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283A -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 Google Patents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283A
KR20200141283A KR1020190068103A KR20190068103A KR20200141283A KR 20200141283 A KR20200141283 A KR 20200141283A KR 1020190068103 A KR1020190068103 A KR 1020190068103A KR 20190068103 A KR20190068103 A KR 20190068103A KR 20200141283 A KR20200141283 A KR 20200141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adsorption filter
subway platform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0375B1 (en
KR102290375B9 (en
Inventor
이주열
박병현
김해기
최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to KR102019006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375B1/en
Publication of KR2020014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375B1/en
Publication of KR10229037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37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purifier which is installed in a subway platform and collects and processes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ir inside a subway platform. To this end, the air purifier (100) installed in the subway platform comprises: a first door (625) including a first inlet (111a) positioned on one surface and a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disposed on the first inlet (111a); a first blowing module (610)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25); a first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3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 second door (665) including a second inlet (111b)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625) and a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disposed on the second inlet (111b); a second blowing module (650)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665); a second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7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and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an outlet (121) for discharging air flowing by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modules (610, 650).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 처리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that is installed in a subway platform to collect and proces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지하터널 및 지하 승강장 등은 자연환기에 의한 공기의 순환이 어렵고, 미세먼지 등이 그대로 지하공간에 잔존하게 되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급 배기팬을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환기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underground tunnels and underground platforms of subways contain large-sized exhaust fan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irculate air by natural ventilation, and fine dust remains in the underground space as it is, which can threaten the health of people using the subway. Underground structure ventilation system is used to circulate air.

그러나 최근에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슈화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PMlO) 오염도가 가장 높은 터널공기가 역사 또는 차량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실내 오염도가 증가할 우려가 높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먼지의 여과는 기존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구성으로 마련되는 기계식 또는 화학식 필터로는 미세먼지를 완벽히 여과하기 어렵고, 비용상의 문제, 범용상의 문제 등으로 한계점이 존재한다.However, recently, the fine dust problem has become an issu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ere is a high concern that indoor pollution increases especially when tunnel air with the highest fine dust (PMlO) pollution enters a station or vehicle interior. However, the filtration of such fine dust is difficult to completely filter fine dust with a mechanical or chemical filter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mechanical or chemical composi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problems in cost and general purpose.

특히, 지하철이 역사에 정차해 출입문이 열릴 때 열차풍에 의해 지하터널이나 선로 내부로부터 미세먼지가 다시 올라와 승강장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기존의 기계식 또는 화학식 필터들은 적합하지 않다.In particular, when the subway stops at the station and the door is opened, fine dust may rise again from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tunnel or track due to the train wind,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the platform may appear high. Existing mechanical or chemical filters are not suitable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이미 운영중인 지하철 승강장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아서 승강장 내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대형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다. 그리고, 소형 공기정화장치의 경우에는 정화용량이 부족하여 내부공간을 정화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ubway platform that is already in operation, it was not possible to install a large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occupies a lot of space in the platform due to the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in the case of a small air purifying apparatus, the purification capacity was insufficient, so it was not enough to purify the internal space.

특히, 승강장의 폭이 좁기 때문에 두꺼운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승객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어 많은 혼잡을 초래한다. In particular, because the width of the platform is narrow, in the case of a thick air purification device, i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passengers, resulting in a lot of congestion.

따라서, 기존의 기계식 또는 화학식 필터와 비교하여, 비용상의 문제, 범용상의 문제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지하철의 진입, 도착, 출발 등의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공기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지하철 승강장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슬림형 공기정화장치를 개발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Therefo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chanical or chemical filter, it is competitive in cost and general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air purific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such as entrance, arrival, departure of the subway, and the space of the subway platform. A plan is being sought to develop a slim-type air purifier that does not occupy much.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7407호(지하철 터널 공기정화시스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7407 (Subway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벽에 밀착시켜서 승객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정화능력을 갖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having sufficient purification capabilit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assage of passengers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inside the subway platform. I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기기(예 :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eg, mobile phones, tablets, notebook computers, etc.).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정화장치의 내부 공간을 절약하여 슬림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도어와 흡착필터를 함께 착탈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in which a door and an adsorption filt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gether in order to save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purifier and make it sli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100)에 있어서,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유입구(111a)와 제 1 유입구(111a)상에 배치되는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을 포함하는 제 1 도어(625); 제 1 도어(625)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1 송풍모듈(610); 제 1 흡착필터모듈(620)과 제 1 송풍모듈(61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내부경로 제공모듈(630); 제 1 도어(62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유입구(111b)와 제 2 유입구(111b)상에 배치되는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을 포함하는 제 2 도어(665); 제 2 도어(665)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송풍모듈(650); 제 2 흡착필터모듈(660)과 제 2 송풍모듈(65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내부경로 제공모듈(670); 및 제 1 송풍모듈(610)과 제 2 송풍모듈(6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installed in a subway platform, a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disposed on a first inlet 111a and a first inlet 111a positioned on one side. A first door 625 including a; A first blowing module 61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25; A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for guiding air flow between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 second door 665 including a second inlet 111b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625 and a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disposed on the second inlet 111b; A second blowing module 65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665; A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70 for guiding air flow between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and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an outlet 121 for discharging the air flowing by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nd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is provided.

