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430A -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430A
KR20200141430A KR1020200172161A KR20200172161A KR20200141430A KR 20200141430 A KR20200141430 A KR 20200141430A KR 1020200172161 A KR1020200172161 A KR 1020200172161A KR 20200172161 A KR20200172161 A KR 20200172161A KR 20200141430 A KR20200141430 A KR 2020014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me appliance
exterior member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5292B1 (en
Inventor
김성갑
문병천
김영우
김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18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94300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92B1/en
Publication of KR2020014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enetrating a remaining portion except a color layer is formed in the external member formed by a color steel plate so as to allow light to be transmitted to enable a display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n LED light is turned on and allow the light to be hidden by the color layer to prevent the display unit and the through-hol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from being seen when the LED light is turned off.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가전제품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In general, home appliances are provided with a display assembly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he display assembly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symbols, or pictures.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가전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가전 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nd perform an ope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최근의 가전제품들은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금속소재로 외장부재를 형성하거나 외관이 스틸과 같은 질감이 나도록 코팅된 소재의 외장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외장부재에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 가전제품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modern home appliances, an exterior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n exterior member of a material coated so that the exterior has a steel-like texture is used, and the exterior member is equipped with a display as described above. To display the behavior of home appliances.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1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금속재질 전면판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되고, 전면판에 다수개 형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는 미세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도록 에칭 또는 레이저 드릴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121753,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a front plate made of metal of a refrigerator door, and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can be seen by a user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front plate.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s disclosed.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etching or laser drilling so that it can be formed into a fine size.

하지만, 아무리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게 되더라도 외부로 관통구가 식별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까이서 표시부를 볼 경우에는 불빛이 통과되지 않는 관통구까지 보이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no matter how fine the hole is processed, the through hole can be identified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unit is viewed closely,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light does not pass through is also seen, which is a problem in appearance.

특히, 미세한 크기로 홀 가공을 하더라도 홀크기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크기의 편차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even if a hole is processed with a fine size, a variation in hole size may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satisfaction of a user due to the variation in hole size.

또한, 관통구의 내부에 홀메움 처리를 하게 되더라도 전면부에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뭍거나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hole filling treatment is per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an uneven shap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may be soiled or contaminat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컬러 강판으로 형성된 외장부재에 컬러층을 제외한 나버지 부분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엘이디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표시부가 외부로 표현되고, 엘이디가 소등되었을 때에는 상기 컬러층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상기 표시부 및 표시부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n exterior member formed of a color steel sheet through the remaining portions excluding the color layer, so that when the LED is turned on, ligh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portion, and the LED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s covered by the color layer when it is turned off so that the display unit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are not vi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컬러 강판의 백코팅층 중 관통홀과 대응하는 부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영역을 에칭하여 상기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by forming the through hole by removing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mong the back coating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then etching the removed area. It aims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는, 다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커버하며, 가전제품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과 부식 방지를 위한 백코팅층이 전면과 배면에 형성되는 컬러 강판; 상기 다수의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서 상기 컬러층까지 함몰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 각각을 메우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의 빛이 투과되는 홀 메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들은 상기 엘이디의 점등시 빛이 상기 컬러층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엘이디의 소등시 상기 컬러층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 display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color layer forming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home appliance and a back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rrosion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Colored steel plat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EDs, and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to the color layer; And a hole filling member formed to fill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through which light of the LED is transmitted,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llow light to pass through the color layer when the LED is turned on. A display unit indica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from the outside, and the first through hole is covered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is not exposed by the color layer when the LED is turned off.

상기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 또는 피시엠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steel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VSM steel sheet or a PCM steel sheet.

상기 백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들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크기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ved to a corresponding siz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상기 백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들을 모두 포함하는 크기의 영역만큼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 coating layer may be removed by an area having a size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s.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부분을 모두 커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e fil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ver all portions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has been removed.

상기 컬러층은 필름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도료의 도장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film type or is formed by painting or coating a paint.

상기 제 1 관통홀은 염화제이철을 이용하여 에칭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tching is formed using ferric chloride.

상기 홀메움 부재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서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e fil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S110];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백코팅층을 표시부와 대응하는 영역만큼 레이저로 제거하는 단계 [S120];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컬러 강판에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감광성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S130];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된 마스킹 필름을 배치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을 경화시키는 단계 [S140]; 상기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의 나머지 부분을 현상액에 녹여서 제거하는 단계 [S150];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을 남기고 상기 제 1 관통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부식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를 에칭 형성하는 단계 [S160]; 상기 제 1 관통구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상기 컬러층을 지지하도록 홀 메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S170]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wearing a color steel sheet forming the exterior of the home appliance [S110]; Removing the back coating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by a laser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S120]; Laminating a photosensitive resin film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exposed to the color steel sheet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has been removed [S130]; Curing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fter disposing a masking film designed to form a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S140]; Dissolving and removing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excluding the cured portion [S150]; Spraying an etching solution to leave a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corrode the base metal lay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form the first through hole by etching [S160]; And forming a hole filling member to support the color layer with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S170].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백코팅층이 제거된 상기 표시부의 영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The hole filling member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ortion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has been remov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은, 가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이 입고되는 단계 [S210]; 상기 컬러 강판 배면의 백코팅층을 다수의 제 1 관통구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관통구의 크기만큼 레이저로 제거하는 단계 [S220]; 에칭액을 분사하여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을 남기고 상기 제 1 관통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부식시켜 상기 제 1 관통구를 에칭 형성하는 단계 [S230]; 상기 제 1 관통구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상기 컬러층을 지지하도록 홀 메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S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wearing a color steel sheet forming the exterior of the home appliance [S210]; Removing the back coa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with a las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S220]; Spraying an etching solution to leave the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corrode the base metal lay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form the first through hole by etching [S230]; And forming a hole filling member to support the color layer with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S24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terior member for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컬러 강판의 전면을 형성하는 컬러층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이 갖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엘이디 점등시에는 빛이 통과되어 표시부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엘이디 소등시에는 제 1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엘이디 소등시 외장부재 전면으로 제 1 관통홀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보다 개선되고 고급스러운 외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First, the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s shielded by a color layer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layer, when the LED is turned on, light may pass through and the display portion may appear to the outside.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first through ho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first through hole is not visible to the front of the exterior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realizing a luxurious appearance.

둘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컬러 강판의 베이스 메탈과 반응할 수 있는 이산화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백코팅층을 제거한 후 에칭 성형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을 차폐하는 컬러층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 1 관통홀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Second, when the first through-hole is formed,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an iron dioxide component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base metal of the color steel sheet is used. Accordingly, after removing the back coating layer,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easily formed by etching molding, and 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form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color layer shielding the first through hole. .

넷째, 상기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 또는 피시엠 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제품으로 공급되는 컬러 강판에 백코팅을 제거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as the color steel sheet, a VSM steel sheet or a PM steel sheet may be used, and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formed by a simple method by removing the back coating on the color steel sheet supplied as a finished product,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aved.

다섯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제거되는 백코팅층을 상기 제 1 관통홀을 메우는 홀 메움부재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컬러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컬러층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Fifth, by making the back coating layer removed whe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hole-filling member filling the first through hole, corrosion of the color steel sheet can be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color layer can be expected. May be.

여섯째, 상기 제 1 관통홀의 성형시 상기 백코팅층을 레이저 마킹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베이스 메탈과 반응하는 이산화철 성분의 에칭액을 사용하여 백코팅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태의 베이스 메칼층에 상기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Sixth, when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the back coating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by laser marking, and the back coating layer is removed using an etching solution of iron dioxide component reacting with the base metal. Thus,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formed in the exposed base mechanical layer.

이때, 상기 백코팅층이 에칭을 위한 마스킹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에칭을 위한 별도의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이나 현상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제조비용 또한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 coating layer acts as a masking for etching, and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film laminating process or development for etch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re remarkably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You can expect a good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점등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구성하는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컬러 강판의 다른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을 구성하는 다른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8-8'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12-12'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7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는 상기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인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 패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공정이 실시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의 메쉬와 제 1 관통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는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ed on.
3 is a rear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lor steel plate constituting a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lor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8-8' of FIG. 3.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display assembly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in which the front panel is separated.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ouch sensor assembly, a display cover, a display assembly, a frame display, and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12-12' of FIG. 2.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2.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terior member.
17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hole filling member in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exterior member.
18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nd molding a hole filling member in the first through hole.
19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a state in which a screen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h of the plate making for screen printing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terior member.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regressive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Can be suggest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외장부재에 다수의 미세한 관통구 형성되고 빛이 통과되는 관통구들의 조합에 의해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a display assembly is mounted on a door of a refrigerat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fin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xterior member and light passes through it.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it can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including refrigerators of all types capable of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by a combination of through ho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ternal shape formed by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refrigerator door 10 mounted o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torage space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or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10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space may be provided on an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refrigerator door 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in a sliding or rotating manner, and is configured to form a front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in a closed state.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장고 도어(10) 중 일측의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표시부(11)와 터치 조작부(12)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 display unit 11 and a touch manipulation unit 12 are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10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10 at a height that facilitates manipulation and identification by a user.

