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937A -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937A
KR20200139937A KR1020190066472A KR20190066472A KR20200139937A KR 20200139937 A KR20200139937 A KR 20200139937A KR 1020190066472 A KR1020190066472 A KR 1020190066472A KR 20190066472 A KR20190066472 A KR 20190066472A KR 20200139937 A KR20200139937 A KR 2020013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product
information
manufactur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
Priority to KR102019006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937A/ko
Publication of KR2020013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서버는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에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및 셀러 단말로부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한다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본 구매자 단말의 제1 상품 구매가 식별되는 링크 정보를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SELLING PLATFORM SERVER AND METHOD BASED ON LEVEL MATCHING THROUGH COMPETENCY EVALUATION}
본 발명은 제조사의 역량과 셀러의 역량에 따라 결정된 등급에 기반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와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 간의 매칭을 구현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플랫폼의 발달로 기존의 영상 매체인 TV를 통한 광고, 홈쇼핑, TV 프로그램의 영향력이 줄어감에 따라, 많은 서비스들이 현재 각광받은 모바일/SNS와 같은 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뉴커머스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제품 제조사는 TV를 통한 광고 또는 홈쇼핑을 이용하여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 플랫폼 전반에서 영향력을 가진 인플루언서라는 유저들이 제품의 광고와 판매라는 목적을 동시에 수행하는 셀러가 되고, 이러한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를 연결시켜 상품을 광고하고 판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현재의 셀링 플랫폼 서비스는 인플루언서의 팔로워 수를 기반으로 광고비가 책정되고 팔로워 수가 곧 셀러의 역량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현존하는 셀링 플랫폼 서비스의 매칭 구조에 따른 판매량을 측정한 결과, 셀러의 팔로워 수가 곧 제품의 판매 능력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즉, 제조사는 큰 금액을 들여 팔로워 수가 높은 셀러를 채택하여 상품 광고와 판매를 하여도, 팔로우 수가 셀러의 판매 역량과 비례하는 변수가 아니기 때문에 매출과 직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하여, 현재의 셀링 플랫폼 서비스는 제조사의 제조 역량에 대한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인플루언서 플랫폼 서비스의 셀러가 아무리 제조사의 상품에 대해 광고 및 마케팅을 잘 하여도, 제조사가 양질의 상품을 제조하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고 셀러의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8229호: 브랜드-인플루언서 마켓플레이스 제공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사의 제조 역량과 셀러의 판매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변수를 통해 각각의 등급을 산출하고, 산출된 등급 기반의 매칭을 통해 제조사와 셀러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서버는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에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셀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를 예정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의 상기 제1 상품 구매가 식별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방법은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에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셀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를 예정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의 상기 제1 상품 구매가 식별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의 생산 및 공급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변수, 그리고 셀러의 판매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변수를 통하여 산출된 등급 기반으로, 상품의 광고와 판매에 있어서 서로 적합한 제조사와 셀러 간의 매칭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매칭이 발생하면 셀러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상품을 할당 받아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량 및 기간을 정할 수 있다. 또는 제조사가 셀러를 정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량 및 기간을 정하여 판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셀러의 등급에 따라 상품을 할당할 수 있는 수량 및 기간에 차등을 두는 방식을 통해, 판매율이 높은 셀러에게 더 많은 상품을 할당 받을 수 있게 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셀러가 상품의 수량을 많이 할당 받을수록, 팔아야 하는 최소 수량에 대한 의무를 두어 목표량을 채우지 못하면 할당을 철회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조사의 상품 할당을 특정 셀러가 독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제조사의 상품에 대해 셀러의 등급별로 상품을 할당 받을 수 있는 개수를 분할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 등급이나 특정 셀러의 독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제조사가 상품 개시 이후 특정한 시간 내에 제품을 할당 받으면, 셀러가 보상받는 비율을 높게 책정하는 방식을 통해 셀러의 판매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사의 등급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러의 등급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제조사와 셀러의 등급에 따라 매칭이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단말에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에 영상 매력도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시스템(10)은 셀링 플랫폼 서버(100), 제조사 단말(200), 셀러 단말(300), SNS 플랫폼 서버(400) 및 구매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어날 수 있다.