또한, 제 1 유입구(111a)와 제 2 유입구(111b)는 공기정화장치(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위치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let 111a and the second inlet 111b are positioned up and down in the fron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또한, 제 1 내부경로 제공모듈(630)의 일측은 제 1 흡착필터모듈(620)에 인접하고, 타측은 제 1 송풍모듈(61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는 원추 형상이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30 is adjacent to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other side has a conical shape adjacent to the center region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또한, 제 2 내부경로 제공모듈(670)의 일측은 제 2 흡착필터모듈(660)에 인접하고, 타측은 제 2 송풍모듈(65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는 원추 형상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70 is adjacent to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and the other side has a conical shape adjacent to the center region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또한, 제 1 도어(625)와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은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착탈시 같이 착탈되거나 혹은 제 2 도어(665)와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이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착탈시 같이 착탈된다.In addition, the first door 625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air purifier 100, or the second door 665 and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may be attached to the air purifier. When attaching or detaching from (100), it is detached together.

또한, 제 1 송풍모듈(610)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1 전류센서(960); 제 2 송풍모듈(650)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2 전류센서(970); 및 제 1 전류센서(960)와 제 2 전류센서(970)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 1 흡착필터모듈(620)과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current sensor 960 for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 second current sensor 970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a control unit 800 that displays a replacement period of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based on the outputs of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and the second current sensor 970. Include.

또한,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85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800)는 공기정화장치(100)를 제어하며, 제어부(800)는 통신부(850)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850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wired or wireless, and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 unit 8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50. .

또한, 배출구(121)는 공기정화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송풍모듈(610)과 배출구(121)를 연결하는 제 1 상승경로(635); 및 제 2 송풍모듈(650)과 상기 배출구(121)를 연결하는 제 2 상승경로(67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21 is located abov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the first rising path 635 connecting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nd the discharge port 121; And a second rising path 675 connecting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the outlet 121.

이에 의해, 슬림형 공기정화장치를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벽에 밀착시켜서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승객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정화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inside the subway platform, thereby exhibiting sufficient purification capability without obstructing the passage of passengers.

대형의 송풍모듈 한개를 설치할 경우 두께가 두꺼워져 슬림형으로 제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상하로 송풍모듈을 설치하여 충분한 정화능력을 발휘하면서도 전체 외관을 슬림형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When one large-sized blowing module is installed, the thickness becomes thick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it in a slim type. Thus, by installing the blowing module up and dow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possible to produce a slim-type overall appearance while exhibiting sufficient purification ability.

또한, 외부 기기(예 :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와의 통신을 통해 간편하여 제어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rough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eg, mobile phones, tablets, laptops, etc.), and remote control is also possible.

또한, 도어와 흡착필터가 함께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형 공기정화장치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필터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and the adsorption filt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slim type air purifier can be saved, and the maintenance of the filter is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중 제 1 미세먼지처리부(600)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중 제 1 도어(625)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for a subway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slim-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a slim-typ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lim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rst fine dust processing unit 600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oor 625 of FIG. 5 is separa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and express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im-typ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lim-typ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and FIG. 3 is It is a block diagram of a slim-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를 포집처리하여 지하철 승강장 내부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lim-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또한, 포집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무풍 토출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지하철의 진입, 도착, 출발 등의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공기 정화 처리를 수행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승객 불쾌감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오염도가 심각한 날에는 외부의 공기가 지하철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지하철 승강장 내부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it can be discharged in a windless discharge method or effectively purify the air according to the situation such as entering, arriving, or departing the subway, thereby discomfort of passengers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Minimize it. In addition, on days when the contamination of fine dust outside the subway platform is severe, external air is restricted from flowing into the subway platform, thereby preventing ai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from flowing into the subway platform.

이를 위해, 본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100)는 하우징부, 덕트부 (200),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300), 이산화탄소 측정부(400),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500), 미세먼지 처리부(600), 이산화탄소 처리부(700), 제어부(800), 통신부(850), 교체주기 판단부(950) 및 동작 감지부(900)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for a subway platform includes a housing part, a duct part 200, an internal fine dust measuring part 300, a carbon dioxide measuring part 400, an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part 500, and a fine dust. It may include a processing unit 600, a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 control unit 800, a communication unit 850, a replacement cycle determination unit 950, and a motion detection unit 900.

하우징부는,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는,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마련되며,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흡착 처리 후 배출되도록 하는 외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는, 하단에 마련되되, 제 1 유입구(111a)와 제 2 유입구(111b)가 마련되는 제1 하우징(110), 제1 하우징(110)의 상단에 마련되되, 배출구(121)와 상품을 홍보하는 광고판(131)dl 마련되는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is provided to configure the outer shape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for a subway platform. Specifically,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to be installed inside a subway platform, and may be implemented in an external shape such that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fter adsorbing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To this end,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 first housing 110 provided with the first inlet 111a and the second inlet 111b, and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outlet 121 And a second housing 120 provided with an advertisement board 131 for promoting the product.

