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258A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258A
KR20200142258A KR1020190069284A KR20190069284A KR20200142258A KR 20200142258 A KR20200142258 A KR 20200142258A KR 1020190069284 A KR1020190069284 A KR 1020190069284A KR 20190069284 A KR20190069284 A KR 20190069284A KR 20200142258 A KR20200142258 A KR 2020014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tem
setting items
item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1588B1 (en
Inventor
최원규
김명구
유새아름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588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 items.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set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a shopping mall,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t items has at least two set values; analyzing the collected set valu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degree of item association between at least two set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set items; and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t items by genera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t items and the degree of item association between the at least two set items as an object and placing the object on a visualization space.

Description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Method, device, and system to visualize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본 발명은 선택 메뉴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으로 메뉴를 선택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선택 메뉴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lection menus, and to a method of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lection menus in order to support a user to select a menu more efficiently.

소프트웨어에는 다양한 설정사항이 존재하고, 과도하게 많은 설정사항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프로그램 사용도 전에 피로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다양한 설정사항 중 일부(예컨대, 사용자 ID, 가일일시, 생년월일 등)는 사용자별로 고유한 값이 있는 경우도 있고, 다른 일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값이 같은 경우도 있다(예컨대, 국가, 사용언어, 이메일 수신 여부 등). 또한, 특별하게 설정할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대부분 기본값(디폴트 값: default)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There are various settings in the software, and excessively many settings make the user of the software feel tired before using the program. Some of these various settings (e.g., user ID, date of birth, date of birth, etc.) may have unique values for each user, and in other cases, most of the values may be the same (e.g., country, language , E-mail reception, etc.). Also, when there is no special setting, most tend to accept the default value (default).

이러한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시의 다양한 설정의 선택 중 일부(예컨대, 할인혜택 받기)는 그 선택이 너무나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필요없이 설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불필요한 설정항목은 사용자 입력의 개수를 증가시켜 소프트웨어의 편리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설정항목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설정항목을 다시 검토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생성된 설정항목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이다. 특히, 쇼핑몰을 운영 및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지원하는 업체의 개발자는 쇼핑몰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의 이해도를 감안하여 설정항목 및 설정값을 생성해야 하는데,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물품, 쇼핑몰의 매출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쇼핑몰 운영의 설정사항이 많이 바뀌는 실정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최초 개발 시점에 설정항목 및 설정값을 적절히 생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이를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어려운 문제이다. In this situation, some of the selection of various settings when using the software (e.g., receiving discount benefits) may require setting without necessity, even though the selection is too clear, and such unnecessary setting items reduce the number of user inputs.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software. In particular, since software developers rarely review the generated setting items again after creating the setting item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duce the generated setting items. In particular, developers of companies that support software platforms that operate and manage shopping malls need to create setting items and setting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users who are new to shopping malls, and various factors such as goods handled by shopping malls and sales of shopping mall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operly generate the setting items and setting values at the time of initial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se parts, and making them efficient is too difficult in reality.

추가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설정값으로 사용하는 기본값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값이여야 바람직하나, 한번 정해진 기본값이 시간이 많이지나 환경이 변했음에도 변하지 않아 소프트웨어의 설정 효율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the default value that most users use as a setting value should be the value that the user uses the most, but the default value once set does not change even though the environment has chang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us deteriorating the software setting efficiency.

또한, 상관성이 있는 설정항목들의 처리가 미비하여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설정항목들이 서로 다른 테이블의 설정항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일괄적인 설정의 변경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llectively change the settings because the related setting items are poorly processed and closely related setting items are arranged as setting items in different tabl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설정항목을 설계하는 운영자가 설정항목간의 항목연관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so that an operator who designs the setting items intuitively understands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setting items.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은,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상기 수집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Each of the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alyzing the collected setting value information to calculate an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t least a part of and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may be generated as an object and placed on the visualization space, thereby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하나의 노드(node)로 오브젝트화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는 두 노드를 잇는 연결 선으로 오브젝트화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may be objected to one node, and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may be objected to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two nodes.

상기 노드는 설정항목이 속한 설정항목 테이블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node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visual representations according to the setting item table to which the setting item belongs.

상기 시각화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노드들과 그 연결선만 상기 시각화 공간 상에 배치시켜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sualizing may include visualizing by placing only nodes belonging to a specific setting item table and their connection lines on the visualization space according to a user input.

상기 연결 선은 항목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visual represent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상기 연결 선은 항목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굵기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상기 연결 선은 상기 연결 선과 연관된 두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as at least one of two node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line.

상기 항목연관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설정항목들 및 해당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는 상기 시각화 공간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The setting items having the item association degree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corresponding setting items may not be displayed on the visualization space.

상기 노드 주변에, 상기 노드와 관련된 설정항목의 식별자 또는 설정항목의 이름을 오브젝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Around the node, an identifier of a setting item related to the node or a name of a setting item may be displayed as an object.

상기 노드와 상기 연결선은 3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node and the connection line may b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함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식별되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In response to selecting a specific node by user input, the specific nod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pecific node may be visualized to be identified.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하여 이동시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가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response to selecting and moving a specific n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specific node may be moved and disposed.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하여 이동시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가 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In response to selecting and moving a specific n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specific node can be visualized to move dynamically.

상기 노드의 크기는, 노드의 엔트로피 값에 비례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node may be proportional to the entropy value of the node.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노드와 연관된 상세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In response to selecting a specific n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detailed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specific node may be displayed.

상기 항목연관도는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1 설정항목에 대한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대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에 속한 제 2 설정항목에 대한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인지함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을 나타내는 정보 이득(information gain) 값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e item association diagram is generated by additionally recog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second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compared to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first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t can be calculated by an information gain value representing the gain.

상기 항목연관도는,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1 설정항목의 제 1 엔트로피 값과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2 설정항목의 제 2 엔트로피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페어링한 설정항목 쌍의 제 3 엔트로피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3 엔트로피 값과, 상기 제 1 엔트로피 및 상기 제 2 엔트로피 중 적어도 하나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생성되는 엔트로피 이득 값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The item association diagram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t least one of a first entropy value of a first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a second entropy value of a second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1 It is generated by calculating a third entropy value of a pair of setting items in which the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are paired,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third entropy value and the first entropy and the second entropy It can be derived based on the entropy gain valu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장치는,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 및 프로세서(processor)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및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and related to an operation of a processor. Item association betwee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by analyzing the memory for storing a comm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hopping malls Calculate a degree, and visualize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by generat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as an object and placing them in the visualization space. It may include a process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시스템은, 제 1 쇼핑몰과 관련하여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로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thod for setting a setting value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a shopping mall in relation to a first shopping mall.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user interface to a server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by analyz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Calculate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at least two of the setting items, create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as an object and place it on the visualization space By means of sikim, it may include a server that visualiz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은,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set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Each of the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in which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are grouped), a setting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Analyzing the items to calculate and visualize an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and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Calculating and visualizing an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 items in the first set item table and a second set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correlation degree in the second set item table. Visualization of the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by visualizing the correlation of the items of the setting items by calcul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setting items and the second setting items Visualizing by linking the set items may be inclu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장치는,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 및 프로세서(processor)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며,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visualizing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 comm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grouped by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tables, calculating and visualizing the correlation of items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Are analyzed to calculate and visualize an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nd an item in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correlation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By calculating the item relevance of the second setting item with a relatively high degree of association, and visualizing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the It may include a processor for visualizing by linking the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시스템은, 제 1 쇼핑몰과 관련하여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로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며,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thod for setting a setting value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a shopping mall in relation to a first shopping mall.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user interface from a server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grouping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and the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calculating and visualizing the degree of correlation of items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a second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with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orrelation of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re visualized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Visualized setting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by visualizing the correlation of the second setting item with the first setting item by calculating the item relevance of the second setting item with a relatively high item correlation in the item table It may include a server for visualizing by linking items and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소프트웨어의 이용시의 다수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설정과정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의 이용효율, 나아가 쇼핑몰 운영자의 쇼핑몰 운영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setting a number of setting items when using the software of the user is efficiently mad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software and further, the shopping mall operation efficiency of the shopping mall operator.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다수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한 집중도 요약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특정 테이블에 포함된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테이블 형태로 요약한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에 포함된 설정항목 각각의 설정값을 상세히 보기 위한 설정항목별 통계 값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집중도 산출을 위해 25개의 쇼핑몰이 6개 설정항목에 대해 설정한 샘플 값을 도시한 테이블,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6개의 설정항목별로 설정값들의 집중도 지표를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 테이블,
도 8은 도 7의 결과를 요약한 요약 테이블,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집중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기본설정과 고급설정을 구분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고급설정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상위설정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항목간 항목연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기 위한 실시예 두 가지를 나타낸 테이블,
도 14는 도 13의 두 가지 실시예에서의 엔트로피 이득 값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
도 15는 설정항목 테이블 간의 엔트로피 이득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항목 연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17은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를 이용하여 스타일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특성에 따른 설정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9는 도 18의 방법에 따라 매출에 따른 쇼핑몰 특성을 기반으로 특정 설정항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매출 규모와 최대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의 점유율을 기반으로 쇼핑몰 특성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쇼핑몰의 설정항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2는 키 질문(key question)의 응답 정보에 따라 적합한 스타일의 설정값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4는 도 23의 방법에 따라 하나의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3의 방법에 따라 복수 개의 테이블의 설정항목의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to which a method for adjus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concen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ummary graph of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can be seen at a glance;
4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item summary table summarizing the concentration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a specific table in a table format;
5 is a diagram showing statistical values for each setting item for detailed viewing of setting values of each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of FIG. 4;
6 is a table showing sample values set by 25 shopping malls for 6 setting items for calculating concentration;
FIG. 7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index of setting values for each of six setting it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8 is a summary table summarizing the results of FIG. 7;
9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concentr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dvanced settings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dividing basic settings and advanced settings;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iodically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10 to change an upper setting value;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able showing two embodiments for calculating an item association degree;
14 is a tab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ntropy gain value in the two embodiments of FIG. 13;
1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ntropy gain value between setting item tables;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item correlation diagram calc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yle us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shopping mal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analyzing specific setting items based 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al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8;
20 is a graph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ouping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based on a sales scale and a share of a set value having a maximum selection share;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suitability of a setting item of a first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loading a setting value of a suitable style according to response information of a key question;
2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visualiz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visualization of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in one tab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3;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visualization of an item association diagram of setting items of a plurality of tabl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3;
2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시스템User interface adjust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시스템은 쇼핑몰을 운영하는 쇼핑몰 운영자의 사용자 단말(110-1~110-N), 네트워크(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to which a 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ser terminals 110-1 to 110-N, a network 120, and a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of a shopping mall operator operating a shopping mall. 130) may be included.

도 1을 참조하면, 쇼핑몰(110-1~110-N)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 및/또는 서비스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의미할 수 있다. 쇼핑몰(110-1~110-N)은 인터넷 상의 특정 웹 사이트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110-1~110-N)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와 연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는 온라인 쇼핑몰들(110-1~110-N)의 운영 정보 및 상품 정보 등을 관리하는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들(110-1~110-N)에 쇼핑몰 운영과 관련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운영자가 용이하게 쇼핑몰들(110-1~110-N)을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겨나는 쇼핑몰의 운영정보, 상품정보, 판매정보, 고객정보 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의 내부 스토리지 또는 외부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shopping malls 110-1 to 110 -N may refer to online shopping malls that sell products and/or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s 110-1 to 110-N operate based on a specific web site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hopping malls 110-1 to 110 -N interwork with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through the networ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may operate as a server that manages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of the onlin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and the online shopping malls 110 By providing a platform related to shopping mall operation to -1 to 110-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operator to easily open and operat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In addition, oper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sales information, customer information, etc. of the shopping mall generated in this process may be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of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or an external large-capacity datab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장치는 서버 급 컴퓨터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장치는 통상적인 컴퓨터 단말이 가지는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네트워킹 장치, 하드디스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서버 급 컴퓨터 단말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er device referred to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class computer terminal. The computer device may include an input device of a typical computer terminal, a display device, a networking device, a hard disk,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as a server-class computer terminal.

