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196A -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196A
KR20200142196A KR1020190069109A KR20190069109A KR20200142196A KR 20200142196 A KR20200142196 A KR 20200142196A KR 1020190069109 A KR1020190069109 A KR 1020190069109A KR 20190069109 A KR20190069109 A KR 20190069109A KR 20200142196 A KR20200142196 A KR 2020014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oard
panel
bracket
bla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10B1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이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희 filed Critical 이철희
Priority to KR102019006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레그 패널(10);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레그(20); 상기 레그 패널(10)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20)에 결합된 로워 보드 브라켓(30);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20)에 결합된 어퍼 보드 브라켓(40);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지지된 칠판보드(50);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20)는,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프론트 레그(22);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레그(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Whiteboard with increased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칠판보드와 레그 등의 조립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성의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학교나 학원 등의 강의실에 비치되어, 강의 내용의 판서를 위해 사용되는 물품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칠판으로는 벽체에 고정되는 칠판(보통, 흑색 칠판이라 함)과 판서면이 백색 코팅 처리된 화이트 보드 칠판과 같이 다양한 칠판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칠판으로는 흑판 대신 화이트보드(White Board)를 그림, 글자 등의 필기 영역으로 사용하는 화이트보드 칠판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화이트보드 칠판은 한 쌍의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단에 결합된 화이트보드를 구비하며, 화이트보드는 판면이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유지하도록 다리부에 결합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72761호(1999년12월14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33093호(2016년06월17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007호(2011년09월30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5365호(2011년08월26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칠판보드와 레그 등의 주요부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 이후에는 구조적으로 견고한 새로운 구성의 칠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 패널;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된 레그; 상기 레그 패널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에 결합된 로워 보드 브라켓;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에 결합된 어퍼 보드 브라켓;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과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에 지지된 칠판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이 제공된다.
상기 레그는,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된 프론트 레그;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레그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 패널은 좌우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좌우측 프론트홀과 좌우측 리어홀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프론트홀에 상기 프론트 레그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프론트 레그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리어홀에 상기 리어 레그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리어 레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 패널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상기 프론트 레그와 상기 리어 레그가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는 상기 레그 패널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프론트 상부 레그부와,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패널의 전단부 쪽에서 앞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프론트 경사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어 레그는 상기 레그 패널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리어 상부 레그부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패널의 후단부 쪽에서 뒤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경사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의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는 상기 레그 패널에 구비된 프론트홀에 끼워지고, 상기 리어 레그의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는 상기 레그 패널에 구비된 리어홀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와 상기 리어 레그는 각각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가 상기 레그 패널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그 패널의 좌우 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프론트 레그와 리어 레그가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에 연결된 프론트 경사 레그부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에 연결된 리어 경사 레그부에 의해 상기 레그 패널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은 전후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가 중간의 로워 브라켓편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은 전후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가 중간의 어퍼 브라켓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는 프론트 레그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에 끼워지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는 리어 레그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에 연결된 로워 브라켓편에 칠판보드의 측단부가 고정 지지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에 연결된 어퍼 브라켓편에 상기 칠판보드의 측단부가 고정 지지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지지구는 상기 로워 브라켓편을 관통하여 상기 칠판보드의 측단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 패널의 상면에는 오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 패널;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된 레그; 상기 레그 패널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에 결합된 로워 보드 브라켓;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에 결합된 어퍼 보드 브라켓;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과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에 지지된 칠판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된 프론트 레그; 상기 레그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레그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 패널은 좌우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좌우측 프론트홀과 좌우측 리어홀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프론트홀에 상기 프론트 레그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프론트 레그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리어홀에 상기 리어 레그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리어 레그가 배치되고, 상기 칠판보드의 측단부에는 슬랜딩 조절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슬랜팅 조절 브라켓에는 전단부에서 후단부 쪽으로 복수개의 슬랜팅 조절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은 레그 패널에 구비된 프론트홀과 리어홀에 각각 프론트 레그와 리어 레그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한 쌍의 프론트 레그와 리어 레그에 구비된 어퍼 바아 브라켓의 행거 브라켓 결합홀에 칠판보드의 측단부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을 걸쳐주고 로워 바아 브라켓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는 칠판보드의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 결합홀에 삽입하여 주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주요부의 조립 이후에는 로워 바아 브라켓과 어퍼 바아 브라켓에 의해 칠판보드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조립 이후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칠판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로워 보드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부인 어퍼 보드 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어퍼 보드 브라켓과 칠판 사이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칠판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일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칠판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일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배면도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칠판보드를 경사지게 기울여서 사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은 레그 패널(10)과, 이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레그(20)와,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어퍼 보드 브라켓(40),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지지된 칠판보드(50)를 구비한다.
