)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는 상기 각각의 구획부;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부(312)가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기체 유입부(311)는 기체를 공급하되 상기 기체는 밀도차이로 인해 상부로 이동하며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는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수면에 근접했을 때 상기 내통(20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40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끼워지는 제1 관통공(120)이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공(120)에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가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는 기체를 공급하되 상기 기체는 밀도차이로 인해 상부로 이동하며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는 내통(200)의 내측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수면에 근접했을 때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4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끼워지는 하나의 제1 관통공(120)이 형성되되,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상기 제1 관통공(120)의 중심점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관통공(120)에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에는 상기 기체 배출부(312)의 기체배출관(312b)이 끼워지는 원형의 제2 관통공(130)이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공(130)에 기체 배출관(312b)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의 직경은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내통(200)의 상단 테두리부의 직경은 상기 내통(200)의 하단 테두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체 수류부(310)에 의해 수류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근접한 공간에서 수류의 흐름이 빠르게 이동하여 상기 동력생성부(400)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류 생성부(330)가 더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제2 날개부(331)와 상기 제2 날개부에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에너지 전달부(3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전달부(33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또는 동력에너지원을 제2 날개부에 전달하여 제2 날개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류를 형성하되, 상기 제2 날개부가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 또는/및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에너지 전달부(332)가 끼워지는 제3관통공(140)이 형성되되, 상기 제3관통공(140)에 상기 에너지 전달부(332)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설치 된 수류생성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또 다른 수류 생성부의 회전축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또 다른 수류 생성부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벽에 구비 된 에너지 전달부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타단 내측에 구비된 하나이상의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와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수류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수류의 방향과 상기 기체 수류부의 기체 배출부(312)에서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생성되는 수류의 방향이 일치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1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태를 갖으면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 및 하면과 연계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폐쇄되고, 상기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구비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유입공(311a)로 이동시키는 기체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 및 하면의 크기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의 크기와 일치하고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수납되었을 때, 상기 덮개부 측면과 상기 유체수납부의 측면이 맞닿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상기 유체수납부의 상면을 밀폐하되,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는 상기 기체 유입부공(311a)에 연결되는 기체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상기에서 덮개부 상면의 크기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상면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덮개부 하면의 크기는 상기 덮개부 상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수납되었을 때, 상기 덮개부 내측면과 상기 유체수납부의 외측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 중앙부는 외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위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돌출된 부위에 상기 기체 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에 채워진 유체를 일부 수집하여 다시 공급하는 유체 수류부(320)가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유체 수류부(320)의 유체 배출부(322)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하나이상 설치된다.
또한,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유체 배출공(322a)에 연결 된 유체배출관(322b)이 끼워지는 제 4관통공(150)과 상기 유체 유입공(321a)에 연결된 유체유입관(321b)이 끼워지는 제 5관통공(160)이 구비되되 상기 제4관통공에 유체배출관이 끼워지고, 상기 제5관통공에 유체유입관이 끼워졌을 때 상기 맞닿는 부분을 용접합으로써 고정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류를 이용한 발전기를 제공하되 일정하고 원활한 유속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생산되는 동력의 양을 제어하여 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생성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체 수류부가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체 수류부가 내통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발전기에 덮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전기에 제5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기에 수류생성부가 복수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류 생성부가 상기 기체 수류부와 함께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유체 수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발전기에 다각기둥 형상의 유체수납부에 유체 수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유체발전기에 유도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유체발전기에 유도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유체발전기에 수중 모터형 유체수류부와 기체 수류부가 동시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유체발전기에 수중 모터형 유체 수류부와 기체 수류부가 동시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갖으면서 내부에 충분한 유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수납부(100)와 상기 유체수납부(100)에 수용되되 상기 유체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내통(2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에 수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생성 수단(300)과 상기 수류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400)와 상기 동력생성부의 동력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발전기(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단부(100)의 측면;과,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되 상기에서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내통(200)의 형상은 기둥형상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통(200)의 일단이 유체의 수면과 인접하고, 상기 내통(200)의 타단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이고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상기 내통(20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내통(2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생성부(400)의 