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673A - 환자 체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체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73A
KR20200144673A KR1020190072631A KR20190072631A KR20200144673A KR 20200144673 A KR20200144673 A KR 20200144673A KR 1020190072631 A KR1020190072631 A KR 1020190072631A KR 20190072631 A KR20190072631 A KR 20190072631A KR 20200144673 A KR20200144673 A KR 2020014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ackrest
coupled
angl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305B1 (ko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riority to KR102019007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체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등받이를 환자 침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된 안전 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 등받이의 하면에 결합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고정 부재와 각도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어 안전 바와 등받이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및 등받이의 상면을 커버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체위 고정 장치{PATIENT POSITION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환자 체위 고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 침대 측면의 안전 바에 걸이식으로 장착 및 고정되고, 환자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일정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통기공을 갖고, 세탁이 가능한 등받이 커버를 등받이에 탈부착 함으로써 체위 변환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으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욕창은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누워 있거나 엎드려 있음으로 인해 피부에 지나친 압박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피부와 피하 조직의 조직 손상이 발생하고, 피부로 가는 혈액 순환에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조직이 괴사하는 것을 말한다.
욕창은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고 거친 표면 위로 피부를 끄는 마찰력이 있거나, 대소변이나 땀에 의한 젖은 침구나 옷과 접촉하여 오는 화학적 자극이 있을 때에도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체위 변경 및 청결 유지가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9027(2008.04.03)호는 진공을 이용한 신체 위치 고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PVC로 제작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공기 인출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망사 주머니, 및 망사 주머니의 내부에 충진되는 다수의 진공 흡착 알갱이들을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3110(2012.09.10)호는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체위 변환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으로 공기의 매우 쉬운 흐름을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각 홈에는 공기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중간부로는 다른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패널과, 제1 패널의 양측으로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는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제1 패널이 경사를 갖도록 지지하는 제2 패널로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9027(2008.04.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83110(2012.09.1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 침대 측면의 안전 바에 걸이식으로 장착 및 고정되고, 환자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일정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통기공을 갖고, 세탁이 가능한 등받이 커버를 등받이에 탈부착 함으로써 체위 변환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으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등받이에 환자 등에 대한 온도, 습도 및 등받이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환자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받아 환자 체위의 변환 시기나 등받이 커버의 교환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환자가 등받이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위급 상황을 알림으로 생성하여 위급 상황을 즉시 처치할 수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 등의 온도에 따라 등받이 커버의 색상을 변화시켜 환자 체위의 변환 시기나 등받이 커버의 교환 시기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환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를 상기 환자 침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된 안전 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등받이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 바와 상기 등받이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의 상면을 커버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등받이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동축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제1 및 제2 끼움 홈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판;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홈을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 지지판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 본체; 상기 각도 조절 본체의 일단을 상기 제1 끼움 홈에 고정시키는 고정 축; 상기 각도 조절 본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끼움 홈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 끼움 홈과 상기 고정 축 사이의 상기 각도 조절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끼움 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 홈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고, 복수의 장착 공이 형성된 외부 본체; 상기 외부 본체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타단이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본체; 및 상기 내부 본체에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 공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본체의 이동을 제한 및 고정시키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 본체는 나사 및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각도 조절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커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투명 색상을 유지하고, 상기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특정 색상으로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상기 등받이 상면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환자의 등에 대한 온도, 습도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환자의 등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상기 상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 등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의 체위를 변환시키는 체위 변환 시기, 상기 등받이 커버의 교체 시기, 상기 환자가 뒤집어진 환자 위험 상황 및 상기 상태 감지 데이터의 수신이 차단되는 센서 오프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알림 