상기 레그 패널(10)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레그 패널(10)은 전후단 사이의 폭에 비하여 좌우 측단부 사이의 폭이 더 큰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그 패널(10)에는 프론트홀(12)과 리어홀(14)이 구비된다. 레그 패널(10)의 좌우 측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프론트홀(12)과 리어홀(14)이 구비된다. 레그 패널(10)의 좌우 측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프론트홀(12)과 리어홀(14)이 구비된다. 레그 패널(10)을 위에서 볼 때에 좌우 측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두 개씩 홀이 구비되어 총 네 개의 홀이 레그 패널(10)에 구비된다. 레그 패널(10)의 전단부와 가까운 두 개의 홀이 프론트홀(12)이고 레그 패널(10)의 후단부와 가까운 두 개의 홀이 리어홀(14)이다. 상기 레그 패널(10)의 상면에는 오목홈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 패널(10)에 레그(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레그(20)는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프론트 레그(22)와,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되어 프론트 레그(22)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레그(24)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레그(22)는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를 구비한다.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의 하단부에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옆에서 볼 때에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는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서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옆에서 볼 때에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가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서 앞쪽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의 하단부에는 프론트 연장 레그부(22C)가 연결된다. 프론트 연장 레그부(22C)의 상단부가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프론트 연장 레그부(22C)는 프론트 레그(22)의 옆에서 볼 때에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어 레그(24)는 리어 상부 레그부(24A)와 리어 경사 레그부(24B)를 구비한다.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의 하단부에 리어 경사 레그부(24B)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리어 레그(24)의 옆에서 볼 때에 리어 경사 레그부(24B)는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서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리어 레그(24)의 옆에서 볼 때에 리어 경사 레그부(24B)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서 뒤쪽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리어 경사 레그부(24B)의 하단부에는 리어 연장 레그부(24C)가 연결된다. 리어 연장 레그부(24C)의 상단부가 리어 경사 레그부(24B)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리어 연장 레그부(24C)는 리어 레그(24)의 옆에서 볼 때에 리어 상부 레그부(24A)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프론트 레그(22)에서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가 레그 패널(10)의 프론트홀(12)에 끼워진다. 레그 패널(10)에는 좌우 측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프론트홀(12)이 구비되어 있어서,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의 각각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가 레그 패널(10)의 프론트홀(12)에 끼워짐으로써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가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는 레그 패널(10)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는 레그 패널(10)의 전단부에서 앞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 레그(24)에서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레그 패널(10)의 리어홀(14)에 끼워진다. 레그 패널(10)에는 좌우 측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리어홀(14)이 구비되어 있어서, 한 쌍의 리어 레그(24)의 각각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레그 패널(10)의 리어홀(14)에 끼워짐으로써 좌우 한 쌍의 리어 레그(24)가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는 레그 패널(10)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리어 경사 레그부(24B)는 레그 패널(10)의 후단부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가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 패널(10)의 옆에서 볼 때에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레그(24)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는 레그 패널(10)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고,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는 레그 패널(10)의 전단부에서 앞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의 하단부에 연결된 프론트 연장 레그부(22C)와 리어 경사 레그부(24B)의 하단부에 연결된 리어 연장 레그부(24C)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연장 레그부(22C)와 리어 애드 래그부에는 캐스터가 결합되고, 상기 캐스터는 칠판 설치 지역의 지면에 접촉된다.
