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77A -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777A
KR20200142777A KR1020190070070A KR20190070070A KR20200142777A KR 20200142777 A KR20200142777 A KR 20200142777A KR 1020190070070 A KR1020190070070 A KR 1020190070070A KR 20190070070 A KR20190070070 A KR 20190070070A KR 20200142777 A KR20200142777 A KR 2020014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or
aerosol
handle
generating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049B1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7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49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a heater for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n extractor which can be detached from the receiving part and extracts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from the receiving part, wherein the extract comprises an extractor body, and a hand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main body so that a user can grip the extractor, and the handle par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extractor main body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에 핸들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기를 파지 및 분리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more easily grasp and separate the extractor by forming a handle portion on an extractor for extracting an aerosol-generated article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general aerosol-generating articles. For example, as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heated rather than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by burn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Accordingly, research on a heated aerosol generating article or a he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된 후 가열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한 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An aerosol may be generated by heating after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fter the user us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이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탈착 또는 변위 가능한 추출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출기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remov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 extractor capable of being detached or displac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the user may remov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rough the extractor.

다만, 종래의 추출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 수용부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추출기를 용이하게 파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출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s the conventional extractor is disposed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receiving portion inside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grip the extractor. Accordingly,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the extractor to remov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핸들부가 일 측에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 핸들부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추출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n extractor having a hand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a user. 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rip the extractor using the handle, and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efficiently remo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핸들부가 일 측에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an extractor formed on one side of a handle portion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a user.

또한 실시예들은 핸들부를 포함하는 제 1 추출기 부분과 제 1 추출기 부분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추출기 부분과 이격 가능한 제 2 추출기 부분을 구비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embodiments provide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xtractor having a first extractor portion comprising a handle portion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ortion by rotating about the first extractor portion.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기는 추출기 본체; 및 사용자가 상기 추출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한다.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 heater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extractor detachable from the receiving unit and extrac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extractor includes an extractor body; And a hand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extractor, wherein the handle part provides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extractor body.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may be displaced from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to a second position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a user by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or body.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부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for holding the handle part in the first position is formed on one of the handle part and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and a depression receiving the protrusion is the handle part and It may be formed on the other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어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시키되,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기 핸들부에 작용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to maintain the handle at the first position. When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for rotating the handle acts on the handle, the protrus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recess.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완곡한 외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전할 때 상기 함몰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The protrusion has a curved out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by sliding from the depression when the handle portion rotates.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상기 핸들부를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가 상기 핸들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상기 추출기 본체에 형성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upling memb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handle portion to the extractor body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and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extractor body.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추출기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추출기 본체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후크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기밀하게 인입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extractor body, and the coupling member has a shape of a hook whose diameter decreases as the coupling member approaches the extractor body from the handle portion. It can be airtight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상기 결합구는 상기 결합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져 상기 추출기 본체의 중심축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 may be inclined downwardl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diameter may decrease as it approaches the central axis of the extracto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상기 핸들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접촉하고, 상기 핸들부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n the groove is formed to receive the protrusion.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추출기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when the handl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thereby fixing the extractor to the receiving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상기 추출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추출기 본체의 외면에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리브와 결합되는 리브홈부가 형성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rib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ctor body, and a rib groove portion coupled to the rib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추출기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홈부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추출기를 가이드하며,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홈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추출기의 유격(裕隔)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xtracto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rib guides the extractor by sliding the rib groove portion, and the rib and the rib groove portion can prevent a gap of the extractor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상기 추출기는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추출기 부분;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추출기 부분;을 구비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or comprises: a first extractor portion including a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And a second extractor part that includes the other part of the extractor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art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art.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은 상기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ractor portion may comprise the handle portion.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과 상기 제 2 추출기 부분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extractor portion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may be fastened in a snap-fit manner.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출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내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추출기를 파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데에 불편함이 야기되었다.As the extractor of a conventional aerosol-generating device is disposed in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hold the extractor, and inconvenient in remov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s caused.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핸들부가 일 측에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한다. 추출기에 형성된 핸들부는 추출기로부터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 파지 공간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 보다 용이하게 추출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extractor having a hand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a user. The handle part formed on the extractor may rotate from the extractor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As the gripping space is provided, the user can more easily grip the extractor when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can be removed efficiently.

또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출기는 제 1 추출기 부분과 제 2 추출기 부분으로 분할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추출기 내부의 공동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거한 후 사용자는 용이하게 추출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ractor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divided into a first extractor portion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cavity inside the extractor accommod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exposed to the user, and after remov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 user may easily manage and maintain the inside of the extractor cleanly.