쇼핑몰(110-1~110-N)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상기 쇼핑몰(110-1~110-N)의 운영자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단말도 스마트폰,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쇼핑몰(110-1~110-N)의 상기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쇼핑몰(110-1~110-N)의 운영과 연관된 신호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로 제공함에 의해 쇼핑몰(110-1~110-N)의 운영을 관리한다. User terminals (not shown) associated with shopping malls 110-1 to 110-N include terminals of operators of th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The terminal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PC.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specific website of th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and provides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to the server 130 through the network 120 By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쇼핑몰(110-1~110-N)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알고리즘 및/또는 시각화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웹 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쇼핑몰과 관련된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 설정을 불러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해야 하기에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청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설정을 클릭하면, 특정 수집 주기로 수집되는 설정값의 통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신호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로 전송된다. The user terminal may utilize a user interface adjustment algorithm and/or a visualization algorithm of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apparatus 130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ir shopping malls 110-1 to 110 -N.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 signal for requesting adjustment of the user interface to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website. When a user setting is called from a web site related to a shopping mall, the user interface must be displayed, so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quest signal of the user interface. That is, when the user setting is clicked, a user interface automatically adjusted using statistics of setting values collected at a specific collection perio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interface reques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through the network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130)는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선택하는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쇼핑몰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쇼핑몰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항목이란, 설정값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의미하고, 설정값은 설정항목에 포함된 값들을 포함한다. 설정항목에는 둘 이상의 설정값이 존재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항목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130 receives the request signal and adjusts the user interface.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menu for selecting setting values of various setting items of the software. The software includes software related to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shopping mall, and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setting values of setting items related to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hopping mall. Here, the setting item means an item for selecting a setting value, and the setting value includes values included in the setting item. There may be more than one setting value in the setting item, and it may be necessary to set at least one setting item in the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쇼핑몰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콘텐츠 저작 소프트웨어, 동영상 랜더링(video rendering) 소프트웨어, 인터넷 설정 소프트웨어 등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다.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applied only to software related to shopping malls, but various software capable of inputting setting values of setting items such as content authoring software, video rendering software, and Internet setting software. I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장치(130)는 복수 개의 쇼핑몰들로부터 설정항목의 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설정항목에서 특정 설정값에 선택이 집중된 정도를 의미하는 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포함된 제 1 설정항목과 제 2 설정항목 간의 상관도를 의미하는 항목연관도를 산출하여, 하나의 설정항목의 설정값 설정에 따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다른 설정항목을 연관시키고, 경우에 따라 연관되는 설정항목의 설정값도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관되는 설정항목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스타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는, 상기 그룹핑된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복수 개의 스타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device 130 may obtain information on a setting value of a setting item from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analyze the obtained setting value information, and calculate a concentration, which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selection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setting value in a specific setting item. have.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item correlation, which mea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user setting, other setting item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setting value of one setting item. And, in some cases, the setting value of the related setting item. In addition, related setting items can be grouped and defined as a single style. Then, a plurality of styles may be defined by variously combining the setting values of the grouped setting items.

장치(130)는 복수 개의 쇼핑몰들을 쇼핑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분류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함에 의해 특정 쇼핑몰 특성에 대응하는 설정값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쇼핑몰의 특성에 대응하는 설정값 정보를 획득함에 의해, 해당 쇼핑몰의 특성에 부합하는 설정이 효율적으로 세팅되도록 지원한다. The device 130 may classify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and infer set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lassified set value information. Then,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to obtain setting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of a specific user,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is efficiently set.

추가적으로, 장치(130)는 항목연관도를 쇼핑몰 운영자 또는 쇼핑몰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정항목 및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설정항목은 노드(node)로 항목연관도는 두 노드 사이의 연결선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evice 130 may generate a setting item and an item association diagram as objects so that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by a shopping mall operator or a server administrator managing the shopping mall platform, and may be placed in the visualization space. At this time, the setting item may be visualized as a node, and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may be visualized as a connection line between two nod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정 및 설정항목 관련 지표의 시각화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정 및 설정값과 관련된 지표의 시각화와 관련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을 서버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특정 쇼핑몰의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조정될 수 있다.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ment of a user interface and visualization of an indicator related to a setting item may be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APP) that executes an algorithm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indicator related to the set value from the server device, and executes the installed application, The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settings can be adjusted. The adjusted user interface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means of the user terminal.

또는, 사용자 단말 및 쇼핑몰 관리를 위한 서버가 아닌,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에만 특화된 제3의 장치가 쇼핑몰과 관련된 메뉴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쇼핑몰과 관련없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의 설정도, 다수 사용자로부터의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 정보만 확보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을 적용하여 향후 설정하게 될 다양한 설정항목에 대한 효율적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not a server for managing a user terminal and a shopping mall, but a third device specialized only for user interface adjustment may adjust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menu related to the shopping mall. For example, regardless of the shopping mall, if only setting value information for setting items from multiple users is secured for general software settings, various setting items to be set in the future by applying the 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make an efficient adjustment to

네트워크(120)는 쇼핑몰(110-1~110-N)과 상품 판매량 예측 장치(130)를 연결하는 망으로써, 유선망 및/또는 무선망(인터넷(internet))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120 is a network that connects the shopping malls 110-1 to 110-N and the product sales amount prediction device 130, and may include a wired network and/or a wireless network (Internet).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 "시각화 장치", "장치", 및/또는 "단말"이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30), 쇼핑몰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제3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visualization device", "device", and/or "terminal" are used for managing a user interface, a user interface device 130, and a shopping mall. It may mean at least one of a server device that provides a platform and a third device.

집중도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 using concent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concentratio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는 쇼핑몰들로부터 설정항목들에 대한 설정값 정보를 획득한다(S210). 획득되는 설정값 정보는 쇼핑몰들이 특성 설정항목에 대해 특정 설정값으로 설정을 했다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때, 설정항목과 선택된 설정값의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을 한 쇼핑몰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도 함께 수집된다. 예컨대, "XX 쇼핑몰은 '장바구니의 물품 유지 기한'에 대한 설정항목에 대해 '3일', '5일', '7일' 등의 설정값들 중, '3일'의 설정값으로 설정했다"는 정보가 상기 장치로 제공되며, 이때, XX 쇼핑몰의 매출 정보, 취급 품목과 관련된 업종 정보, 연차 정보, 대표자 정보, 사업자 등록번호 정보와 같은 쇼핑몰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도 함께 수집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obtains set value information on set items from shopping malls (S210). The acquired setting valu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that shopping malls have set a specific setting value for the characteristic setting item, and at this time, not only the setting item an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tting value, but also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perty of the shopping mall for which the setting is set are collected. . For example, "XX Shopping Mall has set the set value of '3 days' among the set values of '3 days', '5 days', and '7 days' for the setting item for'the item retention period in the shopping cart'. "" is provided to the device, and at this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such as sales information of the XX shopping mall, business type information related to handling items, annual information, representative information, and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information is also collected.

장치는 수집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각 설정항목별 설정값에 대한 집중도를 산출한다(S220). 집중도란, 설정값의 선택이 얼마나 편중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장치는 집중도를 이용하여 편중이 많이 된 설정값을 기본값으로 변경하거나, 필요없는 옵션을 삭제하는 등의 처리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The device analyzes the collected set value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et value for each set item (S220).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s an index indicating how biased the selection of a set value is. The device may adjust the user interface through processing such as changing a heavily biased setting value to a default value or deleting an unnecessary option using the concentration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집중도와 관련하여 복수 개의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는, 정보 수집에 참여한 쇼핑몰 중 하나로부터라도 선택을 받은 설정값의 갯수를 나타내는 제 1 집중도 지표가 포함된다. 이는 "카디널리티(cardinality)(또는 "값의 갯수")"라고 불릴 수 있다. 예컨대, 100개의 쇼핑몰이 '장바구니의 물품 유지 기한'과 관련된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할 때, 다수의 설정값들 중 (1) 74개의 쇼핑몰이 설정값 '3일'을, (2) 26개의 쇼핑몰이 설정값 '5일'을 선택한 경우, 카디널리티 값은 '3일'과 '5일'의 설정값의 갯수를 나타내는 "2개"가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may calculate a plurality of indicators in relation to concentration. This includes a first concentration index indicating the number of set values that have been selected even from one of the shopping malls participating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cardinality (or "number of values"). For example, when 100 shopping malls set a setting value for a setting item related to'the item retention period in the shopping cart', (1) 74 shopping malls among a number of setting values set the setting value '3 days', and (2) 26 When two shopping malls select the set value '5 days', the cardinality value becomes "2" indicating the number of set values of '3 days' and '5 days'.

추가적으로, 장치는 제 2 집중도 지표로써, HHI(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산출한다. 이는, 시장의 집중도를 파악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써, 선택 점유율이 높은 상위 N 개 설정값의 제곱의 합을 합의 제곱의 값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선택 점유율이란 수집된 설정값 정보 중 전체 쇼핑몰 수집에 참여한 쇼핑몰의 수 대비 특정 설정값을 선택한 쇼핑몰의 수를 나타낸 것으로, 특정 설정값의 선택 비율, 또는 선택 빈도를 대표하는 수치이다. 예컨대, "설정값 1"의 선택점유율이 0.6이고, "설정값 2"의 선택점유율이 0.4인 경우, HHI = (0.62+0.42)/(0.6+0.4)2으로 계산하여, 0.52가 된다. HHI 값이 높을수록 특정 설정값에 대한 집중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그 값이 낮을수록 집중도는 낮으나 설정값 간의 선택 점유율 경쟁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은 3으로 설정하여, 상위 3개의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을 기반으로 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반드시 3개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위 1개, 2개, 4개, 5개 등으로 설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제 1 집중도 지표의 값, 즉, 카디널리티 값을 N의 값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device calculates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as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This is one of the indicators us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the market, and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squares of the top N set values with high selection share by the square of the sum. Here, the selection share indicates the number of shopping malls that have selected a specific set value compared to the number of shopping malls participating in the collection of all shopping malls among the collected set value information, and is a value representing the selection ratio of the specific set value or the selection frequency. For example, if the selected share of "set value 1" is 0.6 and the selected share of "set value 2" is 0.4, it is calculated as HHI = (0.6 2 +0.4 2 )/(0.6+0.4) 2 and it becomes 0.52. . The higher the HHI valu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for a specific set value, and the lower the value, the lower the concentration, but the competition for selection share between the set values is seve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 is set to 3,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election share of the upper three set values.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3,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top 1, 2, 4, 5, etc. In some cases, the value of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that is, the cardinality value may be used as the value of N.

더욱이, 장치는 제 3 집중도 지표로써, 상위 M 개의 선택점유율을 나타내는 TOP 1/TOP 2/TOP 3/.../TOP M 지표를 산출한다. TOP 1 지표는 최상위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을 나타내고, TOP 2는 상위 2개의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들의 선택점유율의 합을 나타내며, TOP 3는 상위 3개의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들의 선택점유율을 합을 나타낸다. 예컨대, 15개의 설정값 중, "설정값 1"이 0.24, "설정값 4"가 0.5, "설정값 6"이 0.15의 선택점유율을 갖는다고 할 때, TOP 1 지표는 가장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 4"의 선택점유율인 0.5가 되고, TOP 2는 상위 2개 선택점유율, 즉, "설정값 4"와 "설정값 1"의 선택점유율의 합인 0.5+0.24 = 0.74가 된다. 같은 방식으로 TOP 3는 0.5+0.24+0.15 = 0.89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의 값은 3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1, 2, 4, 5, 10 또는 카디널리티 값으로 결정해도 무방하다. Moreover, the device calculates TOP 1/TOP 2/TOP 3/.../TOP M indicators representing the top M selection occupancy rates as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The TOP 1 indicator represents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 value with the highest selection share, TOP 2 represents the sum of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 values with the top two selection share, and TOP 3 is the set value with the top three selection share. The selected share is summed. For example, out of 15 set values, when "set value 1" is assumed to have a selection share of 0.24, "set value 4" is 0.5, and "set value 6" has a selection share of 0.15, the TOP 1 index has the highest selection share, "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 value 4" becomes 0.5, and the TOP 2 becomes the top two selection share, that is, 0.5+0.24 = 0.74, which is the sum of the selected share of "set value 4" and "set value 1". In the same way, TOP 3 becomes 0.5+0.24+0.15 = 0.8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esirable to determine the value of M as 3. However, 1, 2, 4, 5, 10, or cardinality values may be 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 3 집중도 산출시 TOP 2 및 TOP 3 지표는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높은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값 1"이 0.24, "설정값 4"가 0.5, "설정값 6"이 0.15의 선택점유율을 갖는다고 할 때, TOP 1 지표는 가장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 4"의 선택점유율인 0.5가 되고, TOP 2는 "설정값 1"의 선택점유율인 0.24가 된다. 같은 방식으로 TOP 3는 0.15가 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third concentration, the TOP 2 and TOP 3 indicators may indicate the selection share of a set value having the second and third highest selection share. For example, assuming that "set value 1" has a selection share of 0.24, "set value 4" is 0.5, and "set value 6" has a selection share of 0.15, the TOP 1 index is the selection of "set value 4" with the highest selection share. The occupancy rate becomes 0.5, and the TOP 2 becomes 0.24, which is the selected occupancy rate of "set value 1". In the same way, TOP 3 can be 0.15.

위의 3개의 집중도 지표 중 적어도 일부를 산출하고 나면, 장치는 산출된 집중도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S230).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정에는 다양한 조정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디폴트 값의 변경, 표시되는 설정값의 조정(특정 설정값의 삭제를 포함함), 기본 설정과 고급 설정으로의 구분 등의 조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는 카디널리티 값을 이용하여 선택점유율이 0인 설정값을 해당 설정항목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응용하여, 선택점유율이 제 1 임계값 이하인 설정값을 삭제하거나 선택시 상대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설정값의 위치(하단 위치)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점유율이 1인 설정값이 있을 경우, 상기 설정값 이외에 다른 설정항목을 삭제하고, 상기 설정값을 디폴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응용하여, 선택점유율이 제 2 임계값 이상인 설정값이 디폴트 값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설정값의 위치가 선택시 상대적으로 잘 ㅂ보이는 위치(상단 위치)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설정값은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fter calculating at least some of the above three concentration indicators, the device adjusts the user interface for menu selection using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S230). The adjustment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various adjustment operations. For example, it may include actions such as changing a default value, adjusting a displayed setting value (including deleting a specific setting value), and distinguishing between a basic setting and an advanced setting. For example, the device may use the cardinality value to delete a setting value whose selection share is 0 from the corresponding setting item. By application, a set value whose selection sha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may be deleted or placed at a position of a set value that is relatively invisible when selected (lower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set value having a selection share of 1, other set items other than the set value may be deleted, and the set value may be changed to a default value. By application, a set value having a selection sh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may be set to be a default value,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et value may be placed in a relatively well-visible position (top position) when selected. Also, other setting values can be suppressed.