표시하는 보호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환자 침대 측면의 안전 바에 걸이식으로 장착 및 고정되고, 환자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일정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통기공을 갖고, 세탁이 가능한 등받이 커버를 등받이에 탈부착 함으로써 체위 변환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으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등받이에 환자 등에 대한 온도, 습도 및 등받이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환자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받아 환자 체위의 변환 시기나 등받이 커버의 교환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환자가 등받이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위급 상황을 알림으로 생성하여 위급 상황을 즉시 처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는 환자 등의 온도에 따라 등받이 커버의 색상을 변화시켜 환자 체위의 변환 시기나 등받이 커버의 교환 시기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길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제1 길이 조절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 체위 고정 시스템(100)은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 환자 상태 감지장치(130), 보호자 단말(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환자가 누워있는 환자 침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되는 안전바에 걸이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 및 고정 설치되며, 환자 침대의 측면 방향에서 환자 등을 지지하여 환자의 체위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변환시킨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환자 등의 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환자를 옆으로 눕게 함으로써 체위를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환자가 옆으로 눕는 과정에서 환자가 넘어져 뒤집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자 침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환자 등에 대한 변환 각도를 30°및 45°중 어느 하나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측면 안전바로부터 환자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까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출 수 있다.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등받이 커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등받이 커버를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의 등받이 하단에 장착되고, 환자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호자 단말(150)에 상태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태 감지 데이터는 환자 등의 온도, 습도 및 등받이로부터 환자 등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는 온도 센서(132), 습도 센서(134) 및 적외선 센서(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2)는 환자 등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 센서(134)는 환자 등의 습도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136)는 등받이로부터 환자 등까지의 거리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 센서(136) 대신에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등받이로부터 환자 등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는 보호자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는 등받이 커버를 세탁하거나,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보호자 단말(150)은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로부터 상태 감지 데이터를 수신 받아 환자 등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보호자 단말(150)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데이터 및 상태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위 변환 시기, 등받이 커버 교체 시기, 환자가 뒤집어진 환자 위험 상황 및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상태 감지 데이터의 수신이 차단되는 센서 오프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알림 데이터로 생성하고, 알림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알림 옵션에 따라 외부로 알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기준 상태 데이터는 체위 변환 또는 등받이 커버의 교체가 필요한 기준 온도 및 기준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상태 데이터는 환자 등이 등받이로부터 떨어져 환자가 뒤집어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옵션은 알림 주기 및 알림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오프 상황의 경우 알림 주기는 온도 센서(132), 습도 센서(134) 및 적외선 센서(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3분 간격으로 3회 알림을 제공하는 1차 알림 주기가 설정되고, 1차 알림 주기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2회 알림을 제공하는 2차 알림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알림 방식은 병실 내에서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빛, 알림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150)의 화면 상단에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 등을 포함하는 알림 창을 생성하여 보호자에게 알림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자 단말(150)에는 환자 등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알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알림 옵션 및 알림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150)은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150)은 환자 등에 대한 온도 및 습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체위 변환이 필요한 시기이거나 등받이 커버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임을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환자의 욕창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150)은 환자 등이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의 등받이로부터 떨어져 뒤집어지는 위험 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환자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단말(150)은 보호자가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의 등받이 커버를 교체하거나,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온도 센서(132), 습도 센서(134) 및 적외선 센서(136)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등받이 커버의 교체가 끝나거나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를 재사용할 때 온도 센서(132), 습도 센서(134) 및 적외선 센서(136)를 온 상태로 전환하지 않아 환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없는 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상태 감지 데이터, 기준 상태 데이터, 알림 데이터, 알림 옵션 등을 설정 및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된 저장장치이다. 데이터베이스(17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고정 부재(210), 길이 조절부(230), 각도 조절부(250), 등받이(270) 및 등받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0)는 환자 침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된 안전바(1)에 걸이식으로 결합되어 등받이(270)를 안전바(1)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210)는 안전바(1)와 동일한 너비를 갖고,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 침대의 규격은 일정하므로 고정 부재(210)의 너비는 안전바(1)의 규격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0)는 T형 클램프로 형성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30)는 일단이 고정 부재(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각도 조절부(250)에 결합되어 있다. 