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880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880A
KR20200143880A KR1020190071492A KR20190071492A KR20200143880A KR 20200143880 A KR20200143880 A KR 20200143880A KR 1020190071492 A KR1020190071492 A KR 1020190071492A KR 20190071492 A KR20190071492 A KR 20190071492A KR 20200143880 A KR20200143880 A KR 2020014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output
inpu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3880A/ko
Priority to US16/686,655 priority patent/US11082020B2/en
Publication of KR2020014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03F1/347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using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01F2021/125Printed variable inductor with taps, e.g. for VC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이 개시된다. 차량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트랜스포머;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 및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변조(intermodulation)을 감쇄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은 단순한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넘어서 운전자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생활 공간으로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 안락함과 휴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다양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과 비디오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는 오디오 시스템/비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오디오 방송/비디오 방송을 청취/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도심 등에는 다양한 주파수의 무선 신호가 방사되고 있어, 오디오 방송과 비디오 방송이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에 의하여 왜곡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호 변조 잡음은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상의 이유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신호대잡음비를 유지하면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트랜스포머;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 및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한 변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이 최소 값이 되도록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는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가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상호 연관된 입력 인덕터와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입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출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상기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의 제어 신호와 상기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 조절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가변 트랜스포머에 의하여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정해진 변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이 최소 값이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상호 연관된 입력 인덕터와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입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출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가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호대잡음비를 유지하면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가변 트랜스포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가변 트랜스포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입력되는 잡음 및 상호 변조 잡음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입력되는 잡음 및 상호 변조 잡음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그 외관을 형성하고 운전자 및/또는 수화물을 수용하는 차체와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엔진, 변속기, 제동 장치,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하는 차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운전자를 보호하고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전장 부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부하들은 엔진, 변속기, 제동 장치, 조향 장치을 각각 제어하는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과,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전자 제동 제어 모듈(Electronic Brake Control Module, EBCM)과, 전동 조향 장치(Motor-Driven Power Steering, MD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장 부품들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는 모스트, 플렉스레이, 캔, 린 등 단일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장 부하들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10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100)는 음향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내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120)과, 방송 신호에 의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130)과,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헤드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20)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1)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1)는 자유 공간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 (Frequency Modulation) 라디오 방송 신호는 89.1MHz (Mega Hertz)의 방송 신호, 89.7 MHz의 방송 신호, 91.9MHz의 방송 신호, ??, 107.7MHz의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1)는 예를 들어 차량의 리어 윈도우에 설치되는 글라스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122)는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비율로 증폭할 수 있다. 자유 공간으로 방사된 무선 신호는 발생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 역시 매우 작은 세기를 가지며, 저잡음 증폭기(122)는 헤드 유닛(110)이 식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무선 신호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특히, 저잡음 증폭기(122)는 증폭에 의한 잡음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잡음이 부가되지 않도록 저잡음 증폭기(122)는 안테나(121)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안테나 모듈(120)은 자유 공간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헤드 유닛(1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30)은 헤드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모듈(130)은 고주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고주파 스피커(tweeter speaker) (131)와, 중간 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중간 주파수 스피커(132)와, 저주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저주파 스피커(woofer speaker) (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피커(131, 132, 133)은 차량(1)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대시보드(40) 상면에는 중간 주파수 스피커(132)이 설치되고, 차량(1)의 도어(14)에는 고주파 스피커(131)와 저주파 스피커(1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스피커 모듈(130)은 헤드 유닛(110)이 출력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헤드 유닛(110)은 운전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11)와,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2)와, 안테나 모듈(120)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3)와,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헤드 유닛(110)은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미디어 파일을 로딩하는 미디어 리더(media reader)와, 차량(1)의 다른 전장 부품(30)과 통신하는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푸시 버튼, 슬라이드 버튼, 다이얼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1)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다이얼과, 오디오 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다이얼과, 사전에 저장된 주파수의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리셋(preset) 버튼과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입력부(111)는 오디오 장치(100)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입력부(111)를 통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선국 다이얼을 통하여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하면 표시부(112)는 운전자가 선택한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표시부(112)는 재생되는 음원의 명칭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E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부(111)는 제어부(1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 (Amplitude Modulation) 라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AM 신호 패스(210)와, FM (Frequency Modulation) 라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FM 신호 패스(220)를 포함한다.
AM 신호 패스(210)는 제1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 (211)와, 제1 증폭기(Amplifier, AMP) (212)와, 제2 저역 통과 필터(213)를 포함한다.
