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227A -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227A
KR20200142227A KR1020190069200A KR20190069200A KR20200142227A KR 20200142227 A KR20200142227 A KR 20200142227A KR 1020190069200 A KR1020190069200 A KR 1020190069200A KR 20190069200 A KR20190069200 A KR 20190069200A KR 20200142227 A KR20200142227 A KR 2020014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elf
main body
ophthalmic surgery
fib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227A/ko
Priority to PCT/KR2020/007453 priority patent/WO2020251239A2/ko
Publication of KR2020014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61F9/0133Knives or scalpe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6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usin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상기 본체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그 부분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섬유 부재; 및 상기 광섬유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까지 광원이 전달되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Apparatus for ophthalmic surgery capable of self-lighting}
본 발명은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체 절제술(Virectomy)은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유리체 출혈이나 혼탁뿐만 아니라 망막박리, 망막주름 등을 유발하는 질환들을 치료(망막수술)할 때, 사용되는 눈 수술법이다.
유리체 절제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안과용 수술 기구를 안구내에 삽입하여 필요한 안과 조직/병리 조직을 절단, 견인, 지혈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다만, 안구 내에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서 수술의 효과가 떨어지고,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의 부작용의 위험성이 커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수술 중에 충분한 조명이 확보되지 않으면 병리조직을 절단할 때에 병리 조직만을 절단할 수 없게 되며, 또한 목적하는 병리조직의 옆에 위한 혈관이나 신경에 손상을 일으켜서 수술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충분한 조명을 얻기 위해서 수술 현미경 광원의 밝기를 높일 경우 현미경 조명 자체의 망막세포 독성(light toxicity)로 망막 손상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할 때 안구 내의 조명을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일루미네이터(illuminator)라는 조명기구를 삽입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추가적인 안구천공을 시행하여야 하기에 수술절개의 범위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루미네이터를 한 손으로 잡고 수술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양손수술이 불가능하고, 한 손 수술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최근 이를 개성하기 위한 chandler illuminator가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안구에 추가적인 안구절개를 시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안구내 조명을 위해서 기존의 안과기술에 광섬유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조명하는 기술도 있으나, 이는 광섬유의 두께만큼의 안구절제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고, 광섬유가 안과 기구 옆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안과 기구에 의한 조명이 가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US 2019/0150978 A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 시 별도로 조명을 밝힐 필요 없이 자체 발광하는 광섬유가 장치에 구비되어 조명할 수 있는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상기 본체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그 부분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섬유 부재; 및 상기 광섬유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까지 광원이 전달되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본체의 관통구 내부에 원통형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의 관통구로 수술도구가 출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본체의 관통구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부재는 원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원통형으로 뽑아 내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 부재는 복수개의 섬유형태의 광섬유들이 원통형 형태로 배열된 다음 외면의 코팅부에 의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절개부 부근에 끝단이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수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에 커터날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그 내부가 공동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가 상기 본체의 공동을 통하여 상기 커터날 부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안과수술 장치의 최첨단 부근에서 자체발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해지고 의사가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2) 본 발명은 안과수술 장치의 수술도구 끝단에 자체발광이 이루어지되 그 광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수술에 대응하여 조명세기를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단면로서, 서로 다른 조명세기를 제공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그리고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 광섬유 부재(13), 광원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광섬유 부재(13)는 상기 본체(11)의 관통구 내부에 원통형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13)의 관통구(13a)로 수술도구가 출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1)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부재(13)가 본체(11) 내부에 있는 길이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면 조명세기도 그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광섬유 부재(13)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11)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상기 본체(11)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그 부분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 부재(13)는 상기 본체(11)의 관통구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섬유 부재(13)는 원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원통형으로 뽑아 내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제공부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광섬유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까지 광원이 전달되도록 광원을 제공한다. 통상 이러한 광원제공부는 인터넷 광케이블과 같이 전기를 커넥터에서 광원으로 바꾸도록 하는 장비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과수술용 장치(10)는, 구체적인 구조와 재질을 보면 광섬유 부재(13)의 끝이 트로카의 모양을 하는 구조이며 원통형이며 가운데가 비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재질은 사기의 봉이나 고순도 석영관을 이용하여 1700℃ 이상의 높은 온도의 불꽃으로 가열한 다음, 트로카 모양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뽑아 낸다. 이는 유리공예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것과 비슷하다.