회전축은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상기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에서 수류생성수단(300)은 유체수류부(320)와 기체수류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류부(320)는 유체유입부(321)와 유체 배출부(322)와 유체펌프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수류부(310)는 기체유입부(311)와 기체배출부(312)와 기체 펌프부(313)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체 유입부(321)는 유체 유입공(321a)과 유체유입관(321b)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322)는 유체 배출공(322a)과 유체배출관(322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입부(311)는 기체유입공(311a)과 기체유입관(311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배출부(312)는 기체 배출공(311a)과 기체배출관(312b)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부(321)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배출부(322)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고, 상기 기체 펌프부(313)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체유입부(311)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배출부(312)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며, 상기 유체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와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로 인하여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는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되 상기 내통의 가장 하부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322)가 위치하고, 그 위쪽에는 상기 동력생성부(400)가 위치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의 위쪽에 상기 기체배출부(312)가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상기 동력생성부로 이동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에 접근한 유체는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수류에 의해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동력생성부는 상기 내통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와 상기 기체배출부는 상기 내통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며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2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는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 또는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기체 수류부에 공급되는 기체 공급량은 상기 기체 펌프부(313)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에는 상기 기체 배출부(312)의 기체배출관(312b)이 끼워지는 원형의 제2 관통공(130)이 하나이상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공(130)에 기체 배출관(312b)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수류부는, 종래 고지 된 압축 기체 공급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실시하는 자에게 공연히 알려진 통상의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생성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반동 수차인 프란시스 수차, 카플란 수차, 벌브 수차, 프로펠러 수차이고 복수의 날개가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가 내통의 타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420)는 일단이 날개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발전기(500)와 연결 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벽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벽과 내통(200)의 외벽을 연결하는 벽부(110)가 더 구비된 것이되, 상기 벽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벽에 맞닿는 일측변;과 상기 내통(200)의 외벽에 맞닿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변보다 긴 길이를 갖는 타측변;과 상기 일측변 상단부와 타측변 상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윗변;과 상기 일측변 하단부와 타측변 하단부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밑변;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변과 타측변은 평행하고, 상기 윗변과 밑변은 평행하지 않은 한 쌍의 대변이면서,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부(110)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렸을 때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2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벽부(110)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부공간을 동일한 크기로 구획하되, 상기 벽부(110)의 개수가 n 개일 때 n 개의 구획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획부;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기체 수류부가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체 배출부(312)가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기체 유입부(311)는 기체를 공급하되 상기 기체는 밀도차이로 인해 상부로 이동하며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는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수면에 근접했을 때 상기 내통(20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4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끼워지는 제1 관통공(120)이 하나이상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공(120)에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기체 수류부가 내통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가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기체 수류부(310)는 기체를 공급하되 상기 기체는 밀도차이로 인해 상부로 이동하며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는 내통(200)의 내측벽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수면에 근접했을 때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동력생성부(4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가 끼워지는 하나의 제1 관통공(120)이 형성되되,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상기 제1 관통공(120)의 중심점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관통공(120)에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의 직경은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내통(200)의 상단 테두리부의 직경은 상기 내통(200)의 하단 테두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체 수류부(310)에 의해 수류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근접한 공간에서 수류의 흐름이 빠르게 이동하여 상기 동력생성부(400)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상기 유체는 소금을 함유한 유체이거나 또는 상기 유체에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물질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체는 공기, 수소, 헬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는 유체수납부(100)가 n개의 각을 가지는 다각기둥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체수납부에 수납되는 내통(200)의 형상은 단면이 n개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이면서,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이 상기 유체수납부의 길이방향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통의 일단이 수면과 인접하고 타단이 상기 하면과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통 단면의 면적은 상기 하면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발전기에 덮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1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태를 갖으면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 및 하면과 연계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폐쇄되고, 상기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구비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유입공(311a)로 이동시키는 기체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 및 하면의 크기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의 크기와 일치하고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수납되었을 때, 상기 덮개부 측면과 상기 유체수납부의 측면이 