상기 표시부(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통해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11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1 to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as a symbol or numb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표시부(11)는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표시부(11)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light is not irradi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display unit 11 does not appear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when light is not irradi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refrigerator door 10 has the same appearance as that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the same information as the display unit 11 is not provided.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과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The touch manipulation unit 12 is a part that a user touches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and is provided on a parti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a part where a pressing operation can be detected is printed or etched. It can be marked by the same method as surface processing.

물론,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복수의 상기 냉장고 도어(10) 중 상기 표시부(11)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부(12)는 터치 방식이 아닌 스위치 또는 버튼 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2 may be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10 other than the refrigerator door 10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1 among the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10, and the refrigerator door 10 )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And, if necessary,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2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or button manipulation unit instead of a touch type.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12) 또한 상기 표시부(11)와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나타나지 않도록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2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splay unit 11 so that light does not appear outside when no light is irradiated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표시부가 점등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ed 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체적으로 전면 패널(20)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면 패널(20)은 외장부재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 패널(20)이라 할 뿐 다른 실시 예들의 외장부재와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rigerator door 10 has a front exterior entirely formed by the front panel 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20 is the same concept as the exterior member, an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panel 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same as the exterior member of other embodiments.

상기 냉장고 도어(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0)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데코부재(40,4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door 10 includes the front panel 20 forming a front exterior, a door liner 30 forming a rear exterior, and a decor member 40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overall appearance can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43).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는 물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ront panel 20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color steel plate. In addition, 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s well as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addition, the color steel sheet forming the front panel 20 may be subjected to an anti-fingerprint treatment, a specific pattern or pattern may be expressed, and a hairline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texture.

한편, 상기 표시부(1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는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천공된 다수의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집합은 7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1 may be defined by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front panel 20. The display unit 11 may be configured as a set of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perforat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o as to represent numbers or symbols. For example, a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arranged in a shape of 7 segments, and may be arranged to indicate a specific symbol or pattern that may indicate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1, or letters. .

상기 표시부(11)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들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20 and third through holes 321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of the display assembly 300 is transmitted. It is structured to be.

즉,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빛이 조사되는 상기 엘이디(31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 적어도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는 제 1 관통구(21)들은 특정 숫자나 문자 모양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mong the first through holes 21, light may be irradiated through at least some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D 313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The first through-holes 21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represent a specific number or letter shape, so tha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에칭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통해 상기 표시부(11) 및 표시부(11)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볼 수 없게 된다.The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by etching process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In addition,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shielded by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Therefore, when the LED 313 is not turned on,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235 forming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display portion 11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forming the display portion 11 cannot be seen through the door 10.

하지만, 상기 엘이디(313) 중 적어도 일부가 점등될 경우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 중 점등된 상기 엘이디(313)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빛이 투과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노출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숫자(예컨데 도 2에서와 같이 4, -12)로 표현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at least some of the LEDs 313 are lit, as disclosed in FIG. 2, the first through-hole 21 corresponding to the lighted LED 313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21 As light is transmitted,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t may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for example, 4, -12 as in FIG. 2) by a combination of the exposed first through holes 21, and is displayed as a character or a picture, so that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

도 3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의 구성하는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3 is a rear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lor steel plate constituting a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측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ront panel 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bent to form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addition, since the front panel 20 forms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t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capable of ensuring sufficient strength.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시부(11) 영역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의 컬러층(23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portion 11 of the front panel 20.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nd penetrates the rest of the color steel plate forming the front panel 20 except for the color layer 235 It can be formed as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측을 바라보게 되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전체가 디스플레이와 같은 구성이 없이 매끈한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LED 313 of the display assembly 300 is not turned on and is looking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covered by the color layer 235, Does not appear as.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formed of a smooth steel plate without a configuration such as a display.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는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시 특정한 문자나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점등되는 상기 엘이디(313)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1)는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이 배치된 영역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arranged to transmi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specific character or symbol when the LED 313 is turned on, thereby forming the display unit 11. The overall shape of the display unit 11 appears in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LED 313 to be lit.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1 may be defined as representing the entire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are disposed.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 중 상기 표시부(11)가 형성되는 부분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hole filling member 2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where the display unit 11 is formed by a printing method.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전체는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표시부(11) 영역에 해당하는 배면 일부가 커버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isplay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 as well as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by the hole filling member 22 formed by print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by screen printing 11) Part of the rea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ea can be covered.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강판은 빛의 투과되는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VCM) 강판(23) 또는 피시엠(PCM) 강판(23')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panel 20 may be formed of a color steel plate, and the color steel plate is a VCM steel plate 23 or a PCM steel plate having a color layer 235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23') may be used.

예컨데, 상기 전면 패널(20)을 구성하는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은 용융아연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된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상면에 화학적 세척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과 프라이머층(234) 그리고 색상 및 질감의 표현을 위한 컬러층(2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에는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배면의 부식 방지 등의 처리가 된 백코팅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or steel sheet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20 may be formed of the BC steel sheet 23. As shown in Fig. 4, the VSM steel sheet 23 is a pre-treatment layer treated with chemical cleaning or coating on the upper surface based on the base metal layer 231 formed of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GI) or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EGI) ( 233, a primer layer 234, and a color layer 235 for expressing colors and textures. And, based on the base metal layer 231, a back coating layer 232 treat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BC steel sheet 23 exposed to the rea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231 Can be.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가장 상면을 형성하는 컬러층(235)은 필름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할 수 있게 된다.The color layer 235 forming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VSM steel sheet 23 has a film-like structure and can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20. In addition,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fi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0.

상기 전면 패널(20)상에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하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벗겨낸 후 상기 에칭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백코팅층(232)이 벗겨지게 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에 에칭액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In order to form the first through hole 21 on the front panel 20, the etching is performed after peeling off a part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C steel plate 23. That is, the back coating layer 232 of the VCM steel sheet 23 is peeled off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the exposed base metal layer 231 by using an etching solution.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성형 완료한 후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의 홀 메움부재(22)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면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배면 중 에칭을 위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벗겨진 부분을 커버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a hole-filling member 22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may fill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prevent corros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support the color layer 235 that shields the opening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fill the first through hole 21 as well as cover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231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232 has been peeled off for etching. It can be formed to be in the same state.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도포, 코팅, 부착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be formed by a printing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ating, coating, attachment, etc.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s necessary.

한편,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외관 즉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층(235)은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컬러층(235)은 필름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종류에 따라 피브이시 타입과 피브이시 프리 타입으로 구성되어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에 접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rior of the front panel 20, that is, the front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door 10 may be formed by the color layer 235, and the color layer 235 may implement various colors and textures. . The color layer 235 has a film-like structure, and is composed of a PV type and a PV free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C steel sheet 23, and may be adhered to the base metal layer 231 to which a primer is applied. .

도 5는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프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러층(235)은 핫멜트층(235a)이 가장 바닥에 형성되고, 필름 컬러층(235b)과 프라이머층(235c), 증착층(235d), 프라이머층(235e), 피이티층(235f)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lor layer 235 may be formed in a PV-free type. To this end, in the color layer 235, a hot melt layer 235a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 film color layer 235b, a primer layer 235c, a deposition layer 235d, a primer layer 235e, a PT layer ( 235f) can be placed in sequence.

상기 핫멜트층(235a)은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프라이머층(234)과 접착되어 상기 컬러층(235)이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은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투명한 색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235d)은 상기 컬러층(235)이 특정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이티층(235f)은 컬러층(235)의 가장 상면에 위치되어 컬러층(23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 hot melt layer 235a is bonded to the primer layer 234 of the BC steel sheet 23 so that the color layer 235 can be positioned above the base metal layer 231. In addition, the film color layer 235b may determine the color of the color layer 235, and various colors including a transparent color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he deposition layer 235d allows the color layer 235 to have a specific texture,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like texture, and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lm color layer 235b. . In addition, the PT layer 235f is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olor layer 235 to protect the color layer 235.

도 6은 상기 컬러 강판의 다른 컬러층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lor layer of the color steel sheet.

한편, 상기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러층(235)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색상를 가지는 피브이시(PVC)층(235g)이 가장 바닥에 형성되고 프라이머층(235c)과 증착층(235d), 프라이머층(235e), 피이티층(235f)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lor layer 235 may be formed in a PV type. To this end, the color layer 235 has a PVC layer (235g) having a color as shown in FIG. 6 is formed on the bottom, a primer layer (235c), a deposition layer (235d), a primer layer (235e), The PT layers 235f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상기 피브이시층(235g)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상방에서 상기 프라이머층(234)과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브이시층(235g)은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투명한 색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착층(235d)은 상기 컬러층(235)이 특정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과 같은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컬러층(235b)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이티층(235f)은 컬러층(235)의 가장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컬러층(23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 PV layer 235g may be adhered to the primer layer 234 above the base metal layer 231. In addition, the PV layer 235g may determine the color of the color layer 235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colors including a transparent color. In addition, the deposition layer 235d allows the color layer 235 to have a specific texture,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like texture, and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lm color layer 235b. . In addition, the PC layer 235f is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olor layer 235 to protect the color layer 235.

이처럼 상기 브이시엠 강판(23)의 컬러층(235)은 피브이시 타입과 피브이시 프리 타입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color layer 235 of the VSM steel sheet 23 may be applicable to both a PV type and a PV free type, and may be formed of a film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 컬러 강판은 브이시엠 강판(23) 외에도 피시엠 강판(23')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color steel plate forming the front panel 20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 PCM steel plate 23 ′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VSM steel plate 23.

