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750A -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750A
KR20200141750A KR1020190068668A KR20190068668A KR20200141750A KR 20200141750 A KR20200141750 A KR 20200141750A KR 1020190068668 A KR1020190068668 A KR 1020190068668A KR 20190068668 A KR20190068668 A KR 20190068668A KR 20200141750 A KR20200141750 A KR 2020014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unit
guide
navigation devic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더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비트 filed Critical (주)더비트
Priority to KR102019006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1750A/en
Publication of KR2020014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installable in a vehicle, which compris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which has pixels arranged in a matrix shape and outputs an image, a driving unit which drives the pixels, a voice recep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a backlight unit which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o emit light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cover member which accommodates and fixes the driving unit,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a control device including a GPS unit which is able to receive and process a signal of a satellite, a power supply unit which is able to charge and suppl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a terminal unit, a sound gener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housing to receive an input of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a voice command or touch of a user,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unit, perform map matching with map data, set a path, output an image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provide driving information by voice through the sound generation unit to the user;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to the control device. The navigation device engag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is able to increase the life of a battery and the efficiency of the navigation device.

Description

인공지능 컴패니언 모듈이 결합된 내비게이션 장치{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Navigation device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음성명령에 따라 운행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해주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guides driving information to a driver according to a driver's voice command.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된 자신의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맵 매칭 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의 위치를 입력받아 그러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며, 탐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하고 그러한 경로를 따라 길안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navigation device maps its own location measured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ith map data, receives the location of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searches for a route to that destination, and maps the searched route to the map data. It is a device that displays on and performs directions along such a route.

현재 대부분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명칭이나 주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수회 이상 반복적으로 터치하여 입력해야 함에 따라 이와 같은 반복적인 터치과정에서 사용자가 번거로움을 느끼게 되며, 주행중에 조작하는 과정에서는 주위를 살피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urrently, most navigation devices have to repeatedly touch and input a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several times or more in order to input a name or address, which causes the user to feel cumbersome during such a repeated touch process, and the process of manipulating it while driv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accident occurred without being able to look around.

이에 따라 터치가 아닌 사용자의 음성 및 동작을 통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음성인식 내비게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Accordingly, a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system in which a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a user's voice and motion rather than a touc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종래의 음성인식 내비게이션은 그 음성인식 방법에 있어서, 단순한 음소, 음성 분석, 단어 인식 등으로 한정되어 부정확하거나 주위의 잡음 등에 취약한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와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가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면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내비게이션의 내부에 마이크와 스피커는 물론 디스플레이관련 부품, GPS관련 부품, 전원부품, AP(application processor), 배터리 성능 저하 등 많은 부품이 수용되면서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has technical limitations that are limited to simple phoneme, voice analysis, word recognition, etc. in its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is vulnerable to inaccurate or ambient noise, and a microphone for voice recognition and a speaker for voice guidan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hile being provided in one body. In addition to the microphone and speaker inside the navigation, display related parts, GPS related parts, power parts, AP (application processor) , As many parts, such as degradation of battery performance, are accommodated, the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fabrication and maintenance efficiency.