도 1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추출기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b는 따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추출기의 다른 양태에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핸들부 및 추출기 본체에 관한 예시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핸들부 및 추출기 본체의 A-A' 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핸들부 및 추출기 본체에 관한 예시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핸들부 및 추출기 본체의 B-B' 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C-C' 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추출기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추출기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xtractor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spect of an extractor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is an exemplar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n extractor body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extractor body shown in FIG. 2A in the AA′ direction.
3A is an exemplar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n extractor body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B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extractor body shown in FIG. 3A in the BB′ direction.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C′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A.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xtractor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extractor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certain part in the specification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provi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따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분리 사시도이다.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xtractor 130 in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B is a different view of the extractor 13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an aspect.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120), 및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부(110)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130)를 포함하되, 추출기(130)는 추출기 본체(131), 및 사용자가 추출기(1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135)를 포함하고,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한다.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 heater 120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 and an extractor 130 that is detachable to the receiving unit 110 and extracts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receiving unit 110, wherein the extractor 130 is an extractor body 131, and a user extractor 130 It includes a handle portion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so as to grip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handle portion 135 provides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extractor body 131.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this case,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10 for accommod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 heater 120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general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120.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to heat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히터(1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supplies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battery may supply power so that the heater 120 can be heated. In addition, the battery may supply power required to operate displays, sensors, and motors that may be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히터(12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사용자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삽입될 수 있는데,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히터(12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heater 120 may heat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he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by a user, and the inser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contact the heater 120.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히터(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2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the heater 120 may be located insid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ly, the heated heater 120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히터(120)는 전기 저항성 히터(1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2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2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2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heater 120 may be an electric resistive heater 120. For example, the heater 120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er 120 may be heated as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However, the heater 1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heated to a desired temperature. Here, the desired temperature may be preset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or may be set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user.

다른 예로, 히터(120)는 유도 가열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2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유도 가열식 히터(1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eater 12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Specifically, the heater 12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include a susceptor that can be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120. have.

도 1a 및 도 1b에는 히터(120)가 봉침형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히터(120)의 형상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2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In FIGS. 1A and 1B, the heater 120 is a rod needle type, and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ut the heater (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120)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eater 120 may include a tubular heating element, a plate-shaped heating element, a needle-shaped heating element, or a rod-shaped heating element, and heats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eating element. can do.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히터(12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20)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2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20)의 형상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ers 120 may be dispo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heaters 120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heaters 120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eater 120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1A and 1B,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부(110)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용부(110)와의 탈착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거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xtractor 13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receiving unit 110 and extracts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receiving unit 110. The extractor 130 may be configured to easily extract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extractor 13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remov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the detachment from the receiving part 110.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수용부(110)에 장착된 추출기(130)의 공동 내에 위치할 수 있다. Extractor 130 may include a cavity to receive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at is, 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located 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추출기(130)의 공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궐련과 같은 원기둥 형상일 때 추출기(130)의 공동은 궐련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or example, 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has a cylindrical shape such as a cigarette,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may be a shape and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igarette.

이때 추출기(130)의 공동의 형상 및 크기는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추출기(130)의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hape and size of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may be in airtight contact wit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so that the received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remov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extractor 130 are shown in the drawings. It is not limited by what is shown.

추출기(130)는 추출기(130)의 공동 내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추출기(130)의 공동 내에 위치할 때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or 130 may be detach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with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located with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For example, 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located 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the extractor 13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thereby extrac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I can.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연소 후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들을 보유할 수 있다. 이후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추출하는데, 이후 추출기(130) 내부에 보유된 입자들이 추출기(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The extractor 130 may retain particles that are discharg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fter combus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reafter, the extractor 130 is sepa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extract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fter which particles retained in the extractor 130 may be removed from the extractor 130.

