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806A -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806A
KR20200141806A KR1020190068795A KR20190068795A KR20200141806A KR 20200141806 A KR20200141806 A KR 20200141806A KR 1020190068795 A KR1020190068795 A KR 1020190068795A KR 20190068795 A KR20190068795 A KR 20190068795A KR 20200141806 A KR20200141806 A KR 2020014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ser
gland
ligh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190B1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되어 턱밑샘과 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턱 전면, 턱 양측 및 턱 하부를 감싸는 제1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밑부까지 감싸는 제2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턱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모듈; 상기 제2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귀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사용자의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광에 의해 침샘을 자극함으로써 침샘에서의 침 분비가 촉진되도록 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고,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침샘에 발생된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Treatment device for xerostomia}
본 발명은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주변으로 LED에서 발광된 광을 조사하여 침의 분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 전류를 흘려주면 빛을 내는 반도체이다. 엘이디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을 포함한 모든 빛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출력과 색깔까지 조절할 수 있어 조명이나 의료용 기구의 광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엘이디는 에너지가 낮고 원하는 파장의 빛을 조절해 낼 수 있어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다른 신체 조직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미국 식품의약청(FDA)에서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엘이디 빛 파장을 인체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한편, 침샘에서 분비되는 침은 인체의 핵심 성분으로 침샘에서 생성되어 구강 내로 배출된다.
도 1은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침이 분비되는 침샘은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침은 인체의 필수성분으로서, 약 0.5%의 유형 성분이 존재하는데, 점액, 각종 염류, 전분 분해효소, 면역글로불린 등이 포함되어있다.
침은 구강의 건강은 물론이고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침의 주요 성분인 뮤신(mucin), 면역글로불린 등은 외부의 감염으로부터 1차적인 방어 역할을 수행하며, 구강 및 치아의 윤활 및 수분 유지, pH 중화 기능을 통하여 구강점막 및 치아를 보호한다. 뿐만 아니라 침에는 프티알린(ptyalin) 등의 아밀라아제(amylase)와 같은 소화 효소들이 있어 전분을 말토오스 단위까지 분해하는 등 소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침의 분비에 의하여 인체의 수분대사 및 체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독물(I, Hg, Pb 등)을 배설하기도 한다.
침샘의 기능 저하에 의해 침의 분비가 감소되면, 구강이 건조되는 구강 건조증이 발생한다. 구강건조증이 발병하면 단순히 구강점막이 갈라지거나 함몰이 생기는 것을 넘어서서 구강 내에서 자정 작용이 저하되어 충치가 발생하기 쉽고, 캔디다를 비롯한 구강 점막 감염 및 치주염 발생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강 내 곰팡이가 발생하며 구취를 유발한다.
공개특허 2019-0012769호와 공개특허 2019-0008967호에는 구강 건조증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구강 건조증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의 사용을 위해서는 일정 주기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사용자의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광에 의해 침샘을 자극함으로써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침샘에 발생된 염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부위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되어 턱밑샘과 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턱 전면, 턱 양측 및 턱 하부를 감싸는 제1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밑부까지 감싸는 제2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턱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모듈; 상기 제2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귀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되어 턱밑샘과 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턱 전면에서 턱의 하부까지 감싸는 제1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밑부까지 감싸는 제2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 코 및 양측 볼을 감싸는 제3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턱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모듈; 상기 제2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귀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의 동작을 단속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마스크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리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내주면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내주면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의 내주면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의 내주면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발광된 상기 광은, 상기 사용자의 턱밑샘과 귀밑샘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은, 610~680nm 파장의 광과 830~850nm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의 상단에서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발광된 상기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사용자의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광에 의해 침샘을 자극함으로써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이 회복되도록 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침샘에 발생된 침샘에 발생된 염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부위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격 유지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1-A1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100)는 제1 마스크(110A), 제2 마스크(110B), 제1 LED 모듈(130A), 제2 LED 모듈(130B) 및 동작 제어부(14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우선, 침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침샘은 침을 분비하는 기관으로서, 귀밑에 위치하는 귀밑샘, 턱밑삼각에 위치하는 턱밑샘, 입안의 혀 밑 바닥에 위치하는 혀밑샘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제1 마스크(110A)는 사용자의 얼굴 하부 즉, 사용자의 턱 전면과 턱 양측 그리고 턱 하부까지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마스크(110A)가 감싸는 부위에는 턱밑샘이 위치한다.
