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656A -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56A
KR20200144656A KR1020190072597A KR20190072597A KR20200144656A KR 20200144656 A KR20200144656 A KR 20200144656A KR 1020190072597 A KR1020190072597 A KR 1020190072597A KR 20190072597 A KR20190072597 A KR 20190072597A KR 20200144656 A KR20200144656 A KR 2020014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ode
contract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광
강승민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7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656A/ko
Publication of KR2020014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8Lic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를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여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라우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copyright agreement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들 간에 체결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판권 계약은 콘텐츠 저작권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복제, 유통, 판매 등에 따른 이익을 독점할 권리를 설정받는 계약을 말한다. 최근, 미디어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콘텐츠의 유통 및 판매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콘텐츠 판권 계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컴퓨터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을 관리하는 기존 기술은, 관리 대상 콘텐츠가 다수이고 콘텐츠별 판권자, 판권 기간, 판권 범위 등이 모두 상이하며 판권자 변경에 따른 판권 정보 변경이 수시로 발생되는 경우, 콘텐츠 계약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없으며 불측의 손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기존 기술은 저작권자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작사나 판권자에 해당하는 CP(Contents Provider)사가 직접 계약 정보를 관리할 수 없거나 관리 시기를 놓치는 경우, 콘텐츠 판권 기간이 만료된 CP사에 정산금이 지급되거나, CP사가 정당한 정산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사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기술은 콘텐츠를 유통하는 CP사의 판권 계약 변경 요청시 판권 계약 확인과 변경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통보 지연이나 누락, 판권 변경 미인지 등의 경우가 발생하고 업무 비효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3895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콘텐츠 데이터의 거래에 관한 정보를 다수 노드에 의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만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 조회시 전체 블록체인을 검색하게 되어 조회 요청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 기술은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를 계약 당사자 양방에서 관리하는 방안, 판권을 설정받은 자나 판권 설정받고자 하는 자 측에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를 조회하고 변경하는 방안, 판권 계약 정보 조회 범위를 제한하는 방안 등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판권 계약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정보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함은 물론, 사용 편의성과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고 사용자 요청 처리 속도와 처리 성능을 향상시킨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를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여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라우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는 인증서 발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도록 구성된 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인증서 발급부에 의해 발급된 인증서 및 상기 발급된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저장하는 인증서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는 매핑 아이디 전송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서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서 발급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는 노드 지정 요청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를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는 노드 지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 및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는 사용자 요청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간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우터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에게 매핑된 타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타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은, 블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를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a) 단계;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는 (c)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에서 발급된 인증서 및 상기 발급된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드를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간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에게 매핑된 타 노드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타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동작 또는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저작권자, 콘텐츠 저작권자로부터 판권을 설정받은 판권자, 콘텐츠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콘텐츠 유통사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들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저장, 조회 또는 변경함으로써, 콘텐츠 판권 계약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정보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함은 물론, 사용 편의성과 정보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노드가 각각 사용자들과 매핑되고,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가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필터링 원장을 생성 및 운영함으로써, 사용자별 계약 정보 조회 처리 속도와 사용자 요청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고 발급된 고유의 인증서를 확인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련 정보 공개 범위와 계약 변경 요청 및 승인 권한을 사용자별로 제한함으로써, 계약 정보의 유출이나 무단 변경으로 인한 저작권자와 판권자의 불측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인프라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인증서 발급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의 판권 계약 조회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기간 만료된 판권 계약 조회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는 저작권자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판권자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계약 변경 요청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계약 변경 승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들은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인프라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들(10a 내지 10n)은 콘텐츠 저작권자, 콘텐츠 저작권자로부터 판권을 설정받은 판권자, 콘텐츠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콘텐츠 유통사, 또는 이들을 대리하는 자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통신 단말들로서,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후술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10a 내지 10n)은 각각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기존에 콘텐츠 판권 계약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던 레거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노드들(20a 내지 20m)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 조회 또는 변경하는 등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은 각각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블록의 생성과 검증, 합의 등의 절차를 수행하고,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들을 다수의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은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과 매핑되어 공유 원장 이외에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필터링 원장(filtered ledger)을 생성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노드는 복수의 블록체인을 생성하여 운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노드는 공유 원장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의 메인 블록체인과 필터링 원장을 