상기 레그 패널(10)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가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는 각각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레그 패널(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레그 패널(10)의 좌우 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가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 연결된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연결된 리어 경사 레그부(24B)에 의해 레그 패널(10)의 저면이 지지되므로, 레그 패널(10)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은 전후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가 중간의 로워 브라켓편(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워 브라켓편(32)은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로워 브라켓편(32)의 전후단부에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는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레그(24)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단면 원형관 형상이므로,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는 원형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워 바아 보스부(34)의 상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로워 브라켓편(32)에는 고정 지지구(36)가 구비된다. 상기 로워 브라켓편(32)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볼트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지지구(36)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로워 브라켓편(32)의 볼트홀에 고정 지지구(36)가 볼트식으로 결합된다. 고정 지지구(36)의 선단부는 로워 브라켓편(32)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전진할 수 있고, 상기 고정 지지구(36)의 기단부에는 헤드부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를 손으로 잡고 고정 지지구(36)를 로워 브라켓편(32)의 볼트홀에서 돌릴 수 있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가 레그 패널(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전후 프론드 레그(20)와 리어 레그(24)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은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를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가 볼트식으로 로워 바아 보스부(34)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이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의 각각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전후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가 중간의 어퍼 브라켓편(4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퍼 브라켓편(42)은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어퍼 브라켓편(42)의 전후단부에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는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레그(24)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단면 원형관 형상이므로,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는 원형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 바아 보스부(44)의 상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편(42)에는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이 구비된다. 상기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은 어퍼 브라켓편(4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일정 깊이 연장되고 어퍼 브라켓편(42)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은 어퍼 브라켓편(4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홀 형상이다.
이때, 상기 어퍼 브라켓편(42)에는 인서트 가이드홀(43GH)이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 가이드홀(43GH)은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의 상단부에서 어퍼브라켓편의 상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홀 형상이다. 인서트 가이드홀(43GH)의 하단부는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인서트 가이드홀(43GH)의 상단부는 어퍼 브라켓편(42)의 상단부로 이어진다. 인서트 가이드홀(43GH)이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이어지면서 동시에 어퍼 브라켓편(42)의 상단부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가 레그 패널(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전후 프론드 레그(20)와 리어 레그(24)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를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가 볼트식으로 어퍼 바아 보스부(44)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이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의 각각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고정된다.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레그 패널(10)의 전방에서 볼 때에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가 배치된다. 두 개의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좌우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칠판보드(5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칠판보드(50)의 전면은 판서면으로 구성된다. 칠판보드(50)는 좌우 두 개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장착된 좌우 두 개의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칠판보드(50)의 좌우 측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이 구비된다.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은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서 일정 깊이로 들어간 홀이 될 수도 있고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홀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은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판보드(50)의 좌우 측단부에는 고정 지지 브라켓(54)이 구비된다. 