제1 하우징(llO)의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먼지 처리를 위한 흡착필터 및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흡착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폐 가능한 서랍구조ㄸ또는 자석으로 착탈 가능한 도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housing ILO, it may be implemented as an openable drawer structure or a door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e with a magnet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adsorption filter for fine dust treatment and the adsorption filter for carbon dioxide treatment accommodated therein. .

덕트부(200)는 제1, 2 하우징(110, 120)와 연결되어,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를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와 교환한다. 이로써,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중 일부가 지하철 승강장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만큼의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duct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to exchang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with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platform, Air can be allowed to enter.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3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산화탄소 측정부(4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n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300 is provid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subway platform, and 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400 is provided to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구체적으로,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300)와 이산화탄소 측정부(400)는, 복수의 측정센서가 구비되어, 각각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되, 포집처리 후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역시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nal fine dust measurement unit 300 and the carbon dioxide measurement unit 4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asurement sensors, respectivel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Fine dust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also be measured.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500)는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500)는, 지하철 승강장 외부에 마련되어,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 (8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500 is provid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utside the subway platform. Specifically, the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subway platform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outside the subway platform to the controller 800.

제 1 미세먼지 처리부(600)는 지하철 승강장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산화탄소 처리부(7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fine dust processing unit 600 is provided to allow air from a subway platform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to collect and process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is provided to allow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to collect and process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여기서, 제 1 미세먼지 처리부(600)와 이산화탄소 처리부(700)는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지면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ine dust processing unit 600 and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ut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t can work.

또한, 이산화탄소 처리부(700)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냄새제거 흡착모듈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n odor removal adsorption module for removing not only carbon dioxide but also odors inside the subway platform.

제어부(800)는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제반사항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 및 이산화탄소 처리부(700)의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is provided to control all matters of the slim-typ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controller 800 may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and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ccording to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예를 들면, 제어부(800)는,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설정된 이산화탄소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산화탄소 처리부(700)가 동작되도록 하고,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가 동작되도록 하되, 이산화탄소 처리부(700) 및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의 공기가 지하철 승강장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만큼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carbon dioxid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800 causes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to operate, and whe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of a subway platform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ne dust reference value, the When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are operated, but at least one of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nd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is operate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mo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120),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platform, and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as much as the discharge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

또한, 제어부(800)는, 이산화탄소 처리부(700) 및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기준값 이상이면, 동작 중인 이산화탄소 처리부(700) 및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의 가동률이 증가되도록 하되, 덕트부(200)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nd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8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fine dust outside the subway platfor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fine dust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operating rate of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nd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in operation may be increased, but air inflow and discharge from the duct unit 200 may be limited.

여기서, 기설정된 양은 실내 공기 중 20% 미만의 양을 의미한다.Here, the predetermined amount means an amount of less than 20% of indoor air.

그리고 제어부(800)는, 제 1, 2미세먼지 처리부(600, 640) 및 이산화탄소 처리부(700)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부가 동작하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과 포집 처리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미세먼지 농도 저감 효율 및 이산화탄소 저감효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저감효율이 포함된 공기정화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and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80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Air pur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reduction efficiency of fine dust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reduction efficiency may be calculated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air that is collected and discharged.

또한, 제어부(800)는, 지하철의 진입, 도착, 출발 등의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공기 정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지하철의 관제실 서버로부터 지하철의 지하철 승강장 진입, 지하철 승강장 도착 및 지하철 승강장 출발 여부가 수신되도록 하여, 제1 미세먼지 측정센서(310)를 통해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도, 지하철이 지하철 승강장을 출발한 이후에만,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receives whether the subway enters the subway platform, arrives at the subway platform, and departs the subway platform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of the subway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air purific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situations such as entrance, arrival, and departure of the subway. Thus, eve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subway platform measured through the first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ne dust reference value, only after the subway leaves the subway platform,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640) can be made to operate.

그리고 제어부(800)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승객 불쾌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작감지센서(910)로부터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미세먼지 측정 센서(310)를 통해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도, 제 1, 2미세먼지처리부(600, 640)의 동작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800, 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910 to minimize passenger discomfor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he subway measured through the first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10 Even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side the platform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ne dust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may be restricted.

동작 감지부(900)는 배출구 주변에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is provid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round the outlet.

한편,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100)는 전술된 제1, 2 하우징(110, 120), 덕트부(200),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300), 이산화탄소 측정부(400),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500),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 이산화탄소 처리부(700), 제어부(800) 및 동작감지부(900) 이외에 통신부(850),열교환부(미도시) 및 정보 표시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for a subway platform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the duct 200, the in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300, 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400, and the external fine dust. The measuring unit 500,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In addition, a communication unit 850, a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통신부(8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유선통신의 일예로는 유선 인터넷, 인트라넷, LAN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일예로는 4G, 5G,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외부기기는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 뿐만 아니라 중앙 통제실의 서버컴퓨터(또는 기상청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50)를 통해, 지하철 승강장이 위치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8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지하철의 관제실 서버로부터 지하철의 지하철 승강장진입, 지하철 승강장 도착 및 지하철 승강장 출발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850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the controller 800 by using this. An example of wired communication may be a wired Internet, an intranet, or a LAN. Examples of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4G, 5G, Wi-Fi,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and the like. External devices can be mobile phones, tablets, laptops, as well as a server computer (or Meteorological Agency server) in the central control room. Through this communication unit 850,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rea where the subway platform is located can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0, and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of the subway, entering the subway platform, arriving at the subway platform, and the subway platform You can receive whether or not you have started.