예를 들어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된 후 공기나 물로 청소될 수 있으며, 추출기(130)가 청소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배출되어 추출기(130)에 보유되는 입자들 추출기(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기(130)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배출되어 추출기(130)에 보유되는 입자들은 추출기(13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후술될 또 다른 실시에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ractor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then cleaned with air or water, and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s the extractor 130 is cleaned and retained in the extractor 130 extractor Can be removed from 130. Accordingly, the extractor 130 may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retained in the extractor 130 need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extractor 130, which can be seen in more detail 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추출기(130)는 공동 내로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공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채널은 추출기(130)의 상부면으로부터 추출기(130)의 공동 내로 연장할 수 있으며, 공기 채널은 외부의 공기를 추출기(130)의 공동 내로 유동시킬 수 있다. 추출기(130)의 공동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함께 가열될 수 있다.The extractor 130 may include an air channel that allows air flow into the cavity. The air channel may exten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xtractor 130 into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and the air channel may flow external air into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may be heated wit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추출기(130)의 하부면에는 히터(12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기(13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탈착할 때 히터(120)는 추출기(130)의 공동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추출기(130)의 공동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접촉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er 120 may pass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or 130. Accordingly, when the extractor 130 is detach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heater 120 may be located 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and contact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to generate an aerosol. The article can be heated effectively.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는 추출기 본체(131) 및 사용자가 추출기(1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135)를 포함하고,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ractor 130 includes an extractor body 131 and a handle part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extractor 130. Including, the handle part 135 may provide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extractor body 131.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인 도 1a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분리 사시도인 도 1b를 비교하면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135)의 각각의 양태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1A,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xtractor 13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aspect of the extractor 13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aring FIG. 1B can be see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each aspect of the handle portion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도 1a는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추출기(130)는 추출기 본체(131)와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서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1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xtractor 130, the extractor 130 may include an extractor body 131 and a handle portion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Referring to FIG. 1A, in an aspect of the extractor 130, the handle part 135 may be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도 1b는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도 1b를 참조하면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서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제 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Figure 1b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xtractor 130. Referring to Figure 1b, in another aspect of the extractor 130, the handle part 13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or body 131 It can be located in one second position.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서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The handle part 135 may be displaced to a second position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by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or main body 131 at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extractor main body 131. have.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35)가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핸들부(135)는 사용자가 추출기(13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파지 공간은 예를 들어 핸들부(135)가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핸들부(135)와 추출기 본체(13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B, when the handle part 135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part 135 may provide a gripping space in which the user can grip the extractor 130. The gripping space may be, for example, a space formed between the handle part 135 and the extractor body 131 when the handle part 135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사용자는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할 때 제공되는 파지 공간을 통하여 추출기(13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된 추출기(13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may more easily grip the extractor 130 through a gripping space provided when the handle part 135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extract the aerosol-generating product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by separating the gripped extractor 130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핸들부(135)는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일 수 있다. 또한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은 모터와 같은 전기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힘일 수 있다.The handle part 135 may rotate by a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At this time,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may be an external force by a user. In addition,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may be a force provided through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motor.

예를 들어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일 때 사용자는 핸들부(135)에 힘을 제공하여 핸들부(1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135)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is an external force by the user, the user may rotate the handle part 135 by providing a force to the handle part 135. Accordingly, the handle part 135 may be displ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핸들부(135)의 외면에는 핸들부(135)에 제공되는 힘이 회전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캡부는 핸들부(135)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된 단턱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턱에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핸들부(135)를 핸들부(135)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A cap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35 so that the force provided to the handle portion 135 may act in the rotation direction. The cap portion may be a stepped step formed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and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stepped part to move the handle part 135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displaced from the 2nd position to the 1st position.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이 모터와 같은 전기 장치를 통하여 제공될 때 핸들부(135)는 모터를 통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때 전기 장치를 통하여 핸들부(135)에 작용하는 힘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데,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어 외부에 형성된 버튼에 소정 범위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When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is provided through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motor, the handle part 135 may be displ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rough the motor. have. At this time, the force acting on the handle part 135 through the electric devic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for example, a case where a pressure exceeding a predetermined range is applied to a button formed outside. , Is not limited thereto.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에 관한 예시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의 결합에 따른 A-A'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2a is an exemplar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135 and the extractor body 131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2b is the handle portion 135 and the extractor body shown in Figure 2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131).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를 제 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돌출부(1351)가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돌출부(1351)를 수용하는 함몰부(1311)가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1351 for maintaining the handle part 135 in the first position is formed on one of the handle part 135 and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 A depression 1311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351 may be formed on the other of the handle portion 135 and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는 핸들부(135)가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위치이며, 제 2 위치는 핸들부(135)가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위치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handle part 135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second posi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135 is away from the extractor body 131 It is a position that provides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by rotating it.

돌출부(1351)는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3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5)에 형성된 돌출부(1351)는 핸들부(135)의 내면으로부터 추출기 본체(131)를 향하여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51 may be formed on the handle part 135, as shown in FIGS. 2A and 2B,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351 formed on the handle part 135 may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toward the extractor body 131.