맞닿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상기 유체수납부의 상면을 밀폐하되,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는 상기 기체 유입부공(311a)에 연결되는 기체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에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이동한 기체는 파이프형상의 기체 유입부(311)에 의해 상기 기체 수류부(310)로 이동하여 재사용 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발전기에 제5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내통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면이 상기 내통(200)의 하나이상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내통의 타단에 구비된 테두리부가, 상기 내통의 내측 방향으로, 한번이상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의 타단에 구비된 테두리부는 상기 내통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한번이상 절곡 되며, 이때 상기 절곡 된 부위의 형상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의 타단에 구비된 테두리부 형상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류 생성부(330)가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제2 날개부(331)와 상기 제2날개부에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에너지 전달부(33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에너지 전달부(33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또는 동력에너지원을 제2날개부에 전달하여 제2 날개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류를 형성하되, 상기 제2 날개부가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고정한다.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기에 수류생성부가 복수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 또는/및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벽에는 상기 에너지 전달부(332)가 끼워지는 제3관통공(140)이 형성되되, 상기 제3관통공(140)에 상기 에너지 전달부(332)가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된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설치 된 수류생성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또 다른 수류 생성부의 회전축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또 다른 수류 생성부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내측벽에 구비 된 에너지 전달부에 의해 고정된다.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의 수류 생성부가 상기 기체 수류부와 함께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류 생성부(330)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타단 내측에 구비된 하나이상의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배출부(312)와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수류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수류의 방향과 상기 기체 수류부의 기체 배출부(312)에서 기체를 배출함으로써 생성되는 수류의 방향은 일치한다.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1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태를 갖으면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 및 하면과 연계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폐쇄되고, 상기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구비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도 12에 따르면 상기 유체수납부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을 갖으면서 상기 덮개부의 형상은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계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폐쇄되고, 상기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구비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포집된 기체를 상기 기체 수류부(310)의 기체 유입공(311a)로 이동시키는 기체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상기에서 덮개부 상면의 크기는 상기 유체수납부의 상면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덮개부 하면의 크기는 상기 덮개부 상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 내측 공간에 상기 유체수납부 상면이 수납되었을 때, 상기 덮개부 내측면과 상기 유체수납부의 외측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 중앙부는 외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위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돌출된 부위에 상기 기체 유입관(311b)이 연결된다.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유체 수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에 채워진 유체를 일부 수집하여 다시 공급하는 유체 수류부(320)가 구비될 수 있되, 상기 유체 수류부(320)의 유체 배출부(322)는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하나이상 설치된다.
또한,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유체 배출공(322a)에 연결 된 유체배출관(322b)이 끼워지는 제 4관통공(150)과 상기 유체 유입공(321a)에 연결된 유체유입관(321b)이 끼워지는 제 5관통공(160)이 구비되되 상기 제4관통공에 유체배출관(322b)이 끼워지고, 상기 제5관통공에 유체유입관(321b)이 끼워졌을 때 상기 맞닿는 부분을 용접합으로써 고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발전기에 다각기둥 형상의 유체수납부에 유체 수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수납부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조 될 수 있되, 복수개의 내통이 상기 유체수납부의 일측 내면과, 상기 일측 내면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일측 내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통 사이에 유체 수류부(320)의 유체 배출부(322)가 위치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체 유입부(321)가 상기 유체수납부에 채워진 유체를 일부 수집하여 상기 유체 배출부(322)를 통해 수집된 유체를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수류를 형성한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유체발전기에 유도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에 구비 된 평판형상의 유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유도수단은 일단이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와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벽과 맞닿은 유도수단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 된 하나이상의 유도 판;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유도 판은 수류가 형성되는 지점의 상부에 구비 된 제1 유도 판(340)과 상기 제1 유도 판과 마주보도록 구비 된 제2 유도 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 판은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에 의해 생성 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를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도 판은 상기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 된 수류를 상기 내통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펌프부(323)는 수중모터로써, 수중에서 유체를 수집하여 재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배출부(322)는 상기 기체 배출부(312)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기체 배출부(312)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생성되는 수류와 상기 유체 배출부(322)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생성되는 수류는 방향이 일치함에 따라 상기 수류의 이동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나이상의 수류 생성수단에 의해 유체가 상부를 향해 빠른속도로 밀고 나가면 상기 유체 배출공과 기체 배출공에 각각 연결 된 유체배출관과 기체배출관 속의 기압은 낮아지고 기포는 작은 힘을 가지고 위쪽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으로 올라온 유체와 기포는 상기 제1 유도 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속,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유도 판의 각도에 따라 상기 유체와 기포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 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된 유체는 상기 제2 유도 판에 부딪혀 하부로 이동하고, 이동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판의 형상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판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판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및 그 밖의 형상을 가진다.