열교환부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와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온도차가 발생되는 경우, 덕트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와 덕트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heat exchange part allows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discharged through the duct part 200 and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entering through the duct part 200 when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subway platform and the outside of the subway platform. It is prepared to do.

구체적으로, 열교환부는 덕트부(200)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와 덕트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열교환이 완료되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는 배출되고,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는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unit is connected to the duct unit 200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discharged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and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entering through the duct unit 200, but when heat exchange is completed, the subway platform Internal air may be discharged, and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정보 표시부(예 : LCD 패널)는, 공기정화 정보가 산출되면, 산출된 공기정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된다.An information display unit (eg, an LCD panel) is provided to display the calculated air purification information when air purifica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중 제 1 미세먼지처리부(600)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중 제 1 도어(625)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lim-typ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rst fine dust processing unit 600 in FIG. 4, and FIG. 6 is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625 is separated.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625)의 상부에 제 2 도어(665)가 위치한다. 제 1 도어(625)에는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이 설치되어 제 1 도어(625)와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이 함께 착탈된다. 제 1 도어(625)의 전면에는 제 1 유입구(111a)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유입한다. As shown in FIGS. 4 to 6, a second door 665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door 625. A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625 so that the first door 625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re attached and detached together. A first inlet 111a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door 625 to introduce indoor air.

제 1 내부경로제공모듈(630)은 원추형상이며, 일단은 큰 반경을 가지며 제 1 도어(625)에 가깝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지며, 제 1 송풍모듈(61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거나 연결된다. 제 1 내부경로제공모듈(630)은 제 1 흡착필터모듈(620)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제 1 송풍모듈(6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 1 송풍모듈(610)은 모터와 송풍팬으로 구성되며, 제 1 상승경로(635)를 통해 상부의 배출구(121)로 공기를 송풍한다. The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has a conical shape, one end has a large radius and is disposed close to the first door 625, the other end has a relatively small radius, and the center area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djacent to or connected to. The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serves as a guide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to naturally flow into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is composed of a motor and a blowing fan, and blows air through the first rising path 635 to the upper outlet 121.

제 2 내부경로제공모듈(670)은 원추형상이며, 일단은 큰 반경을 가지며 제 2 도어(665)에 가깝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지며, 제 2 송풍모듈(65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거나 연결된다. 제 2 내부경로제공모듈(670)은 제 2 흡착필터모듈(660)를 통과한 공기가 자연스럽게 제 2 송풍모듈(65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 2 송풍모듈(650)은 모터와 송풍팬으로 구성되며, 제 2 상승경로(675)를 통해 상부의 배출구(121)로 공기를 송풍한다. The second inner route providing module 670 has a conical shape, one end has a large radius and is disposed close to the second door 665, the other end has a relatively small radius, and the center area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djacent to or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70 serves as a guide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to naturally flow into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is composed of a motor and a blowing fan, and blows air through the second rising path 675 to the upper outlet 121.

덕트부(200)는 제1, 2 하우징(110, 120)과 연결되어,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를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와 교환하여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중 일부가 지하철 승강장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만큼의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덕트부(200)는, 배출덕트(210), 유입덕트(220), 배출밸브(230) 및 유입밸브(240)로 구성될 수 있다.The duct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to exchang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with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reduc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2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s 110 and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platform, and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as much as the discharged air may be introduced. To this end, the duct part 200 may include an exhaust duct 210, an inlet duct 220, a discharge valve 230 and an inlet valve 240.

배출덕트(210)는 제1, 2 하우징(110, 120)과 연결되어, 제1 흡착필터 모듈(620) 또는 제3 흡착필터 모듈(720)을 거쳐 배출되는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의 공기가 지하철 승강장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discharge duct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or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It is prepa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latform.

유입덕트(220)는 제1, 2 하우징(110, 120)과 연결되어, 배출된 공기만큼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제1, 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둘면, 배출덕트(210)는 제 2 하우징(120)의 후면에 연결되어, 제1 상승경로(635) 또는 제 2 상승경로(675)를 따라 제1, 2 흡착필터모듈(620, 660) 또는 제3 흡착필터모듈(720)을 거쳐 배출되는 공기 중 기설정된 양의 공기가 지하철 승강장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유입덕트(220)는 제1 하우징(1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배출된 공기만큼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유입된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공기가 제1 상승경로(635) 또는 제 2 상승경로(675)를 따라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let duct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nd is provided to allow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as much as the exhausted air to flow in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discharge duct 210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s 620 and 660 along the first rising path 635 or the second rising path 675 ) O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platform. The inlet duct 22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as much as the discharged air flows into the first housing 110, thereby controlling the air outside the subway platform. It can be transported along the 1 rising path 635 or the second rising path 675.