제2 마스크(110B)는 제1 마스크(110A)의 양측으로 배치된다. 제2 마스크(110B)는 사용자의 귀밑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마스크(110B)가 감싸는 부위에는 귀밑샘이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는 필요에 따라 이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배치 상태 유지를 위해 고정부(150)가 사용된다.
고정부(150)는 제2 마스크(110B)의 단부에 배치된다. 고정부(150)는 소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걸리어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배치 상태가 유지된다면, 고정부(150)는 고리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은 사용자의 얼굴 피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 상에는 이격 유지부(160)가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격 유지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가장 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이격 유지부(160)가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 고정부(150), 이격 유지부(160)만을 도시하였다.
이격 유지부(160)는 일정 높이와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이 사용자의 얼굴 전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얼굴 전면과 마스크 내주면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격 유지부(160)는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경계 부위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격 유지부(160)는 스폰지와 같은 유연하고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이격 유지부(160)의 상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닿았을 때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LED 모듈(130A)은 복수의 단위 LED를 포함한다. 제1 LED 모듈(130A)은 제1 마스크(110A)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LED 모듈(130A)의 전체적인 크기와 형태는 턱밑샘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LED 모듈(130A)은 소정 출력으로 광을 발광하여 사용자 침샘 중, 턱밑샘과 그 주위로 광을 조사한다.
제2 LED 모듈(130B)은 복수의 단위 LED를 포함한다. 제2 LED 모듈(130B)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 LED 모듈(130B)의 전체적인 크기와 형태는 귀밑샘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제2 LED 모듈(130B)은 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LED 모듈(130B)의 배치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귀밑샘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제2 LED 모듈(130B)은 소정 출력으로 광을 발광하여 사용자 침샘 중, 귀밑샘과 그 주위로 광을 조사한다.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 각각은 610~680nm 파장의 광과 830~850nm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되는 광은 턱밑샘과 귀밑샘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 각각은 제1 마스크(110A)와 제2 마스크(110B)의 내주면 곡률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턱밑샘과 귀밑샘 부위로 조사된 광은 턱밑샘과 귀밑샘을 자극하여 침의 분비가 정상 상태로 회복되도록 한다.
한편,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되는 830~850nm 파장의 광은 적외선으로, 눈에 직접 조사되면 시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광 차단판(11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1-A1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제1 마스크(110A)의 상단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여 광 차단판(112)이 돌출됨을 나타내고 있다.
광 차단판(112)은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된 광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마스크(110B)에서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일측에도 광 차단판이 배치되어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된 광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40)는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 각각 연결되어,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동작 제어부(140)는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발광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강 건조증 치료를 위해 제1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100)를 자신의 얼굴 전면에 착용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고정부(150)를 자신의 귀에 걸어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100)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동작 제어부(140)를 조작하여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이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한다.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된 광은 광에너지를 침샘으로 비열적, 비손상적으로 전달하여, 침샘을 자극하고 이에 따라 침샘에서의 침 분비가 촉진되도록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침샘에서 분비된 침 구강 내로 유출되어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LED 모듈(130A)과 제2 LED 모듈(130B)에서 발광된 광은 광에너지가 침샘 주위로 인가되면 침샘 주위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침샘의 염증이 완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200)는 제1 마스크(210A), 제2 마스크(210B), 제3 마스크(210C), 제1 LED 모듈(230A), 제2 LED 모듈(230B) 및 동작 제어부(24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200)는 고정부(250), 광 차단판(260)을 더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 마스크(210C)는 제1 마스크(210A)의 상단으로 배치된다. 제3 마스크(210C)는 사용자의 입, 코 및 양측 볼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마스크(210C)의 내주면은 내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이격 유지부(26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의 착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격 유지부(260)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강 건조증 치료를 위해 제2 측면에 따른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200)를 자신의 얼굴 전면에 착용하고, 동작 제어부(240)를 조작하여 제1 LED 모듈(230A)과 제2 LED 모듈(230B)을 동작시켜 사용자의 귀밑샘과 턱밑샘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사용자의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광에 의해 침샘을 자극함으로써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고,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침샘 주위로 조사하여 침샘에 발생된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110A, 210A: 제1 마스크 110B, 210B: 제2 마스크