보관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서브 블록체인을 생성하여 운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20a 내지 20m)은 각각 서버(server)나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데이터 통신과 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은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 사용자들만 접근할 수 있는 프라이빗 체인(private cha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부(110) 및 라우터부(12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인증서 발급부(13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관리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사용자 단말들(10a 내지 10n)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저작권자나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부(110)는, 일반적인 통신 네트워크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인 블록체인 게이트웨이(blockchain gatew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라우터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여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라우터부(120)는 게이트웨이부(110)와 통합적으로 구현되거나, 게이트웨이부(110)와 구별되는 네트워크 장비인 인도스먼트 라우터(endorsement route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transaction)을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제어하여,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filtered ledger)으로서 라우터부(120)에 의해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서 발급부(130)는,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인증서 발급부(130)는 암호학에서 공개키 인증서와 인증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표준들 중 공개키 기반의 ITU-T 표준인 X.509에 따라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 고유의 비밀키로 서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증서 발급부(130)는 인증서 서명에 사용되는 사용자별 비밀키를 소정 저장소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서 발급부(130)는, 게이트웨이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CA(certificate authority)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부(11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고 인증서 발급부(13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110)는 인증서 저장부(111), 매핑 아이디 전송부(112),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 및 노드 지정 요청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부(110)의 각 부들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서 저장부(111)는, 인증서 발급부(130)에 의해 발급된 인증서를 해당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와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인증서 발급부(130)는 인증서와 매핑 아이디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거나 게이트웨이부(110)에 포함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핑 아이디 전송부(112)는,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매핑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매핑 아이디 전송부(112)는 메시지를 통해 매핑 아이디를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또는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인증서 저장부(111)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상기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상기 사용자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노드 지정 요청을 라우터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라우터부(120)는, 상기 노드 지정 요청부(114)로부터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라우터부(120)는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 및 노드 지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우터부(120)의 각 부들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상기 매핑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 지정부(122)는, 게이트웨이부(110)가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드 지정부(122)는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는 한편,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110)는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 및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처리 결과 전송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부(110)의 각 부들은 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상기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를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콘텐츠 유통사나 콘텐츠 배급사 등과 같이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간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부(110)는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라우터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예컨대, 저작권자)에게 매핑된 타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타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타 노드로 전송하여,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할 수 있다. 즉, 상기 타 노드가 저작권자와 매핑된 노드인 경우,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는 해당 저작권자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모든 판권자의 판권 계약 정보는 물론 판권 기간 만료된 판권 계약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부(110)는 저작권자와 매핑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함으로써,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부(110)는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가 상기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계약 변경 요청에 대한 계약 변경 승인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상기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승인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인증서 발급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 또는 이용 요청을 하면(S300),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는 인증서 발급부(130)로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를 발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310).
그러면, 상기 시스템(100)의 인증서 발급부(130)는,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S320), 생성된 인증서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를 발급한다(S330). 이때, 인증서에는 해당 사용자의 권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증서 발급부(130)는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인증서 발급부(130)에 의해 인증서가 발급되면, 게이트웨이부(110)의 인증서 저장부(111)는 발급된 인증서를 해당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와 연관시켜 저장하고(S340), 게이트웨이부(110)의 매핑 아이디 전송부(112)는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매핑 아이디를 해당 사용자 측으로 전송한다(S350). 이 경우, 매핑 아이디 전송부(112)는 메시지를 통해 매핑 아이디를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또는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가 사용자와 일대일 매핑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의 판권 계약 조회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 사용자에 해당하는 판권자 A가, 사용자 단말(10a)을 통해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자신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가 해당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를 수신한다(S400).
사용자 단말(10a)로부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부(110)의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는 인증서 저장부(111)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판권자 A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한다(S410).
판권자 A의 인증서가 부존재하면(S420),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단말(10a)로 조회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2). 반면, 판권자 A의 인증서가 존재하면(S420),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한다(S424). 이 경우,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판권자 A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노드 지정 요청을 라우터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로부터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100)의 라우터부(120)는,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고(S430),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한다(S440).