도 7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을 구성하는 다른 컬러 강판의 절개 사시도이다.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lor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시엠 강판(23')은 용융아연금강판(GI)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된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상면에 화학적 세척 또는 코팅 처리된 전처리층(233)과 프라이머층(234) 그리고 색상 및 질감의 표현을 위한 컬러층(2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기준으로 하면에는 노출되는 브이시엠 강판(23)의 배면의 부식 방지 등의 처리가 된 백코팅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M steel sheet 23' is chemically cleaned or coated on the upper surface based on the base metal layer 231 formed of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GI) or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EGI). A pretreatment layer 233, a primer layer 234, and a color layer 236 for expressing colors and textures are formed. In addition, a back coating layer 232 treated with a treatment such as corrosion preven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exposed BC steel sheet 23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231 as a reference.

이때,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가장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컬러층(235)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24)와 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or layer 235 forming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PM steel plate 23 ′ is formed by painting or coating using a pain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the front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20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fi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0.

상기 컬러층(236)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 메탈층(231)과 백코팅층(232), 전처리층(233) 및 프라이머층(234)은 전술한 브이시엠 강판(2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xcept for the color layer 236, the rest of the base metal layer 231, the back coating layer 232, the pretreatment layer 233, and the primer layer 234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VSM steel sheet 23, so the same drawing They are indicated by symbo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전면 패널(20)상에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하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의 일부를 벗겨낸 후 상기 에칭을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 피시엠 강판(23')의 백코팅층(232)이 벗겨지게 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에 에칭액을 이용하여 제 1 관통구(21)를 형성하게 된다. In order to form the first through hole 21 on the front panel 20, the etching is performed after peeling off a part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M steel plate 23'. That is, the back coating layer 232 of the PM steel sheet 23 ′ is peeled off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on the exposed base metal layer 231 using an etching solution.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성형 완료한 후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의 홀 메움부재(22)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메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울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 중에서 중 에칭을 위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벗겨진 부분을 커버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a hole-filling member 22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may fill the first through hole 21. In this case,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fill the first through hole 21 as well as cover a portion of the base metal layer 231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232 has been peeled off for etching. It can be formed to be in the same state as.

도 8은 도 3의 8-8'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8-8' of FIG. 3.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들은 균일한 직경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며, 0.5mm의 설계 직경을 갖도록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의 상기 백코팅층(232)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되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nel 20.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are perforated to have a uniform diameter, and may be formed by etching to have a design diameter of 0.5 mm. The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exposed base metal layer 231 by removing a part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이때, 사용되는 에칭액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과 반응하여 녹일 수 있는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코팅층(232)을 제거한 부분을 에칭액을 이용하여 에칭시킬 경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완전히 관통하는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가 균일한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오버 에칭을 실시할 수 있으며, 오버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의 직경(D)은 설계 직경보다 다소 큰 0.5 ~ 0.7mm 사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tchant used may be ferric chloride (FeCl 3 ) that can be dissolved by reacting with the base metal layer 231. Accordingly, when the part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is etched using an etching solution, the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base metal layer 231. In this case, over-etch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rst through-hole 21 maintains a uniform size, and the diameter D of the opening of the first through-hole 21 formed by over-etching is It can be formed to a size between 0.5 and 0.7 mm slightly larger than the design diameter.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오버 에칭에 의해 설계 직경보다 다소 커지게 되지만,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스트레이트하게 동일 직경으로 완전히 관통할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의 크기가 모두 균일하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 간에 겹침이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가 다소 커지게 되더라도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esign diameter by over-etching, but since the base metal layer 231 can be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base metal layer 231 with the same diameter straight, the first through hole 21 ), the size of the openings are all uniform, and overlapping or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In addition, even if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slightly increase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covered by the color layer 235 in a situation where the LED 313 is not turned on. Because it is invisible, it does not affect the user.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우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때,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하는 상기 표시부(11)영역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 1 관통구(21)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로 채워지게 되며, 상기 표시부(11)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서 대략 35 ~ 55㎛의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The hole filling member 22 fill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by a printing method, and at this time, the display portion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It is formed to cover up to the (11) area.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are filled with the hole filling member 22 and have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5 to 55 μm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1. To form a printed layer having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성형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완전히 채우고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노출된 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투과되는 빛의 확산도가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운 경우 상기 전면 패널(20)의 판금 성형시 홀 메움부재(22)에 의한 굴곡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hole filling member 22 is form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completely fills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exposes the base metal layer 231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1. A prin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formed to cover all portions. If the thickness of the hole-filling member 22 is too thin, the degree of diffusion of transmitted light decreases. If the thickness of the hole-filling member 22 is too thick, the front panel 20 is bent by the hole-filling member 22 during sheet metal molding. ).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위해서는 열 건조 방식의 인쇄잉크 즉, 아크릴 수지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쇄잉크는 20,000cps ~ 40,000cps의 점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잉크의 점도가 20,000cps 보다 더 낮을 때에는 잉크의 건조 후에도 잉크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40,000cps 보다 높을 때에는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인쇄잉크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For the molding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a thermal drying printing ink, that is, an acrylic resin ink may be used. The printing ink may have a viscosity of 20,000 cps to 40,000 cps. At this time, when the viscosity of the printing ink is lower than 20,000 cps, there is a problem that ink may leak even after drying of the ink, and when it is higher than 40,000 cps, the printing ink is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21 having a fine size. Because it is not completely filled, defects may occur.

따라서, 인쇄잉크로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잉크 성분의 특성에 의해 상기 인쇄잉크는 우수한 동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스크린 인쇄를 통해 미세한 크기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을 균일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fill the fine-sized first through-hole 21 with printing ink, it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In addition, the printing ink may have excellent kinematic viscos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ing ink component, and thus, the first through holes 21 having a fine size can be uniformly filled through screen printing,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는 상기 아크를 수지 잉크의 주요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 코팅액의 중량을 100%로 할 때 메인 수지인 실리콘 아크릴 폴리올 33w%, 아크릴 폴리올 34w%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메인 수지의 혼합으로 스크린 인쇄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며 투명도와 열적 안정성 등의 물성을 만족하게 된다.Looking at the main components of the resin ink for the arc forming the hole filling member 22 in detail, when the weight of the total coating solution is 100%, 33w% of silicone acrylic polyol and 34w% of acrylic polyol are mixed and used. do. By mixing such a main resin, a screen print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and thermal stability are satisfied.

그리고, 열 경화제인 에폭시와 멜라민 수지가 15w%가량 혼합되며, 용제 8w%, 동점도의 조절을 위한 증점제로 흄드실리카(fumed slica) 2w%~3w%, 경화제 1w%, 그리고 나머지 잔량은 소포제와 레벨링제와 부착 증진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bout 15w% of epoxy and melamine resin, which is a thermal curing agent, are mixed, and 8w% of a solvent, 2w% to 3w% of fumed silica as a thickener for controlling the kinematic viscosity, 1w% of a curing agent, and the remaining amount are defoamers and It may be composed of a leveling agent and an adhesion promoter.

한편, 홀 메움부재(22)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일부의 성분비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상기 흄드 실리카는 설정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2~3w%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 ratio of som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but the fumed silica may be determined between 2 to 3 w% to maintain a set viscosity.

상기 흄드 실리카에 의한 동점도 조절에 의해 스크린 인쇄시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워서 상기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아크릴 수지 잉크는 스크린 인쇄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점도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점성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되어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을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By adjusting the kinematic viscosity by the fumed silica, the acrylic resin ink more effectively fills the first through hole 21 during screen printing, so that the hole filling member 22 can be formed. That is, the acrylic resin ink can easil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while its viscosity is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during screen printing,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first through hole The attached state is maintained on the inside of (21). It is dried in such a state to form the hole filling member 22, and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effectively filled.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는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가공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22, and the hole filling member 22 prevents the first through hole 21 from being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cessing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from being corroded.

도 9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display assembly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refrigerator door separat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이 배치되거나 바스켓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는 상기 전면 패널(20)과의 결합시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공간에는 단열재(24)를 형성하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oor liner 3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20 and forms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The door liner 30 is injection-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may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gasket or a basket may be mounted along the periphery. In addition, the door liner 30 forms a space between the door liner 30 and the front panel 20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front panel 20, and in this space is foamed to form an insulating material 24 Liquid can be filled.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프레임(1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발포액이 충진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A frame 10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frame 100 is formed to provide a separate space not filled with a foaming liquid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display cover 200, the display assembly 300,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rame display 400 and the like is provided.

상기 데코부재(40,43)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ecor members 40 and 43 form the upper and lower exterior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opened refrigerator door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panel 20 and the door liner 30 ( It is configured to shield the top and bottom of 10).

상기 데코부재(40,43) 중 상기 냉장고 도어(10) 상부의 데코부재(40)에는 삽입구(41)와 상기 삽입구(41)를 개폐하는 삽입구 커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데코부재(40)를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조립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Among the decor members 40 and 43, the decor member 40 above the refrigerator door 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opening 41 and an insertion opening cover 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opening 41. The insertion hole 41 passes through the decor member 40 and communicates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100. In addition, when the refrigerator door 10 is assembled,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frame 1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ame display 400. To this end, the insertion hole 41 is formed in a size in which the frame display 400 can be inserted, and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display cover 200.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코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회전 축이 되는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이 출입되어 상기 프레임(10) 내부의 전방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hinge hole (not shown) in which a hinge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moun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cor member 40. In addition, an electric wir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00 is passed through the hinge hole to supply power to the front parts inside the frame 10 and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on signals.