고정 지지 브라켓(54)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 브라켓(54)에는 행거 브라켓편(55)이 돌출된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좌우 측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 지지 브라켓(54)에서 행거 브라켓편(55)이 돌출된 구조가 된다. 즉, 칠판보드(50)의 좌우 측단부에 각각 행거 브라켓편(55)이 돌출된 구조가 된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양쪽 측단부로 돌출된 한 쌍의 행거 브라켓편(55)이 좌우 한 쌍의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어퍼 브라켓편(42)에 형성된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끼워지고 행거 브라켓편(55)의 아래에서 칠판보드(50)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는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로워 브라켓편(32)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 지지구(36)가 삽입된다. 상기 행거 브라켓편(55)을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어퍼 브라켓편(42)의 상단부에서부터 인서트 가이드홀(43GH)을 지나서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로 삽입되도록 하여 행거 브라켓편(55)이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로워 브라켓편(32)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36)를 볼트식으로 돌려서 상기 칠판보드(50) 측단부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양쪽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 사이 및 레그 패널(10)의 상부에 칠판보드(50)가 세워져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은 레그 패널(10)에 구비된 프론트홀(12)과 리어홀(14)에 각각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구비된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칠판보드(50)의 측단부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55)을 걸쳐주고 로워 보드 브라켓(30)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36)는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 삽입하여 주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주요부의 조립 이후에는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고정 지지구(38)및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의해 칠판보드(50)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조립 이후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는 레그 패널(10)의 전단부에서 앞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리어 레그(24)의 리어 경사 레그부(24B)는 레그 패널(10)의 후단부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레그 패널(10)을 프론트홀(12)과 리어홀(14)을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레그(24)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끼워놓은 상태에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저면을 각각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와 리어 경사 레그부(24B)가 밑에서 받쳐주고 있게 되므로, 레그 패널(10)과 프론트 레그(22) 및 리어 레그(24)의 조립 과정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그 패널(10)의 전단부에서 더 앞으로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가 경사지게 더 나와 있고 레그 패널(10)의 후단부에서 더 뒤쪽으로 리어 경사 레그부(24B)가 경사지게 더 나와 있어서 칠판보드(50)와 레그 패널(10)을 지지하는 레그(20)의 구조가 보다 견고해지고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칠판보드(50)의 양쪽 측단부에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55)을 좌우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장착된 좌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걸쳐놓고 로워 바아 브라켓(50)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36)를 칠판보드(50) 측단부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을 찾아서 삽입 결합하면 되므로,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칠판보드(50)를 결합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칠판보드(50)를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세워서 지지하는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행거 브라켓편(55)은 핀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칠판보드(50)의 양쪽 측단부에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55)을 좌우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장착된 좌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걸쳐놓을 수 있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칠판보드(50)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려서 고정 지지구(36)를 적당한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 맞추어서 삽입하면 되므로, 칠판보드(50)를 상하 높이를 보다 쉽게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는 행거 브라켓편(55)을 구비한 고정 지지 브라켓(54)이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할 때에 고정 지지 브라켓(54)을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서 쉽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칠판보드(50)와 고정 지지 브라켓(54) 사이의 분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양쪽 측단부에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55)을 좌우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에 장착된 좌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어퍼 브라켓편(42)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걸쳐놓기 위하여 상기 어퍼 브라켓편(42)의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행거 브라켓편(55)을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의 상단부에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프홀 형태의 인서트 가이드홀(43GH)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행거 브라켓편(55)을 인서트 가이드홀(43GH)을 통해서 보다 쉽게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로 투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칠판보드(50) 측단부의 행거 브라켓편(55)을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걸쳐놓는 작업이 더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그 패널(10)의 상면에는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오목홈에 매직과 같은 필기구를 올려놓으면 필기구가 레그 패널(10)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칠판보드(50)에 필기하면서 사용할 때에 보다 편리하다.