이를 위해,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사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소정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상기 매핑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지정부(122)는,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판권자 A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 A(20a)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고, 노드 A(20a)의 노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노드 A(20a)로 전송하는 한편,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판권자 A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노드 A(20a)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판권자 A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한다(S450 내지 S480).
즉,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는, 라우터부(120)로부터 노드 A(20a)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노드 A(20a)의 정보 조회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20b 내지 20m)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한다(S45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노드 A(20a)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20b 내지 20m)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노드 A(20a)로 전송한다(S460). 이 경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판권자 A의 인증서를 노드 A(20a)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노드 A(20a)의 정보 조회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송된 인증서 파싱(parsing)하여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인증서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노드 A(20a)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판권자 A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S470). 그 결과,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노드 A(20a)로부터 판권자 A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480).
판권자 A의 사용자 요청이 판권자 A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 관련 정보만을 조회하는 요청인 경우(S490),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조회된 정보를 판권자 A의 사용자 단말(10a)로 전송한다(S492). 반면, 판권자 A의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한 만료된 타 사용자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한 경우(S490), 상기 시스템(100)은 판권 기한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 조회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494).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기간 만료된 판권 계약 조회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권자 A의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한 만료된 타 사용자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한 경우(S490),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는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한다(S500).
그 다음, 상기 시스템(100)의 라우터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20a 내지 20m)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 예컨대 저작권자에게 매핑된 노드인 관리 노드(20m)를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고(S510), 관리 노드(20m)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한다(S520).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관리 노드(20m)의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관리 노드(20m)로 전송하여,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저작권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관리 노드(20m)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한다(S530 내지 S560). 저작권자와 매핑된 관리 노드(20m)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는 해당 저작권자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모든 판권자의 판권 계약 정보는 물론 판권 기간 만료된 판권 계약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부(110)는 저작권자와 매핑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함으로써,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는, 라우터부(120)로부터 관리 노드(20m)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관리 노드(20m)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한다(S53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관리 노드(20m)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관리 노드(20m)로 전송한다(S540). 이 경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저작권자의 인증서를 관리 노드(20m)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노드(20m)의 정보 조회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송된 인증서를 파싱하여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인증서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대응하여 관리 노드(20m)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저작권자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S550). 그 결과,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관리 노드(20m)로부터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560).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노드 A(20a)의 필터링 원장과 관리 노드(20m)의 필터링 원장에서 조회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판권자 A의 사용자 단말(10a)로 전송한다(S570).
도 6에는 저작권자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자인 경우, 상기 시스템(100)은 저작권자와 매핑된 관리 노드(20m)의 필터링 원장에서 해당 정보를 조회하여 저작권자의 단말에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작권자 측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620)를 포함하여 저작권자가 체결한 모든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들(610, 620, 6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610, 620, 630)는 계약 번호, 콘텐츠명, 판권명, 계약 업체, 판권 기간 등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판권자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가 판권자에 해당하는 CP(Contents Provider)사 A인 경우, 상기 시스템(100)은 CP사 A와 매핑된 노드인 노드 A(20a)의 필터링 원장에서 해당 정보를 조회하여 CP사 A의 단말에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P사 A 측에 제공되는 콘텐츠 판권 계약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CP사 A가 체결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710)를 포함하며, CP사 A의 요청에 따라 다른 판권자의 판권 기간 만료된 계약 정보(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710, 720)는 계약 번호, 콘텐츠명, 판권명, 계약 업체, 판권 기간 등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계약 변경 요청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서비스 사용자에 해당하는 판권자 A가, 사용자 단말(10a)을 통해 판권 기간의 연장과 같은 콘텐츠 판권 계약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자신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가 해당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를 수신한다(S800).
사용자 단말(10a)로부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부(110)의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는 인증서 저장부(111)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판권자 A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한다(S810).
판권자 A의 인증서가 부존재하면(S820),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단말(10a)로 계약 변경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22). 반면, 판권자 A의 인증서가 존재하면(S820),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한다(S824). 이 경우,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판권자 A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노드 지정 요청을 라우터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로부터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100)의 라우터부(120)는,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고(S830),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한다(S84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사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소정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상기 매핑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지정부(122)는,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판권자 A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 A(20a)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고, 노드 A(20a)의 노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노드 A(20a)로 전송하는 한편,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판권자 A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노드 A(20a)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판권자 A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한다(S850 내지 S880).