상기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도어 핸들(4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핸들(44)은 포켓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0) 하부의 데코부재(43)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45)의 조작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31)가 구동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A door handle 44 may be provided on the decor member 43 under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door handle 44 is recessed in a pocket shape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efrigerator door 10. Further, a lever 45 for opening/closing the refrigerator door 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decor member 43 under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the latch assembly 31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45. By driving, it is possible to select to keep the refrigerator door 10 open or closed.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장착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20. The display cover 200 is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display assembly 300 on which the LED 313 is mounted, and the front panel 20 is formed by applying a double-sided tape or a primer.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rear.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상기 전면 패널(2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A touch sensor assembly 500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pres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cover 200. The display cover 2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0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구(41)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표시부(11)를 지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frame 1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 while being mounted on the frame display 400. When the frame display 400 is completely inserte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located inside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is applied to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display unit 11 ) To be able to be investigated outsid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커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프레임 디스플레이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sensor assembly, a display cover, a display assembly, a frame display, and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이 개구된 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을 제외한 둘레가 상기 전면 패널(20)을 향하여 절곡되며, 그 단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접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접착부(120)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m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are opened, and when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0,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form a space 110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this end, th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00 other than the upper end is bent toward the front panel 20, and the end thereof is bent outward again to form the frame bonding portion 120. A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is provided on the frame adhesive part 120 so that the frame 100 can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데코부재(4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된 상면이 상기 삽입구(4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frame 100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0,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 member 40. In additi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opening 41, and an independent space is formed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에 상기 단열재(24)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에도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oaming liquid for form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is injected into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foaming liquid is not introduced into the space inside the frame 100 and can be protected.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41)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2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0)의 대응하는 부분이 일렁거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면 패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plate support portions 140 on which the support plates 141 are mounted are formed at both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The support plate 141 is installed in an area of the upper space of the frame 100 above the display cov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ver 200 is mounted, so that the front panel 20 is moved from the rear. It is configured to suppo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 from being wobbled, and also to prevent the front panel 20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 상부에는 전선 출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상기 캐비닛 상의 전원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 출입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선 출입구(1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와 가까운 측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힌지 홀과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에는 마감 처리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wire entrance 1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The electric wire entrance 15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frame 100 and the power supply on the cabinet are connected. The wire entrance 150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side close to the hing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nd disposed at a close distance to a hinge hol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addition, when the foam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refrigerator door 10, it is finished to prevent the foaming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frame 100.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는 구속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60)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구속부(2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Further, restraining grooves 160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The constraining groove 160 is formed so that the constraining portions 230 protruding laterally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are inserted.

상기 구속홈(160) 하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7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을 후방에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cover support part 170 supporting the display cover 200 is formed in a portion under the restraining groove 160 where the display cover 200 is positioned. The cover support part 170 protrudes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and supports press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from the rear.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는 판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좌우 양측단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160)에 삽입되는 구속부(230)가 형성된다. The display cover 200 is formed of a plate-shaped p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100 while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0. In addition, restraining portions 230 protruding outwardly and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s 160 are formed abov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cover 200.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장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는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 2 관통구(220)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accommodating part 210 in whic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display cover 2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20 are formed in the display cover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1.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관통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는 상기 7세그먼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through hole 2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21 when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he second through hole 220 may be formed to be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7 segment, or may be formed in various hole shapes for displaying other information.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둘레에는 차단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221)는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외측에서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A blocking portion 221 is formed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The blocking part 221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0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25)는 상기 차단부(221)의 외측 영역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시 상기 접착부재(25)의 두께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서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221)의 돌출 높이는 빛 샘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25)가 압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접착부재(25)의 압축 전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member 25 for bonding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only to the outer region of the blocking portion 221. Therefore, when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he gap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25 can be minimized, and this space Through this, light leakage can be prevente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blocking part 221 is formed to a height that can block light leakage, and before compression of the adhesive member 25 in consideration that the adhesive member 25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00 is compressed. It can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상기 엘이디(313)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플렉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assembly 300 may include a display PCB 310 on which the LED 313 is mounted and a reflector 32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CB 310.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의 구동을 위한 센서 제어부가 실장된다. 즉,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감지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조작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상에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는 케이블 커넥터(600)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PCB 310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LED 313, and a sensor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That is, the sensor control unit processes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front panel 20 sensed throug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on the display PCB 310. To this end, the sensor PCB (not shown) inside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nd the display PCB 31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able connector 600.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 내부의 센서 피시비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able connector 600 includes a first cable connector 610 connected to a sensor PCB inside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nd a second cable connector 620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310,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ile the display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door 10,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utside the refrigerator door 10. Is composed.

즉,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삽입구(4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1)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entire length of the cable connector 600 i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to the insertion hole 41, so that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It is formed so that the display assembly 300 can be mounted after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outside the insertion hole 41 in the stat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상기 제 1 관통구(21)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리플렉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플렉터(320)는 상기 엘이디(313)의 빛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320)의 두께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311)가 상기 전면 패널(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reflector 3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CB 310 to guide the light of the LED 313 to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reflector 320 not only guides the light of the LED 313 but also allows the display PCB 310 and the display terminal 31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nel 20 by a thickness of the reflector 320. So that the display PCB 310 can be protected from static electricity.

특히, 상기 전면 패널(20)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에 인접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 중 발생되는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상기 리플렉터(32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구조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0)과 이격되면서도 빛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하여 정전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front panel 20 may be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structure in which not only the front panel 20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but also the display assembly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11, the reflector By 320, the display PCB 310 is structural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nel 20, and light transmission is excellent, so that the display PCB 310 can be protected from static electricity.

상기 리플렉터(3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엘이디(313)의 배치와 대응하며, 상기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와 연통될 수 있는 제 3 관통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밀착되고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flector 320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e LED 313 mounted on the display PCB 310, and a third through ho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22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321 is formed. When the display assembly 300 is mounted, the frame display 400 is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second through hole 220, and the third through hole ( All 32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ve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11.

한편,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둘레를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테두리(410)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좌우 양측단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되는 슬라이딩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슬라이딩 삽입부(415)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frame display 400 has the display PCB 310 mounted thereon,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which the display PCB 310 can be mounted. In addition, an edge 410 that is bent forward along the perimeter of the frame display 400 is form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display PCB 310 is accommodated. In addition, sliding insertion portions 415 that are bent to both left and right ar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frame display 400. The sliding insertion part 415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40 formed in the display cover 200. Accordingly, the frame display 400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cover 200 by the sliding insert 415.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핸들(4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핸들(420)은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결합될 때 사용자가 쥐고 조작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frame handle 420 extending upward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end of the frame display 400. The frame handle 4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y being gripped and manipulated by a user when the frame display 400 is coupled to the display cover 200.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닫게 되면, 상기 삽입구 커버(42)는 상기 프레임 핸들(420)과 접하게 된다. When the insertion opening cover 42 is closed while the frame display 400 is completely inserted, the insertion opening cover 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ame handle 420.

*도 12는 도 2의 12-1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는 도 12의 A부 확대도이다.*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12-12' of FIG. 2.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2.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상기 접착부재(25)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크기는 아주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크기보다 훨씬 더 작게 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상기 하나의 제 2 관통구(22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when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by the adhesive member 25,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Has a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very small and is muc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0, It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here 220.

그리고,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관통구(321)가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서로 일치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그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리플렉터(32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관통구(220)와 제 3 관통구(321)는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될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display 400 is completely inserted an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cover 200, the third through-hole 321 is the second through-hole 220 )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through-hole 220 and the third through-hole 321 have the same size, and the reflector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00, thereby The 3 through holes 321 may be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그리고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지나 냉장고 도어(1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third through-hole 321, the second through-hole 220, and the first through-hole 21 can all communicate,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is the third through-hole 321 ), the second through-hole 220, and the first through-hole 21 are passed in sequence, so that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irradiated.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에는 확산시트(25)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통과하는 빛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밝게 되어 상기 표시부(11)를 통해 표현되는 문자 나 숫자 기호 등이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A diffusion sheet 25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o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The diffusion sheet 25 diffus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evenly distributed, and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display 11 is evenly bright. Thus, a letter or number symbol express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 can be clearly identifie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부(11)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점등되는 상기 엘이디(313)에 따라서 7세그먼트 형태의 숫자와 기호의 형태 등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unit 11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and will be displayed in the form of 7-segment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lighted LED 313. I can.

상세히, 상기 표시부(11)는 도 14의 (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엘이디(31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로 상기 제 1 관통구(21)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In detail,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11 when the LED 313 of the display assembly 300 is not turned on, as shown in FIG. 14A.

상세히, 상기 컬러층(235)은 색상 또는 특정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냉장도 도어(10)의 내측에서 상기 엘이디(313)의 빛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어둡게 되어 외부로 보여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컬러층(235)의 색상이 다소 진하거나 상기 컬러층(235)의 구성 중 증착층(235d)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In detail, the color layer 235 is formed to have a color or a specific texture, and has a characteristic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erefore, when the light from the LED 313 is not irradi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door 10, the inner area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becomes relatively darker, and the outside Will not be seen as. In particular, when the color of the color layer 235 is slightly darker or the deposition layer 235d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lor layer 235, this phenomenon is more prominent.