배출밸브(230)는 배출덕트(2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유입 밸브(240)는 유입덕트(22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밸브(230) 및 유입밸브(240)는 제어부(800)에 의해, 배출덕트(210) 및 유입 덕트(220)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면, 결정된 결과에 따라 배출덕트(210) 및 유입덕트(220)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 23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scharge duct 210 is opened or closed, and the inlet valve 24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let duct 220 is opened or closed. Specifically, when the discharge valve 230 and the inlet valve 240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duct 210 and the inlet duct 220 by the control unit 800, the discharge duct 210 and the inle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The duct 220 can be opened or closed.

즉, 제어부(800)는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가 동작하는 경우, 측정된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미세먼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배출밸브(230) 및 유입밸브(240)를 제어함으로써, 배출덕트(210) 및 유입덕트(220)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are operated, whe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outside the subway platform is higher than a preset fine dust reference value, the discharge valve 230 and the inlet valve By controlling 240, the discharge duct 210 and the inlet duct 220 may be closed.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3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되, 미세먼지 포집처리 후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역시 측정하기 위해, 유입구 주변에 마련된다.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제1 미세먼지 측정센서(310)와 배출구 주변에 마련되어, 미세먼지가 포집처리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제2 미세먼지 측정센서(3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300 is provided around the inlet in orde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subway platform, but als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discharged after the fine dust collection treatment. A first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10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subway platform and a second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20 that is provided around the outlet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discharged by collecting the fine dust. May be provided.

이산화탄소 측정부(4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되, 이산화탄소 포집처리 후 배출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역시 측정하기 위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되, 이산화탄소 포집 처리 후 배출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역시 측정하기 위해, 유입구 주변에 마련되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이산화탄소 측정센서(410)와 배출구 주변에 마련되어, 이산화탄소가 포집처리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이산화탄소 측정센서(4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400 measur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but also measur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in order to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discharged after the carbon dioxide capture treatment, but the air discharged after the carbon dioxide capture treatment In order to also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carbon dioxide measurement sensor 410 is provided around the inlet and measur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ubway platform, and the first carbon dioxide measuring sensor 410 is provided around the outlet, and the carbon dioxide is collected and processed to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d air. A second carbon dioxide measuring sensor 420 may be provided.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500)는 지하철 승강장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미세먼지 측정센서(5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sensor 51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utside the subway platform.

제 1 미세먼지 처리부(6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제1 송풍모듈(610), 제1 흡착필터 모듈(620) 및 제1 내부경로 제공모듈(6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미세먼지 처리부(64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제2 송풍모듈(650), 제2 흡착필터 모듈(660) 및 제2 내부경로 제공모듈(670)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ne dust processing unit 600 allows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flow into the interior and collects and processe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 And a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The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 640 allows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collects and processe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 And a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70.

제1 송풍 모듈(610)은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 모듈(61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미세먼지가 포함된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blowing module 610 is provided to allow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flow into the inside. Specifically,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to allow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including fine dust to flow into the first housing 110.

제1 흡착필터 모듈(620)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흡착필터 모듈(620)은, 제 1 유입구(111a)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송풍 모듈(610)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함된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제 1 유입구(111a)를 통해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흡착처리할 수 있다.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provided to collect and process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Specifically,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inlet 111a, and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including fine dust is transferred by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to the first inlet 111a.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through ), fine dust may be adsorbed.

이를 위해, 제1 흡착필터 모듈(620)은, 세척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정전필터(eletric filter), 에어필터(air filter) 또는 헤파필터(hepa filter) 등으로 구현되는 제1 흡착필터와 제1 흡착필터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흡착필터 수용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washed and used semi-permanently, and is implemented with an eletric filter, an air filter, or a hepa filter. It may be composed of a first adsorption filter housing box to accommodate the adsorption filter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제 2 도어(665)는 제 1 도어(626)와 동일 구성을 갖고, 제 1 송풍모듈(610)은 제 2 송풍모듈(650)과 동일 구성을 갖고,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은 제 2 흡착필터모듈(660)과 동일 구성을 갖고, 제 1 내부경로제공모듈(630)은 제 2 내부경로제공모듈(67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The second door 66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door 626,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the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70.

제1 상승경로(635)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져서 공기가 상단으로 상승하도록 하되, 상승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한다. 이로써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제 1 송풍모듈(610)의 상단으로부터 배출구(121)까지 별도의 송풍수단이 없이도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포집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무풍 토출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scending path 635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upward so that the air rises to the top, but the flow velocity of the ascending air is increased. There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s transferred from the top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to the outlet 121 without a separate blowing means, so that when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it can be discharged in a non-air discharge method. .