돌출부(1351)가 핸들부(135)에 형성될 때 돌출부(1351)를 수용하는 함몰부(1311)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부(1311)는 돌출부(13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외면으로부터 추출기 본체(131)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1351 is formed in the handle part 135, the depression 1311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35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depression 1311 is the protrusion ( It may be a portion formed concave toward the in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from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to accommodate the 1351.

다른 예시로서 돌출부(1351)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부(1351)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로부터 핸들부(135)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51)가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될 때 돌출부(1351)를 수용하는 함몰부(1311)는 핸들부(135)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부(135)의 내면에 형성된 함몰부(1311)는 돌출부(13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핸들부(135)의 내면으로부터 핸들부(135)의 외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135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351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toward the handle part 135. have. When the protrusion 135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the depression 1311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35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and The recessed portion 13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may be a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35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35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1351.

돌출부(1351) 및 함몰부(1311)는 핸들부(135)가 추출기 본체(131)에 결합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351) 및 함몰부(1311)의 크기는 돌출부(1351)가 함몰부(1311)에 수용되어 핸들부(135)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함몰부(1311)는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일 때 돌출부(1351)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되, 함몰부(1311)의 형상은 돌출부(135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351 and the depression 1311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handle part 135 is coupled to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size of the protrusion 1351 and the depression 1311 is a protrusion (1351)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311 may be tigh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handle portion 135. That is, the recessed portion 1311 is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1351 when the handle portion 135 is in the first position, but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1311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1351. have.

돌출부(1351) 및 함몰부(1311)의 위치, 크기, 및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에 불과하다. It is on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s, sizes, and shapes of the protrusions 1351 and 1311 are not limited by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changed as necessary.

돌출부(1351)는 함몰부(1311)에 수용되어 핸들부(135)를 제 1 위치에 유지시키되, 핸들부(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핸들부(135)에 작용할 경우 돌출부(1351)는 함몰부(13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351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art 1311 to maintain the handle part 135 in the first position, but when a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or rotating the handle part 135 acts on the handle part 135, the protrusion ( 1351 may be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1311.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351)가 함몰부(1311)에 수용됨에 따라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유지됨에 따라 핸들부(135)가 외부 작용에 의해 요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유지됨에 따라 핸들부(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핸들부(135)에 제공되기 전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handle part 135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handle part 135 may be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as the protruding part 1351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art 1311. At this time, as the handle part 135 is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handle part 135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by an external action. That is, as the handle part 135 is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handle part 135 is stable to the extractor body 131 bef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force for rotating the handle part 135 is applied to the handle part 135. Can be fixed as

핸들부(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핸들부(135)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은 모터와 같은 전기 장치를 통하여 핸들부(135)에 제공될 수 있다.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or rotating the handle part 135 may be provided to the handle part 135 by, for example, an external force by a user. In addition, a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or rotating the handle part 135 may be provided to the handle part 135 through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motor.

이때 핸들부(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은 돌출부(1351)가 함몰부(1311)에 수용됨에 따라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유지되는 힘보다 큰 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c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for rotating the handle portion 135 may be a force greater than the force that the handle portion 135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as the protruding portion 1351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311.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돌출부(1351)는 완곡한 외면을 갖고, 돌출부(1351)는 핸들부(135)가 회전할 때 함몰부(131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함몰부(1311)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부(135)에 외력을 작용하여 핸들부(135)를 회전시킬 때 돌출부(1351)는 함몰부(131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함몰부(1311)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1351 has a curved out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1351 slides from the depression 1311 when the handle part 135 rotates, so that the depression 1311 ) Can be deviated from.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handle part 135 to rotate the handle part 135, the protrusion 1351 may slide away from the recessed part 1311 by sliding away from the recessed part 1311.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에 관한 예시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의 B-B' 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3A is an exemplar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art 135 and the extractor body 131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3B is the handle part 135 and the extractor shown in FIG. 3A. It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131 in the BB' direction.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를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1352)가 핸들부(135)에 형성되고, 결합 부재(1352)가 삽입되는 결합구(1302)가 추출기 본체(131)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upling member 1352 rotatably coupling the handle part 135 to the extractor body 131 is formed on the handle part 135, and the coupling member 1352 A coupling hole 1302 into which)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extractor body 131.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추출기 본체(131)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part 135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extractor body 131. The handle part 135 may be coupled to the extractor body 131 to rotate from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to a second position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이때 핸들부(135)는 결합 부재(1352)를 통하여 추출기 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결합 부재(1352)는 핸들부(135)로부터 추출기 본체(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dle part 1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ractor body 131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352, and the coupling member 135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handle part 135 toward the extractor body 131. I can.