경우에 따라, HHI 값을 이용하여, HHI 값이 제 3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집중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카디널리티 값에 대응하는 설정값들이 모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3 임계값이 0.6이며, HHI 값이 0.5이고, 카디널리티 값이 4인 경우, 선택을 하나라도 받은 4개의 설정값을 모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4개 설정값을 모두 표시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위 X개의 설정값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some cases, using the HHI value, when the HHI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user interface may be adjusted so that all 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ardinality value ar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third threshold value is 0.6, the HHI value is 0.5, and the cardinality value is 4, all four set values that have received even one selection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all four set values, but only the upper X set values can be displayed.

또한, HHI 값이 제 4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위 Y 개의 설정값들만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위 Y개의 설정값이 상대적으로 잘 보이는 위치(상단 위치)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HI value is greater than the fourth threshold, the user interface may be adjusted so that only the upper Y set values are displayed. Alternatively,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pper Y set values are placed in a relatively well-visible position (top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위의 3개의 집중도 지표를 일괄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카디널리티 값을 먼저 산출하고, 카디널리티 값이 일정값 이상 되는 경우, HHI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카디널리티 값이 1 또는 2와 같이 매우 작은 값인 경우에는, 집중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기에 추가적인 집중도 지표 값의 산출 없이 카디널리티 값에 영향을 미친 설정값들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may calculate the above three concentration indicators at a time or may calculate them sequentially. In particular, the cardinality value is calculated first, and when the cardinality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HHI value may be calculated. Because, when the cardinality value is a very small value such as 1 or 2, the concentration is likely to be high, and thus all set values that have influenced the cardinality value can be displayed without calculating an additional concentration index value.

또한, 카디널리티 값이 일정값 이상일 때만 TOP 1, TOP 2 및 TOP 3의 제 3 집중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only when the cardinality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of TOP 1, TOP 2 and TOP 3 can be calculated.

경우에 따라, 제 1 집중도 지표가 일정값 이상 되면, 제 3 집중도 지표를 산출하고, 제 3 집중도 지표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 2 집중도 지표 산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에 따라 제 2 집중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집중도 지표가 일정값 이상일 때, 제 2 집중도 지표를 산출하고, 제 2 집중도 지표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 3 집중도 지표 산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에 따라 제 3 집중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cases,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is more than a certain value,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is calculated, and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value, and the determination is made by determining whether to calculate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can be calculated.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is calculated,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calculate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comparison result. 3 Concentration index can be calculated.

그리고는, 단계(S230)에서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S240). 이때,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고, 장치와 통신하는 다른 단말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다. Then, the user interface adjusted in step S23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S240).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device or through a display unit connected to another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도 3은 다수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한 집중도 요약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ummary graph of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can be seen at a glance.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는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집중도 요약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집중도 요약 그래프는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을 모아놓은 설정항목 테이블별로 생성될 수 있다. 설정항목 테이블은 한꺼번에 설정되어야 할 설정항목의 세트(set)로 설정항목의 생성시 세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에이스카운터(가입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1) 에이스 카운터 사용 여부, 2) 에이스카운터 로그저장 스크립트 호출 여부, 및 3) 에이스카운터 계정 코드와 관련된 설정은 에이스 카운터 테이블("ace_counter"로 명명될 수 있음)이라는 하나의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may generate a concentration summary graph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concentration of a setting item. The concentration summary graph can be generated for each setting item table that collects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The setting item table is a set of setting items to be set at once, and may be set when the setting items are created.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Ace counter (subscription and service), 1) whether to use the ace counter, 2) whether to call the ace counter log save script, and 3) the ace counter table ("ace_counter") for settings related to the ace counter account code. It belongs to one setting item table called (can be).

장치는 특정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 별로 가장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은 제 1 색(예컨대 파란색으로), 두 번째 선택점유율의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은 제 2 색(예컨대, 초록색), 세번째 선택점유율의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은 제 3 색(예컨대, 빨간 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값들은 제 4 색(예컨대, 흰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For each setting item belonging to a specific setting item table,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ting value with the highest selection share is in the first color (e.g., blue), and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ting value of the second selection share is the second color (e.g., green). , The selected share of the set value of the third selected share may be displayed in a third color (eg, red). Other values may be displayed in a fourth color (eg, white).

장치는 각 설정항목별로 HHI 값은 상기 집중도 요약 그래프 상에서 점(31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집중도 요약 그래프를 설정항목 테이블별로 생성하여 설정항목의 설정값들의 집중도와 관련된 지표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The device may display the HHI value for each setting item as a dot 310 on the concentration summary graph. By generating such a concentration summary graph for each setting item tabl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index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degree of the setting items of the setting item at a glance.

도 4는 특정 테이블에 포함된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테이블 형태로 요약한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item summary table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setting items included in a specific table is summarized in a table format.

도 4를 참조하면, 장치는 각 설정항목마다 설정항목의 상세내용, 필수항목 여부, 레코드의 수 및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값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 3의 그래프뿐만 아니라 테이블 형태의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에서 20, 21, ..., 29와 같은 숫자는 설정항목의 식별번호 인덱스, Field는 설정항목의 식별자, Desc는 설정항목의 내용, Req는 해당 설정항목이 필수 설정항목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Def는 해당 설정항목의 디폴트 값이 몇 번째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인지를 나타낸다. 1이면 가장 많이 나오는 설정값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1이면 그렇지 않음을 의미한다. Card는 제 1 집중도 지표 값을 나타내고, Rec#는 수집된 데이터 레코드의 갯수를 의미하며, HHI는 제 2 집중도 지표를, 그리고 Top1, Top 2 및 Top 3는 제 3 집중도 지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4, the devic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able as well as the graph of FIG. 3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setting items, whether the required items, the number of records, and th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values for each setting item. You can create summary tables. In the above table, numbers such as 20, 21, ..., 29 indicate the identification number index of the setting item, Field is the identifier of the setting item, Desc is the content of the setting item, and Req indicates whether the setting item is a mandatory setting item. , Def indicates the set value with the number of selection share as the default value of the setting item. If it is 1, it means it is the most frequent setting value, and if it is -1 it means it is not. Card represents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value, Rec# represents the number of collected data records, HHI represents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and Top1, Top 2, and Top 3 represent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장치는 상기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을 설정항목 테이블 별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설정항목의 집중도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for each setting item table. The user can roughly grasp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setting item by using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이때,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에서 특정 설정항목을 선택하면 각각의 설정항목에 대한 상세 분석 내용이 표시된다. 이는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At this time, if you select a specific setting item from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detailed analysis of each setting item is display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4의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에 포함된 설정항목 각각의 설정값을 상세히 보기 위한 설정항목별 통계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statistical values for each setting item for detailed viewing of setting values of each setting item included in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장치는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에 표시된 설정항목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때 또는 상세 페이지의 표시를 요청받을 때, 장치는 해당 설정항목의 상세 페이지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상세 페이지에는, 해당 설정항목의 선택점유율이 있는 모든 설정값이 표시되며, 해당 설정값의 코드 및 그 내용, 해당 설정값이 디폴트 값인지 여부, 해당 설정값의 선택 빈도 수, 해당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setting item displayed in a setting item summary table is selected by a user input or when a display of a detail page is requested, the apparatus generates and displays a detail page of the setting item. On the detail page, all the set values with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 item are displayed, the code of the set value and its contents, whether the set value is the default value, the number of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t value, and the selection of the set value The share is displayed.

도 5의 첫 번째 설정항목은 "적용가격 표시 사용 여부"에 대한 설정항목으로, 이 설정항목에 대해 모든 쇼핑몰이 "F" 설정값을 선택하였고, 이 값이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설정항목은 "비회원 회원등급쿠폰 노출설정"인데, 98.12%의 105353의 레코드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F" 설정값을 선택하였고, 1.88%의 2022의 레코드만이 디폴트 값이 아닌, "T" 설정값을 선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setting item in FIG. 5 is a setting item for “whether to use the applied price display”. For this setting item, all shopping malls have selected the “F” setting value,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value is set as the default value. have. The second setting item is "Non-member membership level coupon exposure setting". 98.12% of 105353 records selected the "F" setting as the default value, and only 1.88% of 2022 records were not the default value, but "T "You can confirm that you have selected the setting value.

이와 같이, 장치는 사용자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설정을 관리하는 서버 운영자가 설정항목의 설정값 상세 내용을 보고, 전체 쇼핑몰의 설정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this way, the device supports a user who performs user setting or a server operator who manages user settings to view the details of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s and easily grasp the setting status of the entire shopping mall.

도 6은 집중도 산출을 위해 25개의 쇼핑몰이 6개 설정항목에 대해 설정한 샘플 값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6 is a table showing sample values set by 25 shopping malls for 6 setting items to calculate concentration.

도 6을 참조하면, 25개의 쇼핑몰은 쇼핑몰 페이지의 사용 언어, 메일 기능 사용 여부, SMS 기능 사용 여부, 카카오톡 발송 여부, 택배사 코드 및 주요품목에 대한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선택하여 사용자 설정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6, 25 shopping malls perform user setting by selecting the language of the shopping mall page, whether the mail function is used, whether the SMS function is used, whether to send Kakao Talk, the courier code and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s for major items. do.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6개의 설정항목별로 설정값들의 집중도 지표를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FIG. 7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index of setting values for each of six setting it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메일 수신 여부"와 관련하여, Y 값을 선택한 건수는 22건으로 0.8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카디널리티 값은 2이며, 이때, HHI 지표는 0.7888의 값을 갖는다. TOP 1은 0.88, TOP 2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relation to "whether mail is received", the number of Y values selected is 22, occupying a ratio of 0.88, and thus the cardinality value is 2, and in this case, the HHI index has a value of 0.7888. TOP 1 may have a value of 0.88, and TOP 2 may have a value of 1.

"SMS 수신 여부"와 관련하여, Y 값은 10건으로 0.4의 선택점유율을, N 값은 15건으로 0.6의 선택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어 카디널리티 값은 역시 2의 값을 가지며, HHI 지표는 0.52를, TOP 1과 TOP 2 지표는 각각 0.6과 1의 값을 갖는다. Regarding "SMS reception", the Y value is 10 cases with a selection share of 0.4, and the N value is 15 cases with a selection share of 0.6, so the cardinality value also has a value of 2, HHI index is 0.52, TOP The 1 and TOP 2 indicators have values of 0.6 and 1, respectively.

이와 같이 6개 설정항목에 대해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지표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는, 산출된 집중도 지표 값을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In this way, the values of th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indicators can be calculated for the six setting items. Then,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index values are summarized in FIG. 8.

도 8은 도 7의 결과를 요약한 요약 테이블이다. 8 is a summary table summarizing the results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장치는 도 7의 6개 설정항목에 대한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지표 값의 산출결과를 테이블로 정리할 수 있다. 정리된 테이블에는, 레코드의 수, 카디널리티 값, HHI 지표 값, Top 1 내지 Top 3 지표 값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device may organize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index values for the six setting items of FIG. 7 into a table. In the organized table, the number of records, cardinality values, HHI index values, and Top 1 to Top 3 index values are displayed.

장치는, 산출된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지표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장치는, 제 3 집중도 지표 및/또는 제 2 집중도 지표(HHI 지표)가 일정 값(예컨대, 0.8) 이상인 건들을 특정 설정값에 집중된 설정항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설정항목은 설정항목을 제거하도록 고려할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설정값들만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The device adjusts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 calculated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indicators. The apparatus may determine cases in which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and/or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HHI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eg, 0.8) as a setting item concentrated on a specific set value. The set items determined in this way can be selected as targets to be considered for removing the set items. Alternatively,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only specific settings are displayed.

또한, TOP 1 내지 TOP 3 지표 값에서 100%의 선택점유율이 달성된 경우, 100%의 선택점유율 달성이 이루어진 상위 1 내지 3개 설정값만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100% selection share is achieved in the TOP 1 to TOP 3 index values,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only the top 1 to 3 set values at which 100% selection share is achieved are displayed.

다만, 제 2 집중도 지표의 값 및/또는 제 3 집중도 지표의 값이 일정 값 이하로 산출된 설정항목에 대해서는, 상위 N개의 값만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N의 값은 "1/HHI 지표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0.2의 HHI 지표 값을 갖는 설정항목의 경우, 1/0.2를 계산하여 상위 5개의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만이 해당 설정항목의 설정값으로 표시되로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However, for a setting item in which the value of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and/or the value of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user interface may be adjusted so that only the top N values are displayed. In this case, the value of N may be set as “the value of the 1/HHI indicat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etting item having an HHI index value of 0.2,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only the setting values having the top five selection shares are displayed as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 by calculating 1/0.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집중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concentr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를 참조하면, 장치는 특정 설정항목에서, 선택점유율 값이 0이거나 일정값 이하인 설정값은 해당 설정항목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삭제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9, in a specific setting item, the device may delete a setting value having a selection share value of 0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it is not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setting item.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장치는, 제 2 집중도 지표의 값이 일정값 이상이면서 제 3 집중도 지표 중 Top 1의 선택점유율이 일정값 이상인 설정값은 디폴트 값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HHI 지표가 0.8 이상이면서, Top 1의 선택점유율이 0.8 이상인 설정값은 디폴트 값 변경의 대상이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9, the device changes a set value in which the value of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nd the selected share of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to a default value. For example, a set value having an HHI index of 0.8 or more and a selection share of Top 1 of 0.8 or more is subject to a default value change.