한국등록특허 10-1116330호(2002.12.0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6330 (2002.12.0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공지능 컴패니언 모듈을 내장한 내비게이션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컨트롤장치로 분리 구성되어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마이크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구성되고, 차량 내부의 설치면에 놓여 고정되는 컨트롤장치에는 GPS부, 스피커, 전원부, 제어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의 효율성, 저전력 AP(application processor)의 장착으로 인한 과부하 방지 및 배터리 수명 연장, 제작성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navigation device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is separated in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devic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and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the microphone is The control device configured on the display device and plac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side the vehicle includes a GPS unit, a speaker,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the installation of a low-power application processor (AP) prevent overloa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apable of doubling the battery life extension,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maintenance efficienc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음성수신부와, 상기 액정패널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시키는 백라이트유닛 및 상기 구동부와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함께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output an image,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pixels, a voice receiving part, and a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re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light unit for emitting light over and a cover member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driving unit,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위성의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GPS부, 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 음발생부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 또는 터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아 GPS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받고 지도데이터에 맵 매칭을 한 후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면서 상기 음발생부를 통해 음성으로 운행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제어부가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컨트롤장치와,A GPS unit that can receive and process signals from satellites, a power supply unit that can charge and suppl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unit, a sound generator,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unit by receiv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a user's voice command or touch A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nd matches map data with map data, sets a route, outputs an image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provides a control unit that guides the user with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generator through the sound generator, and is housed in a cylindrical housing. Wow,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컨트롤장치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수신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수신공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컨트롤장치의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음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를 제어를 받아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voice receiving unit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t least one microphone receiving hole provided on an outer edge of the cover member to a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receives th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sound through one or more speakers formed in th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관통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선단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환형의 링커버 내측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other end is made of a sphere, and the sphere is an annular linker in which a portion of the tip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while the sphere is penetrated into the front interior of the housing. It can be fitted and fixed rotatably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슬라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측둘레에는 고정링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공과의 접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공의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long-hole-shaped slide hole having a long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 slid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slide hole, and the slide hole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A slide guide is provide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by being combined with the slide, and a fixing ring is screw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ccording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lide ball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ring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at any one point of the slide ho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의 바깥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단계적으로 걸려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one or more guide groov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slide groove, and a guide protrusion capable of being stepped and moved by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sli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마주하는 안쪽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의 바깥쪽 측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guide groove may be continuously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lide guide facing each other, and a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slide so as to be moved stepwise along the guide groove.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크래들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 고정부는 차량 내부의 설치면에 고정되는 크래들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cradle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radle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cradle body fixed to an installation surface inside the vehicle.'

더욱 바람직하게 크래들 고정부의 중심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radle fixing portion, and a fric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유심소켓이 구비되고, 상기 유심소켓으로부터 출입되는 유심카드 장착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유심슬롯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SIM socke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SIM card mounting guide entering and leaving the SIM socket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through a SIM slot groov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hav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와 그러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가 구비된 컨트롤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와 음성안내를 위한 스피커가 분리 구성되어 하울링을 방지되면서 음성인식률이 높이질 수 있고, 스피커의 성능, 크기 위치, 개수 등의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음성안내는 물론 각종 미디어의 음원의 증폭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크래들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설치면에 내비게이션 장치를 효과적으로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microphone for providing an image and receiving a user's voice, and a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a speaker for voice guidance and connected so that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As it is composed of, the microphone for voice recognition and the speaker for voice guidance are separated, preventing howling, and the voice recogni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voice guidance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such as performance, size, location, and number of speakers. Of course, sound sources of various media may be amplified and provided, and the navigation device can be effectively detached and us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inside the vehicle by using a cradle,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음성인식 및 동작인식을 통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가능하다.In addition, a camera module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can be installed.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re natural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recognizes or not,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and all effects recognized or existed by the inventor. It should not be recognized as describing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o be further graspe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 belongs will have such an effect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an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it should be seen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다른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부와 컨트롤장치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부와 컨트롤장치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장치의 저면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부와 컨트롤장치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컨트롤장치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other side view illustra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state of a display device, a connector, and a control device constitu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a connection part, and a control device constitu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constitu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state of a display device, a connector, and a control device constitut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described conten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are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erms speci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described conten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and operators. Can, and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는 크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과 GPS를 이용하여 맵 매칭을 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으로 제공하면서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컨트롤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트롤장치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through map matching using a display device for largely displaying an image, a voice command in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GPS to a user through voice. It can be divided into a control device that guides, and a connection part that allows the display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ntrol device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and angle can be adjusted, and looking at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through the illustrated drawings below. Same as

먼저, 디스플레이장치(100)는,First, the display device 100,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음성수신부와, 상기 액정패널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빛을 방출시키는 백라이트유닛과, 상기 구동부와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함께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rough the drawing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output an image, a driver for driving the pixels, a voice receiver, and a light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cklight unit that emits light, and a cover member 110 that accommodates and fixes the driving unit,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together.

액정패널은 액정분자가 개재된 두 기판이 합착되어 구성되고, 액정층의 굴절률 입상성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되며, 백라이트유닛은 이러한 액정패널에 빛을 제공한다.The liquid crystal panel is composed of two substrates with liquid crystal molecule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b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by the granularity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quid crystal layer, the desi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Provides light to the panel.