결합 부재(1352)는 핸들부(135)의 양 단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52)는 핸들부(135)의 양 단부 내면으로부터 추출기 본체(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1352)가 삽입되는 결합구(1302) 또한 추출기 본체(131)에서 결합 부재(1352)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1352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The coupling member 1352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in a direction toward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coupling member 1352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1352 is inserted, and the extractor body 131 It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member 1352 in.

결합 부재(1352) 및 결합 부재(1352)가 삽입되는 결합구(1302)의 크기, 위치, 및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size, position, and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1352 and the coupling member 1302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1352 is inserted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changed as necessary.

핸들부(135)에 형성된 결합 부재(1352)는 추출기 본체(131)에 형성된 결합구(1302)에 삽입됨으로써 핸들부(135)를 추출기 본체(131)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결합 부재(1352)가 삽입되는 결합구(1302)는 결합 부재(1352)가 결합구(130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되, 삽입된 결합 부재(1352)가 결합구(13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1352 formed on the handle part 135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02 formed in the extractor body 131 to couple the handle part 135 to the extractor body 131, the coupling member 1352 The coupling member 1302 into which is inserted allows the coupling member 1352 to rotate within the coupling hole 1302, but a siz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serted coupling member 135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302 And may have a shape.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결합 부재(1352)가 핸들부(135)로부터 추출기 본체(131)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후크 형상을 가짐에 따라 결합 부재(1352)가 결합구(1302)에 기밀하게 인입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1352 has a hook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as the coupling member 1352 approaches the extractor main body 131 from the handle part 135. ) May be hermetic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02.

결합 부재(13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135)의 양 단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 부재(1352)는 핸들부(135)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추출기 본체(131)를 향하여 연장되는데, 결합 부재(1352)의 직경의 크기는 핸들부(135)로부터 추출기 본체(131)에 가까워질수록 감소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52)는 후크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도 3a에 도시된 핸들부(135) 및 추출기 본체(131)의 B-B' 방향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도 3b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1352 may b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upling member 1352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toward the extractor body 131, respectively, and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1352 is close to the extractor body 131 from the handle part 135 It can decrease as it gets worse. The coupling member 1352 has a hook shape, which can be see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135 and the extractor body 131 shown in FIG. 3A in the direction B-B'.

핸들부(135)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결합 부재(1352)는 추출기 본체(131)의 결합구(1302)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구(1302)의 직경의 크기는 결합 부재(1352)의 가장 큰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결합 부재(1352)가 핸들부(135)로부터 추출기 본체(131)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후크 형상을 갖고, 결합구(1302)의 직경의 크기가 결합 부재(1352)의 가장 큰 직경 보다 작음에 따라 결합구(1302)에 삽입된 결합 부재(1352)는 결합구(1302)에 기밀하게 인입되어 결합구(13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s 1352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302 of the extractor body 131.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1302 may be smaller than the largest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1352. That is, the coupling member 1352 has a hook shape in which the size of the diameter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extractor body 131 from the handle part 135, and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member 1302 is the largest of the coupling member 1352. As th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larger diameter, the coupling member 1352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02 may be airtight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02 an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302.

결합구(1302)는 결합 부재(135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1352)가 핸들부(135)로부터 추출기 본체(131)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후크 형상을 가질 때, 결합구(1302)는 결합 부재(135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져 추출기 본체(131)의 중심축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The coupler 130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1352. 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member 1352 has a hook shape in which the size of the diameter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extractor body 131 from the handle part 135, the coupling hole 1302 is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1352 The diameter may be decreased as the extractor body 131 inclines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axis of the extractor body 131.

결합구(1302)가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져 추출기 본체(131)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결합 부재(1352)가 결합구(1302)에 삽입될 때 결합 부재(1352)의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 하기 용이하다.As the coupling member 1302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extractor body 131, the coupling member 1352 when the coupling member 135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02 It is easy to accurately guide the position of.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C-C' 방향의 결합 단면도이다.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4B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A in the C-C′ direction.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110)의 내면과 접촉하고, 핸들부(135)의 외면에는 수용부(110)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353)가 형성되며, 수용부(110)의 내면에는 돌기부(1353)를 수용하는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is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A protrusion part 1352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direction may be formed, and a groove part 111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part 135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다. 추출기(13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장착될 때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핸들부(135)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11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or 130 is detachable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When the extractor 13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handle part 135 may be in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handle When the part 135 is in the first positi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의 외면에는 수용부(110)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353)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353)는 핸들부(135)의 외면으로부터 수용부(110)의 내면을 향하여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기부(1353)는 2 개로서 핸들부(135)의 양 단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1352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The protrusion 1352 may be forme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135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for example, two protrusions 13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35 Can be formed symmetrically.