첨부된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유체발전기에 수중 모터형 유체수류부와 기체 수류부가 동시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내통은 상부의 직경이 좁고 하부의 직경이 넓은 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발전기는 내통의 내측 상부에서 수중에 구비되고,
상기 내통의 하부에는 유체 수류부와 기체 수류부가 구비된다.
이를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통의 내측 하부에는 유체 배출부(322)가 구비되고 내통의 하부 인근 외측에는 수중 모터형 유체 펌프부(323)와 유체 유입부(3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체 배출부에 연결된 바이프는 상기 유체 수납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첨부된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유체발전기에 수중 모터형 유체 수류부와 기체 수류부가 동시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내통은 상부의 직경이 좁고 하부의 직경이 넓은 형태를 갖으면서 상기 발전기는 내통의 내측 수중에 구비되고, 상기 내통의 하부에는 유체 수류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체 수류부는 기체 배출부가 내통의 측부에 구비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체배출관은 상기 내통의 측부와 유체 수납부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체 펌프부와 기체 유입부는 유체 수납부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를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통의 내측 하부에는 유체 배출부(322)가 구비되고 내통의 하부 인근 외측에는 수중 모터형 유체 펌프부(323)와 유체 유입부(3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을 관성계에서 힘의 이동과 원리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동력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력과 중력은 역학적인 힘으로써, 질량이 있는 물질이 등속운동 중 밀도 차이로 회전을 하면 질량 중심으로 뭉쳐진다.
또한 저온 무중력 진공일 때 등속 운동하는 뜨거운 기체가 온도차이나 밀도차이로 전면부에서 난류나 회전이 일어나면 속도가 느려지고 뒤따르는 기체는 회전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일예로써 비눗방울 제조기를 입으로 후우 불면 비눗방울은 줄줄이 생성된다.
물질이 회전을 하여 모이면 구심력이 생성되어 중력이 발생한다.
또한 물체가 생성될 때 에너지가 주어지면 물체의 회전이 느려지거나 정지 좌우반전을 해도 저항이 없으면 물체의 에너지는 보존되고 외부에 의해 힘을 잃은 만큼만 소실되고 나머지는 보존된다.
상기에서 중력과 부력은 같은 종류의 힘의 반대현상이다. 우리가 느낄 때 중력은 인력 부력은 척력이다.
물체가 물속에서 밀도차이로 떠오를 때 바닥에서 위로 올라올수록 빨라진다.
일예로써 빗물이 처마에서 떨어질 때 지면에 가까울수록 빨라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기를 돌리면 관성으로 원심력이 생성되고 밀도차이가 나타난다.
안쪽으로는 부력 바깥쪽으로는 중력이 생긴다.
일예로써 물통 속의 물을 한쪽방향으로 돌리다 멈추면 상기 물통속의 구슬은 관성력의 작용으로 인해 물통의 중심으로 모인다.
