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818A -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818A
KR20200141818A KR1020190068823A KR20190068823A KR20200141818A KR 20200141818 A KR20200141818 A KR 20200141818A KR 1020190068823 A KR1020190068823 A KR 1020190068823A KR 20190068823 A KR20190068823 A KR 20190068823A KR 20200141818 A KR20200141818 A KR 2020014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data
client terminal
book
teac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322B1 (ko
Inventor
이윤지
전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샤트
Priority to KR102019006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3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요청에 따른 교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메모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FOR PROVIDING MEMO RECORDABLE E-BOOK SERVICE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를 남길 수 있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책(Electronic book; “이-북(e-book)”이라고도 함)은 다양한 포맷들(예를들면, IDPF, EPUB 및 PDF)로 나오고, 다양한 장치들(예컨대, 전용 판독 장치들 및 범용 모바일 장치들, 테블릿 컴퓨터들, 랩탑 컴퓨터들, 및 데스크탑 컴퓨터들)을 사용하여 판독될 수 있다.
전자책의 다양한 포맷들 중에서 ePUB(Electronic PUBlication)은 IDPF(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개발한 전자책 포맷 표준으로, 현재 전자책 시장에서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 포맷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많은 전자책들이 EPUB 포맷으로 제작되고 있다.
태블릿PC 구매가 증가하면서 E-book(전자책) 시장 확대되고 있으나, 교재(textbook)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 학생들은 여전히 무거운 교재들을 들고 다니며, 이러한 종이 기반의 학습 교재는 들고 다니기 무거울 뿐만 아니라 교재들을 공급, 사용 및 폐기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반 시설의 탄소 배출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교재에서 단 몇 페이지가 바뀌면 그 교재는 쓸모 없는 것이 되어 새로운 버전의 인쇄가 요구될 수도 있다.
학습 자료를 변화시키기 위한 시도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 목적을 위한 종이책 사용의 장점들이 확실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종이로 된 학습 교에 대한 대체 제품이 자리잡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교재를 사용해왔다. 어떤 이들은 특정 관심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해당 텍스트에 밑줄을 긋거나, 색칠을 하고, 다른 이들은 어려운 개념의 설명을 기억하기 위해 여백에 메모를 하거나, 메모지를 끼워두기도 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중요한 페이지를 접거나, 스티커를 붙이기도 하며, 필요한 내용만 찢어서 들고 다니기도 한다. 이러한 종이책들의 명확한 장점들로 인해 학습 자료를 전자책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습 교재를 전자책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책에 기록한 메모를 별도의 레이어에 저장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책에 기록한 메모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요청에 따른 교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메모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모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 및 상기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하는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모 데이터에 저장되는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책을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터치 패널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입력 받아 메모 데이터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명령에 따른 텍스트 크기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 데이터에 저장된 메모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 및 상기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하는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한 교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교재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메모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책 데이터에 메모 데이터 레이어를 씌워 제공함으로써, 전자책에 다양한 방식으로 메모를 기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간 메모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글씨 크기의 변경에도 메모 데이터가 반응적으로 해당 교재 데이터를 찾아가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자책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메모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교재 데이터의 좌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메모 데이터가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저장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따른 메모 데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교재 데이터의 좌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생성된 메모의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메모 데이터를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간에 메모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과 처리 서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처리 서버(110), 네트워크(120) 및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서버(110)는 전자책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로, 전자책 지원 모듈(111), 메모 데이터 지원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책 지원 모듈(111)은 처리 서버(110) 내부 또는 외부의 교재 데이터베이스(113)에 교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 데이터 지원 모듈(112)은 처리 서버(110)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 데이터베이스(114)에 메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처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 개의 처리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재 데이터는 EPUB 기반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EPUB은 XHTML이나 HTML5를 이용하여 내부의 글과 문서 구조를 만들고, CSS의 일부를 이용하여 문서의 틀과 형식을 만들며, 목록이나 표 양식, EPUB 메타데이터를 위해 XML을 이용하며, EPUB에 포함되는 모든 내용을 ZIP 파일로 묶어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재 데이터는 container.xml, style.css, toc.ncx, package.opf 