수용부(110)의 내면에는 돌기부(1353)를 수용하는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1)는 수용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수용부(110)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동일 수 있다. A groove 111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35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groove 111 may be a cavity formed concave in a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10.

돌기부(1353)는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일 때 홈부(111)에 수용됨으로써 추출기(13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핸들부(135)에 형성된 돌기부(1353)는 수용부(110)의 홈부(111)와 결합되어 추출기(130)를 수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추출기(130)가 수용부(110)와 더욱 밀착되어 접촉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52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11 when the handle part 135 is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extractor 130 may be fixed to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at is, the protrusion portion 1352 formed on the handle portion 135 may be coupled with the groove portion 111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o fix the extractor 130 to the receiving portion 110, whereby the extractor 130 It is possible to contact the receiving portion 110 and more in close contact.

돌기부(1353)는 추출기(13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핸들부(135)가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52 is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extractor 130 is fixed to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the handle part 135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131 Can be kept on.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핸들부(135)에 형성된 돌기부(1353) 및 돌기부(1353)를 수용하는 홈부(11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1352 formed on the handle part 135 and the groove 111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53 may have positions, shapes, and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돌기부(1353)가 홈부(111)에 수용된 후, 핸들부(135)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제공되었을 때 핸들부(135)의 돌기부(1353)는 홈부(111)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핸들부(135)의 돌기부(1353)가 홈부(111)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핸들부(135)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할 수 있으며 파지 공간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파지 공간을 통하여 추출기(13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After the protrusion 1352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11,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to the handle part 135, the protrusion 1352 of the handle part 135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111. As the protrusion 1352 of the handle part 135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part 111, the handle part 135 may rotat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gripping spa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may more easily grip the extractor 130 through the provided gripping space.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 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추출기 본체(131)의 외면에 리브(1303)가 형성되고, 수용부(110)의 내면에는 리브(1303)와 결합되는 리브홈부(1101)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rib 130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a rib 130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 And the rib groove portion 1101 may be formed.

추출기(130)가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리브(1303)는 리브홈부(1101)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추출기(130)를 가이드하며, 리브(1303) 및 리브홈부(1101)는 수용부(110)에 대한 추출기(130)의 유격(裕隔)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xtractor 1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the rib 1303 guides the extractor 130 by sliding in the rib groove 1101, and the rib 1303 and the rib groove 1101 are the receiv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裕隔) of the extractor 130 for ).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 본체(131)에는 리브(1303)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3)는 추출기 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추출기 본체(13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리브(1303)는 핸들부(135)가 형성된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의 반대편인 추출기 본체(131)의 타 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rib 1303 may be formed in the extractor body 131. The rib 130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rib 1303 is the opposit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on which the handle part 135 is formed. It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hosphor extractor body 131.

리브(1303)는 추출기 본체(131)의 외면으로부터 융기된 부분일 수 있으며 추출기 본체(131)의 외면에 대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1303)는 추출기 본체(131)의 길이의 0.2 내지 0.6 크기만큼 추출기 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추출기 본체(131)의 외면을 따라 3 개의 리브(1303)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리브(1303)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rib 1303 may be a portion rai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may be formed in plural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131. For example, the rib 1303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by 0.2 to 0.6 of the length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ree ribs 1303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131 ) Can be formed. However, 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ribs 1303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s necessary.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수용부(110)의 내면에는 리브(1303)와 결합되는 리브홈부(11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리브홈부(1101)는 리브(130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브(1303)에 대응되는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rib groove portion 1101 coupled with a rib 130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rib groove portion 1101 includes a rib 1303 It may have a size, shape,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b 1303 to accommodate it.

추출기(130)가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리브(1303)는 리브홈부(1101)에 슬라이딩하는데, 이에 따라 추출기(130)가 수용부(110)에 삽입될 때 추출기(130)가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리브(1303) 및 리브홈부(1101)는 서로 결합하여 수용부(110)에 대한 추출기(130)의 유격(裕隔)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extractor 1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the rib 1303 slides into the rib groove 1101, and accordingly, the extractor 130 guides when the extractor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110 Can be. In addition, the rib 1303 and the rib groove 110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a gap of the extractor 130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110.