130A, 230A: 제1 LED 모듈 130B, 230B, 제2 LED 모듈
140, 240: 동작 제어부 150, 250: 고정부
160, 260: 광 차단판

Claims (8)

  1.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되어 턱밑샘과 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턱 전면, 턱 양측 및 턱 하부를 감싸는 제1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밑부까지 감싸는 제2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턱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모듈;
    상기 제2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귀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2.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되어 턱밑샘과 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의 침 분비 기능을 회복시켜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턱 전면에서 턱의 하부까지 감싸는 제1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밑부까지 감싸는 제2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상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 코 및 양측 볼을 감싸는 제3 마스크;
    상기 제1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턱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턱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LED 모듈;
    상기 제2 마스크의 내주면 상에서 상기 귀밑샘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광을 발광하여 상기 귀밑샘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LED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의 동작을 단속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리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내주면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의 내주면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일정 높이와 폭을 갖고,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의 내주면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의 내주면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발광된 상기 광은,
    상기 사용자의 턱밑샘과 귀밑샘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은,
    610~680nm 파장의 광과 830~850nm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의 상단에서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발광된 상기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판을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치료 장치.
KR1020190068795A 2019-06-11 2019-06-11 침샘 자극 장치 KR10236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95A KR102360190B1 (ko) 2019-06-11 2019-06-11 침샘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795A KR102360190B1 (ko) 2019-06-11 2019-06-11 침샘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806A true KR20200141806A (ko) 2020-12-21
KR102360190B1 KR102360190B1 (ko) 2022-02-08

Family

ID=7409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795A KR102360190B1 (ko) 2019-06-11 2019-06-11 침샘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52B1 (ko) * 2023-07-14 2024-02-06 주식회사 피테크 안면착용 광 조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194U (ko) * 1998-11-27 2000-06-26 신현재 위생마스크
JP5940861B2 (ja) * 2012-03-30 2016-06-29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唾液分泌促進用具
KR101858657B1 (ko) * 2017-05-18 2018-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구강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194U (ko) * 1998-11-27 2000-06-26 신현재 위생마스크
JP5940861B2 (ja) * 2012-03-30 2016-06-29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唾液分泌促進用具
KR101858657B1 (ko) * 2017-05-18 2018-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구강 치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52B1 (ko) * 2023-07-14 2024-02-06 주식회사 피테크 안면착용 광 조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190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1227B2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EP2386264B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371853B2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and methods for effecting an oral treatment
US6358272B1 (en) Therapy apparatus with laser irradiation device
KR102013247B1 (ko)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EP1853347B1 (en)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US20090143842A1 (en) Phototherapy Treatment and Device for Infections, Diseases, and Disorders
JP2022517883A (ja) 口腔粘膜炎治療用の口腔外マスク
US20110091835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JP2009106764A (ja) 電磁放射線治療法
KR20160095878A (ko) 미용 마스크
WO2010098764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KR101614439B1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US20140200635A1 (en) Phototherapy device
KR20210075492A (ko) 턱관절 통증 치료용 광원치료기
KR102360190B1 (ko) 침샘 자극 장치
EP3612271B1 (en) Device for stimulating the meibomian glands
JP2024012108A (ja) 個人用組み合わせ刺激ledマスク
KR20220118652A (ko) 플렉스블 red oled가 구비된 상부와 하부 가짜 치아 (이빨 커버)로 이루어진 구강치료장치
KR20210021809A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장치
KR102594234B1 (ko) 구인두 광조사 장치
KR102633452B1 (ko) 안면착용 광 조사 장치
KR102602181B1 (ko) 내비강 광조사 장치
KR20200141804A (ko) 안구건조증 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