등을 포함하는 속성 정보와 그 외 본문 내용과 관련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음원 등에 대한 부가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재 데이터는 EPUB 기반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책을 구현하는 어떠한 형태의 파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는 교재 데이터 ID, 사용자 ID, 메모 이미지, 메모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모는 교재 데이터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서버(110)와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네트워크(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표준 통신 기술 및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통상적인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110)는 이더넷(Ethernet), 802.11,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2G/3G/4G 모바일 통신 프로토콜,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인피니밴드(InfiniBand), PCI 익스프레스 어드밴스드 스위칭(PCI Express Advanced Switching), 블루투스 통신, Wi-Fi 등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는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20) 상의 엔티티는 상술한 것들 대신에 다른 추가적인 데이터 통신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전자책과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교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교재 데이터와 메모 데이터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personal station: WPS) 및 전자책 단말기(예를 들면, 아마존 킨들, 반스앤노블 누크, 리디북스 페이퍼, 한국이퍼브 크레마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전자책 단말기를 포함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입력부(25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입력부(250) 및 메모리(260)에 연결되어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20)는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통신부(220)를 통해서 처리 서버로부터 교재 데이터 및/또는 메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서 생성된 메모 데이터를 처리 서버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재 데이터, 메모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서 새롭게 생성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교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는 교재 데이터에 메모 데이터의 레이어를 얹어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40)는 디스플레이부(240)와 함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펜 또는 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메모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260)는 프로세서(210)의 연산을 돕는 장치로 사용자의 메모와 상기 메모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의 주소를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310) 및 전자펜(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태블릿 PC로 설명하고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personal station: WPS) 및 전자책 단말기(예를 들면, 아마존 킨들, 반스앤노블 누크, 리디북스 페이퍼, 한국이퍼브 크레마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전자책 단말기를 포함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310)에서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클라이언트 단말(310)에 저장된 교재 데이터 및 메모 데이터가 미리 보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교재 데이터 마다 복수 개의 메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모 데이터를 병합하여 하나의 메모 데이터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메모 데이터는 복수 개의 메모 데이터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의 명령이 없는 경우, 교재 데이터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메모 데이터와 연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메모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텍스트, 이미지 및 사운드를 포함하는 교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펜 또는 손가락으로 메모를 입력하면, 메모 데이터 레이어가 생성되며, 상기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공되는 전자책의 페이지를 넘길 수 있는 이전 페이지 이동 버튼(410)과 다음 페이지 이동 버튼(420)을 통해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으며, 전자책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440, 441), 상기 전자책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430, 431), 도표, 삽화, 그림 및 사진 첨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책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440, 441), 상기 전자책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430, 431), 도표, 삽화, 그림, 사진 등은 교재 데이터와 연결되어 또는 분리되어 메모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는 하나의 페이지에 생성되더라도 각각의 메모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모(430)와 제2 메모(431)는 다른 메모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글씨 크기를 확대하여, 제1 메모(430)와 제2 메모(431)가 다른 페이지에 보이게 되더라도, 메모 데이터에 저장되는 주소를 통해서 각각의 메모가 정확한 위치에 보이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서 펜 종류, 굵기 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서 원하는 메모를 기재할 수 있으며, 메뉴 외에도 전자펜의 버튼, 사용자의 제스처, 음성 인식 등을 통해서 메모 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교재 데이터의 좌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미리 정해진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임의의 공간(5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사용자 명령은 전자펜을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좌측 또는 우측 베젤 방향으로 드래그 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베젤 근처의 여백을 빠르게 연속으로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에서 벗어나 임의의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현재의 위치를 알기 쉽도록 네비게이션 맵(54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의해 임의의 공간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맵(540)의 빗금친 부분이 화면상에 보이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재 데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되는 메모(530)의 메모 데이터는 