제2 상승경로(675)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져서 공기가 상단으로 상승하도록 하되, 상승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한다. 이로써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제 2 송풍모듈(650)의 상단으로부터 배출구(121)까지 별도의 송풍수단이 없이도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포집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무풍 토출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 1, 2 상승경로(635, 675)를 연통시켜 함께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The second ascending path 675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top so that the air rises to the top, but the flow velocity of the rising air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to the outlet 121 without a separate blowing means, so that when the collected air is discharged, it can be discharged in an airless discharge method. . If necessary, the first and second rising paths 635 and 675 are communicated so that they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1 together.

이산화탄소 처리부(700)는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제3 송풍 모듈(710), 제3 흡착필터 모듈(720) 및 제3 내부경로 제공모듈(7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 처리부(700)는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allows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to flow into the interior, and to collect and process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e third blowing module 710,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and the third It may be composed of an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730. In this case, the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and may b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ousing 110.

제3 송풍 모듈(710)은 지하철 승강장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송풍 모듈(6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blowing module 710 is provided to allow air from the subway platform to flow into the interior, and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제3 흡착필터 모듈(720)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3 흡착필터모듈(720)은,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흡착시켜 포집처리하기 위한 제3 흡착필터와 제3 흡착필터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3 흡착필터를 수용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흡착필터 모듈(720) 역시 제1 흡착필터 모듈(6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is provided to collect and process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o this end,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may be configured by accommodating a third adsorption filter for absorbing and process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ir and a third adsorption filter for accommodating the third adsorption filter.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may als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제3 내부경로 제공모듈(730)은 유입된 공기가 제3 흡착필터 모듈(720)을 거쳐 배출되도록 하는 제3 내부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3 내부경로 제공모듈(730)은, 제1 상승경로(635)와 유사하게 단면의 형상이 지면과 멀어질수록 지면과 평행한 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제3 송풍 모듈(710)에 의해, 지하철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유입구를 통과하여 제3 흡착필터 모듈(720)을 거쳐 이산화탄소가 포집처리되면, 포집처리된 공기가 상단으로 상승하도록 하되, 상승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송풍 모듈의 상단으로부터 배출구(121)까지 별도의 송풍수단이 없이도,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730 is provided to provide a third internal path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Specifically, similar to the first ascending path 635, the thir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730 is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parallel to the ground decreases a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increases away from the ground. When the air inside the subway platform 710 passes through the inlet and the carbon dioxide is collected through the third adsorption filter module 720 by the third blowing module 710, the collected air is raised to the top, but the rising air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air, the air introduced therein can be transferr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wing module to the outlet 121 without a separate blowing means.

또한, 제1, 2, 상승경로(635, 675) 및 제3 내부경로 제공 모듈(730)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내부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내부경로에 단수의 배출덕트(210) 및 유입덕트(220)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내부경로 제공 모듈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에는, 배출덕트(210) 및 유입덕트(220)가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내부경로 제공 모듈에 각각의 배출덕트(210) 및 유입 덕트(220)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scending paths 635, 675, and the thir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730 are not physically separated and can provide one internal path. In this case, the number of steps in one internal path The discharge duct 210 and the inlet duct 220 of may be connected. When each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is physically separated, a plurality of discharge ducts 210 and inlet ducts 220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discharge ducts 210 and inlet ducts 220 are provided in each of the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s. Can be connected.

제 1, 2 미세먼지 처리부(600, 640)는, 제1, 2 흡착필터 모듈(620, 660) 만으로 미세먼지 농도의 저감효율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포집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술한 제1, 2 송풍 모듈(610, 650), 제1, 2 흡착필터 모듈(620, 660) 및 제1, 2 내부경로 제공모듈(630, 670) 이외에, 헤파필터모듈(미도시) 또는 정전식 롤필터 모듈(미도시)을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s 600 and 640 can additionally collect and process incoming ai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fficiency of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insufficient only by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s 620 and 660. So,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modules 610 and 650,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s 620 and 66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s 630 and 670, a HEPA filter module (not shown) ) Or an electrostatic roll filter modul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헤파 필터 모듈(미도시) 또는 정전식 롤필터 모듈(미도시)은, 제 1 유입구(111a)와 제1 송풍 모듈(610) 사이에 마련되어, 제 1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철 승강장의 공기를 1차적으로 포집 처리할 수 있다 .The HEPA filter module (not shown) or the electrostatic roll filter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let 111a and the first blower module 610, and of a subway platform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111a. Air can be collected and treated primarily.

동작 감지부(900)는 배출구 주변에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동작 감지센서(9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may be provided with a motion detection sensor 910 in orde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round the outlet.

교체주기 판단부(950)는 제 1 전류센서(960)와 제 2 전류센서(970)로 구성된다. 제 1 전류센서(960)는 제 1 송풍모듈(610)로 인입되는 전류의 양을 검출한다. 만약 제 1 흡착필터모듈(620)에 먼지가 많이 쌓이면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의 전후로 압력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부하의 증가로 제 1 송풍모듈(610)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류치가 상승한다. 제 1 전류센서(960)는 이러한 전류치를 검출하여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제어부(800)는 제 1 전류센서(960)의 전류치가 미리 입력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필터의 교체시기가 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표시하거나 관리자에게 필터교체 알람을 전송한다. The replacement cycle determination unit 950 includes a first current sensor 960 and a second current sensor 970.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drawn into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If a lot of dust accumulates in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fore and after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ccordingly, the current value for operating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load.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detects this current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800. When the current value of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exceeds a pre-inpu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800 determines that it is time to replace the filter and displays an alarm or transmits a filter replacement alarm to the administrator.