셀링 플랫폼 서버(100)는 SNS 플랫폼에서 영향력을 가진 인플루언서라는 유저들이 제품의 광고와 판매라는 목적을 동시에 수행하는 셀러가 되고, 이러한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를 연결하여 상품을 광고하고 판매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셀링 플랫폼 서버(100)는 제조사의 역량과 셀러 역량을 기초로 각각의 등급을 결정하고, 판매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급 간의 제조사/셀러 매칭을 통해 셀링 플랫폼 서비스 내에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셀링 플랫폼 서버(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도 2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제조사 단말(200)은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제조사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제조사는 특정 상품을 제조 또는 유통하는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200)은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셀링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하여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는 제조사가 제조하는 상품군, 상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유 여부, 상품에 대한 입점 여부, 상품에 대한 인증 여부, 상품에 대한 가격 조절 가부, 상품의 주 사용 연령대, 상품의 주 사용 성별, 상품의 사용 계절(계절성), 상품의 유행성 여부, 상품에 대한 양산 횟수, 상품에 대한 생산 공장 유무, 및 상품에 투입 가능한 자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제조 역량을 평가 받아 제조사 등급이 정해지고,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셀러와 매칭되어 셀러로 하여금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도록 할 수 있다.
셀러 단말(300)은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셀러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셀러는 제조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주체를 포함한다. 셀러는 외부 SNS 플랫폼 서비스(예: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등)에서 다수의 팔로워 또는 친구를 보유한 인플루언서라는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셀러 단말(300)은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셀링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하여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셀러와 관련된 정보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정보,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 한 콘텐츠 종류,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한 콘텐츠 개수, 팔로워 또는 친구 수, 팔로워 또는 친구의 연령층, 팔로워 또는 친구의 성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셀러는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여 판매 정보(평균 방송 횟수, 팔로워 수, 방송 최대 수입 수, 방송 시간 대비 판매율, 팔로워 수 대비 방송 참여율, 방송 판매가, 방송 판매 금액, 방송 주문량, 실 구매율, 시청자 방송 평점 등)가 집계되도록 할 수 있다. 셀러는 상기 셀러 정보 및 판매 정보를 기초로 판매 역량을 평가 받아 셀러 등급이 정해지고,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제조사와 매칭되어 제조사의 상품을 할당 받아 자신이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상품을 광고하고 광고를 시청한 자들이 해당 상품을 구입하도록 할 수 있다.
SNS 플랫폼 서버(400)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SNS 플랫폼 서버(400)는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SNS 플랫폼 서버(400)는 셀러가 특정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셀러를 팔로우하는 팔로워 또는 셀러의 친구들이 셀러의 방송을 시청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500)은 셀러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주체의 단말이다. 구매자는 셀러가 광고하는 상품을 보고 제조사의 상품을 구입하는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는 셀러가 SNS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광고하는 영상을 보고 특정 링크를 통해 상품 구매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셀링 플랫폼 서버(100), 제조사 단말(200), 셀러 단말(300), SNS 플랫폼 서버(400) 및 구매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플랫폼 서버(100)는 저장부(110), 등급 결정부(120), 상품 정보 제공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제조사 및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는 제조사가 제조하는 상품군, 상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유 여부, 상품에 대한 입점 여부, 상품에 대한 인증 여부, 상품에 대한 가격 조절 가부, 상품의 주 사용 연령대, 상품의 주 사용 성별, 상품의 