이처럼, 상기 컬러 강판의 컬러층(235)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빛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lor layer 235 of the color steel sheet has a structure to shield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light is not irradiated. Accordingly, the refrigerator door 10 may appear as if the display is no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부(12)를 터치하거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어떤 동작에 의해 상기 엘이디(313)가 점등되면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 3 관통구(3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21)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2 or the LED 313 is turned on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is transmitted to the third through hole 321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220 and the first through-hole 21 in order to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엘이디(313)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며, 나머지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빛을 발산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엘이디의 빛이 통과되어 빛을 발산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서로 조합되어 특정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light is emitted from some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according to the lighting state of the LED 313, and the remaining first through holes 21 Is not emitted, so it is not visible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hrough holes 21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LED passes and emit ligh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isplay a specific number, letter, or symbol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엘이디(313) 중 특정 엘이디(313)가점등되면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중 일부의 제 1 관통구(21)들에서 빛을 발산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4℃, -12℃와 같이 정보를 숫자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점등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4, when a specific LED 313 among the LEDs 313 is lit, some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By radiating light from the field,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numbers such as 4℃ and -12℃ as shown. That 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various forms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that are lit when a separate display is not visible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10. Can be displayed.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terior memb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컬러 강판(예를 들어 브이시엠 강판(23))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입고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mold the exterior member, that is, the front panel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color steel sheet used as a material of the front panel 20 (for example, a BC steel sheet 23) ) Will be cut to the appropriate length and received.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 강판(23) 또는 피시엠 강판(23') 중의 하나로, 유통되는 제품이 입고되어 그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color steel plate is one of the VSM steel plate 23 or the PCM steel plate 23' having the color layer 235, and a product that is distributed is received to form the front panel 20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s it is. Can be used to

그리고, 입고된 컬러 강판은 표면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황산 및 가성소다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세척을 통해서 상기 컬러 강판 표면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이어지는 가공을 위해 이동된다. 물론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강판 입고 단계, S110]In addition, the worn colored steel sheet may be washe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sulfuric acid and caustic soda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can be completely removed through washing, and it is moved for processing leading to a state in which washing and drying are completed. Of course, the pretreatment process of cleaning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ay be omitted. [Steel sheet warehousing step, S110]

특정 사이즈로 가공되어 공급되는 컬러 강판은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배면의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백코팅층(232)은 컬러 강판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 가공하기 위해서 제거된다.As for the color steel sheet processed and supplied in a specific size, the back coating layer 232 on the back surface may be removed by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231, and is removed to etching the base metal layer 231.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 중 상기 표시부(11)의 위치 즉,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영역만이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중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부분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백코팅 제거 단계, S120]At this time, only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1,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can be removed by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There will be.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is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tal layer 231 is exposed. [Back coating removal step, S120]

한편,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어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된 부분에는 감광성 수지 필름(26)(Dry Film)을 라미네이팅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는 상기 백코팅층(232)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부착된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DFR 라미네이팅 단계, S130]Meanwhile, a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Dry Film) is laminated and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and the base metal layer 231 is exposed. Accordingly,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may be formed by a portion where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formed and a portion to which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is attached. [DFR laminating step, S130]

그리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상방에는 마스킹 필름(27)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마스킹 필름(27)은 자동화 설비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스킹 필름(27)이 부착된 상태에서 진공 환경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을 경화시키게 된다.[노광 단계, S140]In addition, a masking film 27 is disposed above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At this time, the masking film 27 can be aligned at an accurate position by an automated facility. Then,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i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 vacuum environment while the masking film 27 is attached. [Exposure step, S140]

노광에 의해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킹 필름(27)을 제거하고 노광 완료된 컬러 강판을 현상액에 넣은 후,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빛을 받지 않은 마스킹된 부분을 현상액 속에서 녹여서 제거된다. 따라서, 경화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거될 수 있으며, 수세 처리하여 다음 가공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현상단계, S150] After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has been cured by exposure, the masking film 27 is removed and the exposed color steel sheet is placed in a developer solution, and the remaining parts excluding the cured part, that is, the masked part not receiving light Is dissolved in the developer solution and removed. Therefore, the rest of the parts except the hardened part can be removed, and can be moved for the next processing by washing with water. [Development step, S150]

그리고, 현상이 완료된 상기 컬러 강판은 감광성 수지 필름(26)상의 미세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면을 모두 열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때의 온도는 대략 180~200℃의 온도로 대략 10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작업에 의해 상기 컬러 강판에 부착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기포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층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가열 및 건조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olor steel sheet having been developed may be thermally dried to remove fine bubbles on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and improve adhes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The temperature at this time may be carried out for about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about 180 ~ 200 ℃. By this heat treatment operation,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attached to the color steel sheet can b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metal layer 231 in a state in which bubbles are removed. Of course, such heating and drying processe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에 에칭을 위한 부분의 현상이 완료되면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이동되어 에칭 처리된다. 이때, 에칭 용액은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칭액은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과 백코팅층(232)과는 반응되지 않으면서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이 제거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 부위에만 반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부식시켜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development of the portion for etching on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is completed, the color steel sheet is moved and etched. In this case, as the etching solution, ferric chloride (FeCl 3 ) may be used. Therefore, the etchant may react only with the base metal layer 231 exposed by the removal of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without reacting with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and the back coating layer 232, and the base The metal layer 231 is corroded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컬러층(235) 또한 수지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에칭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235)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전방에서 차폐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lor layer 235 is also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us is not corroded by the etching solution,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ase metal layer 231. In addition, the color layer 235 shields the first through hole 21 from the front.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을 위한 에칭시 에칭 시간을 길게 하여 오버 에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오버 에칭에 의해서 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직경의 편차가 크지 않게 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 균일한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칭 단계, S160]In addition, during the etching for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etching time may be lengthened to over-etch,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penetrates to have the same diamet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y over-etching. Is form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do not have a large deviation in diameter, and all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size and position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through holes 21. have. [Etching step, S160]

에칭이 완료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성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된 상기 컬러 강판만이 남게 된다.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6)의 제거 완료 후에는 성형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etching is completed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molded,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is removed,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removed by the removal of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Only the colored steel sheet formed remains. After the removal of the photosensitive resin film 26 is completed, an inspection process fo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molded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21)에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채워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olor steel pl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may have a hole filling member 22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22, thus preventing corrosion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open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olor layer 235 to be shielded.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물론 에칭을 위해 벗겨진 상기 백코팅층(232)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부식이 발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홀 메움 단계, S170]In addition, the hole filling member 22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through hole 21 as well as the back coating layer 232 peeled off for etching to prevent corrosion or damage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Will be prevented. [Hole filling step, S17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홀 메움부재의 성형과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le fill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7은 상기 외장부재의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성형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8는 상기 제 1 관통구에 홀 메움부재를 인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17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hole filling member in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exterior member. And, FIG. 18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printing and molding a hole filling member in the first through hole.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일면이 차폐된 상태이고 다른 일면이 개구된 상태로 노출되어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위한 인쇄 잉크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인쇄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lor steel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has been formed is in a state in which one opened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235 The other side is exposed in an open state so that printing ink for molding the hole filling member 22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hole filling member 22 can be formed by screen printing using printing ink.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컬러 강판은, 스크린 인쇄 전에 가열되는 예열 공정을 먼저 실시하게 된다. 상기 컬러 강판을 가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쇄잉크가 상기 컬러 강판의 베이스 메탈층(231)에 인쇄될 경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되어 표면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인쇄잉크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즉, 가열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의 열에 의해 상기 인쇄잉크는 일시적으로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로의 상기 인쇄잉크 유입을 용이하게 되며,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인쇄잉크는 다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소재예열 단계, S171]The color steel sheet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has been formed is first subjected to a preheating process, which is heated before screen printing. When the printing ink is printed on the base metal layer 231 of the color steel sheet while the color steel sheet is heated, the surface energy of the base metal layer 231 decreases and the surface tension decreas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ill the through hole 21. That is, the viscosity of the printing ink temporarily decreases due to the heat of the color steel sheet in a heated state, thereby facilitating inflow of the printing ink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printing ink As the viscosity increases again, the filling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maintained. [Material preheating step, S171]

상기 인쇄잉크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즉, 상기 컬러층(235)이 부착된 면의 반대 면에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인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쇄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구(21)에는 인쇄잉크가 채워지고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일부를 도포하게 되며, 상기 홀 메움부재(22)를 형성하게 된다. The printing ink can be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color steel sheet,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to which the color layer 235 is attach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By screen printing using the printing ink, printing ink is fi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is applied, thereby forming the hole filling member 22.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forming the hole filling member 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 패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공정이 실시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의 메쉬와 제 1 관통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19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a state in which a screen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h of the plate-making for screen printing and the first through hole.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열 완료된 컬러 강판을 스크린 인쇄를 위해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이 형성된 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배치되며,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과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된 면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heated color steel sheet is arranged for screen printing. At this time, the color steel plate is disposed such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color layer 235 is formed goes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and the opened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exposed upward. .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1)와 대응하는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51)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모두 상기 제판(51)의 영역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스크린 인쇄에 의해 전체 상기 제 1 관통구(21)들에 인쇄잉크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engraving plate 51 for screen printing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1. At this time, all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are located inside the area of the engraving plate 51, and printing ink can be filled in all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by screen printing.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대략 100목의 제판(51)으로 스크린 인쇄하게 되며, 2행정으로 2도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채워 넣음과 동시에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을 더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층은 상기 표시부(11)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강판 후방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상기 제 2 관통구(2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le-filling member 22 formed by screen printing is screen-printed with a plate 51 of approximately 100 trees, and may be formed by printing 2 degrees in two strokes. In addition, the hole filling member 22 formed by screen printing fills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further forms a prin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In this case, the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1 and may be formed to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220 of the display cover 200 positioned behind the color steel plate.

