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684A -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84A
KR20200144684A KR1020190072652A KR20190072652A KR20200144684A KR 20200144684 A KR20200144684 A KR 20200144684A KR 1020190072652 A KR1020190072652 A KR 1020190072652A KR 20190072652 A KR20190072652 A KR 20190072652A KR 20200144684 A KR20200144684 A KR 2020014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ter
groove
filter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권
김종구
Original Assignee
서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권 filed Critical 서민권
Priority to KR102019007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684A/ko
Publication of KR2020014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에 함석판이 장착되는 제1케이스; 및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Flame coupling structure for easy combined filter memb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고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고 제1필터부재가 구비된 제1케이스에 제2필터부재가 마련된 제2케이스를 쉽게 결합하는 결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이중 필터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미닫이식의 알루미늄샷슈나 하이샷슈재 창틀 최외측에 미닫이식으로 설치되는 방충창은 내,외부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면서 파리나 모기를 비롯한 각종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문 또는 출입문에 주로 설치된다.
최근에는 초파리와 같은 작은 크기의 해충까지 유입을 차단하도록 방충망의 통기구멍을 작게 하는 미세 방충망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66959호(발명의 명칭: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에는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어셈블리는, 상기 방충망 틀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필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방충망 틀에 접촉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방충망 틀에 접촉하지 않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에는 상기 필터결합부가 상기 제2본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결합부는 상기 필터결합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며, 나사가 상기 필터결합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홀 중 어느 한 개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인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은 필터결합부를 관통하는 홀에 나사를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나사 결합하는 불편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66959호(발명의 명칭: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고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고 제1필터부재가 구비된 제1케이스에 제2필터부재가 마련된 제2케이스를 쉽게 결합하는 결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이중 필터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에 함석판이 장착되는 제1케이스; 및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에 수벨크로드가 장착되는 제1케이스; 및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암벨크로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홈부에 먼지 제거를 위한 먼지 포집제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부에 상기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의 제1기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제2기공을 가지는 다른 필터부재가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스의 필터부재는 방충용 필터이고,
상기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는 방진용 필터 또는 초미세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은, a)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상기 제2홈부에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3홈부에 먼지 포집제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커팅하여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의 커팅면을 접착하여, 제1케이스를 조립하는 단계;
e)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 또는 암벨크로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케이스의 자석판을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암벨크로드를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필터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의 돌출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케이스의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를 형성하고 제3홈부에 먼지 제거를 위한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와 같은 먼지 포집제를 삽입 장착함으로써, 건축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먼지 포집제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고 제1필터부재가 구비된 제1케이스에 제2필터부재가 마련된 제2케이스를 쉽게 결합하는 결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이중 필터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편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조 경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별도의 장치없이 제1 케이스 측면의 제2 홈부에서 제2 케이스와 결합하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 환기 성능이 우수하고, 미관상의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1케이스가 창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의 유통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도 5의 제조방법의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제조방법의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커팅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5의 제조방법에서 베이스 케이스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2필터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는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케이스(100)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제2케이스(200)는 필터부재(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00)에 자석 또는 벨크로드에 의해 결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케이스(100)의 측면에 제1홈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100)에 개방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130)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120)에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가 장착된다.