즉, 리브(1303)는 추출기(130)가 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추출기(130)를 가이드하며, 추출기(130)가 수용된 후 추출기(130)가 수용부(110) 내부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전체의 유격 및 요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rib 1303 guides the extractor 130 when the extractor 1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and the extractor 130 swings inside the receiving unit 110 after the extractor 130 is accommodated. By preventing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lay and vib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s a whole.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xtractor 130 in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6B is a view of the extractor 130 in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aspect.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추출기 부분(130a) 및 추출기 본체(131)의 타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추출기 부분(130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추출기 부분(130a)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추출기 부분(130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추출기 부분(130a)은 핸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or 130 includes a first extractor part 130a including a part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other part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first It is possible to have a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by rotating about the extractor portion 130a. At this time,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135.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는 제 1 추출기 부분(130a) 및 제 2 추출기 부분(130b)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tractor 130 may include a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제 1 추출기 부분(130a)은 추출기 본체(131)의 일 부분과 핸들부(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추출기 본체(131)의 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추출기 부분(130a)은 핸들부(135) 및 핸들부(135)와 접촉 연장되는 추출기 본체(131)의 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추출기 본체(131)의 일 부분을 제외한 추출기 본체(131)의 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and the handle portion 135,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include the other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For example,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135 and a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131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135,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is an extractor body Other parts of the extractor body 131 may be included except for one part of the 131.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인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추출기 부분(130a) 및 제 2 추출기 부분(130b)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인 추출기(130)의 일 양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xtractor 13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t can be see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one aspect of the extractor 130 when.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서로 기밀하게 체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be fastened in a snap-fit manner. At this time,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avity for accommod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분리 사시도인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추출기 부분(130a) 및 제 2 추출기 부분(130b)이 서로 이격되었을 때인 추출기(130)의 다른 양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xtractor 130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an be see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other aspects of the extractor 130 when.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제 1 추출기 부분(130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제 1 추출기 부분(130a)에 대하여 힌지 결합할 수 있으며, 힌지 결합된 제 2 추출기 부분(130b)의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제 1 추출기 부분(130a)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In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For example, the second extractor part 130b may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art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art 130b around one end of the hinged second extractor part 130b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제 2 추출기 부분(130b)은 제 1 추출기 부분(130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추출기 부분(130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데, 추출기(130)가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으로 분할되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추출기(130) 내부의 공동이 분할될 수 있다.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wherein the extractor 130 has a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130a. As divided into 130b)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avity inside the extractor 130 may be di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기(130)는 추출기(130)의 공동 내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ractor 130 may be detach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gether with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located in the cavity of the extractor 130,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extrac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추출기(13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추출할 때 연소 후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들이 추출기(130) 내에 보유될 수 있는데,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추출기(130)는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으로 이격됨에 따라 추출기(130) 내부의 공동이 분할되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출기(130) 내부에 보유된 입자들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추출기(130)의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extrac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through the extractor 130,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fter combustion may be retained in the extractor 130, and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As the extractor 130 of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art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art 130b, the cavity inside the extractor 130 is divided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remove the particles held in the extractor 130, and can manage and maintain the inside of the extractor 130 cleanly.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핸들부(135)가 추출기 본체(131)의 일 측에 형성된 추출기(130)를 포함한다. 추출기(130)에 형성된 핸들부(135)는 추출기 본체(131)로부터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 파지 공간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사용할 때 보다 용이하게 추출기(130)를 파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n extractor 130 in which a handle part 135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a us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131. The handle part 135 formed on the extractor 130 can be rotated from the extractor body 131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As the gripping space is provided,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u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extractor 130 can be gripped and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efficiently remov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00.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추출기(130)는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으로 분할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 추출기 부분(130a)과 제 2 추출기 부분(130b)이 이격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추출기(130) 내부의 공동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사용한 후 사용자는 용이하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거할 뿐 아니라 추출기(130)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다.The extractor 130 of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divided into a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extractor portion 130a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13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avity inside the extractor 130 for accommod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exposed to the user. Accordingly, after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s well as cleanly manage and maintain the inside of the extractor 130.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appreciate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수용부
111: 홈부 1101: 리브홈부
120: 히터 130: 추출기
130a: 제 1 추출기 부분 130b: 제 2 추출기 부분
1302: 결합구 1303: 리브
131: 추출기 본체 1311: 함몰부
135: 핸들부 1351: 돌출부
1352: 결합 부재 1353: 돌기부
100: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 receiving portion
111: groove 1101: rib groove
120: heater 130: extractor
130a: first extractor portion 130b: second extractor portion
1302: coupling port 1303: rib
131: extractor main body 1311: depression
135: handle portion 1351: protrusion
1352: coupling member 1353: protrusion