그리고, 상기 제판(51)에 의해 인쇄되는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형상은 후방에서 바라볼 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외곽선 형상은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차단부(221)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shape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printed by the engraving plate 51 has a shape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outline shape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may be formed along the blocking portion 221 of the display cover 200.

따라서, 모든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홀 메움부재(22)의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장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터치 조작부(12)와의 간섭도 방지하게 된다. Accordingly, all the first through holes 21 are disposed within the area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formed by screen printing, and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display cover 200 is mounted, and the touch operation unit 12 It also prevents interference with.

한편, 상기 스크린 인쇄를 위한 제판(51)은 패턴의 인쇄를 위한 스크린 인쇄시와 달리 홀을 메우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상기 제 1 관통구(21)를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도록 상기 제 1 관통구(21) 하나에 대한 메쉬수가 일반적인 스크린 제판(51)에 비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도록 45°견장각을 가지는 제판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n 51 for screen printing has the main purpose of filling the hole unlike the screen printing for pattern printing, so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effectively fi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1. An engraving having a 45° elongation angle may be used so that the number of meshes for one can be formed more than that of the general screen engraving 51.

상세히,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판(51)의 메쉬(55)의 견장각은 45°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하나에 13칸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메쉬(5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부에 상기 인쇄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20, the elongation angle of the mesh 55 of the plate 51 is formed at 45°, so that 13 meshes 55 may be disposed in one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By doing so, a larger number of meshes 55 can be disposed than in general screen printing, so that the printing ink can be effectively fill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그리고, 상기 제판(51)은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과 대략 5mm이내의 가까운 위치에서 접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제판(51)의 들림을 방지하여 컬러 강판의 배면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판(51) 텐션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에 균일한 채움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engraving plate 51 is sea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within about 5 mm, and prevents lifting of the engraving plate 51 to minimize a gap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plate, ) The effect of tension can be prevented, and a uniform filling amount can be maintained i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상기 제판(51)의 상방에는 상기 인쇄잉크를 상기 제 1 관통구(21)에 채워넣기 위한 스퀴즈(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판(51)에 인쇄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스퀴즈(52)는 상기 제판(51)을 누르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판(51) 내측의 인쇄잉크를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A squeeze 52 for fill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with the printing ink may be provided above the engraving plate 51. In a state where printing ink is supplied to the engraving plate 51, the squeeze 52 may be moved while pressing the engraving plate 51, and the printing ink inside the engraving plate 51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1. You will be able to push it inward.

그리고, 상기 스퀴즈(52)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판(51)의 표면과 접촉되면서 이동시에 상기 제판(51)을 누르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상태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queeze 52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pressed to press the plate 51 during movemen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ate 51, and reciprocating movement is possible in a pressurized state. .

또한, 상기 스퀴즈(52)의 단부 즉, 상기 제판(51)의 메쉬(55)들과 직접 접촉되는 하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인쇄시 일반적인 인쇄와 비교할 때보다 잉크의 내림량을 증가시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인쇄잉크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n end of the squeeze 52, that is, a lower end of the plate 51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shes 55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Accordingly, the amount of ink lowered during screen printing i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general printing, so that printing ink can be effectively filled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21.

즉,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스퀴즈(52)의 경우 단부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스퀴즈(52)의 단부에는 라운드진 라운드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스퀴즈(52)의 이동시 상기 제판(51)의 인쇄잉크가 보다 많은 양이 상기 제판(51)의 메쉬(55)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에 채워질 수 있게 되나.That is, in the case of the squeeze 52 used for general screen printing, the end is formed in a flat shape, but a rounded round portion 5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queeze 5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queeze ( When 52) is moved, a larger amount of the printing ink of the plate making 51 passes through the mesh 55 of the plate making plate 51 and can be filled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21?

한편, 상기 스퀴즈(52)에는 지지부재(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4)는 상기 스퀴즈(52)의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스퀴즈(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4)는 탄성소재의 스퀴즈(52)가 이동시 높은 압력에 의해 변형될 경우 반복적인 이동 상황에서 동일한 인쇄 두께 확보 및 재현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틸과 같은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퀴즈(52) 단부의 라운드부(53)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라운드부(53)에 의한 인쇄잉크의 누름 작용을 간섭하지는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support member 5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queeze 52. The support member 54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queeze 52 and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queeze 52. The support member 54 is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such as steel so as to secure the same printing thickness and prevent reproducibility from being deteriorated in repetitive movement situations when the elastic material squeeze 52 is deformed by high pressure during movement. Can be. In addition, by not protruding from the round portion 53 at the end of the squeeze 52,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essing action of the printing ink by the round portion 53.

따라서, 상기 스퀴즈(52)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스퀴즈(52)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스퀴즈(52)는 전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스퀴즈(52)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철판이 아닌 다른 소재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even if the squeeze 52 is moved whil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queeze 52, the squeeze 5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bent. The support member 54 may be inserted into the squeeze 52 if necessary,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r shape other than an iron plate.

한편,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성형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표면에 추가의 인쇄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의 인쇄층은 검정색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집합으로 형성되는 7세그먼트의 단위 부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외측으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층은 연속되는 스크린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크린 인쇄 단계, S172]Meanwhile, after the hole filling member 22 is formed, an additional printing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The additional printing layer may be printed in black, and is formed along the boundary of the unit portion of the 7 segment formed as a set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to prevent light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is print layer may be formed by a continuous screen printing process. [Screen printing step, S172]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인쇄가 완료되면 100~120℃의 온도에서 15분간 건조하게 되며, 건조 과정에서 기포의 제거 및 상기 홀 메움부재(22)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열건조 단계, S173]When the printing of the hole-filling member 22 is completed, it is dried for 1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00 to 120°C, so that air bubbles are removed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the hole-filling member 22 is stabilized. , S173]

상기 열건조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은 판금에 의해 좌우 양측단이 절곡되는 등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은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에칭 이전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상기 홀 메움부재(22)의 형성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After the heat drying step is completed, the front panel 20 may be mold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door 10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are bent by sheet metal. Of course, the molding of the front panel 2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etching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or before the formation of the hole filling member 22 by screen printing.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의 전면에는 접착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접착부재(25)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동시에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면에 부착된다.In addition, after the molding of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d,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20. In this state, an adhesive member 2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housing cover 510, and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re used by the adhesive member 25. )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20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 전에 상기 전면 패널(20) 배면의 상기 표시부 영역에는 확산시트(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25)는 상기 제 1 관통구과 상기 제 2 관통구(2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313)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켜 고른 밝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before the display cover 200 is attached, a diffusion sheet 25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diffusion sheet 2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0 and may achieve even brightness by dispers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313.

상기 전면 패널(20)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전면 패널(20)에 고정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0)와 상기 데코부재(40)를 조립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24)를 발포 성형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24)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영역을 제외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충진되며, 상기 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When the attachment of the display cover 200 to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d, the frame 100 is fixedly mounted to the front panel 20 so as to accommodate the display cover 200. In addition, the door liner 30 and the decor member 40 are assembled to form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n this state, a foam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refrigerator door 10 to foam-molde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The insulating material 24 fills the entire interior sp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excluding the inner region of the frame 100, and stably fixes the frame 100.

조립 완료된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수용부(210)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511)가 상기 수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assembled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210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511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10 so that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It remains fixed to the display cover 200.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외형의 조립 및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를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에 장착하게 된다. When the outer shape of the refrigerator door 10 is assembled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4 is forme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on the frame display 400.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상기 프레임 디플레이(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센서 피시비(700)와 연결된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310)에 실장된 상기 센서 제어부(330)와 연결된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연결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mounted on the frame display 400, the operator can use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connected to the sensor PCB 700 and the sensor mounted on the display PCB 310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30 is connected.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는 이미 단열재(24)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포액의 충진 및 단열재의 성형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상기 센서 제어부(3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Since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are connected after the molding of the insulating material 24 has already been completed, the sensor control unit due to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filling of the foaming liquid and molding the insulating material ( 330) is prevented.

상기 제 1 케이블 커넥터(610)와 제 2 케이블 커넥터(620)를 서로 연결한 후에는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를 상기 삽입구(4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 핸들(420)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0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After connecting the first cable connector 610 and the second cable connector 620 to each other, the frame display 40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 and the frame handle 420 The frame display 400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display cover 200.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커버(200)의 후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상기 제 1 관통구(21)와 제 2 관통구(220) 및 제 3 관통구(321)는 모두 차례로 정렬 및 연통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frame display 400 is completely inserted, the display assembly 3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second through hole 220, and the third through hole All 321 can be aligned and communicated in turn.