여기서,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은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강성의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보호된 상태로 커버부재(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Here,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110 in a protected state through a separate bracket to protect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from impact caused by external force and maintain rigidity.

커버부재(110)는 그 실시 예로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양 측면과 저면 및 후면이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110)의 내부에는 구동부와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은 물론 음성수신부가 구비되며, 구동부와 음성수신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는 후술되는 컨트롤장치(300)의 제어부와 연결된다.For example, the cover member 1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the upper surface, both sides,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closed.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110 includes a driving unit, a liquid crystal panel, a backlight unit, as well as a voice receiving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voice receiving unit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음성수신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가 음성신호를 만들게 되며 이러한 음성신호는 컨트롤장치(300)의 제어부로 전달된다. The voice receiving unit generates a voice signal by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apparatus 300.

음성수신부는 마이크부재가 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110)에는 마이크 수신공(111)이 구비되면서 이러한 마이크 수신공(111)에 근접하여 마이크부재가 위치됨에 따라 마이크 수신공(111)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은 마이크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를 거쳐 컨트롤장치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The voice receiving unit may be a microphone member, and a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is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110 and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as the microphone member is positioned close to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The resulting vo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member.

마이크 수신공(111)은 커버부재(110)에 형성될 때 사용자의 음성이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이크 수신공이 커버부재의 상면 양측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이크 수신공의 위치나 개수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다.When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here the user's voice can be effectively inp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i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t is formed, and the position or number of these microphone reception holes need not be determined by any one.

필요에 따라 마이크 수신공(111)의 상측으로 커버부재(110)로부터 확장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는 마이크 수신공(111)으로 이동되는 음을 모아 마이크 수신공(111)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반구형이나 안쪽으로 함몰된 V 자 형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f necessary, a guide extended from the cover member 11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and this guide collects the sound that is moved to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to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111.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or a V-shaped recessed inward for guidance.

컨트롤장치(300)는,The control device 300,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음성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명령이나 액정패널의 터치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고, 위성의 신호를 입력받아 지도데이터에 맵 매칭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며, 음발생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운행정보를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A voic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voice receiving unit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00 or a command according to a touch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put, a signal from a satellite is input, map-matching to map data, and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serves to guide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generator.

컨트롤장치(300)는 그 실시 예로 위성의 신호를 받아 데이타를 처리하는 GPS부,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 저장 또는 필요한 곳에 공급해주는 전원부, 사용자에게 운행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DMB, 오디오, 동영상 재생 등에 필요한 재생음을 발생시켜주는 음발생부 및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와 함께 GPS부, 전원부, 음발생부를 제어해주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0 includes, for example, a GPS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satellite and processes data,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upplies it to a storage or necessary place, and provides a user with information on driving by voice or plays DMB, audio, video, etc.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PS unit,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ound generation unit together with 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necessary reproduction sound and a control unit for the display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컨트롤장치(3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될 수 있고, 하우징(310)의 크기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으로 예시되었다.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rol device 300 may be accommodated and configur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housing 310 need not be determined by any on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as a cylinder.

하우징(310)은 마주하는 양측에 스피커공(320)이 형성될 수 있고, 일측 하부에는 전원입력단자, 라인아웃단자, 유에스비단자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부(3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하부에는 방열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may have speaker holes 320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310, and a terminal portion 37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so that a power input terminal, a line-out terminal, and a USB terminal may be connected. A heat dissipation hole may be formed.

한편, 하우징(310)의 저면에는 크래들 고정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래들 고정부(330)는 크래들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cradle fix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cradle fixing part 33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radle body.

따라서, 크래들 몸체를 대쉬보드나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내부에 미리 고정시켜놓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크래들 몸체에 크래들 고정부(330)를 이용하여 컨트롤장치(300)를 회전 및 역회전시켜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body is fixed in advance on the dashboard or in the vehicle desired by the user, the control device 300 can be rotated and reversely rotated by using the cradle fixing part 330 on the cradle body as needed. will be.