Claims (16)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기는 추출기 본체; 및 사용자가 상기 추출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 receiving part accommod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 heater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Includes; an extractor detachable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extrac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rom the receiving portion,
The extractor includes an extractor body;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ractor body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extractor.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relative to the extractor body to provide a gripping space to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파지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위치로 변위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portion is displaced from a first positio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to a second position providing a gripping space to a user by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o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함몰부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protrusion for holding the handle part in the first position is formed at one of the handle part and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s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handle portion and one end of the extractor body and the handle portion receiving the protru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어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 1 위치에 유지시키되,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기 핸들부에 작용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d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to maintain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When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for rotating the handle portion acts on the handle portion, the protrus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완곡한 외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부가 회전할 때 상기 함몰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sion has a curved outer surface,
The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by sliding from the depression when the handle portion rot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상기 추출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가 상기 핸들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상기 추출기 본체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memb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handle portion to the extractor body is formed on the handle portio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extractor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추출기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추출기 본체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의 크기가 감소되는 후크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기밀하게 인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the handle portion toward the extractor body,
As the coupling member has a hook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extractor body from the handle portion, the coupling member is airtight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결합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져 상기 추출기 본체의 중심축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upling member is inclined downwardl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so that the diameter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central axis of the extracto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접촉하고,
상기 핸들부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receive the protrus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추출기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si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thereby fixing the extractor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추출기 본체의 외면에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리브와 결합되는 리브홈부가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or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ractor body,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rib groove portion coupled to the ri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홈부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추출기를 가이드하며,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홈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추출기의 유격(裕隔)을 방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extracto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the rib guides the extractor by sliding in the rib groove,
The rib and the rib groove portion to prevent a gap (裕隔) of the extractor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는 상기 추출기 본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추출기 부분; 및
상기 추출기 본체의 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추출기 부분;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or comprises: a first extractor portion comprising a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And
A second extractor portion comprising the other portion of the extracto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ractor portion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ractor por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은 상기 핸들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extractor portion comprises the handle por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출기 부분과 상기 제 2 추출기 부분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wherein the first extractor portion and the second extractor portion are fastened in a snap-fit manner.
KR1020190070070A 2019-06-13 2019-06-13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253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70A KR102253049B1 (en) 2019-06-13 2019-06-13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70A KR102253049B1 (en) 2019-06-13 2019-06-13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77A true KR20200142777A (en) 2020-12-23
KR102253049B1 KR102253049B1 (en) 2021-05-17

Family

ID=7408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70A KR102253049B1 (en) 2019-06-13 2019-06-13 Aerosol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4843A1 (en) * 2020-12-25 2022-06-30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extractor assembly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59B1 (en) * 2008-08-25 2008-12-16 이동훈 Vacuum inhalation type herb extractor
CN108497560A (en) * 2018-05-23 2018-09-07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Toast smoking set
KR20190029780A (en) * 2015-02-06 2019-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Improved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190048731A (en) * 2017-10-31 2019-05-09 최영준 A vaporizing type smok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59B1 (en) * 2008-08-25 2008-12-16 이동훈 Vacuum inhalation type herb extractor
KR20190029780A (en) * 2015-02-06 2019-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Improved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190048731A (en) * 2017-10-31 2019-05-09 최영준 A vaporizing type smoking device
CN108497560A (en) * 2018-05-23 2018-09-07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Toast smoking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4843A1 (en) * 2020-12-25 2022-06-30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extractor assembl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049B1 (en)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0113B2 (en) System with aerosol generator and adapter element
KR102368912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induction heater
EP3777585B1 (en) Support assembly for aerosol generator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2385979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and insertable heating compartment
KR102612201B1 (en) A cleaning tool configured to clea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 set of cleaning tools for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of cleaning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the cleaning tool.
EP3804547B1 (en) Aerosol generator
JP7432504B2 (en) Aerosol generator with holding mechanism
JP2019519201A (en) Aerosol generator provided with fixing means
JP2018043010A (en) Hand held appliance
KR102253049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412630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102333223B1 (en) Cleaning k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000528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190038179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n attachable heater
JP2022540095A (en) Cold smoking article cigarette holder, cold smoking article and cold smoking article assembly
KR20210156117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4460957B2 (en) Hot curler heating device
JP2005312647A (en) Heating device of hair curler
KR20230066027A (en) Aerosol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