상기 프레임 디스플레이(4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삽입구 커버(42)를 상기 삽입구(41)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구(41)를 닫고 상기 프레임 핸들(420)의 상단을 고정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After the insertion of the frame display 400 is completed, the insertion hole cover 42 is mounted on the insertion hole 41 to close the insertion hole 41 and the upper end of the frame handle 420 is fixed to the refrigerator door 10. )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상기 백코팅층 중 상기 제 1 관통구과 대응하는 부분만 레이저 조사 장치(2)로 홀 마킹하여 간단하게 에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a portion of the back coating lay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hole-marked with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so that etching can be performed simply.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백코팅층의 박리위치와 형상 그리고 에칭공정에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e peeling position and shape of the back coating layer and the etching proces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other structures are all the same, 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struc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외장부재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2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terior memb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부재 즉, 상기 전면 패널(2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면 패널(20)의 소재가 되는 컬러 강판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입고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mold the exterior member, that is, the front pane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steel sheet, which is a material of the front panel 20, is first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then received.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컬러층(235)을 가지는 브이시엠 강판(23) 또는 피시엠 강판(23') 중의 하나로, 유통되는 제품이 입고되어 그대로 상기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color steel plate is one of the VSM steel plate 23 or the PCM steel plate 23' having the color layer 235, and a product that is distributed is received to form the front panel 20 of the refrigerator door 10 as it is. Can be used to

그리고, 입고된 컬러 강판은 표면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황산 및 가성소다가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세척을 통해서 상기 컬러 강판 표면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상태로 이어지는 가공을 위해 이동된다. 물론 상기 컬러 강판의 표면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강판 입고 단계, S210]In addition, the worn colored steel sheet may be washe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sulfuric acid and caustic soda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can be completely removed through washing, and it is moved for processing leading to a state in which washing and drying are completed. Of course, the pretreatment process of cleaning the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ay be omitted. [Steel sheet warehousing step, S210]

특정 사이즈로 가공되어 공급되는 컬러 강판은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배면의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백코팅층(232)은 컬러 강판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을 에칭 가공하기 위해서 제거된다.As for the color steel sheet processed and supplied in a specific size, the back coating layer 232 on the back surface may be removed by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231, and is removed to etching the base metal layer 231.

이때,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백코팅층(232) 중 상기 제 1 관통구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만 레이저로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 1 관통구(21) 전체를 포함하는 표시부(11)의 전체 영역에 대해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과 대응하는 부분 각각에 홀 마킹 방식으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only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back coating layer 232 form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may be removed by laser.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fo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11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whereas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by a hole marking method in each of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21.

즉,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 각각과 대응하는 다수의 홀 모양으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된 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ack coating layer 232 may be remov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hole from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따라서, 레이저 조사 장치(2)에 의해 상기 백코팅층(232)을 제거하게 되면 개구된 홀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백코팅층(232)은 이후 진행되는 에칭 가공시 가공 부위와 가공되지 않는 부위를 구분하는 마스크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백코팅 제거 단계, S230]Accordingly, when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removed by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2, the base metal layer 231 can be exposed through the opened hole. In addition, the remaining back coating layer 232 may serve as a mask for separating a processed portion from an unprocessed portion during subsequent etching processing. [Back coating removal step, S230]

상기 백코팅층(232)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컬러 강판은 상기 이동되어 에칭 처리된다. 이때, 에칭 용액은 염화제이철(FeCl3)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칭액은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덮여진 백코팅층(232)과는 반응되지 않으면서 상기 백코팅층(232)이 제거되어 노출된 베이스 메탈층(231) 부위에만 반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메탈층(231)층을 부식시켜 제 1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removal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is completed, the color steel sheet is moved and etched. In this case, as the etching solution, ferric chloride (FeCl 3 ) may be used. Therefore, the etchant may react only with the base metal layer 231 exposed by the removal of the back coating layer 232 without reacting with the back coating layer 232 cove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and the base metal The first through hole 21 can be formed by corroding the layer 231 layer.

이때, 상기 컬러층(235) 또한 수지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에칭액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베이스 메탈층(2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235)은 상기 제 1 관통구(21)를 전방에서 차폐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lor layer 235 is also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us is not corroded by the etching solution,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2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ase metal layer 231. In addition, the color layer 235 shields the first through hole 21 from the front.

그리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을 위한 에칭시 에칭 시간을 길게 하여 오버 에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21)는 오버 에칭에 의해서 입구에서 출구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구(21)들은 직경의 편차가 크지 않게 되며 이웃하는 상기 제 1 관통구(21)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 균일한 크기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에칭 단계, S240]In addition, during the etching for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etching time may be lengthened to over-etch,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penetrates to have the same diamet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y over-etching. Is form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 do not have a large deviation in diameter, and all of the first through holes 21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size and position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through holes 21. have. [Etching step, S240]

이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컬러 강판에는 상기 제 1 관통구(21)에 홀 메움부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메움부재(22)에 의해서 상기 제 1 관통구(21)의 내측이 채워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관통구(21)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관통구(21)의 개구를 차폐하는 상기 컬러층(23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olor steel pl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ormed may have a hole filling member 22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is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22, thus preventing corrosion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opening the first through hole 21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olor layer 235 to be shielded.

그리고, 상기 홀 메움부재(22)는 상기 제 1 관통구(21)는 물론 에칭을 위해 벗겨진 상기 백코팅층(232)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컬러 강판의 배면에 부식이 발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홀 메움 단계, S240]In addition, the hole filling member 22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through hole 21 as well as the back coating layer 232 peeled off for etching to prevent corrosion or damage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lor steel sheet. Will be prevented. [Hole filling step, S2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부재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한 냉장고 도어에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외장부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및 외장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the exterior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only in the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of home appliances. Since the exterior member and the display assembly described below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display and exterior member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60)는 케이스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61)의 후반부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62)과, 상기 베이스(61)의 전반부 상측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에는 외장부재(64)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indoor unit 6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appearance formed by a case. The case may include a base 61, a rear cabinet 62 dispos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61, and a front cabinet 63 disposed above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61, and the An exterior member 6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abinet 63.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제공되고,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와 후방 캐비닛(62) 및 전방 캐비닛(63)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다.The base 61, the rear cabinet 62, and the front cabinet 63 are combin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Inside the space, a blower fan and a flow path for intake and discharge of air are provided, and a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intake air, a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of intake air, and a configuration for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ar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base 61, the rear cabinet 62, and the front cabinet 63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ake ports for inhaling external ai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discharging heat exchanged air.

한편, 상기 외장부재(6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부재(64) 또는 상기 외장부재(64)가 장착된 구성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캐비닛(63)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외장부재(64)는 상기 실내기(60)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ior member 64 is formed of a color steel plate and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binet 63.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front cabinet 63 can be opened by rotation or detachment of the exterior member 64 or the exterior member 64 mounted, and provid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cabinet 63 It is configured to enable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xisting components. Of course, the exterior member 64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60.

상기 외장부재(6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시부(6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6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 display unit 65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formed on the exterior member 64. The display unit 65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by the method of forming a hole by the above-described etching, but have a structure shielded by a color layer, The through holes can be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Further, if necessary, a touch manipulation unit 6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65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그리고, 상기 표시부(6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에 의해 상기 표시부(65)로 빛을 조사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assembly 67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65,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expressed by irradiat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65 by the display assembly 67. The display assembly 67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LEDs and may prov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or symbols.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6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6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LED of the display assembly 67 is turned on, the display portion may appea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64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through holes become the exterior member. The state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of 64, so that the through hole itself is not visib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6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6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6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64 corresponding to the touch manipulation unit 6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66 to recognize a user's touch manipula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71)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와,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ashing machine 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machine body 71 forming an exterior, a tub storing washing water, and a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tub to accommodate laundry. And, a dr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 of the drum, a washing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are provided.

한편,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상기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개구는 도어(72)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72)는 상기 본체(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71 is opened to allow laundry to be put into the drum, and the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body 7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72. To this end, the door 72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71.

상기 도어(72)를 제외한 상기 세탁기 본체(71)의 전면 및 상면에는 컬러 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외장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7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부(74)와 터치 조작부(75)가 형성될 수 있다.An exterior member 73 formed of a color steel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washing machine body 71 except for the door 72. In addition, a display portion 74 and a touch manipulation portion 75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73.

상기 표시부(74)는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unit 74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70 and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 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forming a hole by etching, but have a structure that is shielded by a color layer, and the through holes can be filled by a hole filling member.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7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세탁기(70)가 운전 및 운전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기(70)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노브(76)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uch manipulation unit 75 enables the washing machine 70 to be operated or operated by a user's touch manipulation. Of course, a knob 76 in the form of a dial for operating the washing machine 70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표시부(74)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74)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세탁기(7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isplay assembly 77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74,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70 may be expressed by irradiating light to the display window 74 by the display assembly 77. . The display assembly 77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LEDs and may prov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or symbols.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7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73)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73)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LED of the display assembly 77 is turned on, the display portion may appea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73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through holes are The state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of 73, so that the through hole itself is not visib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75)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73)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75)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73 corresponding to the touch manipulation unit 75.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75 to recognize a user's touch manipula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식기세척기(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dishwasher 80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assembly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dishwasher body 8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그리고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inside of the dishwasher body 81 includes a cavity in which dishes for washing are accommodated, a rack member with which dishes are placed in and out of the cavity, and water for washing into the cavity. It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to supply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washed water.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에는 도어(8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2)는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8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8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Further, the dishwasher body 81 is provided with a door 82. The door 82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dishwasher body 81, and when the door 82 is closed, it form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dishwasher 80.