제 2 전류센서(970)는 제 1 전류센서(960)와 동일하게 제 2 송풍모듈(650)의 전류치를 검출하여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제어부(800)는 제 1, 2 전류센서(960, 970)의 검출된 전류치를 기초로 하여 제 1, 2 흡착필터모듈(620, 660)의 교체필요성을 표출하게 된다. The second current sensor 970 detects and transmits the current value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to the controller 80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The controller 800 expresses the need to replace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s 620 and 660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960 and 970.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625)는 자석, 후크 방식등으로 제 1 하우징(1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이 때, 제 1 흡착필터모듈(620)도 제 1 도어(625)와 함께 착탈된다. 이로써 관리자는 제 1 도어(625)를 분리한 후, 제 1 도어(625)로부터 편리하게 제 1 흡착필터모듈(620)를 교체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door 625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housing 110 by a magnet or hook method. At this time,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is also attached and detached together with the first door 625. Accordingly, the manager can conveniently replace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from the first door 625 after separating the first door 62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기정화장치
110 : 제 1 하우징
111a : 제 1 유입구
111b : 제 2 유입구
120 : 제 2 하우징
121 : 배출구
131 : 광고판
200 : 덕트부
210 : 배출덕트
220 : 유입덕트
230 : 배출밸브
240 : 유입밸브
300 : 내부 미세먼지 측정부
310 : 제1 미세먼지 측정센서
320 : 제2 미세먼지 측정센서
400 : 이산화탄소 측정부
410 : 제1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420 : 제 2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500 : 외부 미세먼지 측정부
510 : 외부 미세먼지 측정센서
600 : 미세먼지처리부
610 : 제1 송풍 모듈
620 : 제1 흡착필터모듈
625 : 제 1 도어,
630 : 제1 내부경로 제공 모듈,
635 : 제 1 상승경로,
640 : 제 2 미세먼지 처리부,
650 : 제 2 송풍모듈,
660 : 제 2 흡착필터모듈,
665 : 제 2 도어,
670 : 제 2 내부경로 제공모듈,
675 : 제 2 상승경로,
700 : 이산화탄소 처리부
710 : 제3 송풍 모듈
720 : 제3 흡착필터모듈
730 : 제 3 내부경로 제공 모듈
800 : 제어부,
850 : 통신부,
900 : 동작 감지부
910 : 동작 감지센서,
950 : 교체주기판단부,
960 : 제 1 전류센서,
970 : 제 2 전류센서.
100: air purification device
110: first housing
111a: first inlet
111b: second inlet
120: second housing
121: outlet
131: billboard
200: duct part
210: exhaust duct
220: inlet duct
230: discharge valve
240: inlet valve
300: in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310: first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320: second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400: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410: first carbon dioxide measuring sensor
420: second carbon dioxide measuring sensor
500: external fine dust measuring unit
510: External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600: fine dust processing unit
610: first blowing module
620: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5: first door,
630: a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5: the first ascent path,
640: second fine dust processing unit,
650: second blowing module,
660: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5: second door,
670: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75: second ascent path,
700: carbon dioxide processing unit
710: third blowing module
720: 3rd adsorption filter module
730: 3r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800: control unit,
850: Ministry of Communications,
900: motion detection unit
910: motion detection sensor,
950: replacement cycle determination unit,
960: first current sensor,
970: second current sensor.