사용 계절(계절성), 상품의 유행성 여부, 상품에 대한 양산 횟수, 상품에 대한 생산 공장 유무, 및 상품에 투입 가능한 자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셀러와 관련된 정보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정보,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 한 콘텐츠 종류,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한 콘텐츠 개수, 팔로워 또는 친구 수, 팔로워 또는 친구의 연령층, 팔로워 또는 친구의 성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셀러와 관련된 정보는 셀러가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면서 집계되는 판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정보는 평균 방송 횟수, 팔로워 수, 방송 최대 수입 수, 방송 시간 대비 판매율, 팔로워 수 대비 방송 참여율, 방송 판매가, 방송 판매 금액, 방송 주문량, 실 구매율, 시청자 방송 평점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조사 및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제조사의 제조 역량을 반영하는 제조사 등급과 셀러의 판매 역량을 반영하는 제조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사의 등급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등급 결정부(120)는 기 지정된 질문에 대해 제조사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기초로 제조사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는 제조사 상품의 상품군, 상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유 여부, 상품에 대한 입점 여부, 상품에 대한 인증 여부, 상품에 대한 가격 조절 가부, 상품의 주 사용 연령대, 상품의 주 사용 성별, 상품의 사용 계절(계절성), 상품의 유행성 여부, 상품에 대한 양산 횟수, 상품에 대한 생산 공장 유무, 및 상품에 투입 가능한 자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120)는 도 3과 같이, 제조사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되어 있는 점수를 합산할 수 있고, 합산된 점수에 따라 제조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1~100점을 S등급, 81~90점을 A등급, 71~80점을 B등급, 70점 이하를 C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러의 등급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등급 결정부(120)는 SNS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셀러의 정보와 함께,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서 셀러가 상품을 판매하여 집계된 판매 정보를 기초로 셀러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SNS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셀러의 정보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정보,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 한 콘텐츠 종류, SNS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드한 콘텐츠 개수, 팔로워 또는 친구 수, 팔로워 또는 친구의 연령층, 팔로워 또는 친구의 성별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서 셀러가 상품을 판매하여 집계된 판매 정보는 소정 기간 당 평균 방송 횟수, 방송 최대 수입 수, 방송 시간 대비 판매율, 팔로워 수 대비 실제 방송 참여율, 방송 판매가, 방송 판매 금액, 방송 주문량, 실 구매율, 시청자 방송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120)는 상기 SNS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된 셀러의 정보와 상기 판매 정보에 기 설정되어 있는 점수를 합산하여 셀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셀러의 특정 기간 당 평균 방송 횟수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점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주 3회 이상: 5점, 주 2회 이상 4점, 주 1회 이상: 3점, 주 0.5회 이상(2주1회): 2점, 0.5회 이하: 1점
또한, 셀러의 팔로수 수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점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페이스북 채널]
5,000명 이상: 10점+2점(가점), 3,000명 이상~5,000명 미만: 8점, 2,000명 이상~3,000명 미만: 6점, 1,000명 이상~2,000명 미만: 4점, 1,000명 미만: 2점
[인스타 채널]
10만명 이상: 10점+2점(가점), 5만명 이상~10만명 미만: 10점, 1만명 이상~5만명 미만: 8점, 5,000명 이상~10,000명 미만: 6점, 1,000명 이상~5,000명 미만: 4점, 100명 이상~1,000명 미만: 2점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급 결정부(120)는 셀러의 판매 역량을 평가 요소로써 팔로우 수뿐만 아니라, 팔로우 수 대비 실제 방송 참여율을 고려할 수 있다.
팔로우 수의 20% 이상 방송 참여: 20점
팔로우 수의 15%이상~19%미만 방송 참여: 15점~19점
팔로우 수의 10%이상~15%미만 방송 참여: 10점~14점
팔로우 수의 5%이상~10%미만 방송 참여: 5점~9점
팔로우 수의 3%이상~5%미만 방송 참여: 3점~5점
팔로우 수의 1%이상~3%미만 방송 참여: 1~2점
팔로우 수의 1%미만 방송 참여: 0.01~1점
따라서, 등급 결정부(120)는 셀러의 판매 역량에 대한 변수로 팔로우 수뿐만 아니라 실제 방송 참여 비율을 고려하여 실제 셀러의 판매 역량을 보다 정확하게 고려할 수 있다.