임의의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서 가장 가까운 텍스트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재 데이터의 일정 텍스트로부터 좌측 공간으로 드래그하는 명령을 할 경우, 상기 일정 텍스트에 대한 메모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임의의 공간에 기재되는 메모의 메모 데이터는 상기 일정 텍스트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교재 데이터의 좌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교재 데이터의 우측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임의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메모가 메모 데이터로 저장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6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책에 사용자가 메모들(621, 622, 623)을 작성하면, 상기 메모들(621, 622, 623)은 각각의 메모 데이터들(631, 632, 633)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메모들(621, 622, 623)은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글자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각각의 메모 데이터들(631, 632, 633)이 정확한 메모 위치를 찾아갈 수 있도록 별개의 메모 데이터들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위치의 텍스트에 작성된 제1 메모(621)는 제1 메모 데이터(631)로 저장될 수 있고, 제2 위치의 텍스트에 작성된 제2 메모(622)는 제2 메모 데이터(632)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제3 위치의 텍스트의 좌측 임의의 공간에 작성된 제3 메모(623)는 제3 메모 데이터(633)로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메모 데이터들(631, 632, 633)은 상기 메모들(621, 622, 623)이 작성된 텍스트의 주소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글씨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각각의 메모 데이터들(631, 632, 633)은 정확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따른 메모 데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크기를 달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글씨크기에서 제1 위치(710)와 제2 위치(720)의 텍스트에 하이라이트와 메모가 된 메모 데이터는 교재 데이터가 상기 제1 글씨크기보다 큰 제2 글씨크기로 변경될 경우,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도록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하여 제3 위치(711)와 제4 위치(721)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규칙은 메모 데이터가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소를 포함하여 텍스트 주소를 통해서 이동하는 규칙, 기준 텍스트 크기에 대한 위치와 변동 텍스트 크기에 대한 위치 간의 비율 변화를 계산하여 이동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는 상기 제1 글씨크기와 상기 제2 글씨크기 간의 비율에 맞추어 확대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교재 데이터의 좌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생성된 메모의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크기를 달리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글씨크기에서 제1 위치(811)의 텍스트에 대한 임의의 공간에 생성된 메모 데이터(821)는 상기 제1 글씨크기보다 큰 제2 글씨크기로 변경될 경우,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도록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812)의 텍스트에 대한 임의의 공간(82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글씨크기와 상기 제2 글씨크기 간의 비율에 맞추어 확대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규칙은 메모 데이터가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소를 포함하여 문단과 단어를 기준으로 하는 텍스트 주소를 통해서 이동하는 규칙, 기준 텍스트 크기에 대한 위치와 변동 텍스트 크기에 대한 위치 간의 비율 변화를 계산하여 이동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메모 데이터를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910)의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생성된 메모 데이터(920)는 네트워크(930)를 통해서 처리 서버에 연결된 메모 데이터베이스(9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910)은 사용자의 메모 데이터가 변경되면, 실시간으로 메모 데이터베이스(940)에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모 데이터베이스(94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는 각각의 메모가 연결된 하나의 파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60 페이지짜리 교재에, 300개의 메모를 남긴 경우, 300개의 메모는 하나의 메모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각각의 메모를 수정, 추가, 삭제 할 때마다 메모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메모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동일한 교재 데이터에 대한 메모 데이터를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라이언트 단말(1010)에서 생성된 메모 데이터(1030)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1020)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클라이언트 단말(1020)이 메모 데이터(1030)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때, 메모 데이터(1030)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생성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 간에 메모 데이터만 별도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메모 데이터를 내려 받아, 자신이 생성한 메모 데이터에 병합시킬 수도 있다. 즉, 메모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메모를 수정, 삭제 및 추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메모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처리 서버의 메모 데이터베이스를 거쳐 메모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서버를 통해 구현된 온라인 마켓을 통해서 메모 데이터를 사용자들 간에 사고 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는 작성한 메모 데이터를 온라인 마켓에 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 B는 사용자 A가 작성한 메모 데이터를 상기 온라인 마켓을 통해서 구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과 처리 서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S111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처리 서버(110)에 사용자 식별자와 교재 식별자를 전송하여 원하는 교재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120)에서, 처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요청받은 교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13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을 통해서 생성된 메모 데이터를 해당 교재 식별자와 함께 처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140)에서, 처리 서버(110)는 메모 데이터를 교재 식별자와 함께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식별자도 메모 데이터와 