길이 조절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어 측면 안전바(1)로부터 등받이(270) 까지의 거리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부(250)는 등받이(270)의 하면에 결합되고, 외력을 이용하여 등받이(270)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조절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는 30°및 45°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등받이(270)는 각도 조절부(250)와 결합되는 하면 및 환자 등(2)과 접촉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받이(270) 상면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가 배치된다. 즉, 환자 상태 감지 장치(130)는 환자의 허리 위쪽에 위치하여 환자 등(2)에 밀착되고, 등받이 커버(290)를 통해 외부 환경의 영향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 등의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등받이 커버(290)는 등받이(270)의 상면을 커버하고, 등받이(270)의 상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 커버(290)는 등받이(270)의 상면과 밸크로 타입으로 접착되거나, 똑딱이 암수 단추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커버(290)는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고, 세탁이 가능한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 커버(290)는 통기공을 통해 환자 등에 바람이 통하게 하여 욕창 발생을 방지하고, 환자 등에서 발생한 땀이나 습기를 세탁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 커버(29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투명 색상을 유지하고,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특정 색상으로 발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온도는 욕창 환자의 체위가 지속적으로 고정되어 체온이 상승하고, 체위 변화가 필요한 체온, 예를 들어 약 38°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등받이 커버(290) 전면의 일정 영역 상에 시온 안료가 염색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시온 안료는 약 -15°내지 70°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열 온도에 따라 특정 색상으로 변하는 안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커버(290)는 약 38°이상의 온도에서 특정 색상으로 변함으로써 보호자가 육안으로 색 변화를 확인하고, 환자의 체위를 변환시키거나 등받이 커버(290)를 세탁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길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길이 조절부(230)는 외부 본체(310), 제1 및 제2 내부 본체(320, 330), 제1 장착공(340), 제2 장착공(350) 및 걸림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본체(310)는 고정 부재(210)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외부 본체(3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본체(320)는 외부 본체(31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내부 본체(320)의 일단은 외부 본체(310) 내부에 끼움 삽입된다. 여기에서, 제1 내부 본체(320)는 외부 본체(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본체(330)는 제1 내부 본체(32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내부 본체(330)의 일단은 제1 내부 본체(320) 내부에 끼움 삽입되고, 타단은 각도 조절부(250)의 저면에 나사(330a)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2 내부 본체(330)는 제1 내부 본체(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내부 본체(320, 330)를 이용하여 2단 또는 3단의 단계별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1 장착공(340)은 외부 본체(310)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장착공(350)은 제1 내부 본체(320)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360)는 제2 내부 본체(330)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장착공(340, 35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320, 330)를 이동시키거나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320, 330)를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걸림 부재(360)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360)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320, 33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제1 및 제2 장착공(340, 35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320, 330)의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360)가 제1 장착공(340)에 걸림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부재(360)를 하측으로 눌러 제1 내부 본체(320)를 이동시키고, 걸림 부재(390)를 제2 장착공(350)에 삽입하면 걸림 부재(360)가 상승하여 제2 내부 본체(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50)는 등받이 지지판(410), 각도 조절 본체(430), 고정 축(450), 손잡이(470) 및 스프링 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지지판(410)은 등받이(27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각도 조절 본체(430)를 수용하는 빈 공간을 포함한다. 등받이 지지판(410)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등받이 지지판(410)은 등받이(270)의 회동축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각도 조절 본체(430)가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는 제1 및 제2 끼움 홈(412, 414)을 포함한다. 제1 끼움 홈(412)은 각도 조절 본체(430)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 홈(4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 홈(414)은 걸림부(43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 예를 들어 톱니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본체(430)는 등받이 지지판(41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고정 축(4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손잡이(470)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본체(430)는 제2 끼움 홈(414)에 상호 맞물려 걸리는 걸림부(432)를 포함한다. 걸림부(432)는 톱니 또는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32)는 제2 끼움 홈(414)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432)에는 30°및 45°각도에 대한 안내자가 표시되어 등받이 지지판(410)의 회전 각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정 축(450)은 각도 조절 본체(4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각도 조절 본체(430)의 일단을 등받이 지지판(410)의 제1 끼움 홈(412)에 고정시킨다. 고정 축(450)은 제1 끼움 홈(412) 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70)는 각도 조절 본체(4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490)는 고정 축(450)과 등받이 지지판(410) 사이의 각도 조절 본체(430) 외부에 장착된다. 스프링 부재(490)는 손잡이(47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각도 조절부(250)의 동작을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손잡이(470)를 고정 축(450)의 반대 방향(d1)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 부재(490)가 수축되고, 동시에 걸림부(432)가 제2 끼움 홈(414)에 맞물려 있던 상태에서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470)를 아래 방향(d2)으로 돌리면 등받이 지지판(410)이 손잡이(370)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는 아래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한다.