제1 저역 통과 필터(211)는 안테나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AM/FM 라디오 신호 중에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AM 라디오 신호를 통과시키고, FM 라디오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증폭기(212)는 제1 저역 통과 필터(211)를 통과한 A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폭기(212)는 AM 라디오 신호의 전압을 증폭하거나 AM 라디오 신호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저역 통과 필터(213)는 제1 증폭기(212)에 의하여 증폭된 AM 라디오 신호 중에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FM 신호 패스(22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 (221)와, 제2 증폭기(222)와, 제2 대역 통과 필터(223)와, 검출기(224)와, 가변 트랜스포머(225)와,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AGC)를 포함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221)는 안테나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AM/FM 라디오 신호 중에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FM 라디오 신호를 통과시키고,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AM 라디오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증폭기(222)는 제1 대역 통과 필터(221)를 통과한 F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증폭기(222)는 FM 라디오 신호의 전압을 증폭하거나 FM 라디오 신호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대역 통과 필터(223)는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 중에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검출기(224)는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검출기(224)는 감지된 FM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피드백 신호를 가변 트랜스포머(225)로 전달할 수 있다.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피드백 신호의 크기(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변화된 피드백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226)로 출력할 수 있다.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인덕터(Lin)와 출력 인덕터(Lout)를 포함한다.
입력 인덕터(Lin)는 제1 입력 턴수(Nin1)을 가질 수 있다.
입력 인덕터(Lin)는 입력 단자(IN),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와 연결된다. 입력 단자(IN)는 입력 인덕터(Lin)의 일 단에 연결되며, 제1 입력 단자(IN1)는 제1 입력 스위치(Sin1)을 통하여 입력 인덕터(Lin)의 타 단에 연결되며, 제2 입력 단자(IN2)는 제2 입력 스위치(Sin2)을 통하여 입력 인덕터(Lin)의 중간 부분에 연결된다.
제1 입력 스위치(Sin1)와 제2 입력 스위치(Sin2)의 동작에 의존하여 입력 인덕터(Lin)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 스위치(Sin1)와 제2 입력 스위치(Sin2)의 동작에 의존하여 입력 인덕터(Lin)의 턴수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스위치(Sin1)가 개방(오프)되고 제2 입력 스위치(Sin2)가 폐쇄(온)되면, 입력 인덕터(Lin)는 제1 입력 턴수(Nin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스위치(Sin1)가 폐쇄(온)되고 제2 입력 스위치(Sin2)가 개방(오프)되면, 입력 인덕터(Lin)는 제1 입력 턴수(Nin) 보다 작은 제2 입력 턴수(Nin2)를 가질 수 있다.
출력 인덕터(Lin)는 제1 입력 턴수(Nin)을 가질 수 있다.
출력 인덕터(Lout)는 출력 단자(OUT), 제1 출력 단자(OUT1), 제2 출력 단자(OUT2) 및 제3 출력 단자(OUT3)와 연결된다. 출력 단자(OUT)는 출력 인덕터(Lout)의 일 단에 연결되며, 제1 출력 단자(OUT1)는 제1 출력 스위치(Sout1)을 통하여 출력 인덕터(Lout)의 타 단에 연결된다. 제2 출력 단자(OUT2)는 제2 출력 스위치(Sout2)을 통하여 출력 인덕터(Lout)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제3 출력 단자(OUT3)는 제3 출력 스위치(Sout3)을 통하여 출력 인덕터(Lout)의 중간 부분에 연결된다. 제2 출력 단자(OUT2)가 출력 인덕터(Lout)과 연결되는 부분은 출력 단자(OUT)보다 제1 출력 단자(OUT1)에 더 가깝고, 제3 출력 단자(OUT3)가 출력 인덕터(Lout)과 연결되는 부분은 제1 출력 단자(OUT1)보다 출력 단자(OUT1)에 더 가깝다.
제1 출력 스위치(Sout1)와 제2 출력 스위치(Sout2)와 제3 출력 스위치(Sout3)의 동작에 의존하여 출력 인덕터(Lout)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출력 스위치(Sout1)와 제2 출력 스위치(Sout2)와 제3 출력 스위치(Sout3)의 동작에 의존하여 출력 인덕터(Lout)의 턴수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스위치(Sout3)가 폐쇄(온)되고 2 및 제3 출력 스위치(Sout2, Sout3)가 개방(오프)되면, 출력 인덕터(Lout)는 제1 출력 턴수(Nout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스위치(Sout2)가 폐쇄(온)되고 제1 및 제3 출력 스위치(Sout1, Sout3)가 개방(오프)되면, 출력 인덕터(Lout)는 제1 출력 턴수(Nout1) 보다 작은 제2 출력 턴수(Nout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출력 스위치(Sout3)가 폐쇄(온)되고 제1 및 제2 출력 스위치(Sout1, Sout2)가 개방(오프)되면, 출력 인덕터(Lout)는 제2 출력 턴수(Nout2) 보다 작은 제3 출력 턴수(Nout3)를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 스위치(Sin1)와 제2 입력 스위치(Sin2)와 제1 출력 스위치(Sout1)와 제2 출력 스위치(Sout2)와 제3 출력 스위치(Sout3)의 동작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Nout1/Nin1 또는 Nout2/Nin1 또는 Nout3/Nin1 또는 Nout1/Nin2 또는 Nout2/Nin2 또는 Nout3/Nin2의 변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를 제2 증폭기(222)의 입력 신호로 네거티브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의 증가에 의존하여 제2 증폭기(222)의 입력 신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입력 인덕터(Lin)와 출력 인덕터(Lout)는 각각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평면 스파이럴 코일(flat spiral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226)는 잡음의 세기 또는 출력 신호의 세기에 의존하여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이득 제어(226)는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면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저감시키고,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지 않으면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226)는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소시키고,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호 변조 현상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표시부(112)와 신호 처리부(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청취 주파수를 수신하고, 선택된 청취 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청취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추출하도록 신호 처리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된 잡음(N-1, N-2)의 세기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와 자동 이득 제어(226)를 제어할 수 있다.