Claims (8)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100)에 있어서,
일면에 위치하는 제 1 유입구(111a)와 상기 제 1 유입구(111a)상에 배치되는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을 포함하는 제 1 도어(625);
상기 제 1 도어(625)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1 송풍모듈(610);
상기 제 1 흡착필터모듈(620)과 상기 제 1 송풍모듈(61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내부경로 제공모듈(630);
상기 제 1 도어(62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유입구(111b)와 상기 제 2 유입구(111b)상에 배치되는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을 포함하는 제 2 도어(665);
상기 제 2 도어(665)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송풍모듈(650);
상기 제 2 흡착필터모듈(660)과 상기 제 2 송풍모듈(65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 2 내부경로 제공모듈(670); 및
상기 제 1 송풍모듈(610)과 상기 제 2 송풍모듈(6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I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installed in the subway platform,
A first door 625 including a first inlet 111a disposed on one side and a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disposed on the first inlet 111a;
A first blowing module 61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625;
A first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30 for guiding the air flow between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 second door 665 including a second inlet 111b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625 and a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disposed on the second inlet 111b;
A second blowing module 65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oor 665;
A second internal path providing module 670 for guiding the air flow between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and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And an outlet (121) for discharging the air flowing by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modules (610) and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구(111a)와 상기 제 2 유입구(111b)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nlet (111a) and the second inlet (111b) is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of a subway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up and down from the front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경로 제공모듈(630)의 일측은 상기 제 1 흡착필터모듈(620)에 인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 1 송풍모듈(61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ubway,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first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30 is adjacent to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other side has a conical shape adjacent to the center region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Slim type air purifier for plat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경로 제공모듈(670)의 일측은 상기 제 2 흡착필터모듈(660)에 인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 2 송풍모듈(650)의 중심영역에 인접하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ubway,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path providing module 670 is adjacent to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and the other side has a conical shape adjacent to the center area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Slim type air purifier for plat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625)와 상기 제 1 흡착필터모듈(620)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착탈시 같이 착탈되거나 혹은
상기 제 2 도어(665)와 상기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착탈시 같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door 625 and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r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or
The second door (665) and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is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of a subway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from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모듈(610)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1 전류센서(960);
상기 제 2 송풍모듈(650)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2 전류센서(970); 및
상기 제 1 전류센서(960)와 상기 제 2 전류센서(97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흡착필터모듈(620)과 상기 제 2 흡착필터모듈(660)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urrent sensor 960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 second current sensor 970 detecting a current value of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A controller 800 that displays a replacement cycle of the first adsorption filter module 620 and the second adsorption filter module 660 based on the outputs of the first current sensor 960 and the second current sensor 970 ), a slim-typ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subway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8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통신부(850)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850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wire or wireless,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The control unit 800 is a slim-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a subway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1)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송풍모듈(610)과 상기 배출구(121)를 연결하는 제 1 상승경로(635); 및
상기 제 2 송풍모듈(650)과 상기 배출구(121)를 연결하는 제 2 상승경로(6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et 121 is located abov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A first rising path 635 connecting the first blowing module 610 and the outlet 121; And
And a second rising path (675) connecting the second blowing module (650) and the outlet (121).
KR1020190068103A 2019-06-10 2019-06-10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KR1022903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03A KR102290375B1 (en) 2019-06-10 2019-06-10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03A KR102290375B1 (en) 2019-06-10 2019-06-10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83A true KR20200141283A (en) 2020-12-18
KR102290375B1 KR102290375B1 (en) 2021-08-18
KR102290375B9 KR102290375B9 (en) 2022-01-17

Family

ID=7404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103A KR102290375B1 (en) 2019-06-10 2019-06-10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3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36B1 (en) *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Fine dust management system for subway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87B1 (en) 2023-04-27 2023-10-26 피엠원 주식회사 Filter for Subway Platform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680A (en) * 2002-09-19 2004-04-08 Sharp Corp Air conditioner
KR20080025601A (en) * 2006-09-18 200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70037407A (en) 2015-09-25 2017-04-04 백재환 A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subway tunnel
KR101875029B1 (en) * 2018-04-18 2018-07-06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Smart control apparatus for having saving energy used analysis algorithm measurement data of electric power multiplexer channel measurement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190026135A (en) * 2017-09-04 2019-03-13 이주열 Air purifier of Wall mounting ty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680A (en) * 2002-09-19 2004-04-08 Sharp Corp Air conditioner
KR20080025601A (en) * 2006-09-18 200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70037407A (en) 2015-09-25 2017-04-04 백재환 A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subway tunnel
KR20190026135A (en) * 2017-09-04 2019-03-13 이주열 Air purifier of Wall mounting type
KR101875029B1 (en) * 2018-04-18 2018-07-06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Smart control apparatus for having saving energy used analysis algorithm measurement data of electric power multiplexer channel measurement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36B1 (en) * 2022-08-04 2023-06-05 주식회사 애니텍 Fine dust management system for subway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375B1 (en) 2021-08-18
KR102290375B9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547B1 (en) Air purifier of Wall mounting type
KR102000707B1 (en) Air purifier for classroom
US2017035061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in-door ventilation
CN206468252U (en) Window ventilating system with heat exchange and air-cleaning function
KR102182147B1 (en)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KR102275424B1 (en) Fine dust management system
CN103626012B (en) A kind of intelligent elevator cleaning systems
KR20200141283A (en) Slim standing type air purifier for subway platform
TWM378746U (en) A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KR20150067852A (en) Airflow management system for data center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2350583B1 (en) Smart Shelter with functions to block the inflow of fine dust and to sterilize viruses
KR101046939B1 (en) Subway air filter
SE515895C2 (en) Air filtr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CN104633794B (en) A kind of explosion-proof type air purifier group
KR20150096845A (en) Particulates measuring apparatus in vehicl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685301B (en) Heat exchange ventilating device
CN208815638U (en) A kind of deodorization ventilating system
KR101287402B1 (en) Roof type industrial dust collecting system
KR101543839B1 (en) Roof Type Industrial Dust Filtering System
KR102246264B1 (en) Dust collector which works in conjunction with air conditioner of train
CN105953313A (en)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device
CN215640427U (en) Tail gas collec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detection
CN108043854A (en) A kind of new large-sized workshop dust pelletizing system and its dust removal method
CN205383738U (en) Toilet's dust pollution sources location discernment and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CN105972708A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