또한 또 다른 일예로써 자동차 운행 중 커브 길에서 등속 운행을 하면 관성력이 생성된다.
이때 가속을 하면 상대적으로 관성력은 작아지고 감속을 하면 관성력은 상대적으로 커진다.
또한 또 다른 일예로써 지구가 자전할 때 외부에서 중심으로 올수록 감속된다. 보위에 물이 흐를 때 청둥오리가 지나가면 물결이 물 흐름 양방향으로 휘어지며 청둥오리와 함께 일정하게 지나가되, 이때 정지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물결의 파동은 원형으로 퍼져나간다.
시간당 움직이는 거리가 같을 때 힘이 커지면 질량이 커지거나 빠른 회전이다.
1분에 1M를 직진 이동하는 팽이가 있을 때 (직진이동) 10의 힘들 받는 팽이는 100번을 회전하고 20의 힘을 받는 팽이는 200번을 회전한다.
전자기파는 질량이 없는 입자가 직진 회전할 때 전기장과 자기장이 회전 반응하며 일정하게 밀어낸다.
항성권 내에서 등가속운동하는 행성은 내가 지표에 서있는 것과 동일하다.
다이빙대에서 뛰어내리는 운동선수는 무중력 상태를 느낀다.
위성의 동주기 자전은 다이빙대에서 뛰어내리는 선수와 동일하다.
다이빙 선수는 위치에너지를 점점 상실한다.
행성에 포획되어 항성 방면으로 왕복 등가속 운동을 하는 위성은 자전력을 상실한다.
가속, 감속, 정지 상태가 주기적 반복되면 물체의 운동력은 느려지고 정지된다.
부력은 양의 값을(+), 중력은 음의(-) 값을 가지고 출발하여 제로(0)가 된다.
부력은 상대적 큰 값을 가지고 출발하여 작아지고 중력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고 출발하며 점점 커진다.
질량이 있어서 물질에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질량을 가진 물체의 회전운동에 의한 관성 작용으로 힘의 이동이 일어난다.
4차원의 시공간이면 힘은 휘어진다.
질량의 크기 때문에 중력이 커지는 것이 아니라 운동량의 증가로 중력은 커지고 물질은 압축된다. 등속운동 중 회전의 크기와 속력이 중력의 크기를 좌우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유체수납부 110 덮개부
120 제1 관통공 130 제2 관통공
140 제3 관통공 150 제4 관통공
160 제 5관통공 200 내통
300 수류 생성 수단 310 기체 수류부
311 기체 유입부 312 기체 배출부
313 기체 펌프부 320 유체 수류부
321 유체 유입부 322 유체 배출부
323 유체 펌프부 330 수류 생성부
331 제2 날개부 332 에너지 전달부
340 제1 유도 판 350 제2 유도 판
400 동력생성부 410 날개부
420 지지부 500 발전기

Claims (9)

  1. 기둥 형상을 갖으면서 내부에 충분한 유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수납부(100)와
    상기 유체수납부(100)에 수용되되 상기 유체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내통(2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에 수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생성 수단(300)과
    상기 수류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생성부(400)와
    상기 동력생성부의 동력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발전기(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단부(100)의 측면;과,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되 상기에서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며
    상기 내통(200)의 형상은 기둥형상이면서 상기 유체수납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통(200)의 일단이 유체의 수면과 인접하고, 상기 내통(200)의 타단이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이고
    상기 유체수납부(100)는 상기 내통(20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내통(2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의 내측 하면과 인접하게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생성부(400)의 회전축은 상기 내통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그었을 때 상기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이 내통(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상기 동력생성부(400)는 내통(200)의 외측공간에서 유체수납부(100)의 하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면이 상기 내통(200)의 일측면과 일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체수납부(100)의 내측면이 상기 내통(200)의 하나이상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통의 타단 테두리부는 내측 방향으로 한번이상 절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에 구비 된 평판형상의 유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유도수단은 일단이 유체수납부의 내측벽 상부와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벽과 맞닿은 유도수단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 된 하나이상의 유도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판은 수류가 형성되는 지점의 상부에 구비 된 제1 유도 판(340)과
    상기 제1 유도 판과 마주보도록 구비 된 제2 유도 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 판은 상기 수류 생성 수단(300)에 의해 생성 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를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도 판은 상기 내통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 된 수류를 상기 내통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생성수단(300)은 유체수류부(320)와 기체수류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수류부(320)는 유체유입부(321)와 유체 배출부(322)와 유체펌프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수류부(310)는 기체유입부(311)와 기체배출부(312)와 기체 펌프부(313)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체 유입부(321)는 유체 유입공(321a)과 유체유입관(321b)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322)는 유체 배출공(322a)과 유체배출관(322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입부(311)는 기체유입공(311a)과 기체유입관(311b)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배출부(312)는 기체 배출공(311a)과 기체배출관(312b)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배출부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고,