이때, 구체적인 트로카의 내경은 지금은 25게이지(0.455mm)이며, 외경은 23게이지(0.7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리체 절제술 기기가 내경을 통하여 삽입과 탈출이 가능해진다. 광섬유 부재(13)가 노출되는 트로카 발광부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어 발광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트로카의 발광하는 트로카 부분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조명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macular surgery와 같이 섬세한 수술로 인하여 보다 많은 광원이 필요할 경우는 발광트로카 부분을 아래로 잡아 빼서 발광 넓이를 넓히면 보다 많은 발광이 일어나게 되어 황반부 수술을 보다 편리하게 해준다. 반대로 유리체 출혈과 같은 과한 조명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트로카 발광부분을 위로 밀어 넣어 발광부위의 면적을 줄여 불필요한 눈부심을 방지해준다. 기본적으로 발광트로카는 추가적인 안구절개 없이 세 곳에서의 조명으로 인해 눈부심을 감소시켜 준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11)는 긴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는 긴 원통형의 길이부와 길이부 상부에 연결된 실링부(12)로 이루어진다. 수술 시, 상기 본체(11) 중에는 길이부(11)만이 예를 들면 안구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실링부(12)는 외측에 남아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수술도구가 관통구를 통과하여 안구 내부에서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광섬유 부재(13)는 상기 본체(11)의 관통구 내부에 내측 밀착 형태로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여 조명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도 1이 도 2보다는 상기 광섬유 부재(13)가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 밝을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11)의 길이부, 그리고 상기 광섬유 부재(13)는 모두 일체형을 이루도록 제작된 것을 단면 상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과수술 장치의 단면도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길이부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되고, 광섬유 부재(113)는 일체가 아닌 복수개의 섬유형태의 광섬유들(113a)이 원통형 형태로 배열된 다음 외면의 코팅부(113b)에 의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긴 섬유 형태로 뽑아진 광섬유를 배열한 다음 코팅부(113b)를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렇게 제작하게 되면 광원제공부를 따로 제작할 필요없이 기존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용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안과수술용 장치(2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과수술용 장치(20)는 본체(21), 광섬유 부재(22), 그리고 광원제공부로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광섬유 부재(22)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위부재(22a,22b)가 회전축(22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절개부 부근에 끝단이 발광한다.
이때,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본체를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본체 외측면을 따라 끝단까지 연장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부재를 본체에 가위 형태로 제작하여 직접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광섬유 부재(22)는 가위형태로 제작되어 있고, 집게 형태의 본체(21)에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본체(21)는 두 개의 집게 부재가 서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후방 양단(21a)은 서로 밀착 고정되고 전방 양단(21b)은 벌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양쪽에 가위형태의 광섬유 부재(22a, 22b) 끝단이 각각 고정된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수정체낭 절개집게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것으로서, 구체적인 재질과 모양을 보면 재질은 역시 사기의 봉이나 고순도 석영관을 사용하여 1700℃의 고온의 불꽃으로 가열한 다음 수정체낭 집게의 끝부분과 같은 모양으로 광 섬유 부재를 만들어 낸다. 구체적으로 그 끝이 얇아지는 2개의 원추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원추형 모양의 가늘어진 그 끝에서는 원추의 축의 방향에서 45도 휘어지며 두개의 원추형 끝이 평평해지면서 서로 마주 닿게 되는 구조이다. 전체 원추형 길이는 10mm이며, 그 중에 광섬유의 끝의 모양이 바뀐 형태로 자체 발광하는 부분은 2.5mm이다. 원추의 끝에서 45도 휘어지는 접촉면의 끝에는 홈 (groove)(22d)가 있어서 수정체낭을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있다. 또한 광섬유(20a)를 내장하는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안과수술용 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과수술용 장치(30)는 본체(31), 광섬유 부재(30a), 그리고 광원제공부로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본체(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수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에 커터날(32)이 형성된다.