여기서, 크래들 고정부(330)의 중심부에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331)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홈(331)의 내부에 점착성 젤과 같은 마찰부재(340)을 설치함으로써, 크래들 고정부(330)를 크래들 몸체의 고정시킬 때 마찰부재(340)가 크래들 몸체의 표면에 점착성을 가지며 마찰력을 가지면서 접면됨에 따라 크래들 고정부(330)가 크래들 몸체에서 불필요하게 역회전 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Here, a recessed receiving groove 33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radle fixing part 330, and by installing a friction member 340 such as an adhesive gel in the receiving groove 331, the cradle fixing part ( When 330 is fixed to the cradle body, the friction member 340 has adhesiveness on the surface of the cradle body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frictional force, thus preventing the cradle fixing unit 330 from being unnecessarily reversed and separated from the cradle body. It can be done.

또한, 하우징(310)의 한쪽에는 유심슬롯홈(3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유심소켓이 구비되고, 그러한 유심소켓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유심카드 장착가이드(360)가 유심슬롯홈(350)을 통해 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using 310 may be provided with a SIM slot groove 350, the inside of the housing 310 is provided with a SIM socket that is circui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IM socket that enters and exit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IM socket The card mounting guide 360 may be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SIM slot groove 350.

따라서,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본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심소켓에 유심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이동통신의 수단이나, 주소록 등의 저장공간이나, 뱅킹업무나 고속도로통행료 등의 지불수단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navigation device for its original purpose, but by attaching the SIM card to the SIM socket,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means of mobile communication, storage space such as address book, banking service, payment means such as highway tolls, etc.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have.

연결부(200)는,The connection part 200,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컨트롤장치(300)를 연결시켜주며, 고정된 컨트롤장치(3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300 are connected, and the height or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adjusted from the fixed control device 300.

연결부(200)의 일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버부재(110)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12)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연결부(200)의 타단은 컨트롤장치(300)의 하우징(310) 전면 중심을 통해 관통되어 고정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is fixed through a slide hole 11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cover member 110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is the housing 310 of the control device 300. ) It is fixed through the front center.

커버부재(110)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12)은 상하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단축을 가지는 장공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직사각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lide hole 11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10 may be in the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 long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hort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ch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rectangular shape.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트롤장치(300)의 전방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단순하게 고정될 수도 있지만, 연결부를 통해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simply fix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control device 30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and angle are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그 실시 예를 보면, 연결부(200)의 상하 이동을 위해 커버부재(110)의 내부에 슬라이드공(112)의 안쪽으로 대략 "∩" 형태로 하측이 개방된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치하고, 슬라이드공(112)과 슬라이드 가이드의 개방된 전면을 서로 일치시킨다.In the embodiment, a slide guide with an open lower side in an approximately "∩" shape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110 to move the connection part 200 up and down, and the slide hole ( 112) and the open front of the slide guide match each other.

그리고 연결부(200)의 일단에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개방된 전면으로 끼워 양측면이 슬라이드 가이드의 안쪽 내면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210)를 형성한다.In addition, a slide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so that both sides are supported by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slide guide by being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of the slide guide.

이때, 슬라이드(210)가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의 마주하는 안쪽 내면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웨이브형태로 산과 골이 연속되는 가이드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의 양측 바깥쪽 측면에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접면된 상태에서 외력을 통해 상하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한다.At this time, so that the slide 210 can be moved step by step along the slide guide, guide grooves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continuous in a wave shape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inner surfaces of the slide guide facing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ne or more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be moved and fixed stepwis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of the slide guide.

여기서, 슬라이드(210)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슬라이드(210)가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될 때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 210 further includes a cut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can be elastical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slide 210 is moved along the slide guide.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210)가 이동된 상태에서 그 이동된 지점에서 연결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200)의 일측 외측둘레에 슬라이드공(112)의 단축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고정링(230)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고정링(230)을 체결하여 고정링(230)이 슬라이드공(112)으로 이동되면 고정링(230)과 슬라이드공(112)이 접면되면서 슬라이드 가이드의 가이드홈에서 위치가 고정된 슬라이드(210)가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ened length of the slide hole 112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200 can be fixed at the moved point while the slide 210 is moved along the slide guide. By screwing the fixing ring 230 having a larger diameter, when the fixing ring 230 is moved to the slide hole 112 by fastening the fixing ring 230, the fixing ring 230 and the slide hole 112 are in contact. As such,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movement of the slide 210 having a fixed position in the guide groove of the slide guide.