제1케이스(100)의 제1홈부(110)는 창틀의 내측면에 돌출된 돌출부(310)에 결합되어서 제1케이스(100)가 창틀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200)는 공기가 유통되는 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210); 상기 필터부재(210)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 또는 암벨크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케이스(100) 측면의 제1홈부(110)가 창틀의 돌출부(310)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부재(210)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는 자석 또는 벨크로드에 의해 제1케이스(100)와 결합되고 제2케이스(200)의 케이스부재의 정면은 건축물의 외부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제2케이스(200)의 필터부재(210)를 통하여 건축물 외부의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부재(210)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때, 필터부재(210)의 필터링 기능에 따라 방충용 또는 방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케이스(100)의 제2홈부(120)에 장착된 함석판에 대응하여 제2케이스(200)에 결합된 자석이 자력에 의해 함석판에 부착됨으로써, 필터부재(210)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지극히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2케이스(200)는 정면이 내부를 향하므로 건물 내부에서 상기 제1케이스(1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제2케이스(200)가 외부 방향을 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케이스(100)의 제2홈부(120)에 장착된 수벨크로드에 대응하여 제2케이스(200)에 결합된 암벨크로드가 부착됨으로써, 필터부재(210)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2케이스(200)의 필터부재(210)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이물질이 부착되어 기공의 폐쇄, 외력에 의한 손상 등으로 필터 기능이 극도로 저하되는 경우) 필터부재(210)의 교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제2 케이스(200)를 탈착하여 세척한 후 새로이 제1 케이스(100)에 장착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케이스(100,20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PVC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홈(120)은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사각링의 폭(W)은 제2케이스(200)의 폭(W)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1케이스가 창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의 유통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a와 같이 제1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홈부(110)는 창틀(3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부(3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홈부(110)와 돌출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0)가 창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1홈부(110)와 돌출부(3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참고로, 제1케이스(100)의 4면 중 아래면에는 제1홈부(110) 부분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있어 제1케이스(100)가 창틀에서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건축물 외부의 공기가 제1홈부(110)와 돌출부(310) 사이 공간을 따라 건축물 내부로 유통되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20)들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110)의 측벽에 제3홈부(150)를 형성하고 제3홈부(150)에는 먼지(20) 제거를 위한 먼지 포집제(다르게 표현하면 먼지 흡수제)(350)를 삽입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먼지 포집제(350)는 다양한 재질, 구조를 가지며 먼지(20)를 포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이다.
즉,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를 제1홈부(110)와 돌출부(310) 사이의 공간 영역으로 침투시켜 돌출되도록 하고, 공간 영역의 공기 유통로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 유통로에 돌출되어 있는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에 부딪히면서 먼지(20)는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에 흡착되고 먼지(20)가 제거된 공기는 건축물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건축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20)를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레임 결합구조에서는 제1케이스(100)의 개방부(130)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형성된 제2홈부(120)에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제2케이스(200)의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고정된 자석판 또는 암벨크로드는 제1케이스(100)의 제2홈부(120)에 삽입 장착된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제1케이스(100)에 필터부재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를 자석 및 벨크로드(200)에 의해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홈부(110)에는 전술된 먼지 포집제인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제3홈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스(100)의 제2홈부(120)와 이격된 케이스 영역에 제1케이스(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60)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손잡이(160)를 둘러싸는 바깥 부분에 모헤어가 삽입 장착되어 먼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중 제1케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제1케이스(100)에는 제1필터부재(131)가 구비되어 있고, 제2케이스(200)에는 제2필터부재(210)가 마련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의 프레임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00)에 자석 또는 벨크로드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필터부재(131)는 제1케이스(100)의 개방부(130)에 장착된다.
제1필터부재(131)는 제1기공을 가지고, 제2필터부재(210)는 제1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제2기공을 가지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1필터부재(131)는 방충용 필터로 구성하고, 제2필터부재(210)는 방진용 필터 또는 초미세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제1필터부재(131)가 방진용 필터 또는 초미세 필터이고, 제2필터부재(210)가 방충용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필터부재(131)는 벌레의 침입을 차단하는 일반적인 방충망체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진용 필터부재는 섬유, 직물, 부직포, 필터지 중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가열, 압착하여 접합시킬 수 있는 시트 재료를 방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방진 필터는 PE 필터지 또는 PP 필터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방취나 방독 기능이 추가된 카본 필터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진용 필터부재는 건축물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 흄, 악취, 유독 가스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제2필터부재(210)는 다양한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가능한 실시예는 도 9a 내지 도 9e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제2필터부재(210)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장착하지 않고 제1필터부재(131)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벌레가 번성하는 시기인 봄,여름,가을철에는 방충용 기능을 가지는 제1필터부재(13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거나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건축물 외부의 공기질 환경이 변해서 미세 필터 기능이 필요한 경우 제2필터부재(210)가 구비된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자석 또는 벨크로드로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프레임 결합구조는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이중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획기적인 건축물의 창호 공기 필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조방법의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제조방법의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커팅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제조방법에서 베이스 케이스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케이스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제2케이스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케이스는 제1케이스에 자석 또는 벨크로드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케이스부재(10)를 준비한다(S100).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형상으로 보면 베이스 케이스부재(10)는 상면에 제2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제1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부(12)의 측벽에 제3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홈부는 제1케이스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홈부와 동일한 것이다.