자유 공간에는 방송 신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신호가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사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는 법률 등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되는 잡음(N-1, N-2)은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N-1, N-2)은 신호 처리기(113)에 포함된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N-1, N-2)을 제거하더라도 잡음(N-1, N-2)에 의하여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다른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발생된 잡음에 의하여 음향이 왜곡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발생되는 잡음은 대표적으로 고조파 잡음(harmonic noise)과 상호 변조 잡음(intermodulation noise)이 있다.
고조파 잡음과 상호 변조 잡음은 잡음(N-1, N-2)이 비선형 소자를 통과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된 잡음(N-1, N-2)이 자동 이득 제어(226)을 통과하는 동안 잡음(N-1, N-2)의 주파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과, 잡음(N-1, N-2)의 주파수 사이의 조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f1)의 제1 잡음(N-1)과 제2 주파수(f2)의 제2 잡음(N-2)이 비선형 소자에 입력되면, 제1 주파수(f1)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2f1, 3f1, ??)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과 제2 주파수(f2)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2f2, 3f2, ??)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f1)와 제2 주파수(f2)가 조합된 주파수(f1+f2, f1-f2, 2f1+f2, f1+2f2, 2f1-f2, 2f2-f1, ??)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 출력될 수 있다.
2f1-f2와 2f2-f1의 주파수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하 각각 '제1 상호 변조 잡음'과 '제2 상호 변조 잡음'이라 한다)은 본래의 잡음(N-1, N-2)의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의 주파수는 각각 제1 잡음(N-1)과 제2 잡음(N-2)의 주파수와 유사하다.
따라서, 잡음(N-1, N-2)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은 청취 주파수와 유사할 가능성이 있으며,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로 인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14)는 잡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와 자동 이득 제어(22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과 함께, 차량용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1000)이 설명된다.
오디오 장치(100)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한다(1010).
오디오 장치(100)는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211, 213) 및/또는 대역 통과 필터(221, 223)를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 신호로부터 FM 라디오 신호 및/또는 AM 라디오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1020).
오디오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2 증폭기(222)를 이용하여 F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를 검출기(224)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검출기(224)로부터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와 기준 값을 비교하고,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1020의 예), 오디오 장치(100)는 라디오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를 제어한다(1030).
가변 트랜스포머(225)는 예를 들어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를 제2 증폭기(222)의 입력 신호로 네거티브 피드백할 수 있다.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 제어부(114)는 예를 들어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출력 턴수/입력 턴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라디오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제1/제2 입력 스위치들(Sin1, Sin2)과 제1/제2/제3 출력 스위치들(Sout1, Sout2, Sout3)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라디오 신호의 크기의 증가에 의존하여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제1/제2 입력 스위치들(Sin1, Sin2)과 제1/제2/제3 출력 스위치들(Sout1, Sout2, Sout3)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가변 트랜스포머(225)를 이용하여 네거티브 피드백를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장치(100)는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의 저감 없이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를 제한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1020의 예), 오디오 장치(100)는 또한 자동 이득 제어(226)를 활성화한다(1040).
자동 이득 제어(226)는 예를 들어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에 의존하여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 제어부(114)는 예를 들어 제2 증폭기(222)에 입력되는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를 저감시키도록 자동 이득 제어(226)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이득 제어(226)는 제2 증폭기(222)에 의하여 증폭된 FM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면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처럼, 오디오 장치(100)는 자동 이득 제어(226)를 이용하여 제2 증폭기(222)의 출력의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오디오 장치(100)는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트랜스포머(225)를 제어한다(1050).
또한,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오디오 장치(100)는 자동 이득 제어(226)를 비활성화한다(1060).