한편,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레그(24)의 리어 상부 레그부(24A)는 레그 패널(10)의 일측단부에서 볼 때에 레그 패널(10)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어퍼 바아 보스부(44)가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어퍼 브라켓편(42)에 구비된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이 뒤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뒤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에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서 돌출된 행거 브라켓편(55)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 지지 브라켓(54) 결합홀과 행거 브라켓편(55)을 기준으로 칠판보드(50)의 하단부를 상단부보다 더 앞으로 나오도록 칠판보드(50)를 회동시킨 다음, 상기 칠판보드(50) 측단부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 로워 보드 브라켓(30)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36)를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칠판보드(50)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칠판보드(50)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앞쪽으로 더 나와 있도록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서 상기 칠판보드(50) 전면의 판서면이 앞쪽으로 기울지도록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판서면에 매직 등의 필기구로 판서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칠판보드(50) 전면의 판서면을 앞으로 좀 더 기울여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칠판보드(50)의 판서면에 판서하기가 보다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칠판보드(50)의 좌우 양쪽 측단부에는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이 구비된다.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의 일측 단부에는 칠판보드(50)의 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픽싱 브라켓편이 구비되어, 상기 픽싱 브라켓편이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칠판보드(5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에는 전단부에서 후단부 쪽으로 복수개의 슬랜팅 조절홀(62)이 구비된다. 상기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의 옆에서 볼 때에 앞쪽에서 뒤쪽으로 적어도 두 개의 슬랜팅 조절홀(62)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 브라켓(54)의 행거 브라켓편(55)이 원형핀 형상이 아니라 판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은 상단부에서 하단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징 지지 브라켓(54)이 장착된 칠판보드(50)가 상기 행거 브라켓편(55)과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을 기준으로 앞뒤쪽으로 경사지도록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칠판보드(50)의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에서 고정 지지구(36)를 빼는 상태에서 상기 행거 브라켓편(55)과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43)을 기준으로 칠판보드(50)를 앞쪽으로 경사지게 돌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 지지구(36)를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에 구비된 슬랜팅 조절홀(62)에 끼워주면, 칠판보드(50)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앞쪽으로 더 나와 있도록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서 상기 칠판보드(50) 전면의 판서면이 앞쪽으로 기울지도록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칠판보드(50)의 판서면에 매직 등의 필기구로 판서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칠판을 사용할 때에 칠판보드(50) 전면의 판서면을 필기자가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시킨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칠판보드(50)의 판서면에 보다 편리하게 판서(필기)를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칠판보드(50)의 판서면의 각도 역시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랜팅 조절 브라켓(60)에는 앞뒤로 복수개의 슬랜팅 조절홀(62)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슬랜팅 조절홀(62)의 위치에 칠판보드(50) 측단부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을 맞추어서 고정 지지구(36)를 칠판보드(50) 측단부의 고정 지지구 결합홀(52)과 선택된 슬랜팅 조절홀(62)에 동시에 결합하면, 상기 칠판보드(50) 전면의 판서면의 경사도를 원하는데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레그 패널 12. 프론트홀
14. 리어홀 20. 레그
22. 프론트 레그 22A. 프론트 상부 레그부
22B. 프론트 경사 레그부 22C. 프론트 연장 레그부
24. 리어 레그 24A. 리어 상부 레그부
24B. 리어 경사 레그부 24C. 리어 연장 레그부
30. 로워 보드 브라켓 32. 로워 브라켓편
34. 로워 바아 보스부 36. 고정 지지구
40. 어퍼 보드 브라켓 42. 어퍼 브라켓편
43. 행거 브라켓편 거치홀 43GH. 인서트 가이드홀
44. 어퍼 바아 보스부 50. 칠판보드
52. 고정 지지구 결합홀 54. 고정 지지 브라켓
55. 행거 브라켓편 60. 슬랜팅 조절 브라켓
62. 슬랜팅 조절홀

Claims (12)

  1. 레그 패널(10);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레그(20);
    상기 레그 패널(10)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20)에 결합된 로워 보드 브라켓(30);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위쪽에서 상기 레그(20)에 결합된 어퍼 보드 브라켓(40);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과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에 지지된 칠판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된 프론트 레그(22);