도 9의 (c)를 참조하면, 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지표의 값을 기반으로 설정값의 표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집중도 지표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 선택점유율이 0이 아닌 모든 설정값이 선택점유율이 높은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집중도 지표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면서 제 2 집중도 및/또는 제 3 집중도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위 N개의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이 상단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위 N개의 설정값을 제외한 나머지 설정값들은 기본적으로 부여받은 순서대로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N은 제 3 집중도 지표를 기반으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N이 3과 같은 일정한 값 이하이면서, 상위 N 개까지의 설정값들의 선택점유율의 합이 일정 값(예컨대, 0.9) 이상이 되는 값을 찾아 N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HI 지표의 반비례 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C, the device may adjust the display order of the set values based on the values of th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indicators.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ll set values whose selection share is not 0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selection share.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and/or the third concentr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 set value having the top N selection shares is displayed at the top, and the top N set values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to display the remaining setting values in the order they were assigned by default. In this case, N may be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For example, the value of N may be determined by finding a value in which N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value such as 3 and the sum of the selection occupancy rates of up to the top N set valu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eg, 0.9).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n inversely proportional value of the HHI index.

도 9의 (d)를 참조하면, 장치는 선택되는 설정값의 유형을 변경하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장치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설정값들의 배치를 무시하고, 라디오 박스(radio box) 형태로 설정값을 선택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라디오 박스는 "Top 1", "Top 2", "Top 3", 및 "기타"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p 1"은 가장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해당 설정값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고, "Top 2"는 두 번째로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첫번째와 두번째로 선택점유율이 높은 설정값들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장치는 "기타"를 선택했을 때만, Top 1 내지 Top 3에 포함되지 않은 설정값들이 표시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9D, the device may adjust the user interface in a form of changing the type of the selected setting value. The device can adjust the user interface to ignore the arrangement of default settings and select the settings in the form of a radio box. The radio box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of one of "Top 1", "Top 2", "Top 3", and "Other". "Top 1" is to set the setting value with the highest selection occupancy rate or to display only the setting value, "Top 2" is to set the setting value with the second highest selection occupancy rate, or to set the selection occupancy rate to the first and second It could be that only high settings are displayed. The device causes settings not included in Top 1 to Top 3 to be displayed only when "Other" is selected.

도 10은 기본설정과 고급설정을 구분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고급설정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n advanced setting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classifying a basic setting and an advanced setting.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는 집중도 지표를 이용하여 기본설정으로 설정할 설정항목과 고급설정(추가설정이라고 부를 수 있음)으로 설정할 설정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device may determine a setting item to be set as a basic setting and a setting item to be set as an advanced setting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setting)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장치는, 제 1 집중도 지표를 기반으로, 제 1 집중도 지표가 일정값 이하이면서, 제 2 집중도 지표의 값 및/또는 제 3 집중도 지표의 값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는, 일부 설정값에 선택이 편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항목 A 내지 E의 5개 설정항목에 대해 C, D, E 설정항목은 위와 같이 일부 설정값에 선택이 편중되어 있고, A 및 B 설정항목은 집중도가 낮아 비교적 다양한 설정값으로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설정항목 A 및 B는 기본설정으로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표시하고, 설정항목 C 내지 E는 추가설정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클릭 등을 통해 활성화한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설정항목의 표시 여부를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The device, based o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dex is less than a certain valu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dex value and/or the third concentration index value is more than a certain value, the selection is biased to some set values. It can be seen that it is done. For example, for the 5 setting items of items A to E, C, D, and E setting items are concentrated in some setting values as above, and the A and B setting items have low concentration and relatively various setting values are selected. In this case, setting items A and B are displayed to be set by the user as default settings, and setting items C to E are divided into additional settings, and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to be displayed only when the user activates through a click or the like. That is, whether to display the setting item may be determ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s.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상위설정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upper setting value by periodically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10.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는, 설정값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집하여 분석함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설정값 수집 주기는, 5일, 1주일, 10일, 15일, 20일, 30일, 매달, 매분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는 주기마다 집중도 지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위 설정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위 설정값이 디폴트 값이 되거나 메뉴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device may periodically change a user interfac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et valu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The set value collection period may be at least one of 5 days, 1 week, 10 days, 15 days, 20 days, 30 days, monthly, and quarterly. At least one of the concentration indicators is calculated for each period in which the set value information is collected to derive an upper set value, and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so that the derived higher set value becomes a default value or is placed at the top of the menu.

항목 연관도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 using item relevanc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항목간 항목연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장치는 쇼핑몰들로부터 설정항목들에 대한 설정값 정보를 획득한다(S1210). 그리고는,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항목간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다(S1220). 항목연관도란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때 연관되어 설정되는 설정간의 상관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텍스트의 "글꼴"을 설정하는 사용자는 "글자 크기"도 설정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항목 연관도란 "글꼴"의 설정값과 "글자 크기"의 설정값간의 연관도보다는 "글꼴"이란 설정항목과 "글자크기"란 설정항목간의 연관도를 의미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설정항목간 연관도 이상으로 설정항목의 설정값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device obtains set value information on set items from shopping malls (S1210). Then, the set value information is analyzed to calculate an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 items (S1220).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refers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s that are related and set when setting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For example, a user who sets the "font" of text is likely to also set the "font size". Therefore,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items refers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 and the setting item of “font size” rather tha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value of “font” and the setting value of “font size”. However, in some cas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s may be calculated more tha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and used for adjustment of the user interface.

장치는 산출된 항목 연관도를 임계값과 비교한다(S1230). 이때, 임계값은 기설정된 값일 수 있고, 또는 전체 설정항목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페어(pair)를 만들어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 후, 산출된 항목 연관도의 평균이 임계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산출된 항목 연관도들 중 상위 A%에 해당하는 항목 연관도와 관련된 설정항목의 쌍이 도출되도록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The device compares the calculated item correlation with a threshold value (S1230). In this case, the threshold value may be a preset value, or after the item relevance is calculated by creating a pair for at least a part of all the setting items, the average of the calculated item relevance levels may be the threshold value. Alternatively, a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such that a pair of set items related to an item relevance degree corresponding to an upper A% among the calculated item relevance degrees is derived.

단계(S1230)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쇼핑몰의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S1240). 예컨대, 항목 연관도가 임계값보다 높게 나온 설정항목의 쌍은 설정 입력시 또는 설정 변경시 함께 표시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번의 설정 변경시 함께 변경되어야 할 설정항목을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menu of the shopping mall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S1230 (S1240). For example, a pair of setting items whose item relevance is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may be displayed together or sequentially displayed when a setting is input or when a setting is changed. In other words,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collectively and efficiently change the setting items to be changed at once when the setting is changed.

그리고는,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1250). Then, the adjusted user interface is displayed using a display means of the user terminal (S1250).

도 13은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기 위한 실시예 두 가지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13 is a table showing two embodiments for calculating item association.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는 "글자글꼴" 설정항목과 "글자크기" 설정항목과 관련된 설정값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device may acquire information of a setting value related to a “font” setting item and a “font size” setting item.

도 13의 좌측의 A 실시예에 따르면, 8개의 쇼핑몰 중 A 내지 D의 4개 쇼핑몰이 글꼴은 굴림을 사용하고, E 내지 H의 4개 쇼핑몰이 글꼴은 궁서체를 사용한다. 또한, 글자크기에 있어서 A, C, E, G 쇼핑몰은 12의 글자크기를, B, D, F, H 쇼핑몰은 10의 글자크기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on the left side of FIG. 13, four shopping malls A to D out of eight shopping malls use Gulim as fonts, and four shopping malls E to H use archetypes. In addition, in terms of font size, shopping malls A, C, E, and G use a font size of 12, and shopping malls B, D, F, and H use a font size of 10.

도 13의 우측의 B 실시예에 따르면, 8개의 쇼핑몰 중 A 내지 D의 4개 쇼핑몰이 글꼴은 굴림을 사용하고, E 내지 H의 4개 쇼핑몰이 글꼴은 궁서체를 사용하는 것은 A 실시예와 동일하나, 글자크기에 있어서 A 내지 D 쇼핑몰이 12의 글자크기를, E 내지 H의 쇼핑몰은 10의 글자크기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embodiment B on the right side of FIG. 13, four shopping malls of A to D out of 8 shopping malls use Gulim as fonts, and four shopping malls of E to H use archetypes as in Example A. One, in terms of font size, shopping malls A to D use a font size of 12, and shopping malls E to H use a font size of 10.

즉, 직관적으로 보더라도, A 실시예는 글꼴과 글자크기간 연관성이 없어 보이나, B 실시예에서는 글꼴과 글자크기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장치가 구분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항목 연관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한 정보 이득(information gain)을 이용한다. 이는 도 1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at is, even if viewed intui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ont and the font size in Example A,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ont and the font size in Example B. However, since the device needs to distinguish th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uses an information gain to automatically calculate an item correl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도 14는 도 13의 두 가지 실시예에서의 엔트로피 이득 값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14 is a tab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ntropy gain value in the two embodiments of FIG. 13.

도 14를 참조하면, 정보 이득이란 제 1 설정항목(예컨대, 글꼴)의 설정값을 인지했을 때, 제 2 설정항목(예컨대, 글자크기)의 설정값을 유추할 수 있는 경우, 제 1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알면 제 2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알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제 2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추가로 인지하여도 더 생기는 정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정보 이득이 없다고 한다. Referring to FIG. 14, the information gain is the first setting item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second setting item (eg, font size) can be inferred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first setting item (eg, font) is recognized. If you know the setting value of, it may not be necessary to know the setting value of the second setting item. That is,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generated even when the set value of the second setting item is additionally recognized. It is said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gain.

이러한 정보 이득은 엔트로피(entropy) 값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엔트로피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된다. This information gain can be calculated using an entropy value. Entropy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Entropy = - sum(p_i * log(p_i))Entropy =-sum(p_i * log(p_i))

이는 구분되는 경우의 수가 많을 경우 값이 커지는 경향을 갖는다. This tends to increase in value when the number of distinct cases is large.

도 13의 A 및 B의 실시예에서, 글꼴과 글자크기를 독립적으로 놓고 엔트로피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먼저, 글꼴의 경우 굴림의 선택점유율이 1/2, 궁서체도 1/2이다. 이에 따라 엔트로피 값을 산출해 보면, Entropy = -1/2(log(1/2) - 1/2log(1/2) = log(2) = 0.3 이 된다. 글자크기 설정항목에서도, 역시, 12와 10이 각각 절반의 선택점유율을 갖기 때문에, Entropy = 0.3이 된다. 즉, 각각의 설정항목의 엔트로피 값은 0.3이다. In the embodiments of A and B of FIG. 13, an entropy value can be calculated by independently placing a font and a font size. First, in the case of fonts, the selection share of Gulim is 1/2, and the arch font is also 1/2. When calculating the entropy value accordingly, Entropy = -1/2(log(1/2)-1/2log(1/2) = log(2) = 0.3. In the font size setting item, again, 12 Since and 10 each have half the selection share, Entropy = 0.3, that is, the entropy value of each setting item is 0.3.

다시 도 14로 돌아가서, 상기 A 실시예에서 글꼴과 글자크기를 함께 고려했을 때, 서로 다른 설정값의 경우의 수를 그룹핑해 보면, 4개의 그룹이 나온다. A와 C 쇼핑몰은 굴림에 12의 글자크기를 갖는 그룹 1이 되고, B와 D 쇼핑몰은 굴림에 글자크기 10을 갖는 그룹 2가 되며, E와 G 쇼핑몰은 궁서체에 12의 글자크기를 갖는 그룹 3이 되고, F와 H 쇼핑몰은 궁서체에 글자크기 10을 갖는 그룹 4가 된다. 즉, A 실시예에서 각 경우의 수는 4개가 되며, 선택점유율 역시 1/4로 동일하기 때문에, Entropy = -1/4(log(1/4) - 1/4log(1/4) = log(4) = 0.60206이 된다. 이때, 엔트로피 이득 값은 0.60206에서 하나의 설정항목의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값인 0.30103을 뺀 0.30103이 된다. 즉, 추가적인 설정항목의 설정값 정보에 의해 엔트로피 이득이 생긴 셈이 된다. Returning to Fig. 14, when the font and font size are considered together in the embodiment A, when the number of cases of different set values are grouped, four groups are obtained. Shopping malls A and C are group 1 with a font size of 12 in Gulim, shopping malls B and D are group 2 with a font size of 10 in Gulim, and shopping malls E and G are group 3 with a font size of 12 in archetype. And F and H shopping malls become group 4 with font size 10 in archetype. That is, in Example A, the number of each case is 4, and since the selection share is also equal to 1/4, Entropy = -1/4(log(1/4)-1/4log(1/4) = log (4) = 0.60206 In this case, the entropy gain value becomes 0.30103 by subtracting 0.30103, which is the entropy value for the information of one setting item, from 0.60206. That is, the entropy gain is generated by the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setting item. do.