그 다음, 손잡이(470)를 고정 축(450)의 방향으로 놓으면, 걸림부(432)가 제2 끼움 홈(414)에 맞물리면서 등받이 지지판(410)의 각도가 변경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등받이(270)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환자 등의 측면을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기울어지게 하여 체위를 다양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고정 부재(510), 길이 조절부(530), 각도 조절부(550), 등받이(570) 및 등받이 커버(5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 부재(510), 등받이(570) 및 등받이 커버(590)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210), 등받이(270) 및 등받이 커버(290) 각각과 동일하며,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는 고정 부재(510) 및 길이 조절부(530)를 2개 설치하고, 길이 조절부(530) 중 어느 하나와 각도 조절부(550) 간의 체결 구조를 나사 조인트 방식이 아닌 볼 조인트 방식으로 구성한 점이 도 2에 도시된 환자 체위 고정 장치(110)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부(530)는 제1 및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2, 534)를 포함한다. 제1 길이 조절 본체부(532)는 환자의 엉덩이 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대응하는 고정 부재(5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각도 조절부(550)의 저면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는 환자의 머리 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대응하는 고정 부재(5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각도 조절부(550)의 저면과 나사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530)는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를 통해 환자 등의 무게 중심을 지지하고, 제1 길이 조절 본체부(532)를 통해 등받이(570)의 각도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등받이(570)의 각도를 각도 조절부(55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추가로 제1 길이 조절 본체부(632)를 통해 상하좌우 방향으로도 조절할 수 있어 환자 등의 체위를 다양한 각도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는 각도 조절부(550)와 나사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체중에 따라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체중이 일정 몸무게 미만일 경우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일정 몸무게 이상일 경우 제2 길이 조절 본체부(534)를 체결하여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제1 길이 조절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길이 조절 본체부(532)는 외부 본체(610), 제1 및 제2 내부 본체(620a, 620b), 제1 장착공(630), 제2 장착공(640), 걸림 부재(650), 볼(660), 볼 하우징(670) 및 볼 조임 부재(68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본체(610)는 대응하는 고정 부재(5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외부 본체(6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본체(620a)는 외부 본체(61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내부 본체(620a)는 일단이 외부 본체(610) 내부에 끼움 삽입된다. 제1 내부 본체(620a)는 외부 본체(6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본체(620b)는 제1 내부 본체(620a)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내부 본체(620b)는 제1 내부 본체(620a)에 끼움 삽입되고, 타단은 볼(660)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제2 내부 본체(620b)는 외부 본체(6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공(630)은 외부 본체(610)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장착공(640)은 제1 내부 본체(620a)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650)는 제2 내부 본체(620b)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장착공(630, 64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620a, 620b)를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걸림 부재(650)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650)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620a, 620b)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제1 및 제2 장착공(630, 64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내부 본체(620a, 620b)의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볼(660)은 회동축이 제2 내부 본체(620b)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고, 볼 하우징(67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된다. 볼(66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 하우징(670)은 각도 조절부(550)의 저면에 고정되고, 볼(660)을 내부에 수용한다. 볼 하우징(670)은 일측면에는 볼 조임 부재(680)가 관통되고, 내측면에 나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672)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임 부재(680)는 결합 홈(672)에 끼움 결합되고, 볼(660)의 각도 조절 상태를 조이거나 조임 해제한다. 볼 조임 부재(680)는 외측면에 나선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조임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1 길이 조절 본체부(532)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볼 조임 부재(680)의 조임을 해제하고, 원하는 각도로 볼(660)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 다음, 볼 조임 부재(680)를 조여 볼(660)의 각도 조절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등받이(570)의 각도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환자 체위 고정 시스템
110: 환자 체위 고정 장치 130: 환자 상태 감지장치
150: 보호자 단말 170: 데이터베이스
210: 고정 부재 230: 길이 조절부
250: 각도 조절부 270: 등받이
290: 등받이 커버

Claims (8)

  1. 환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를 상기 환자 침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된 안전 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등받이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 바와 상기 등받이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의 상면을 커버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 커버를 포함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등받이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동축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제1 및 제2 끼움 홈을 포함하는 등받이 지지판;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홈을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 지지판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 본체;
    상기 각도 조절 본체의 일단을 상기 제1 끼움 홈에 고정시키는 고정 축;
    상기 각도 조절 본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끼움 홈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 끼움 홈과 상기 고정 축 사이의 상기 각도 조절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끼움 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 홈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고, 복수의 장착 공이 형성된 외부 본체;
    상기 외부 본체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타단이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본체; 및
    상기 내부 본체에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 공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본체의 이동을 제한 및 고정시키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는
    나사 및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각도 조절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커버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에서는 투명 색상을 유지하고, 상기 기준 온도 이상에서는 특정 색상으로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상면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환자의 등에 대한 온도, 습도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환자의 등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 등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의 체위를 변환시키는 체위 변환 시기, 상기 등받이 커버의 교체 시기, 상기 환자가 뒤집어진 환자 위험 상황 및 상기 상태 감지 데이터의 수신이 차단되는 센서 오프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알림 표시하는 보호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체위 고정 장치.