그리고 높이 조절을 위해 슬라이드(210)를 다시 이동시킬 경우에는 고정링(230)을 풀어 고정링(230)이 슬라이드공(1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슬라이드 가이드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210)를 이동시키면 연결부위의 위치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And, when moving the slide 210 again for height adjustment, release the fixing ring 230 so that the fixing ring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slide hole 112, and then move the slide 210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slide guide. If you move it, you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joint again.

한편, 연결부(200)의 각도조절을 위한 실시 예로는 연결부(200)의 타단에 구(220)를 형성하고, 하우징(310)의 전면에는 구멍을 형성한 후, 그러한 구멍을 통해 연결부(200)의 구(220)를 끼워 하우징(310) 전면 내부에 위치한 환형의 링커버(380) 내측둘레에 구(220)를 끼우되 구(220)의 선단 일부분만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부(200)의 구(220)는 링커버(380)에 끼워진 상태에서 360도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onnection part 200, a sphere 2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a hole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n the connection part 200 through the hole. By inserting the sphere 220 of the housing 310 and inserting the sphere 220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nnular linker 380 located inside the front of the housing 310, but only a part of the tip of the sphere 220 is fitted, the sphere of the connector 200 (220) can be rotated freely 360 degree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linker burr 380.

아울러, 연결부(200)의 구(220)에는 돌기가 형성되면서 링커버(380) 내에서 구(220)가 회전될 때 구(220)가 특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ile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phere 220 of the connection part 200, when the sphere 220 is rotated within the linker bur 380, the sphere 220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more than a specific angl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컨트롤장치(300)로 분리 구성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컨트롤장치(300)는 연결부(200)를 통해 연결되면서 컨트롤장치(3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높이조절은 물론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성수신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자에게 최대한 가깝게 근접시켜 사용자의 음성인식률을 높이고, 사용자가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음발생부가 음성수신부와 충분히 이격된 컨트롤장치에 구비됨에 따라 음발생부의 크기나 위치 성능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고, 차량의 설치면에 고정된 크래들 몸체에 컨트롤장치(300)에 구비된 크래들 고정부(330)를 간단하게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컨트롤장치(300)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3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30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00, and from the control device 300 As the display device 1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as well as the angle, the display device 100 equipped with the voice receiving unit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 to increase the user's voice recognition rate, and the display device is safe and comfortable for the user. You can check the video played on the device, and as the sound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voice receive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sound generator can be variously designed, and the cradle body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he cradle fixing part 330 provided in the device 300 may be simply detached and used, and user convenience may be further improved throug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3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Therefore, the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does not need to be determ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커버부재
111 : 마이크 수신공 112 : 슬라이드공
200 : 연결부 210 : 슬라이드
220 : 구 230 : 고정링
300 : 컨트롤장치 310 : 하우징
320 : 스피커공 330 : 크래들 고정부
331 : 수용홈 340 : 마찰부재
350 : 유심 슬롯홈 360 : 유심카드 장착가이드
370 : 단자부 380 : 링커버
100: display device 110: cover member
111: microphone receiving hole 112: slide ball
200: connection part 210: slide
220: old 230: fixing ring
300: control device 310: housing
320: speaker hole 330: cradle fixing part
331: receiving groove 340: friction member
350: SIM slot groove 360: SIM card mounting guide
370: terminal portion 380: linker burr