함께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S121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처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요청에 따른 교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22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단계(S1210)에서 수신한 교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S123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교재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메모 데이터 레이어를 생성하여, 메모 데이터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 및 상기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하는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에 저장되는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크기의 변동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S124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처리 서버에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처리 서버
111: 전자책 지원 모듈
112: 메모 데이터 지원 모듈
113: 교재 데이터베이스
114: 메모 데이터베이스
120: 네트워크
130: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8)

  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요청에 따른 교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메모 데이터 레이어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메모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 및 상기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하는 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데이터로 저장되는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크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전자책을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결합되어,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재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터치 패널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를 입력 받아 메모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 명령에 따른 텍스트 크기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 데이터에 저장된 메모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는,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에 대한 밑줄, 하이라이트, 상기 교재 데이터의 텍스트 주변에 기재하는 메모 및 상기 교재 데이터의 좌측 및 우측에 생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기재하는 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한 교재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교재 데이터와 상기 수신한 메모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가능한 전자책을 실행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68823A 2019-06-11 2019-06-11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3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23A KR102237322B1 (ko) 2019-06-11 2019-06-11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23A KR102237322B1 (ko) 2019-06-11 2019-06-11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818A true KR20200141818A (ko) 2020-12-21
KR102237322B1 KR102237322B1 (ko) 2021-04-08

Family

ID=7409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823A KR102237322B1 (ko) 2019-06-11 2019-06-11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3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140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문서 상에서 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7405A (ko) * 2012-08-08 2015-07-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E-리더에 콘텐츠의 노트 기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405A (ko) * 2012-08-08 2015-07-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E-리더에 콘텐츠의 노트 기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
KR20140109140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문서 상에서 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322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3846B2 (en) Smarter copy/paste
JP5951783B2 (ja) 電子書籍リーダーツールの拡張可能なフレームワーク
TWI598750B (zh) 利用特徵的多重編輯器或多數版本之合作之方法及用於紀錄相關指令的電腦可讀儲存媒介
US9208216B2 (en) Transforming data into consumable content
RU2645276C2 (ru) Создание вариаций при преобразовании данных в потребляемый контент
CN104541265A (zh) 电子阅读器系统
EP3074888B1 (en) Contextual information lookup and navigation
CN106415446B (zh) 通过触觉交互对内容属性的可访问性检测
US20100095198A1 (en) Shared comments for online document collaboration
WO2014015081A2 (en) Abstract relational model for transforming data into consumable content
US10210146B2 (en) Productivity tools for content authoring
US20130145241A1 (en) Automated augmentation of text, web and physical environments using multimedia content
US20180341371A1 (en) Scatter copy supporting partial paste functionality
JP2009529185A (ja) Rssホスト動作可能制御
US20150301706A1 (en) Identifiable tabbing for bookmarks in electronic books
US20140164366A1 (en) Flat book to rich book conversion in e-readers
TW201423554A (zh) 用於電子閱讀器體驗的一致性之非書本文件轉換
US20120146923A1 (en) Touch screen device
KR102237322B1 (ko) 메모 가능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U273289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аметки скриншотного типа для потокового документа
CN111027280A (zh) 数字出版物的生成及渲染的方法和系统、可读存储介质
US9361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notes while maintaining document context
EP4345646A1 (en) Document searching systems and methods
US9536437B1 (en)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electronic books for consumption in skim mode
US20200097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efficiency of add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digital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