그후,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상기 제2홈부에 먼지 포집제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3홈부에 먼지 포집제를 삽입하여 장착한다(S110).
여기서, 먼지 포집제는 연질고무 또는 모헤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양측면에 상기 제2홈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런 제2홈부에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의 장착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를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양측면에 노출된 상기 제2홈부로 밀어넣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2홈부는 상부폭보다 하부폭을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경우 상기 제2홈부에 삽입 장착된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2홈부 측면에 또 다른 홈을 생성하고 상기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를 해당 홈에 삽입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의 단면 형상을 상기 제2홈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커팅하여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를 형성한다(S120).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지그재그 사선으로 커팅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10a,10b,10c,10d)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지그재그 사선으로 커팅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가 순차적으로 만들어지며, 제1 및 제3요소 케이스부재(10a,10c)의 길이(L1)는 제2 및 제4요소 케이스부재(10b,10d)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한다.
그다음,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의 커팅면을 접착하여, 제1케이스를 조립한다(S130).
여기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1)를 가지는 제1 및 제3요소 케이스부재(10a,10c)는 상측 및 하측에, 상대적으로 긴 길이(L2)를 가지는 제2 및 제4요소 케이스부재(10b,10d)는 좌측 및 우측에 배치하여 커팅면을 접착함으로써, 중앙에 개방부가 있는 'ㅁ'형상의 제1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10a,10b,10c,10d)의 커팅면이 접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가 제작되면 개방부는 자동적으로 형성되고, 조립 제작된 제1케이스에서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10a,10b,10c,10d)가 개방부를 감싸게 된다.
연이어,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 또는 암벨크로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준비한다(S140).
상기 S130단계와 상기 S140단계 사이에, 상기 제1케이스의 조립으로 상기 접착된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 내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에 상기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의 제1기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제2기공을 가지는 다른 필터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계속, 상기 제2케이스의 자석판을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암벨크로드를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한다(S150).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2필터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사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4의 제2필터부재의 제2기공은 제1필터부재의 제1기공보다 크기가 작다.
즉, 제1필터부재가 방충필터 기능을 수행하면 제2필터부재는 방진필터 또는 초미세필터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고, 제1필터부재가 방진필터 기능을 수행하면 제2필터부재는 초미세필터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초미세필터는 지름이 2.5㎛ 이하는 초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TSP:total suspended particles),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 지름이 2.5㎛ 이하인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10㎛ 이하의 미세먼지는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여기서, 초미세먼지(fine particulate matter)는 미세먼지의 4분의 1 크기밖에 되지 않는 아주 작은 먼지로, 사람의 눈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미세먼지와 마찬가지로 자동차나 화석연료에서 발생한다. 미세먼지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대부분 폐포까지 침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 질병 등을 일으킨다.
초미세필터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또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나노웹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방충필터는 철사 와이어로 망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강한 비,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으나, 방진필터 및 초미세필터는 방충필터보다 강도가 낮아 강한 비, 바람에는 단독으로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방충필터에 방진필터 또는 초미세필터가 접합되는 적층구조를 구현하여 강도를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터부재는 방충필터(501)와 방진필터(502)의 2층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도 9b와 같이 방충필터(501)와 초미세필터(503)의 2층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충필터(501a), 방진필터(502), 방충필터(501b)의 3층 적층구조(도 9c), 방충필터(501a), 초미세필터(503), 방충필터(501b)의 3층 적층구조(도 9d), 방충필터(501a), 초미세필터(503), 방진필터(502)의 3층 적층구조(도 9e)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필터(50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방진필터(502) 또는 초미세필터(503)를 접착하고, 접착되지 않은 중앙영역으로 필터링되도록 한다.