    상기 레그 패널(10)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레그(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패널(10)은 좌우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좌우측 프론트홀(12)과 좌우측 리어홀(14)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프론트홀(12)에 상기 프론트 레그(22)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프론트 레그(22)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리어홀(14)에 상기 리어 레그(24)가 끼워져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상기 리어 레그(2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상기 프론트 레그(22)와 상기 리어 레그(24)가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22)는 상기 레그 패널(10)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패널(10)의 전단부 쪽에서 앞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어 레그(24)는 상기 레그 패널(10)의 일측 단부에서 볼 때에 리어 상부 레그부(24A)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연결되어 상기 레그 패널(10)의 후단부 쪽에서 뒤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경사 레그부(24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22)의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는 상기 레그 패널(10)에 구비된 프론트홀(12)에 끼워지고, 상기 리어 레그(24)의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는 상기 레그 패널(10)에 구비된 리어홀(14)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22)와 상기 리어 레그(24)는 각각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가 상기 레그 패널(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좌우 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프론트 레그(22)와 리어 레그(24)가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 연결된 프론트 경사 레그부(22B)와 상기 리어 상부 레그부(24A)에 연결된 리어 경사 레그부(24B)에 의해 상기 레그 패널(10)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은 전후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가 중간의 로워 브라켓편(32)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은 전후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가 중간의 어퍼 브라켓편(4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는 프론트 레그(22)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 끼워지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는 리어 레그(24)의 프론트 상부 레그부(22A)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보드 브라켓(30)의 상기 한 쌍의 로워 바아 보스부(34)에 연결된 로워 브라켓편(32)에 칠판보드(50)의 측단부가 고정 지지구(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어퍼 보드 브라켓(40)의 상기 한 쌍의 어퍼 바아 보스부(44)에 연결된 어퍼 브라켓편(42)에 상기 칠판보드(50)의 측단부가 고정 지지 브라켓(54)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구(36)는 상기 로워 브라켓편(32)을 관통하여 상기 칠판보드(50)의 측단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패널(10)의 상면에는 오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KR1020190069109A 2019-06-12 2019-06-12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KR10221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09A KR102217910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09A KR102217910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196A true KR20200142196A (ko) 2020-12-22
KR102217910B1 KR102217910B1 (ko) 2021-02-18

Family

ID=7408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09A KR102217910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57A (ja) * 1998-03-12 1999-09-21 Itoki Co Ltd パネル状家具
KR200172761Y1 (ko) 1999-08-09 2000-03-15 정재구 화이트보드 칠판
JP2009119767A (ja) * 2007-11-16 2009-06-04 Nichigaku Kk 筆記用ボード
KR200455365Y1 (ko) 2009-10-01 2011-09-06 노수민 칠판
KR200456007Y1 (ko) 2009-09-18 2011-10-07 권영기 화이트보드칠판
KR101633093B1 (ko) 2015-08-27 2016-07-01 주식회사 부경교재 승하강식 칠판
JP2017063878A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イトーキ キャスタ付き家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57A (ja) * 1998-03-12 1999-09-21 Itoki Co Ltd パネル状家具
KR200172761Y1 (ko) 1999-08-09 2000-03-15 정재구 화이트보드 칠판
JP2009119767A (ja) * 2007-11-16 2009-06-04 Nichigaku Kk 筆記用ボード
KR200456007Y1 (ko) 2009-09-18 2011-10-07 권영기 화이트보드칠판
KR200455365Y1 (ko) 2009-10-01 2011-09-06 노수민 칠판
KR101633093B1 (ko) 2015-08-27 2016-07-01 주식회사 부경교재 승하강식 칠판
JP2017063878A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イトーキ キャスタ付き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10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910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칠판
KR101222106B1 (ko) 무용접 3축방향 접합시스템의 프레임 조립구조체를 이용한 탁자
KR101722731B1 (ko) 탈,부착이 간편한 스크린 파티션을 구비한 책상
KR101933838B1 (ko)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JP2010164100A (ja) 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2008119407A (ja) 袖付きデスク装置
KR101849272B1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CN212003840U (zh) 一种家具用隐藏式板材安装结构
CN213962260U (zh) 一种快速拆装的桌上屏风
JP2008121382A (ja) パネル支持構造
CN217107722U (zh) 一种快装连接机构
JP2007151824A (ja) 組立式デスク
JP2008080144A (ja) 組立式デスク
JP2011172978A (ja) 机の脚装置
JP5602203B2 (ja) フラップ天板付家具
US8002366B2 (en) Drawer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CN218999783U (zh) 一种用于桌子的支架
JP2007130095A (ja) 棚板の取付構造、およびこの棚板を備えるナースステーション等用什器
JPH032181Y2 (ko)
KR102397605B1 (ko) 상판 다리 고정장치
CN215533345U (zh) 一种组装式拉杆及带有该拉杆的屏风
CN220001156U (zh) 一种吧台
CN210169362U (zh) 一种大跨度会议桌
CN219515596U (zh) 一种可拆卸的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