KR1020190072631A 2019-06-19 2019-06-19 환자 체위 고정 장치 KR10225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31A KR102258305B1 (ko) 2019-06-19 2019-06-19 환자 체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31A KR102258305B1 (ko) 2019-06-19 2019-06-19 환자 체위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73A true KR20200144673A (ko) 2020-12-30
KR102258305B1 KR102258305B1 (ko) 2021-05-31

Family

ID=7408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631A KR102258305B1 (ko) 2019-06-19 2019-06-19 환자 체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0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77U (ko) * 1997-01-22 1998-10-15 이원섭 각도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등받이
JP2000175774A (ja) * 1998-12-18 2000-06-27 Hitachi Ltd 椅子/ベッド装置
KR20060127819A (ko) * 2006-10-23 2006-12-13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200436739Y1 (ko) * 2007-03-05 2007-09-28 주식회사 리바트 헤드레스트
KR20080029027A (ko) 2006-09-28 2008-04-03 주경원 진공을 이용한 신체위치고정기구
JP2008178738A (ja) * 2004-07-07 2008-08-07 Showa Denko Kk 生体情報計測用パネル、生体情報計測用マット、生体情報計測装置及び生体情報計測方法
KR101183110B1 (ko) 2010-07-01 2012-09-20 이호성 공기 순환기능을 갖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체위변환지지장치
JP2012523299A (ja) * 2009-04-13 2012-10-04 ウェルセンス テクノロジーズ 褥瘡性潰瘍の防止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921504A (zh) * 2015-06-11 2015-09-23 成都森绿家具有限公司 角度调节型靠背拆卸式床体
KR20160035238A (ko) * 2014-09-23 2016-03-31 문성준 중증환자의 대소변 감지를 위한 기저귀 부착용 감온 패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77U (ko) * 1997-01-22 1998-10-15 이원섭 각도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등받이
JP2000175774A (ja) * 1998-12-18 2000-06-27 Hitachi Ltd 椅子/ベッド装置
JP2008178738A (ja) * 2004-07-07 2008-08-07 Showa Denko Kk 生体情報計測用パネル、生体情報計測用マット、生体情報計測装置及び生体情報計測方法
KR20080029027A (ko) 2006-09-28 2008-04-03 주경원 진공을 이용한 신체위치고정기구
KR20060127819A (ko) * 2006-10-23 2006-12-13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200436739Y1 (ko) * 2007-03-05 2007-09-28 주식회사 리바트 헤드레스트
JP2012523299A (ja) * 2009-04-13 2012-10-04 ウェルセンス テクノロジーズ 褥瘡性潰瘍の防止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83110B1 (ko) 2010-07-01 2012-09-20 이호성 공기 순환기능을 갖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체위변환지지장치
KR20160035238A (ko) * 2014-09-23 2016-03-31 문성준 중증환자의 대소변 감지를 위한 기저귀 부착용 감온 패치
CN104921504A (zh) * 2015-06-11 2015-09-23 成都森绿家具有限公司 角度调节型靠背拆卸式床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305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698B2 (en) Hospital bed having drainage bag sensor
US11357683B2 (en) Foot zone of a mattress
JP6730327B2 (ja) 患者支持装置
AU2016362009B2 (en) Indicator device
US20100132116A1 (en) Patient Support with Orientation Sensitive Air Bladder Control
US11071393B2 (en) Apparatus for adding hospital bed functionality to an at-home bed
KR102258305B1 (ko) 환자 체위 고정 장치
US20210027603A1 (en) Occup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WM465161U (zh) 醫療用床之床欄警示裝置
ES1218994U (es) Sistema de ayuda y seguridad, para el cuidado de personas mayores, enfermos, niños y bebes
AU2012201414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Alert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