상기 B 실시예에서는, A 내지 D 쇼핑몰은 굴림과 12의 글자크기를 갖기에 그룹 1로 구분되고, E 내지 H 쇼핑몰은 궁서체와 10의 글자크기를 갖기에 그룹 2로 구분된다. 즉, 구분의 갯수가 2개밖에 되지 않아 앞선 독립적인 엔트로피 이득과 동일하다. 즉, 하나의 설정항목의 엔트로피 값과 두 개의 설정항목의 엔트로피 값의 차이인 엔트로피 이득 값은 0이 된다. 추가적인 설정항목의 설정값 정보에 의해 발생한 이득은 없는 것이다. In the B embodiment, shopping malls A to D are divided into group 1 because they have a font size of Gulrim and 12, and shopping malls E to H are divided into group 2 because they have a font size of 10 and an arch font.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divisions is only two, which is the same as the independent entropy gain. That is, the entropy gain valu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tropy value of one setting item and the entropy value of two setting items, becomes 0. There is no gain caused by the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setting item.

결국, 사용자가 두 가지 설정항목을 한꺼번에 변경한다면, 글꼴구분 갯수가 곧 글자크기 구분 갯수가 되므로, B 실시예와 같이, 2개 그룹에서 2개 그룹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구분건수가 늘어나지 않게 된다. 반면에 두 가지를 독립적으로 변경한다면, 구분되는 그룹이 증가하게 되고, 분류가 복잡하게 된다. 즉, 엔트로피의 증가가 많으면 항목간 연관성이 없다고 볼 수 있고, 엔트로피 변화가 0이면 분포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항목간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After all, if the user changes the two setting items at once, the number of font classifications becomes the number of font size classifications, and thus the number of classifications does not increase because the number of classifications is classified from two groups to two groups, as in Example B. On the other hand, if the two are changed independently, the distinct groups increase and classification becomes complex. That is, if there is a large increase in entropy,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tems, and if the entropy change is 0, the distribution does not change, 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tems is high.

장치는, 이러한 두 항목간 엔트로피 이득 값을 이용하여 항목간의 연관성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국, 엔트로피 이득 및 정보 이득이 높은 설정항목의 쌍은 항목 연관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quantitatively determine whe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tems is high or low by using the entropy gain value between these two items. As a resul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air of setting items having high entropy gain and information gain has a low item correl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엔트로피 이득 값 이외에, 두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통해 구분되는 그룹의 카이-스퀘어(Chi-square) 값을 산출하여 적어도 두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 또는 독립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ntropy gain value, the device calculates a Chi-square value of a group classified through the setting values of the two setting item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ssociation or independence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I can jud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집중도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항목 연관도의 산출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너무 높거나 상대적으로 너무 낮은 설정항목은 결국 하나의 값으로 통일되거나 너무 많은 값으로 분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설정항목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할 필요성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임계값을 두어 상위 및 하위의 집중도 구간을 제외하고, 중간 구간의 집중도를 갖는 설정항목들을 항목 연관도 산출의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may determine a calculation target of the item association degree by using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result. For example, since setting items with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r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are likely to be unified as one value in the end or distributed over too many valu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little need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of items between different setting items. hig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a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 the setting items ha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iddle section as targets for calculating the item relevance, excluding the upper and lower concentration sections.

또는, 장치는 설정항목 자체 엔트로피 값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값이 상대적으로 너무 작거나 너무 큰 설정항목은 집중도와 유사한 의미로 판단하여 항목 연관도 산출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evice may determine a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too small or too large entropy value as a meaning similar to the concentration level using the setting item's own entropy value and exclude it from the object of calculating the item correlation.

장치는 항목 연관도 산출의 대상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확정한 후, 산출대상 설정항목 간에 쌍을 형성한 후, 각각의 설정항목 쌍에 대해 정보이득(엔트로피 이득을 통해 산출)을 산출한다. 그리고는, 정보이득이 임계값보다 큰 설정항목의 쌍은 각각 독립 설정항목으로 결정하고, 정보이득이 임계값보다 작은 설정항목의 쌍을 함께 설정되어야 할 연관 설정항목으로 결정한다. The device determines the object of item correlation calculatio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ms a pair between the calculation target setting items, and calculates an information gain (calculated through entropy gain) for each pair of setting items. Then, the pair of setting items whose information gain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s an independent setting item, and the pair of setting items whose information gain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s a related setting item to be set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항목의 설정값이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이 데이터 크기가 매우 큰 경우, 데이터의 해쉬(hash) 값을 이용하여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다. 경우에 따라, 집중도의 산출시에도 위와 같은 설정값 정보는 해쉬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has a very large data size such as text or image, the item relevance is calculated using a hash value of the data. In some cases, even when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the above set valu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 hash value and calculated.

도 15는 설정항목 테이블 간의 엔트로피 이득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ntropy gain value between setting item tables.

도 15를 참조하면, 장치는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의 묶음인 설정항목 테이블별로 엔트로피 이득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는, 먼저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엔트로피 이득 값을 산출한다(S1510). 즉,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에 제 1 내지 제 3 설정항목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장치는 제 1 설정항목과 제 2 설정항목의 쌍, 제 1 설정항목과 제 3 설정항목의 쌍, 그리고, 제 2 설정항목과 제 3 설정항목의 쌍을 페어링한 후, 각각의 쌍에 대한 엔트로피 이득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는, 역 엔트로피 이득 값(이는 Exp(-information gain)으로 산출됨)(또는 역 정보이득 값으로 불릴 수 있음)을 계산하여, 상위 Y%에 해당하는 설정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임계값 이상의 역 엔트로피 이득 값을 갖는 설정항목의 쌍을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device may calculate an entropy gain value for each setting item table, which is a group of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The device first calculates an entropy gain value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S1510). That is, assuming that the first to third setting items are included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the device is a pair of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the pair of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third setting item, and, After pairing the pair of the second setting item and the third setting item, an entropy gain value for each pair is calculated. Then, by calculating an inverse entropy gain value (which is calculated as Exp (-information gain)) (or may be called an inverse information gain value), setting items corresponding to the upper Y% may be extracted. Alternatively, a pair of setting items having an inverse entropy gain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s extracted.

이와 같이 개별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고 나면, 장치는 서로 다른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의 쌍을 연관시켜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다(S1520). 이때,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의 쌍을 모두 생성하여 항목 연관도를 산출할 수도 있지만, 너무 많은 설정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개별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역 엔트로피 이득 값이 높다고 판단된 설정항목들만을 추출하여 항목 연관도 산출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상위 10%에 해당하는 역 엔트로피 이득 값을 갖는 설정항목 쌍들을 추출하고,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도 역시 상위 10%에 해당하는 역 엔트로피 이득 값을 갖는 설정항목 쌍들을 추출한 뒤, 추출된 설정항목들 간에 페어링을 실행하여 생성된 설정항목 쌍들에 대해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다. After calculating the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individual setting item table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calculates the item association degree by associating the pair of setting items in the different setting item tables (S152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tem relevance by creating all pairs of setting items in the setting item table, but if there are too many setting items, only the setting items judged to have a high inverse entropy gain value from the individual setting item table are extracted. Thus, item association can also be determined as a calculation target. For example, a pair of setting items having an inverse entropy gain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p 10% is extracted from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a pair of setting items having an inverse entropy gain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p 10% are also extracted from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fter extraction, pai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extracted setting items to calculate an item correlation for the generated pair of setting items.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항목 연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calc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장치는 항목 연관도가 임계값 보다 높거나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설정사항들은 연관되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또한, 항목 연관도가 높은 설정항목의 설정값들도 연관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device adjusts the user interface so that setting items having an item association degree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or an item association degree relatively high are associated and displayed. Also, setting values of setting items having a high degree of item relevance can be associated.

장치는, A 설정항목과 B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가 높은 경우, A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됨에 대응하여 해당 값과 항목 연관도가 높은 B 항목의 설정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A 항목의 제 1 설정값과 B 항목의 제 2 설정값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A 항목에서 제 1 설정값으로의 설정 변경을 감지하여 B 항목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고, 이때, B 항목의 디폴트 값이 제 2 설정값이 되도록 그 디폴트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A 항목이 B 항목 뿐만 아니라 C 항목과도 항목 연관도가 높은 경우, A 항목의 제 1 설정값으로의 설정 변경에 대응하여, B 항목의 제 2 설정값으로의 변경 및 C 항목의 제 3 설정값으로의 변경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 setting item and the B setting item is high, the device may change the setting value of the item B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orresponding valu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setting value of the item A. At this time, an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first set value of item A and the second set value of item B is calculated, detects a change in setting from item A to the first set value, and adjusts the user interface so that item B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default value of item B may be changed so that the default value becomes the second set value. In addition, when item A has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item C as well as item B, in response to change of setting of item A to the first set value, change of item B to second set value and item C 3 Changes to the set value can be made together.

도 17은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를 이용하여 스타일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yle us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도 17을 참조하면, 장치는 항목연관도 값을 이용하여 설정값들의 조합을 생성함에 의해 스타일을 구축할 수 있다. 항목연관도가 높은 설정항목 1 내지 설정항목 3을 하나의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설정항목 1 내지 설정항목 3의 상세내용을 기반으로 해당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스타일 그룹 식별명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항목 1 내지 3이 모두 보안과 관련된 것이라면 보안 스타일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device may construct a style by generating a combination of setting values using an item association value. Setting items 1 to 3 having a high degree of item association can be defined as one style setting item group. At this time, a style group identification name for identifying a corresponding style setting item group may be given based on the details of setting items 1 to 3. For example, if all of the setting items 1 to 3 are related to security, it may be referred to as a security style.

그리고는, 설정값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 조합의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항목 1은 설정값 1을, 설정항목 2는 설정값 2를, 설정항목 3은 설정값 1을 가질 경우를 "스타일 1"로 정의하고, 설정항목 1은 설정값 2를, 설정항목 2는 설정값 3을, 설정항목 3은 설정값 2를 가질 경우를 "스타일 2"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 조합을 스타일의 내용을 기반으로 "보안 스타일 - 높음", "보안 스타일 - 중간", "보안 스타일 - 낮음"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목 연관도가 높은 설정항목의 그룹을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으로, 그리고, 해당 그룹의 설정값들의 조합을 스타일 설정값 식별자로 정의하여, 사용자가 해당 설정항목 그룹에 대해 스타일 번호 또는 스타일 내용만 선택하면, 해당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n, the identifier of the set value combination of the style setting item group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et values. For example, when setting item 1 has setting value 1, setting item 2 is setting value 2, setting item 3 has setting value 1, it is defined as "style 1", setting item 1 is setting value 2, setting item 2 may be defined as "style 2" when the setting value 3 and the setting item 3 have the setting value 2. Alternatively, the combination of the setting values of the style setting item group may be defined as "security style-high", "security style-medium", "security style-low", etc.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yle. In this way, the group of the setting items with high item relevance is defined as the style setting item group, and the combination of the setting values of the group is defined as the style setting value identifier. If only is selected,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group can be set automatically.

쇼핑몰 특성에 따른 설정값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User interface adjustment using setting values according to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특성에 따른 설정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shopping mal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장치는 쇼핑몰들로부터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 정보를 획득한다(S1810). Referring to FIG. 18, the device obtains set value information on a set item from shopping malls (S1810).

그리고는, 설정값 정보를 쇼핑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S1820). 이때, 분류를 위한 쇼핑몰의 특성을 쇼핑몰의 매출 정도(예컨대, 연 매출 정도), 쇼핑몰의 취급 품목 또는 업종, 쇼핑몰의 연차, 쇼핑몰의 운영자와 관련된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Then, the set value inform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S1820).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for classific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shopping mall sales level (eg, annual sales level), an item or business type handled by the shopping mall, an annual period of the shopping mall, and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or of the shopping mall.

장치는 쇼핑몰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한다(S1830). 분석 내용은 각 설정항목의 집중도, 항목 연관도 분석뿐만 아니라, 해당 항목에서 가장 높은 선택점유율을 갖는 최상위 설정값의 변화, 및 선택 점유율의 변화를 분석한다. 예컨대, 장치는 쇼핑몰의 취급상품 또는 업종이 "의류"인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분류하여 추출한 후, 추출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함에 의해 의류 관련 쇼핑몰들의 설정값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설정해야 할 대상인 제 1 쇼핑몰이 "의류"를 취급할 때, 해당 업종에 특화된 설정을 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e device analyzes the set valu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S1830). As for the analysis content, not only the concentration of each setting item and the item correlation analysis, but also the change in the highest setting value with the highest selection share in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change in the selection share are analyzed. For example, the device may classify and extract set value information of shopping malls whose products are handled by a shopping mall or shopping malls whose business type is "clothing", and then identify set valu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malls related to clothing by analyzing the extracted set value information. This may be utilized to achieve a setting specialized for a corresponding industry when the first shopping mall, which is an object to be set by the user, handles "clothing".