여기서, 방충필터(501)의 기공은 벌레 침투를 차단하는 정도이므로, 상대적으로 커서 방충필터(501)와 방진필터(502) 또는 초미세필터(503)의 접착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도 9a 내지 도 9e의 적층구조를 열가압 프레스에서 방충필터(501)의 가장자리 영역을 열압착하여 접착한다.
즉, 열압착으로 가장자리 영역의 방진필터(502) 또는 초미세필터(503)는 방충필터(501)의 가장자리 영역에 접착된다.
참고로, 도 9에서는 제2 실시예를 고려하여 제2필터부재에 대해서 나타내었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케이스(200)의 필터부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방충필터(501)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기공을 충진제로 막아서 평탄화시킨 후 이 평탄화된 가장자리 영역에 방진필터(502) 또는 초미세필터(503)를 접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충진제는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소재로 형성된 쿠션재,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을 차단하는 소재로 형성된 진동 및 소음 차폐재, 보온작용을 수행하는 소재로 형성된 보온재, 및 세라믹, 황토, 숯, 토르말린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부로 이루어진 충진재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진재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200: 케이스
110,120,150: 홈부
130: 개방부
131,210: 필터부재
501,501a,501b: 방충필터
502: 방진필터
503: 초미세필터

Claims (6)

  1.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에 함석판이 장착되는 제1케이스; 및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을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2.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케이스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로부터 이격된 외주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에 수벨크로드가 장착되는 제1케이스; 및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암벨크로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홈부에 먼지 제거를 위한 먼지 포집제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부에 상기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의 제1기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제2기공을 가지는 다른 필터부재가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필터부재는 방충용 필터이고,
    상기 제2케이스의 필터부재는 방진용 필터 또는 초미세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
  6. a) 측면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홈부의 측벽에 제3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의 상기 제2홈부에 함석판 또는 수벨크로드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상기 제3홈부에 먼지 포집제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케이스부재를 커팅하여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내지 제4요소 케이스부재의 커팅면을 접착하여, 제1케이스를 조립하는 단계;
    e) 공기가 유통되는 제1기공을 가지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후면에 결합된 자석판 또는 암벨크로드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케이스의 자석판을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암벨크로드를 상기 제1케이스의 함석판에 부착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90072652A 2019-06-19 2019-06-19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44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52A KR20200144684A (ko) 2019-06-19 2019-06-19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52A KR20200144684A (ko) 2019-06-19 2019-06-19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84A true KR20200144684A (ko) 2020-12-30

Family

ID=7408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652A KR20200144684A (ko) 2019-06-19 2019-06-19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6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59B1 (ko) 2018-09-17 2019-04-08 주식회사 에어테크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59B1 (ko) 2018-09-17 2019-04-08 주식회사 에어테크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1480B2 (ja) 空気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CN106794412B (zh) 可均匀扩张的空气过滤器
KR102429469B1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CA2410140A1 (en) Electronic air filter assembly
KR20170051090A (ko)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JPH10317851A (ja) 網 戸
KR101841086B1 (ko)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20170084864A (ko)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KR101861846B1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필터 장치
KR20200000231U (ko) 공기청정기용 원형필터
KR20200144684A (ko) 필터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86039A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KR101976323B1 (ko) 공기필터부재가 교환가능한 방충망체 및 그 방충망체에 설치된 공기필터부재 교환방법
CN217308760U (zh) 一种日光温室通风防虫装置
KR20190131261A (ko) 극세사를 구비한 필터장치
KR200488870Y1 (ko) 창틀 또는 문틀용 먼지유입 방지기구
JP2013047599A (ja) 換気フィルター及び換気建具
KR200360601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CN206152511U (zh) 一种高过滤效率汽车空调过滤器
JP4796270B2 (ja) 換気口用脱臭フィルタ
CN212409029U (zh) 一种防虫网座组件
CN215671909U (zh) 一种隔音净化空气门窗
CN215485107U (zh) 一种帐篷用通风换气结构
CN211328588U (zh) 一种滤清器
CN215062681U (zh) 一种滤芯及空气净化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