    상기 기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배출부를 통해 상기 내통 하부의 안쪽으로 배출되며, 상기 유체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와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로 인하여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는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수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생성부는 상기 내통의 안쪽에 위치하되 상기 내통의 가장 하부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가 위치하고, 그 위쪽에는 상기 동력생성부가 위치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의 위쪽에 상기 기체배출부가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상기 동력생성부로 이동하며, 상기 동력생성부에 접근한 유체는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수류에 의해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생성부는 상기 내통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와 상기 기체배출부는 상기 내통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1차 수류가 생성되며 상기 기체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의해 2차 수류가 생성되어 유체가 빠르게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동력생성부에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KR1020190119707A 2019-06-21 2019-09-27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KR20200145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02 2019-06-21
KR20190074402 2019-06-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866A Division KR20210037596A (ko) 2020-12-07 2020-12-07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31A true KR20200145631A (ko) 2020-12-30

Family

ID=7408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07A KR20200145631A (ko) 2019-06-21 2019-09-27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6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5432A1 (en) * 2018-09-26 2022-06-30 Sudarshan K.C. Thermal Buoyant High Effici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5432A1 (en) * 2018-09-26 2022-06-30 Sudarshan K.C. Thermal Buoyant High Efficient System
US11852042B2 (en) * 2018-09-26 2023-12-26 Sudarshan K. C. Thermal buoyant high effici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9863A (en) Submersible appar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associated method
CN101737234B (zh) 海洋波浪能发电的装置
EP2987997A1 (en) Air-cushioned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EP3417170B1 (en) Flywheel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CN102720628A (zh) 基于压缩流体加速提取波浪能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双向水轮机
EP3239518B1 (en) Wave energy conversion apparatus
KR20200145631A (ko)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CN1826463B (zh) 轻便水轮发电机
US20090273189A1 (en) Compact-sized generation of appreciable hydropower through centrifuge-induced gravity effects
CN109779825A (zh) 矩形环管式振荡水柱对称翼透平发电装置
KR20210037596A (ko)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기.
RU2347935C2 (ru) Руслов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050012354A (ko) 풍력 발전장치
KR20220096716A (ko) 부력을 이용한 발전기.
KR101056933B1 (ko) 조류발전장치
CN111550348A (zh) 波浪涡流转换装置
KR20150140057A (ko) 수차를 이용한 수력발전기
EP4023875A1 (en) Energy generator
JPS5819159A (ja) 自力浮力発電方法
CN102705143A (zh) 用于集浪发电系统的浮板装置
MX2013006448A (es) Generador hidroelectrico instalado en agua que fluye.
Mamadjanov et al.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he basin’s design parameters of the gravitational water vortex microhydropower plant
KR20140061204A (ko) 수로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590070B1 (ko) 수력 발전장치 및 수력 발전장치용 수차
CN109058035A (zh) 一种潮汐能复合发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