즉,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는, 라우터부(120)로부터 노드 A(20a)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노드 A(20a)의 계약 변경 요청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20b 내지 20m)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한다(S85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노드 A(20a)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20b 내지 20m)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노드 A(20a)로 전송한다(S860). 이 경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판권자 A의 인증서를 노드 A(20a)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노드 A(20a)의 계약 변경 요청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송된 인증서 파싱(parsing)하여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인증서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노드 A(20a)의 필터링 원장에 계약 변경 요청을 등록할 수 있다(S87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노드 A(20a)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 변경 요청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S880).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판권자 A가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예컨대 저작권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한다(S890). 또한, 상기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판권자 A의 사용자 단말(10a)로 계약 변경 요청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892).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중 판권 계약 변경 승인 프로세스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동작들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판권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받은 저작권자가, 사용자 단말(10n)을 통해 콘텐츠 판권 계약 변경의 승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자신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가 해당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를 수신한다(S900).
사용자 단말(10n)로부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부(110)의 인증서 발급 확인부(113)는 인증서 저장부(111)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저작권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한다(S910).
저작권자의 인증서가 부존재하면(S920),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단말(10n)로 계약 변경 승인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22). 반면, 저작권자의 인증서가 존재하면(S920),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라우터부(120)에 요청한다(S924). 이 경우, 노드 지정 요청부(114)는 저작권자의 매핑 아이디와 함께 노드 지정 요청을 라우터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부(114)로부터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100)의 라우터부(120)는, 상기 노드들(20a 내지 20m)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고(S930),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한다(S94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사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소정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12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을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된 상기 매핑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우터부(120)의 노드 지정부(122)는, 게이트웨이부(110)의 노드 지정 요청이 수신되면 저작권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관리 노드(20m)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고, 관리 노드(20m)의 노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게이트웨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시스템(100)의 게이트웨이부(110)는 라우터부(120)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관리 노드(20m)로 전송하는 한편,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20a 내지 20m)이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저작권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관리 노드(20m)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저작권자와 관련된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한다(S950 내지 S980).
즉,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115)는, 라우터부(120)로부터 관리 노드(20m)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20a 내지 20m) 중 관리 노드(20m)의 계약 변경 승인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한다(S95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관리 노드(20m)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관리 노드(20m)로 전송한다(S960). 이 경우,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저작권자의 인증서를 관리 노드(20m)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노드(20m)의 계약 변경 승인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송된 인증서 파싱(parsing)하여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인증서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관리 노드(20m)의 필터링 원장에 계약 변경 승인을 등록할 수 있다(S970).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사용자 요청 처리부(116)는 관리 노드(20m)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 변경 승인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S980).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부(110)의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저작권자가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인 판권자로부터 계약 변경 요청을 받은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 변경에 대한 승인 요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판권자 측으로 계약 변경 승인 사실을 통지한다(S990). 또한, 상기 처리 결과 전송부(117)는 저작권자의 사용자 단말(10n)로 계약 변경 승인 요청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992).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해당 동작이나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EEPROM, 레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또는 광 데이터 기록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 배치되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저작권자, 콘텐츠 저작권자로부터 판권을 설정받은 판권자, 콘텐츠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콘텐츠 유통사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들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저장, 조회 또는 변경함으로써, 콘텐츠 판권 계약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정보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함은 물론, 사용 편의성과 정보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노드가 각각 사용자들과 매핑되고,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가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필터링 원장을 생성 및 운영함으로써, 사용자별 계약 정보 조회 처리 속도와 사용자 요청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고 발급된 고유의 인증서를 확인하여, 콘텐츠 판권 계약 관련 정보 공개 범위와 계약 변경 요청 및 승인 권한을 사용자별로 제한함으로써, 계약 정보의 유출이나 무단 변경으로 인한 저작권자와 판권자의 불측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110 : 게이트웨이부
111 : 인증서 저장부 112 : 매핑 아이디 전송부
113 : 인증서 발급 확인부 114 : 노드 지정 요청부
115 ;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 116 : 사용자 요청 처리부
117 : 처리 결과 전송부 120 : 라우터부
121 : 노드 식별 정보 저장 122 : 노드 지정부
130 : 인증서 발급부

Claims (18)