그리고는, 장치는 특정 쇼핑몰인 상기 제 1 쇼핑몰의 특성정보를 획득한다(S1840). 제 1 쇼핑몰은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을 수행하는 대상 쇼핑몰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자신이 운영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쇼핑몰을 포함한다. Then, the device acquir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shopping mall, which is a specific shopping mall (S1840). The first shopping mall may be a target shopping mall for which a user performs user setting. That is, it includes a shopping mall operated or related to the user himself.

장치는 제 1 쇼핑몰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쇼핑몰과 매칭되는 특성을 갖는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제 1 쇼핑몰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S1850). The device analyz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shopping mall and adjusts the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first shopping mall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analyzed based on the set value information of the shopping malls having characteristics matching the first shopping mall (S1850). .

이하, 도 18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도 19 내지 도 22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more specific detail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FIG. 1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2.

도 19는 도 18의 방법에 따라 매출에 따른 쇼핑몰 특성을 기반으로 특정 설정항목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nalyzing specific setting items based 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al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18.

도 19를 참조하면, 장치는 쇼핑몰의 매출 특성을 기반으로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의 설정값을 분석할 수 있다. 장치는 연매출 규모에 따라, 1) 100만원 이하의 쇼핑몰들, 2) 100만원 내지 1000만원의 쇼핑몰들, 3) 1000만원 내지 1억의 쇼핑몰들, 4) 1억 내지 10억의 쇼핑몰들, 5) 10억 내지 100억의 쇼핑몰들, 6)100억 이상의 쇼핑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반드시 위와 동일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기준값을 단수 또는 복수 개 두어 복수의 매출 구간으로 구분하면 된다. Referring to FIG. 19, the device may analyze a setting value of a setting item in a setting item table based on sales characteristics of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annual sales scale, 1) shopping malls of 1 million won or less, 2) shopping malls of 1 million to 10 million won, 3) shopping malls of 10 million to 100 million won, 4) shopping malls of 100 to 1 billion won, 5 ) Shopping malls of 1 billion to 10 billion, 6) shopping malls of 10 billion or more. These division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vid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ales segments by placing a single or plural appropriate reference value.

다만, 설정값 분석에 앞서, 1) 100만원 이하의 쇼핑몰들은 실제 운영이 되지 않는 쇼핑몰일 가능성이 있기에, 설정값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석 대상의 제외는 앞서 설명한 집중도, 및 항목연관도의 분석 대상에서도 제외되는 것을 포함한다. However, prior to analysis of the set value, 1) shopping malls of 1 million won or less may be shopping malls that are not actually operated, so it may be desirable to exclude them from the target of the set value analysis. Exclusion of the analysis target includes those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e above-described concentration and item association.

장치는 각 설정항목의 설정값 중 가장 높은 선택점유율을 갖는 제 1 설정값(Top 1)이 매출 규모의 증대에 따라 변화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도 19의 상단의 그래프는, 에이스카운터와 관련된 1번 설정(로그 저장 스크립트 호출여부), 2번 설정(사용 여부) 및 3번 설정(계정 코드 관련)에 있어서, 제 1 설정값이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3번 설정은 0.5의 비율, 즉, 100만원 내지1000만원 사이의 매출을 갖는 쇼핑몰들과 100억 이상인 쇼핑몰의 제 1 설정값의 비중 변화가 약 50% 정도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장치는 이러한 제 1 설정값의 비중 변화를 그 변화가 큰 순서대로 표시한다. 이 값이 클수록 설정이 많이 변한 것을 나타낸다. 2번 항목과 1번 항목은 제 1 설정값의 변화가 약 26% 정도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analyze whether the first set value (Top 1) having the highest selection share among the set values of each set item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ales volume, and visualize it in the form of a graph. The graph at the top of Fig. 19 shows whether the first setting value has changed in the 1st setting (whether to call the log saving script), the 2nd setting (whether to use), and the 3rd setting (account code related) related to the Acounter. Show. In the third setting, it can be seen that about 50% of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the first set value of the shopping malls having sales of between 1 million won and 10 million won and the shopping malls having sales of 10 billion won or more occurred at a ratio of 0.5. The device displays the change in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set value in the order of the greatest change. The larger this value, the more the setting has changed. It can be seen that the 2nd and 1st items showed about 26% of the change in the first set value.

장치는 제 1 설정값의 매출 증대에 따른 변화 그래프를 보여줌으로써 쇼핑몰 운영자가 자신의 매출의 증대에 따라 어느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지 인지하도록 지원한다. The device supports a shopping mall operator to recognize which setting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his or her own sales by showing a graph of chang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ales of the first set value.

그리고, 장치는 설정항목 요약 테이블에서, 각 설정항목 별로 매출 그룹에 따라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이 어떻게 되는지를 분석하여 표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1번 항목(에이스카운터 로그저장 스크립트 호출여부)을 보면, 1구간 그룹(100만 내지 1000만 매출 쇼핑몰)은 T 값을 98.1%, F 값을 1.9%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1구간 그룹(100만 내지 1000만 매출 쇼핑몰)은 T 값을 98.1%, F 값을 1.9%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2구간 그룹(1000만 내지 1억 매출 쇼핑몰)은 T 값을 96.3%, F 값을 3.7%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마지막 5구간 그룹(100억 이상 매출 쇼핑몰)은 T 값을 72.3%, F 값을 27.7%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T 값이 제 1 설정값인데, 해당 설정값의 선택비율의 변화가 98.1-72.3으로 약 26%가 됨을 알 수 있다. 장치는 각 매출구간 별로 이러한 Top 1 및 Top 2, 또는 다른 상위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을 분석하여 시각화함에 의해, 사용자가 운영하는 제 1 쇼핑몰의 매출 구간에 대응하는 쇼핑몰들의 설정값들을 적절히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in the setting item summary table, the device analyzes and displays the selection share of the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sales group for each setting item. Referring to FIG. 18, looking at item 1 (whether or not to call the Acounter log saving script), it can be seen that section 1 group (a shopping mall with sales of 1 million to 10 million) selects 98.1% T value and 1.9% F value.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section group (a shopping mall with sales of 1 million to 10 million) selects 98.1% for the T value and 1.9% for the F value, and the second section group (a shopping mall with 10 million to 100 million sales) has a T value It can be seen that 96.3% is selected and the F value is 3.7%.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last 5 section group (a shopping mall with sales of 10 billion or more) selects the T value of 72.3% and the F value of 27.7%, and the T value is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lection ratio of the set value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of 98.1-72.3 is about 26%. The device can appropriately refer to the set values of shopping malls corresponding to the sales period of the first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user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selection share of these Top 1 and Top 2 or other higher set values for each sales segment.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동일 매출 특성을 갖는 쇼핑몰 설정값으로 설정할지 질의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에 동의한 경우, 사용자의 연 매출 규모를 분석하여 해당 매출규모에 매칭되는 구간의 쇼핑몰들로부터의 설정값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값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분석결과가 디폴트 값이 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대형 몰이 선진 쇼핑몰로써, 다양한 설정항목의 설정을 적절히 고려하여 세팅해 놓았을 것을 기대하여, 대형 몰, 즉, 100억 이상의 매출을 갖는 쇼핑몰들이 설정한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을 기반으로 가장 높은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들의 조합을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가 디폴트 값이 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분석결과를 그대로 복사하여 자동으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이 적합한 설정항목으로는, 쇼핑몰의 기술적인 운영과 대응되는, 무통장 입금취소 일자, 장바구니 보관일자, 게시판 세팅, 회원 등록시 필수항목, 배송시 필수 입력 항목 및 보안 관련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asking whether to set a shopping mall setting value having the same sales characteristics to a user i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if the user agrees, analyzes the annual sales size of the user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sales siz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automatically change the set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set value information from shopping malls in the matching section. Alternatively,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nalysis result becomes a default value. Or, as a large mall is an advanced shopping mall, it is expected that the setting of various setting items has been properly considered, so that the largest mall, that is, the shopping mall with sales of 10 billion or more, has the highest selection share based on the set value set.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nalysis result becomes a default value by analyzing a combination of set values having a selection share. Alternatively, the analysis result can be copied as it is and automatically set. The setting items suitable for this method may include a non-bankbook deposit cancellation date, a shopping cart storage date, a bulletin board setting, a required item for member registration, a required input item for delivery, and a security-related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operation of the shopping mall.

도 19의 실시예는 매출 특성을 가지고 구간을 나누어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시각화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쇼핑몰의 업종(예컨대, 의류(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 의류, 정장, 캐쥬얼, 여성 의류, 남성의류 등), 스포츠 용품, 신발, 전자기기, 서적 등)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업종의 쇼핑몰 별로 설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영하는 제 1 쇼핑몰의 업종과 매칭되는 업종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쇼핑몰의 업종뿐만 아니라 쇼핑몰의 연차, 쇼핑몰 대표자의 특성, 스타일 등을 쇼핑몰 구분을 위한 팩터(factor)로 사용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19 illustrates that the analysis result is visualized and reflected in the user interface by dividing the section with sales characteristics, but the business type of the shopping mall (e.g., clothing (more specifically, sports clothing, suits, casual, women's clothing) , Men's clothing, etc.), sporting goods, shoes, electronic devices, books, etc.), and analyzing the set values of shopping malls in the business type that matches the business type of the first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ize the results or adjust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m. Not only the business type of the shopping mall, but also the annual year of the shopping mall,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 of the shopping mall representative can be used as a factor for classifying the shopping mall.

도 20은 매출 규모와 최대 선택점유율을 갖는 설정값의 점유율을 기반으로 쇼핑몰 특성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20 is a graph for explaining a method of grouping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based on a sales scale and a share of a set value having a maximum selection share.

도 20을 참조하면, 쇼핑몰 특성을 그룹핑함에 있어서, 다양한 추세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활용한다. 장치는 하나의 팩터가 아닌 둘 이상의 팩터에 기반한 추세를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는 매출 규모뿐만 아니라 제 1 설정값의 비율(또는 제 1 설정값의 변경 비율)을 함께 고려하여 쇼핑몰들을 그룹핑한다. 이때, 매출 규모를 통한 구분을 위한 기준값과 제 1 설정값을 통한 구분을 위한 기준값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설정항목의 특성에 따라 상기 기준값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in grouping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s of various trend graphs are utilized. The device may consider trends based on two or more factors rather than one factor. For example, the device groups shopping malls by considering not only the sales scale but also the ratio of the first set value (or the change rate of the first set value). In this case, a reference value for classification through the size of sales and a reference value for classification through the first set value may be preset. Alternatively, at least some of the reference value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item.

매출 규모가 큰데 제 1 설정값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추세가 잘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도 20의 실시예와 같은 그룹핑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매출규모가 큰 것에 반비례하여 제 1 설정값의 비율이 거의 선형적으로 줄어들거나 제 1 설정값의 비율이 임계값보다 낮은 형태를 띄는 설정항목에 대해서만 도 20의 실시예와 같은 그룹핑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ales scale is large but the ratio of the first set value is high, since the trend is not well understood, grouping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0 may not be suitable. Therefore, the device groups only the setting items in which the ratio of the first set value decreases almost linearly or the ratio of the first set valu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large sales scal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You can make this apply.

도 20의 그래프에서 그룹 1은 매출규모가 일정값 이상 크면서 제 1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이 매우 낮은 그룹이다. 그룹 2는 매출 규모도 그룹 1과 그룹 3의 사이로 중규모이면서, 제 1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은 적당히 높은 그룹이다. 그룹 3은 매출 규모도 작고 제 1 설정값의 선택점유율이 상당히 높은, 거의 1에 가까운 그룹이다.In the graph of FIG. 20, group 1 is a group whose sales scale is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nd the selection share of the first set value is very low. Group 2 is a group with a medium-sized sales volume between Groups 1 and 3, and a moderately high selection share of the first set value. Group 3 is a group close to 1, with a small sales volume and a fairly high selection share of the first set value.

그룹 1의 특성을 보면, 매출규모가 커짐에 따라 설정항목의 다양한 설정값을 골고루 활용하는 양상을 띄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장치는, 그룹 1에 속하는 쇼핑몰에 대해서는, 모든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룹 2는 거의 디폴트 값 또는 제 1 설정값을 사용하나 아주 일부의 쇼핑몰들만 다른 값을 사용하는 그룹이다. 따라서, 장치는 그룹 2에 속하는 쇼핑몰에 대해서는, 디폴트 값을 제 1 설정값으로 하여 기본설정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만 표시되는 고급설정(추가설정)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도 10 참조). 그룹 3에 속하는 쇼핑몰은 소규모이면서 설정값을 변경하지 않는 양상을 띄기 때문에, 해당 설정항목을 설정해야 할 대상에서 제외하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1, it can be seen that as the sales scale increases, various set values of the set items are used evenly. Accordingly, the device may adjust the user interface to select all setting values for the shopping mall belonging to the group 1. Group 2 is a group that uses almost the default value or the first setting value, but only a few shopping malls use different values. Accordingly, for the shopping mall belonging to the group 2, the device generates a basic setting with the default value as the first setting value, and adjusts the user interface to include an advanced setting (additional setting) displayed only when there is a user input ( See Figure 10). Since the shopping mall belonging to the group 3 is small and does not change the setting value,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in a form that excludes the setting item from the target to be set.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쇼핑몰의 설정항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suitability of a setting item of a first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장치는 항목 연관도가 높은 설정항목의 그룹을 스타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 해당 스타일을 구성하는 설정항목의 설정값의 조합에 따라 특정 스타일의 정도를 나타낸 정도(degree)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장치가 특정 설정항목의 설정값의 의미를 분석해 냄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이와 같은 특정 스타일에 해당하는 설정항목의 설정값의 조합의 의미를 매칭하여, 해당 스타일의 설정값 조합 식별자로 활용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1, the device may define a group of setting items having a high item correlation as a style. Here, degre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a specific style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s constituting the style. This can be achieved by the device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set value of a specific setting item. The device may match the meaning of the combination of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item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yle, and can be used as the combination identifier of the setting values of the styl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제 1 쇼핑몰의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 1의 정도 정보를 획득한다(S2110). 예컨대, 제 1 쇼핑몰의 보안과 관련된 설정항목들(보안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들의 분석 결과, 보안 수준이 낮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 정도 정보로써, "보안 수준 낮음"의 정보를 획득한다.In this way, the device obtains the degree information of the style setting item group 1 of the first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user (S2110). For example, if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tting values of the security-related setting items (security style setting item group) of the first shopping mall is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the security level is low, information of "low security level" is obtained as degree information. do.