상기 광섬유 부재(30a)는 상기 본체(31)의 내측의 중공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터날(32)이 설치된 부분은 본체(31)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되어 그 구분에서 발광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와 광섬유 부재를 일체로 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백내장 절단기기인 초퍼(chopper)의 재질과 모양을 보면, 재질은 역시 사기의 봉이나 고순도 석영관을 사용하여 1700℃의 고온의 불꽃으로 가열한 다음, 수정체낭 집게의 끝부분과 같은 모양을 만들어 낸다. 모양은 도끼의 모양을 하는 것처럼 손잡이가 있고, 그 안쪽을 광섬유가 내장되어 지나간다. chapper의 끝에서는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며 그 끝은 손잡이 축에서 45도 꺾어짐과 다시 평행을 반복하면서 계단형으로 가늘어진다. 마지막 끝은 공처럼 다시 굵어져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광섬유 내장 자체 발광부는 이곳 공처럼 다시 굵어져 있는 형태이며, 원형의 모양을 띤다. 또한 chopper의 끝 부분의 하단 부위는 도끼 날처럼 연마되어 있어 공형태의 끝과 함께 백내장을 절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백내장 절단기기의 발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데, 백내장 절단 기기의 끝을 손잡이(shaft)쪽으로 밀어 넣으면 발광 부위가 좁아져서 조명의 강도가 적어지고 (불필요한 눈부심을 감소할 수 있음) 백내장 절단기기의 끝을 손잡이 반대편으로 잡아당기면, 자체발광 chopper부분이 더 많이 노출되어 (발광 부위가 넓어져서) 보다 강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후낭하 혼탁 백내장 또는 과숙백내장 같은 보다 강한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안과수술용 장치(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과수술용 장치(130)는 본체(131), 광섬유 부재(131a), 그리고 광원제공부로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본체(131)는 그 내부가 공동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131a)가 상기 본체(131)의 공동을 통하여 상기 커터날(132) 부근까지 연장된다. 또는 상기 본체(130)가 광섬유 부재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chopper의 끝이 구모양과 도끼날의 혼합형태도 있다. 여기에도 광섬유를 내장하고 그 끝에 발광부(133)가 되게 만들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활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광섬유를 기존의 chopper에 붙였을 때 안구절개창이 커지는 단점과, 기존의 chopper에 빛이 막혀 생기는 그림자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20: 안과수술용 장치
11: 본체 12: 실링부
13: 광섬유 부재 21 : 집게 부재
22 : 가위부재

Claims (11)

  1.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상기 본체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그 부분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섬유 부재;
    상기 광섬유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끝단까지 광원이 전달되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
    를 포함하는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본체의 관통구 내부에 원통형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의 관통구로 수술도구가 출입하는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본체의 관통구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부재는 원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원통형으로 뽑아 내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부재는 복수개의 섬유형태의 광섬유들이 원통형 형태로 배열된 다음 외면의 코팅부에 의해 코팅되어 이루어진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부재는 상기 절개부 부근에 끝단이 위치하는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수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에 커터날이 형성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가 공동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부재가 상기 본체의 공동을 통하여 상기 커터날 부근까지 연장된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KR1020190069200A 2019-06-12 2019-06-12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KR20200142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00A KR20200142227A (ko) 2019-06-12 2019-06-12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PCT/KR2020/007453 WO2020251239A2 (ko) 2019-06-12 2020-06-09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00A KR20200142227A (ko) 2019-06-12 2019-06-12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27A true KR20200142227A (ko) 2020-12-22

Family

ID=7378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200A KR20200142227A (ko) 2019-06-12 2019-06-12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42227A (ko)
WO (1) WO20202512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442A (ko) * 2020-06-12 2021-12-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 슬리브를 갖는 일루미네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0978A1 (en) 2014-01-29 2019-05-23 Ethicon Llc Troca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401B1 (ko) * 2009-04-27 2011-12-21 국립암센터 수술 기구
KR101070049B1 (ko) * 2009-05-06 2011-10-04 국립암센터 수술 기구
US9066678B2 (en) * 2011-09-23 2015-06-30 Alcon Research, Ltd. Ophthalmic endoilluminators with directed light
US10244931B2 (en) * 2015-07-13 2019-04-02 Novartis Ag Illuminated ophthalmic infusion line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796773B1 (ko) * 2016-09-09 2017-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조명유닛 및 이를 구비한 복강경 수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0978A1 (en) 2014-01-29 2019-05-23 Ethicon Llc Troc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442A (ko) * 2020-06-12 2021-12-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 슬리브를 갖는 일루미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239A3 (ko) 2021-02-04
WO2020251239A2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885B2 (en) Illuminated vitrectomy cutter with adjustable illumination aperture
US6786628B2 (en) Light source for ophthalmic use
US10039669B2 (en) Internally illuminated surgical probe
US9572717B2 (en) Shielded intraocular probe for improved illumination or therapeutic application of light
AU2011289406B2 (en) Dual-mode illumination for surgical instrument
CN107530192A (zh) 边缘照明器械
JP7344211B2 (ja) 照明付きカニューレ
US20100318074A1 (en) Ophthalmic endoillumination using low-power laser light
US20210290438A1 (en) Laser vitrectomy and illumination probe
US20170014269A1 (en) Surgical instrument
KR20200142227A (ko) 광섬유에 의해 자체발광이 가능한 안과수술용 장치
WO2015101624A1 (en) Device for vitrectomy
Amoils et al. Goniotomy With Intraocular Illumination: A Preliminary Report
KR102448534B1 (ko) 고정 슬리브를 갖는 일루미네이터
US20230346600A1 (en) Hybrid 2-port vitrectomy and combined treatment and infusion probe
US20220249191A1 (en) Tailored light window technique for eye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