Claims (8)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음성수신부와, 상기 액정패널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에 걸쳐 빛을 방출시키는 백라이트유닛 및 상기 구동부와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함께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위성의 신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GPS부, 단자부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 음발생부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 또는 터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아 GPS부를 통해 위치 정보를 받고 지도데이터에 맵 매칭을 한 후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면서 상기 음발생부를 통해 음성으로 운행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제어부가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컨트롤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컨트롤장치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관통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선단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환형의 링커버 내측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구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링커버 내측둘레에서 회전될 때 특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슬라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측둘레에는 고정링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공과의 접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공의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마주하는 안쪽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의 바깥쪽 측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output an imag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ixels, an audio receiving unit, a backlight unit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o emit light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riving unit,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cover member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backlight unit;
A GPS unit that can receive and process signals from satellites, a power supply unit that can charge and suppl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unit, a sound generator,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unit by receiv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a user's voice command or touch A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nd matches map data with map data, sets a route, outputs an image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provides a control unit that guides the user with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generator through the sound generator, and is housed in a cylindrical housing. ; And
Includes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sphere, and a part of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nnular linker burr located inside the housing while the sphere is penetrated into the front interior of the housing. It is fitted and fixed rotatably,
The spher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so as to be prevented from rotating more than a certain angle when rotat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inker,
A long-hole-shaped slide hole having a long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 slid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slide hole, and the slide penetrating the slide hole inside the cover member A slide guide is provide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by being combined with,
A fixing ring is screw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s configured to be fixed at any one point of the slide hole according to a contact surface with the slide ball by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ring,
Guide grooves are formed continuously on the inner side faces of the slide guide, and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 so that they can be moved stepwise along the guide grooves,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is further formed with a cutout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can be flexib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수신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수신공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공지능 모듈에 적용되어 상기 컨트롤장치의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음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를 제어를 받아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oice receiving unit,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one or more microphone receiving hole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cover member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The sound gen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sound through one or more speakers formed in the hous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관통되어 연결되고, 타단은 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선단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환형의 링커버 내측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sphere, and a part of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nnular linker burr located inside the housing while the sphere is penetrated into the front interior of the housing.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e fit and fixed.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상기 슬라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측둘레에는 고정링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공과의 접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공의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3,
A long-hole-shaped slide hole having a long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 slid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slide hole, and the slide penetrating the slide hole inside the cover member A slide guide is provide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by being combined with,
A vehicle installat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ring is screw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connection part can be fixed at any one point of the slide hole according to a contact surface with the slide hole by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ring.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마주하는 안쪽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의 바깥쪽 측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uide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lide guide facing each other, and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 to move in stages along the guide groove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크래들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 고정부는 차량 내부의 설치면에 고정되는 크래들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radle fixing part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radle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cradle body fixed to an installation surface inside the vehicle.
제 6 항에 있어서,
크래들 고정부의 중심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vehicle-installed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radle fixing portion and a friction member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유심소켓이 구비되고, 상기유심소켓에서 출입되는 유심카드 장착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유심슬롯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음성인식 내비게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IM socke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SIM card mounting guide that enters and exits the SIM socket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SIM slot groov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stallation-type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KR1020190068668A 2019-06-11 2019-06-11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KR202001417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68A KR20200141750A (en) 2019-06-11 2019-06-11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68A KR20200141750A (en) 2019-06-11 2019-06-11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50A true KR20200141750A (en) 2020-12-21

Family

ID=7409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68A KR20200141750A (en) 2019-06-11 2019-06-11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17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2017A (en) * 2021-05-11 2021-08-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Vehicle and skylight ma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contro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30B1 (en) 2010-02-22 2012-03-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Advanced apparatus for navig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30B1 (en) 2010-02-22 2012-03-0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Advanced apparatus for navi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2017A (en) * 2021-05-11 2021-08-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Vehicle and skylight ma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contro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5798A (en) Speech-to-text translator
US7493645B1 (en) Console with monitor and wireless receiver
CN103180800B (en) The advanced remote of the host application program of use action and voice command controls
US20080249712A1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US20060052146A1 (en) Heated mounted display device with mobile phone functions
US20090150061A1 (en) Hud vehicle navigation system
US20080158019A1 (en)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CN203876659U (en) Multifunctional inside rearview mirror
KR102035552B1 (en) Vehicle mounted type voice recognition Navigation device
US20080158792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5077822A (en) Intelligent safety helmet
US1179612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141750A (en) Vehicle mounted typ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on module Navigation device
KR20150032124A (en) Head-up display
KR20130036934A (en)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ead up display functio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outine informing device interacting thereof
CN105313789A (en) HUD (head up display) navigation system
KR102269833B1 (en) Smart glasses
KR20080063076A (en)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output
EP1931045B1 (en)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US20110054789A1 (en) Cradle having gps function for portable device
KR10161286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208506965U (en) A kind of traffic mark detection device based on raspberry pie
KR20070107375A (en) 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ing a detachable display means
WO2004063791A1 (en) Novel mobile audio-visual information-management system
KR20180059397A (en) Image device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