그리고는, 제 1 쇼핑몰의 특성에 부합하는 쇼핑몰들의 설정항목 그룹 1(예컨대, 보안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정도 정보를 획득한다(S2120). 예컨대, 쇼핑몰의 특성을 매출로 잡은 경우, 제 1 쇼핑몰의 매출 규모와 동일한 구간의 쇼핑몰들의 보안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들의 조합을 분석하여 그 정도 정보를 획득한다.Then, degree information of a setting item group 1 (eg, a security style setting item group) of shopping mal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hopping mall is obtained (S2120).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istic of the shopping mall is set as sales, the degree of information is obtained by analyzing a combination of setting values of the security style setting item group of shopping malls in the same section as the sales size of the first shopping mall.

그리고는, 장치는 두 정도 정보를 비교하여(S2130),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할지 결정한다(S2140). 만약, 단계(S2120)에서도 보안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에 대해 "보안 수준 낮음"의 정도 정보가 획득되어 제 1 쇼핑몰의 보안 스타일 설정항목 그룹의 설정값 조합과 동일한 정도 정보와 같다면, 동일 특성의 쇼핑몰과 동떨어진 스타일 설정은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설정이라고 판단하여 스타일 설정이 적절하지 않다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단계(S2120)에서 "보안 수준 높음"의 정도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 1 쇼핑몰의 정도 정보와 다르기 때문에, 장치는 제 1 쇼핑몰과 관련된 단말로 "현재 보안 수준 낮음"과 같은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일 특성을 갖는 쇼핑몰들의 보안 스타일 설정값의 정도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그 설정값 조합으로 변경할지 질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유형별 스타일링이 적합한 설정항목 그룹으로는, FTP IP 제한 여부, 보안 관련 설정(예컨대, "높은 보안 - 보통 - 낮은 보안"으로 구분할 수 있음), 게시판 항목(예컨대, "자유로운 글쓰기 - 상품평 위주 글쓰기 - 악플 절대 금지"로 구분할 수 있음)이 있을 수 있다. 위 예시 중에서 보안 관련 항목은 설정값별로 등급화가 가능한 경우, 특정 수준에 안 맞는 항목이 없도록 일괄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게시한 항목의 경우, 등급화는 어려울 수 있으나, 대략의 연관성을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설정값이 일괄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device compares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S2130), and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and display a guide message (S2140). If, in step S2120,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low security level" is obtained for the security style setting item group, and the degree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setting value combination of the security style setting item group of the first shopping mall, the shopping mall of the same characteristic Since the style setting that is far from the above is not done, it is judged that it is an appropriate setting,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tyle setting is not appropriate may not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gree information of "high security level" is obtained in step S2120, since it is different from the degree information of the first shopping mall, the device sends a guide message such as "current security level is low" to the terminal related to the first shopping mall. Can provide. In this cas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security style setting values of shopping mall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query whether to change to a combination of the setting values. As for the group of setting items suitable for styling for each type of setting, whether or not FTP IP is restricted, security-related settings (eg, "High security-medium-low security"), bulletin board items (eg, "free writing-product review-oriented writing" -It can be classified as "Absolutely prohibiting malicious comments"). Among the above examples, if the security-related items can be graded by setting value,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hange so that there are no items that do not fit a specific level. In the case of posted items, rating may be difficult, but since there is an approximate relationship, the set value can be changed at once.

도 22는 키 질문(key question)의 응답 정보에 따라 적합한 스타일의 설정값을 로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ading a setting value of a suitable style according to response information of a key question.

도 22를 참조하면, 장치는 몇 가지 키 질문을 사용자 단말(쇼핑몰 운영자의 단말)에 표시하고(S2210), 그에 대한 응답 정보를 획득하여(S2220) 쇼핑몰 운영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S2230). 장치는 운영자의 성향을 파악한 후, 해당 성향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로딩하여(S2240)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사업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국내 위주로 운영할지, 해외 위주로 운영할지, 주요 취급 품목은 어떤 것인지, 타겟 고객층은 누구인지에 대한 질의 등을 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취합하여 운영자의 쇼핑몰 운영 방향 및/또는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는, 해당 속성에 맞는 대형 쇼핑몰들의 설정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device may display several key questions on a user terminal (a shopping mall operator's terminal) (S2210), and obtain response information thereto (S2220) to determine a shopping mall operator's tendency (S2230). After grasping the propensity of the operator, the device loads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pensity (S2240) and provides it to the operator. For example, by asking questions about whether the business operator is an individual or a corporation, whether to operate mainly in Korea, overseas, what is the main handling item, and who is the target customer, the response is collected and the operator's shopping mall operation direction and/ Or you can determine your propensity. Then, the user interface may be configured by setting the settings of large shopping malls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attribute as default values.

또한, 도 21의 실시예와 같이, 게시판 운영 스타일, 보안 수준, 신규회원 정보 수준과 관련된 질의를 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운영자의 성향을 파악한 후, 그에 대응하는 스타일 설정값을 도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1, a query related to the bulletin board operation style, security level, and new member information level is asked, and a response is received to determine the operator's tendency, and then a style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hereto is derived. Interface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 질문 "사업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에 대한 질의에 개인으로 응답한 경우, 개인 사업자인 쇼핑몰들의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 정보만을 수집하여 그에 대한 집중도, 항목연관도 등을 산출한 후, 산출된 값들을 이용하여 앞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즉, 키 질의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쇼핑몰들의 설정값만을 설정값 산출을 위한 수집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dividual responds to a query for the key question "whether a business operator is an individual or a corporation", only the set value information on the set items of shopping malls as individual business operators is collected,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item association thereof After calculating, etc., the user interface can be appropriat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user interface adjustment methods using the calculated values. That is, only the set values of shopping malls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to the key query may be determined as a collection target for calculating the set value.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하는 방법How to visualize item relevance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2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visualiz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장치는 쇼핑몰들로부터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 정보를 획득한다(S2310). 그리고는,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한다(S2320). 항목연관도의 산출은 앞선 도 12 내지 도 17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the device obtains setting value information on setting items from shopping malls (S2310). Then, the set value information is analyzed to calculate an item relationship between the set items (S2320).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may be calculated using the method of FIGS. 12 to 17 above.

장치는 산출된 항목연관도와 항목연관도와 관련된 설정항목을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미리 생성된 시각화 공간 상에 표시함으로써 시각화할 수 있다(S2330). 장치는 설정항목과 항목 연관도를 도식화함으로써 이를 본 사용자가 항목들 간의 연관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vice may visualize the calculated item association diagram by creating a setting item related to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as an object and displaying it on a previously generated visualization space (S2330). The device diagrams the setting item and the item correlation so that the user who sees it can easily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tems.

도 24는 도 23의 방법에 따라 하나의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sualization of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setting items in one tab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3.

도 24를 참조하면, 장치는 하나의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노드(2410-1~2310-4: node)로 오브젝트화한다. 그리고, 두 개의 노드 간의 항목연관도를 두 노드를 잇는 연결 선으로 오브젝트화한다. 이를 시각화 공간 상에 표시한 것을 항목연관도 맵(map)이라 부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the device objectifies setting items belonging to one setting item table as nodes 2410-1 to 2310-4: nodes. In addition,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two nodes is objectified as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two nodes. What is displayed on the visualization space can be called an item association map.

이때, 노드(2410-1~2310-4) 및 연결 선(2420-1~2420-3)는 설정항목 테이블을 식별하기 위해 설정항목 테이블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으로 생성된다.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은 색상, 형상 등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장치는 상위 C%에 해당하는 항목연관도를 갖는 설정항목 및 그의 항목연관도만 오브젝트화할 수 있다. 이때, C 값은 1, 2, 3, 5, 10, 15, 20, 25, 30, 40, 50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값이 될 수 있다. 또는, 장치는 항목연관도가 일정 임계값보다 낮으면, 해당 항목연관도를 지시하는 선 및 해당 항목연관도와 관련된 설정항목을 지시하는 노드로 오브젝트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의미없는 항목연관도와 연관된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지 않음으로 인해, 과도하게 복잡한 형태의 맵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치는 노드 주변에 해당 설정항목의 이름, 상세내용, 식별번호, 요약 내용, 설정항목에 포함된 설정값들의 요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odes 2410-1 to 2310-4 and the connection lines 2410-1 to 2420-3 are generated as visual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tem table to identify the setting item table. Different visual expressions mean different colors, shapes, etc. The device can objectify only the setting items having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upper C% and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thereof. At this time, the C value may be 1, 2, 3, 5, 10, 15, 20, 25, 30, 40, 50, etc., and preferably may be a value of 10 to 30. Alternatively, when the item association degre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evice may not object to a line indicating the item association degree and a node indicating a setting item related to the item association degree. In other words, it prevents the creation of an excessively complex map by not displaying the visual expression associated with the meaningless item association. The device may display at least some of the name, details, identification number, summary content,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setting values included in the setting item around the node.

항목 연관도를 지시하는 연결 선(2420-1~2420-3)은 항목연관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드(2410-1~2310-4)는 대응하는 설정항목의 엔트로피 값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lines 22420-1 to 2420-3 indicating the item association degree may have a thicknes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In addition, the nodes 2410-1 to 2310-4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n entropy value of a corresponding setting item.

도 24의 실시예에서, 노드(2410-1)은 611번 설정항목인 "구매금액 기준"을 지시하고, 노드(2410-2)는 502번 설정항목인 "주문상태 기준"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결 선(2420-1)은 두 노드(2410-1, 2410-2) 간의 항목 연관도를 의미한다. 또한, 노드(2410-3)은 300번 설정항목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데, 노드(2410-3)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300번 설정항목의 엔트로피 값이 가장 크다는 것을 지시한다. 즉, 노드의 크기가 클수록 다양한 설정값으로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고, 노드가 작을수록 하나의 설정값으로 선택되어짐을 지시한다. 또한, 연결 선(2420-3)이 가장 굵은 연결 선인 것을 보고, 도 24에 도시된 4개의 설정항목 간 항목 연관도 중 노드(2410-2)에 대응하는 502번 설정항목 "주문 상태 기준"과 노드(2410-3)에 대응하는 300번 설정항목 "사용 여부"의 항목 연관도가 다른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보다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연결 선의 시각적 표현은 연결 선에 연결된 두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표현을 따른다. In the embodiment of FIG. 24, a node 2410-1 indicates a "purchase amount reference", which is a setting item 611, and a node 2410-2 indicates a "order status reference", which is a setting item 502. In addition, the connection line 2410-1 denotes an item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odes 2410-1 and 2410-2. In addition, the node 2410-3 indicates that the setting item 300 "uses or not" indicates that the size of the node 2410-3 is the largest, indicating that the entropy value of the setting item 300 is the largest.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node size is, the more various setting values are selected, and the smaller the node is, the more one setting value is selected. Also, seeing that the connection line 2420-3 is the thickest connection line, among the four setting items shown in FIG. 24, the 502 setting item "order status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node 2410-2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tem correlation degree of the setting item 300 "use or not" corresponding to the node 2410-3 is higher than the item correlation degree between other setting item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onnecting line follow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t least one of the two node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e.

장치는 특정 노드(2410-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을 때, 해당 노드(2410-1)와 연관된 설정항목 및/또는 해당 설정항목을 포함하는 설정항목 테이블의 설정값 분석 페이지를 연결한다. 설정값 분석 페이지는 집중도 요약 그래프, 설정값 요약 테이블, 각 설정항목별 집중도 상세 페이지, 쇼핑몰 특성별 설정항목 상세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a specific node 2410-1, the device connects a setting item associated with the node 2410-1 and/or a setting value analysis page of the setting item tab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setting item. The setting value analysis p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centration summary graph, a setting value summary table, a concentration detail page for each setting item, and a setting item detail page for each shopping mall property.

또한, 장치는 특정 노드를 선택하여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노드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 지점에 있는 노드를 제 2 지점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노드와 연결선이 이동한다. 제 2 지점으로 이동한 노드는 제 1 지점과의 연장선 상에서 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시각화될 수 있다. Also, the device may move the selected n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d moving a specific node. That is, when the node at the first point is moved to the second point, the node and the connection line move accordingly. The node moved to the second point may be visualized to move dynamically on an extension line with the first point.