  1.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를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여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라우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는 인증서 발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인증서 발급부에 의해 발급된 인증서 및 상기 발급된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저장하는 인증서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는 매핑 아이디 전송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서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서 발급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는 노드 지정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를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노드 식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는 노드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부; 및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는 사용자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간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할 것을 상기 라우터부에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우터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에게 매핑된 타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라우터부로부터 수신된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타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복수의 노드를 각각 식별하는 노드 식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a) 단계;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저장, 조회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는 (c)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지정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고 각각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지정된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에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필터링 원장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콘텐츠 판권과 관련된 사용자별로 고유의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발급된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에서 발급된 인증서 및 상기 발급된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와 매핑되는 매핑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요청과 매핑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인증서들 중 수신된 매핑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증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발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드를 각각 콘텐츠 판권 계약과 관련된 사용자들과 매핑하여 각 사용자에게 매핑된 노드의 노드 식별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노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노드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작하도록 활성화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활성화되고 다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지정된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판권자 또는 판권을 설정받고자 하는 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판권 기간 만료된 다른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정보 조회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신할 노드로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판권 기간 만료된 콘텐츠 판권 계약 정보에 대해 접근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에게 매핑된 타 노드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트랜잭션을 상기 타 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가 공유하는 공유 원장에 저장되는 정보들 중 상기 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필터링 원장으로서 상기 타 노드에 보관되는 필터링 원장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에 대한 계약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콘텐츠 판권 계약의 타방 당사자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 측으로 계약 변경 요청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72597A 2019-06-19 2019-06-19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4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97A KR20200144656A (ko) 2019-06-19 2019-06-19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97A KR20200144656A (ko) 2019-06-19 2019-06-19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56A true KR20200144656A (ko) 2020-12-30

Family

ID=7408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97A KR20200144656A (ko) 2019-06-19 2019-06-19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9287A (zh) * 2022-11-01 2023-01-31 寰宇信任(北京)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版权消费管理系统
CN116757857A (zh) * 2023-08-17 2023-09-15 北方健康医疗大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保数据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9287A (zh) * 2022-11-01 2023-01-31 寰宇信任(北京)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版权消费管理系统
CN115659287B (zh) * 2022-11-01 2023-11-10 寰宇信任(北京)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版权消费管理系统
CN116757857A (zh) * 2023-08-17 2023-09-15 北方健康医疗大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保数据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6757857B (zh) * 2023-08-17 2023-11-10 北方健康医疗大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商保数据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695B1 (ko)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0944574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sset servi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m
KR10193675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공유경제 관리 장치
KR101795696B1 (ko)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210042804A1 (en) Data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93675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키를 생성하는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WO2020182005A1 (zh) 数字资产凭证继承转移中的信息处理方法、和相关装置
US11582043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backing up and auditing distributed ledger data within a network and securely without using private keys
CN108923908A (zh) 授权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96229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공유재화의 unlock 및 lock을 제어하는 분산 원장 장치
JP2019153181A (ja) 管理プログラム
KR10196228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비대칭키 방식으로 이용자를 식별하는 분산 원장 장치
KR20220076203A (ko)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1047321A (zh) 业务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50188916A1 (en) Vpn connection authent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server, biometric authentication result evidence information verification server, vpn connection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9622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유재화의 가용성을 검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KR20200144656A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판권 계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146093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でノード間のブロック及び電子文書を共有及び検証する方法
US116364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zero-step customer proximity detection using mobile device low emissions beacons
JP7171504B2 (ja) 個人情報管理サーバ、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US11893055B2 (en) System for automatic management and depositing of documents (images) hash in block-chain technology
CN103179108A (zh) 将服务器应用与多个认证提供者集成
JP20071294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77826B2 (ja) 制御装置、データ登録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90068886A (ko) 블록체인 기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