상기 도어(82)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조작시 상기 상부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82)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83)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82 is composed of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interlocking when the lower door is operated. In addition, a handle 8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8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door.

상기 도어(82)의 전면 즉,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84)가 부착된다. 상기 외장부재(8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82)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An exterior member 84 forming an exterior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door 82, that is, the front surfaces of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The exterior member 84 may be formed of a color steel plate material, and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82.

상기 외장부재(84)에는 상기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8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8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A display unit 85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80 may be formed on the exterior member 84.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window 85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 hole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85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hol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by the method of forming a hole by etching, but are shielded by a color layer. And the through holes can be filled by the hole filling member.

그리고, 상기 표시부(8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에 의해 상기 표시부(85)로 빛을 조사하여 식기세척기(80)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a display assembly 87 is provided behind the display unit 85,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hwasher 80 may be expressed by irradiat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85 by the display assembly 87. The display assembly 87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LEDs and may prov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or symbols.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8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8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LED of the display assembly 87 is turned on, the display portion can appea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84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through holes are The state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of 84, so that the through hole itself is not visib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상기 표시부(8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8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8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8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조작부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A touch manipulation unit 8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85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In addition, a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84 corresponding to the touch manipulation unit 8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to recognize a user's touch manipula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부재가 구비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구비된 조리기기(9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9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oking appliance 90 provided with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그리고 캐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어셈블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includes a cavity in which food for cooking is accommodated, a heating means or magnetron for cooking food in the cavity, and a pan assembly for convection inside the cavity.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는 도어(9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9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기(9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Further,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is provided with a door 92. The door 92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and when the door 92 is closed, it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90.

상기 도어(92)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9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조리기기(9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The door 92 is hinge-coupled to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to be rotatably provided, and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up-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90.

그리고, 상기 도어(92)에는 상기 도어(92)의 개폐조작을 위한 손잡이(9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9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9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재(94)는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92)에 제한되지 않고 조리기기 본체(91)의 일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door 92 is provided with a handle 9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92. In addition, an exterior member 94 forming a front exterior of the door 9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92. The exterior member 94 may be formed of a color steel plate, and may form on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main body 91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oor 92.

한편, 상기 외장부재(94)에는 상기 조리기기(9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95)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미세한 관통구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들은 전술한 에칭에 의한 홀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들은 홀 메움부재에 의해 채워질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display unit 95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90 may be formed on the exterior member 94.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unit 95 may be formed as a set of fine through holes. In additio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forming a hole by etching, but have a structure shielded by a color layer, and the through holes can be filled by a hole filling member.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창(95)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는 엘이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숫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isplay assembly 97 is provided behind the display unit 95,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expressed by irradiating light to the display window 95 by the display assembly 97. The display assembly 97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LEDs and may prov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numbers or symbols.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7)의 엘이디가 점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상기 외장부재(94)의 전면으로 표시부가 나타날 수 있게 되며, 상기 엘이디가 소등되면 상기 관통구들은 상기 외장부재(94)의 컬러층에 의해 차폐되는 상태가 되어 표시부는 물론 상기 관통구 자체도 보이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LED of the display assembly 97 is turned on, the display portion may appea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94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When the LED is turned off, the through holes are The state is shielded by the color layer of 94, so that the through hole itself is not visible as well as the display portion.

그리고, 상기 표시부(95)의 일측에는 터치 조작부(96)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ouch manipulation unit 9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95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또한, 상기 터치 조작부(96)와 대응하는 상기 외장부재(94)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500)는 상기 터치 조작부(96)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assembly 500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94 corresponding to the touch manipulation unit 96.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adher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96 to recognize a user's touch manipulation.

Claims (22)

가전제품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일부 영역에 마련된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이면 쪽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로서,
상기 패널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메탈층;
상기 표시부가 마련된 영역에서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구; 및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구들을 각각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투과시키는 홀 메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를 채움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A panel that forms an exterior of a home appliance and has a display portion provided in a partial area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As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including; a display assemb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panel and in which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display is disposed,
The panel,
A base metal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penetrating the base metal lay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in the area where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And
A hole filling member provided to fill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transmitting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Including,
The hole filling member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while filling the first through hol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이면에는 디스플레이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cover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panel,
The display assembly is accommodated inside the display cover,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가 구비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diffusion sheet is provi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display cover to diffus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제2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The second through-hol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hol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의 내측 영역에는 복수의 제1 관통구들이 배치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re arrang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구들과 상기 제2 관통구 사이에 상기 홀 메움부재가 위치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hole fill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의 둘레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는 상기 차단부의 외측 영역에 부착된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패널의 이면에 부착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4,
A blocking part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 display cover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via an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blocking unit,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접착부재의 압축 전 높이보다 낮은,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blocking por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before compression of the adhesive member,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광원이 실장된 디스플레이 피시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상기 제1 관통구로 가이드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와 연통된 제3 관통구가 구비된,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y assembly,
Display PCB on which the light source is mounted; And
It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CB, and includes a reflector for guiding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to the first through hole,
The reflector is provided with a third through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는 서로 밀착되어 연통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mmunicat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컬러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까지 에칭 성형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further comprising a color layer for forming a color and texture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The first through hole is etch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to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in contact with the color layer,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컬러층과 접하는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과 인접한 영역에서 좁아지는 형상인,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a shape that narrows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in contact with the color layer,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컬러층은 상기 광원의 점등시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반면, 상기 광원의 소등시 상기 제1 관통구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컬러층은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나타내는 필름, 도장 또는 코팅층인,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further comprising a color layer for forming a color and texture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The color layer transmits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but does not expose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The color layer is a film, painting or coating layer representing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컬러층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을 나타내는 필름 컬러층 또는 피브이시(PVC)층;
상기 필름 컬러층 또는 상기 피브이시층의 표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을 나타내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구비되는 피이티층;
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lor layer,
A film color layer or a PVC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and representing the color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A deposition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color layer or the PCB layer and representing the color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And
A PC layer provided on the deposition layer;
Containing,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광원의 점등시 상기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반면, 상기 광원의 소등시 상기 제1 관통구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position layer transmits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but does not expose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Exterior member of home appliance.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외관을 형성하고,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일부 영역에 마련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이면 쪽에 디스플레이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디스플레이 커버의 이면으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금속 재질의 베이스 메탈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입고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까지 제1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통구에 광 투과성의 홀 메움부재를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홀 메움부재는 상기 제1 관통구를 채움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이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Form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and preparing a panel in which a display unit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 refrigerator is provided in a partial area;
Installing a display cover on the back side of the panel;
Inserting a display assembly in which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Including,
The step of preparing the panel,
Wearing a panel including a base metal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to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And
Filling a light-transmitting hole filling member in the first through hole;
Including,
The hole filling member is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while filling the first through ho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by etch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17에 있어서,
입고되는 상기 패널은, 상기 베이스 메탈층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표면 외관의 색상과 질감을 형성하는 컬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구의 에칭에 사용되는 에칭액은 컬러층 및 베이스 메탈층 중 베이스 메탈층과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panel to be worn further includes a color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layer and forming a color and texture of the surface appearance of the exterior member of the home appliance,
The etching solution used for etching the first through hole selectively reacts with only the base metal layer of the color layer and the base metal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에칭액으로 염화제이철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Using ferric chloride as the etching solu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홀 메움부재는 인쇄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를 통해 제1 관통구 내에 채워지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e filling member is fi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screen printing using printing ink,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는 20,000cps ~ 4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inting ink has a viscosity of 20,000 cps ~ 40,000 cp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는 전체 중량 대비 2w%~3w%의 흄드실리카(fumed slica)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외장부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inting ink contains 2w% to 3w% of fumed silica based on the total weigh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rior member of a home appliance.
KR1020200172161A 2017-04-21 2020-12-10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265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en) 2017-04-21 2020-12-10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73A KR102194300B1 (en) 2017-04-21 2017-04-21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en) 2017-04-21 2020-12-10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73A Division KR102194300B1 (en) 2017-04-21 2017-04-21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30A true KR20200141430A (en) 2020-12-18
KR102265292B1 KR102265292B1 (en) 2021-06-15

Family

ID=7404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161A KR102265292B1 (en) 2017-04-21 2020-12-10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en)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Display member, timepie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121753A (en)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74A (en) * 2001-06-01 2002-12-13 Casio Comput Co Ltd Display member, timepie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121753A (en)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292B1 (en)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322B2 (en) Exterior member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11300352B2 (en) External member for home appliances having light transmitting through-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655840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KR101668921B1 (en)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KR101770032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KR101659181B1 (en)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KR20160076390A (en)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KR20160078194A (en) Tuch sensor assembly and manufacture method of t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with tuch sensor assembly
KR101731724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194300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265292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70037467A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273104B1 (en) Manufacture method for outplate for home appliance
KR102509727B1 (en) Outplate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04405B1 (en) Refriger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