장치는 2차원 공간 상에서 노드와 노드, 노드와 연결선, 연결선과 연결선이 겹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겹쳐 배치되는 것에 깊이 값을 다르게 부여하여, 노드 및 연결선들을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allow nodes and nodes, nodes and connecting lines, and connecting lines and connecting lines to overlap in a two-dimensional space. By giving different depth values to overlapping arrangements, nodes and connecting lines can b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이러한 시각화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노드(2410-2)와 연관된 502번 설정항목이 다른 설정항목과 항목연관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항목들의 비효율성을 수정하고자 할 때, 다른 설정항목과의 연관도가 높은 502번 설정항목의 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Through this visualization metho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setting item 502 associated with the node 2410-2 has the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with other setting items. When the user wants to correct the inefficiency of the setting items, the user may preferentially consider the content of setting item 502, which has a high correlation with other setting items.

도 25는 도 23의 방법에 따라 복수 개의 테이블의 설정항목의 항목연관도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sualization of an item association diagram of setting items of a plurality of tabl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3.

도 25를 참조하면, 장치는 하나의 설정항목 테이블에 대한 항목연관도의 시각화를 완료하면 그 다음 설정항목 테이블에 대한 항목연관도 시각화를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설정항목 테이블에 대한 항목연관도 시각화를 수행할 때, 설정항목들 간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치는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의 설정항목(976, 904)은 제 1 색상의 노드로 생성하고,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의 설정항목(1046)은 제 2 색상의 노드로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when the device completes visualization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for one setting item table, the device starts visualizing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for the next setting item table. When performing the visualization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in this way,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between setting items. To prevent this, the device generates the setting items 976 and 904 of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s nodes of the first color, and the setting items 1046 of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s nodes of the second color. I can.

그리고, 장치는 서로 다른 설정항목 테이블의 노드 간의 연결선을 두 노드 중 어느 하나의 색상과 동일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1052)와 노드(1134) 사이의 연결선은 노드(1052)의 색상과 동일하게 시각화된다. 장치는 연결 선의 시각화를 위해 두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 노드의 엔트로피 값이 더 큰 노드의 색상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visualize a connection line between nodes of different setting item tables in the same color as any one of the two nodes. For example,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node 1052 and the node 1134 is visualized in the same color as the node 1052. When the device needs to select one of the two nodes for visualization of the connection line, the device can make the node's entropy value follow the color of the node with a larger value.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User interface adjustment device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량 예측 장치는 통신부(2610), 메모리(2620), 프로세서(2630), 입력부(2640) 및 출력부(2650)를 포함할 수 있다.2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6, the sales volum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610, a memory 2620, a processor 2630, an input unit 2640, and an output unit 2650. .

도 26을 참조하면, 통신부(2610)는 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는 안테나 또는 통신과 연관된 전자회로, 통신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communication unit 2610 is a component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This may be implemented by an antenna or an electronic circuit related to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processor.

메모리(2620)는 프로세서(2630)에서의 작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소이다. 메모리(2620)는 사용자 설정의 효율화를 위한 개별 모듈들(집중도 산출 모듈, 항목 연관도 산출 모듈 등) 및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memory 2620 is a storage that stores program instructions related to work in the processor 2630. The memory 2620 may store individual modules (a concentration calculation module, an item correlation calculation module, etc.) for efficiency of user setting and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shopping malls.

프로세서(2630)는 메모리(2620)에 저장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정을 위한 집중도 및 항목연관도 등을 산출하는 연산 작업을 수행한다. The processor 2630 analyzes the set value information based on th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2620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calculating concentration and item association for user interface adjustment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

프로세서(263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쇼핑몰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집중도를 산출한다. 집중도는 제 1 내지 제 3 집중도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설정값 정보를 기반으로 항목 연관도를 산출한다. 프로세서(2630)는 산출된 집중도 및 항목연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설정값 세팅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630 collects shopping mall set valu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analyzes the collected set value information, and calculates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may include first to third concentration indicators. Also, the item associa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shopping mall setting value information. The processor 2630 may appropriately adjust a user interface provided for setting a user's set value using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and item association.

프로세서(2630)는 쇼핑몰의 특성에 따라 설정값 정보를 분류하여 각 설정항목당 가장 많은 선택 점유율을 갖는 제 1 설정값의 변화 비율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운영하는 제 1 쇼핑몰의 특성과 대응하는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제 1 쇼핑몰의 설정의 효율화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프로세서(2630)는 설정항목 및 적어도 두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시각화 공간 상에 표시함에 의해 항목 연관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다. The processor 2630 categorizes the set valu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mall, analyzes the rate of change of the first set value having the largest selection share per set item, visualizes i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hopping mall operated by the user and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hopping malls,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tting of the first shopping mall. The processor 2630 visualizes the item associ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setting item and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by creating an object as an object and displaying it on a visualization space.

입력부(264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구성요소로써,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항목의 설정값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다. The input unit 2640 is a component for user input, and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pad, and receives user input such as selection of a setting value of a setting item.

출력부(2650)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모니터, TV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650)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집중도 및 항목 연관도와 관련된 테이블 및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도 24 및 도 25의 항목 연관도의 시각화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650 include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screen. This may include a monitor, a TV screen, and the like. The output unit 2650 may display a table related to a concentration degree and an item correlation degree and an adjusted user interface using the display means, and display a visualization graph of the item relation degree of FIGS. 24 and 25.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system or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22)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상기 수집된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Collect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ving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alyzing the collected setting value information to calculate an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Comprising the step of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by generat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as an object and placing them on a visualization space, A way to visualize the association between configuration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하나의 노드(node)로 오브젝트화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 간의 항목연관도는 두 노드를 잇는 연결 선으로 오브젝트화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objectified as one node; And
The method of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which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is converted into an object as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wo nod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설정항목이 속한 설정항목 테이블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으로 표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node is displayed in different visu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etting item table to which the setting item belong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노드들과 그 연결선만 상기 시각화 공간 상에 배치시켜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sualizing step,
Comprising the step of visualizing only nodes belonging to a specific setting item table and their connection lines on the visualization spac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선은 항목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으로 표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line is displayed in different visu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선은 항목연관도의 크기에 따라 굵기가 다르게 표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line is displayed in a different thicknes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선은 상기 연결 선과 연관된 두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line is displayed in the same color as at least one of the two node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연관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설정항목들 및 해당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는 상기 시각화 공간 상에 표시하지 않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hod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wherein the item association degre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the setting items is not displayed on the visualization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주변에, 상기 노드와 관련된 설정항목의 식별자 또는 설정항목의 이름을 오브젝트화하여 표시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vicinity of the node, an identifier of a setting item or a name of a setting item related to the node is displayed as an obje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와 상기 연결선은 3차원으로 배치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node and the connection line ar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함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식별되도록 시각화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Visualizing the specific nod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pecific node to be identified in response to selecting a specific node by user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하여 이동시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가 이동되어 배치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 method of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in which the specific node is moved and arranged in response to selecting and moving a specific node by user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하여 이동시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노드가 동적으로 움직이도록 시각화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 method of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in which the specific node is visualized so that it moves dynamically in response to selecting and moving a specific node by user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크기는, 노드의 엔트로피 값에 비례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ize of the node is proportional to the entropy value of the node,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노드를 선택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노드와 연관된 상세 내용이 표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response to selecting a specific node by user input, detailed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specific node are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연관도는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1 설정항목에 대한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대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에 속한 제 2 설정항목에 대한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인지함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을 나타내는 정보 이득(information gain) 값에 의해 산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is generated by additionally recog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second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compared to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first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 method of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calculated by an information gain value representing a ga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연관도는,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1 설정항목의 제 1 엔트로피 값과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속한 제 2 설정항목의 제 2 엔트로피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페어링한 설정항목 쌍의 제 3 엔트로피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3 엔트로피 값과, 상기 제 1 엔트로피 및 상기 제 2 엔트로피 중 적어도 하나의 차이 값을 산출하여 생성되는 엔트로피 이득 값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tem association diagram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t least one of a first entropy value of a first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a second entropy value of a second setting item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1 It is generated by calculating a third entropy value of a pair of setting items in which the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are paired,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third entropy value and the first entropy and the second entropy. A method of visua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derived based on the entropy gain value.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 및 프로세서(processor)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및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장치.
A memory for stor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related to a shopping mall and a command related to an operation of a process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ving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By analyzing the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hopping malls, an item association degree is calculated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the at least two setting items An apparatus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including a processor for visua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by generat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as an object and placing it on a visualization space.
제 1 쇼핑몰과 관련하여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로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짐;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연관도를 오브젝트(object)로 생성하여 시각화공간 상에 배치시킴에 의해, 설정항목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시스템.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first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t value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in relation to the first shopping mall,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ving at least two setting values Having; And
By analyzing the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calculate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and the A system that visualizes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including a server that visualizes the association between setting items by generating an item association diagram between at least two setting items as an object and placing it on a visualization space.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Collect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related to the shopping mall,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s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ncludes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Consists of a grouped table of multiple setting items;
Analyzing setting items belonging to a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to calculate and visualize an item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alyzing setting items belonging to a second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calculating an item association degree between setting items in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and visualizing it; And
An item association degree of a first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association degree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a second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association degree in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is calculated, Visualizing by associating and visualizing the second setting items, the setting items including the step of visualizing by linking the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the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How to visuali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에 대한 복수 개의 쇼핑몰들의 설정값 정보 및 프로세서(processor)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며,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장치.
A memory for storing setting val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hopping malls for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related to a shopping mall and a command related to an operation of a process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ving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The number of setting item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grouping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And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calculating and visualizing the degree of item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visualizing the second setting item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table to calculate and visualize the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item correlation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By calculating the item relevance of the second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relevance in the setting item table, and visualizing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visualized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 device for visualizing a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comprising a processor for visualizing by linking and visualizing setting items and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제 1 쇼핑몰과 관련하여 쇼핑몰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버로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설정값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들은 동일 범주의 설정항목들을 그룹핑한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로 구성됨; 및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설정항목 테이블 중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한 설정항목들을 분석하여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 내의 설정항목들 간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시각화하며,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서 항목 연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설정항목의 항목 연관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 1 설정항목과 상기 제 2 설정항목을 연관시켜 시각화함에 의해, 상기 제 1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과 상기 제 2 설정항목 테이블에 속해 시각화된 설정항목들을 연계하여 시각화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시스템.

A user terminal requesting a first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t value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associated with the shopping mall in relation to the first shopping mall, each of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having at least two setting values And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in which setting items of the same category are grouped; And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calculating and visualizing the degree of item associ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nd visualizing the second setting item among the plurality of setting item tables By analyzing the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table to calculate and visualize the item correlation between the setting items in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item correlation in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By calculating the item relevance of the second setting i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tem relevance in the setting item table, and visualizing the first setting item and the second setting item, visualized belong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table A system for visualizing correlation between setting items, comprising a server for visualizing by linking and visualizing setting items and visualized setting items belonging to the second setting item table.

KR1020190069284A 2019-06-12 2019-06-1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KR102251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84A KR102251588B1 (en) 2019-06-12 2019-06-1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84A KR102251588B1 (en) 2019-06-12 2019-06-1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58A true KR20200142258A (en) 2020-12-22
KR102251588B1 KR102251588B1 (en) 2021-05-13

Family

ID=7408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284A KR102251588B1 (en) 2019-06-12 2019-06-1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58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26A (en) * 2000-08-14 2002-02-25 (주) 인포마스터 News tracker and analysis service based on web personalization
JP2002532788A (en) * 1998-12-04 2002-10-02 テクノロジー エネイブリング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data
KR20130108748A (en)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nu setting service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42650A (en)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지엔스튜디오 Association rules visualization algorithm of big data
KR20180077800A (en) * 2016-12-29 2018-07-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urchase details management based on real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788A (en) * 1998-12-04 2002-10-02 テクノロジー エネイブリング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data
KR20020014026A (en) * 2000-08-14 2002-02-25 (주) 인포마스터 News tracker and analysis service based on web personalization
KR20130108748A (en)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nu setting service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42650A (en)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지엔스튜디오 Association rules visualization algorithm of big data
KR20180077800A (en) * 2016-12-29 2018-07-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urchase details management based on real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88B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2144B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06922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ommodity customized to each user
US104307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vacy-preserving generation of models for estimating consumer behavior
US9607010B1 (en) Techniques for shape-based search of content
US20130073618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200320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Future Behavior of a Consumer
CN110633331B (en) Method, system and related equipment for extracting data in relational database
US20190333077A1 (en) Purchase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purchase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program
CN110674391A (en) Product data push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and computer equipment
CN113032668A (en)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user portrait and storage medium
CN111310032A (en) Resour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4942971A (en) Extraction method and device of structured data
JP20190572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3256340A (en) Task execu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225580A (en) Live broadcast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JP2007188285A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threshold
KR10225158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visualiz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KR10225158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rranging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determined value using correlation level between setup fields
KR102251586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rranging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determined value using concentration level of the predetermined value
JP2012113486A (en) Intention extrac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27217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rranging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edetermined value using analysis result for the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hopping mall
CN116402596A (en) Data analysis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1977565B2 (en) Automated data set enrichment, analysis, and visualization
CN109949090A (en) Lead referral method,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CN116186119A (en) User behavior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