이처럼,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이 작은 것이 예상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의 네거티브 피드백과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 제2 증폭기(22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증폭기(222)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 제어부(114)는 제2 증폭기(222)의 이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라디오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114)는 제2 증폭기(222)의 이득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제2 증폭기(222)의 이득의 제어와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의 제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증폭기(222)의 이득의 제어와 가변 트랜스포머(225)의 변환 비율의 제어를 연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100: 오디오 장치
110: 헤드 유닛 113: 신호 처리부
114: 제어부 120: 안테나 모듈
130: 스피커 모듈 210: AM 신호 패스
211: 제1 저역 통과 필터 212: 제1 증폭기
213: 제2 저역 통과 필터 220: FM 신호 패스
221: 제1 대역 통과 필터 222: 제2 증폭기
223: 제2 대역 통과 필터 224: 검출기
225: 가변 트랜스포머 226: 자동 이득 제어

Claims (20)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트랜스포머; 및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 및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한 변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이 최소 값이 되도록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를 제어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는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가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상호 연관된 입력 인덕터와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입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출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의 제어 신호와 상기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 조절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는 차량.
  13.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가변 트랜스포머에 의하여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정해진 변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을 변화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의 변환 비율이 최소 값이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상호 연관된 입력 인덕터와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입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입력 스위치들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일단 및 상기 출력 인덕터의 중간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입력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상기 출력 인덕터의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출력 신호가 포화되지 않도록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90071492A 2019-06-17 2019-06-1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3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92A KR20200143880A (ko) 2019-06-17 2019-06-1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686,655 US11082020B2 (en) 2019-06-17 2019-11-18 Apparatus for attenuating noise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92A KR20200143880A (ko) 2019-06-17 2019-06-1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80A true KR20200143880A (ko) 2020-12-28

Family

ID=7374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492A KR20200143880A (ko) 2019-06-17 2019-06-1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82020B2 (ko)
KR (1) KR20200143880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7697A (en) * 1949-10-28 1952-03-04 Stromberg Carlson Co Apparatus for testing amplifiers
US3134080A (en) * 1962-10-29 1964-05-19 Northern Electric Co Hybrid feedback amplifier
GB1511229A (en) * 1974-05-11 1978-05-17 Lucas Industries Ltd Electromagnetic position transducers
NL182109C (nl) * 1980-06-20 1988-01-04 Philips Nv Actieve antenne.
US4460875A (en) * 1982-06-21 1984-07-17 Northern Telecom Limited Negative feedback amplifiers including directional couplers
US5777468A (en) * 1996-12-19 1998-07-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sensor fault detection apparatus
US6285769B1 (en) * 1997-04-10 2001-09-04 Borealis Technical Limited Force balance microphone
US6628791B1 (en) * 1999-10-29 2003-09-30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 derived bias supply for electrostatic loudspeakers
US20060245603A1 (en) * 2005-03-23 2006-11-02 Kyodo Denshi Engineering Co., Ltd. Volume controller
US7863978B1 (en) * 2009-09-11 2011-01-04 Harris Corporation RF amplifier system for neutralizing internal capacitance in a cavity
US8929844B2 (en) * 2010-08-30 2015-01-06 Broadcom Corporation Variable gain control transformer and RF transmitter utiliz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2020B2 (en) 2021-08-03
US20200395910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886B2 (en) Speaker system to control directivity of a speaker unit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method thereof
KR100765790B1 (ko) 모바일 기기의 가변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JP2012090092A (ja) 音響信号処理装置
US8879754B2 (en) Sound reproducing system with superimposed digital signal
US20050195998A1 (en) Simultaneous audio playback device
KR100554066B1 (ko) 가변 평균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펄스폭 변조 방식 오디오증폭기
US8208639B2 (en) Audio output device and audio output method
KR20200143880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020076067A1 (en) Dynamic allocation of power supplied by a power supply and frequency agile spectral filtering of signals
CN102656904B (zh) 包括用于连接到一个或更多个外部扩音器的装置和用于检测此类连接的装置的设备
US7580532B2 (en) Multi-channel pulse width modulation apparatus
US8139798B2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6766026B2 (en) Dynamic allocation of power supplied by a power supply and frequency agile spectral filtering of signals
JP2002135886A (ja) 重低音ブースト装置
JP4672790B2 (ja) 音声出力装置
JPH0744996A (ja) ノイズ低減回路
RU2042284C1 (ru)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одящая стереосистема
KR20110017111A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라디오 신호 재생 방법
KR10181752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960016672B1 (ko) 음향기기의 음성개별조절장치
JP2007312163A (ja) オーディオ用増幅装置
EP3094110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 sound system, particularly in a vehicle
KR102109212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이퀄라이저 제어 방법
JP2004104922A (ja) 電源電圧制御装置
KR100507207B1 (ko) 에프엠 라디오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