더하여, 셀러의 방송 판매 금액에 대해, 아래와 같은 점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200,000원 미만: 5점
200,000원 이상~500,000원 미만: 10점
500,000원 이상~1,000,000원 미만: 15점
1,000,000원 이상~2,000,000원 미만: 20점
2,000,000원 이상: 25점
5,000,000원 이상: 30점
10,000,000원 이상: 35점
더불어, 더하여, 셀러의 방송 마감까지 방송 참여 구매자 수 대비 실제 구매 수의 비율에 대해, 아래와 같은 점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1%미만: 0점
1%이상~25%이하: 5점
26%이상~50%이하: 10점
51%이상~100%: 15점
101%이상~150%이하: 20점
151%이상: 25점
이에 따라, 등급 결정부(120)는 셀러에 대해 각 정보에 대해 설정된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점수의 순위에 따라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5위를 S등급, 26~50위를 A등급, 51~75위를 B등급, 76위~100위를 C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 단말(200)로부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제조사 단말(200)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300)에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제조사가 셀러로 하여금 광고 및 판매를 할 수 있도록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이때 제조사가 제공하는 상품을 '제1 상품'으로 지칭하며, 상품 정보는 제조사가 공급하는 제1 상품의 공급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셀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판매될 기간인 공급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셀링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제조사들의 제조사 등급이 제1 등급 내지 제m 등급(m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류되고, 셀러들의 셀러 등급이 제1 등급 내지 제n 등급(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류되고, 등급의 숫자가 클수록 높은 등급인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셀러 단말(300a)에 제1 등급 내지 제k 등급((
Figure pat00001
, k는 자연수) 사이의 제조사 등급을 갖는 제조사가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셀러 단말(300a)의 셀러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k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셀러는 셀러 등급이 높을수록 보다 여러 등급의 제조사들이 판매하는 상품을 할당 받을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정 하에서,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 단말(200a)에 제1 등급부터 제k 등급((
Figure pat00002
, k는 자연수) 사이의 셀러 등급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되, 상기 제조사 단말(200a)의 제조사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k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조사는 제조사 등급이 높을수록 보다 여러 등급의 셀러들이 자신의 상품을 광고하고 판매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제조사와 셀러의 등급에 따라 매칭이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등급 결정부(120)가 제조사 등급을 S, A, B, C 등급(우측 등급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등급이 높아짐) 중 하나로 결정하고, 셀러 등급을 1~25위, 26~50위, 51~75위, 76위~100위의 순위(100위에서 1위로 갈수록 순위 높음)로 나누어 등급을 분류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Case 1 에 따르면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1~25위의 셀러 단말(300)에 S, A, B, C 등급의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26~50위의 셀러 단말(300)에 A, B, C 등급의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51~75위의 셀러 단말(300)에 B, C 등급의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76~100위의 셀러 단말(300)에 C 등급의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Case 2 에 따르면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S 등급의 제조사 단말(200)에 1~100위의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 A 등급의 제조사 단말(200)에 26~100위의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 B 등급의 제조사 단말(200)에 50~100위의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 C 등급의 제조사 단말(200)에 76~100위의 셀러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 단말(200)이 전송한 상품 정보를 위 매칭에 따른 셀러 단말(300a)에게 제공하며, 셀러 단말(300a)의 셀러가 상기 상품 정보의 제1 상품을 판매할 수량인 할당 수량 및 제1 상품을 판매할 기간인 할당 기간을 입력 받아, 제조사 단말(200)의 상품 정보의 공급 수량 중 셀러가 선택한 할당 수량을 상기 셀러 단말(300)에 할당하고, 상품 정보의 공급 수량에서 할당 수량을 차감한 정보 및 제1 상품을 할당 받은 셀러들의 정보를 다른 셀러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셀러의 셀러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수량을 할당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셀러에 대한 할당 수량을 할당 기간으로 나눈 일일 할당 수량 보다, 셀러가 실제로 하루에 판매한 일일 판매 수량이 더 작은 횟수를 집계하여,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셀러 단말(300)에 대한 제1 상품의 할당을 철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셀러에 대한 할당 수량 중 상기 셀러가 실제로 판매한 제1 상품의 수량 정보를 다른 셀러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의 상품 정보를 매칭된 셀러 단말(300)에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셀러 단말(300)로부터 상품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셀러 단말(300)에 의한 상품 판매 시 제1 셀러 단말(300)에게 배정되는 수익률을 기 책정된 비율보다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셀러 단말(300)의 셀러와 관련된 정보 및 셀러 등급을 기초로, 셀러와 어울리는 상품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셀러가 선택한 상품 정보를 기초로 추가적으로 셀러가 할당 받을 수 있는 다른 상품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가 지정한 공급 수량에 대해, 셀러 등급 별로 할당해 갈 수 있는 제1 상품 수량의 비율을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가 1000개의 제1 상품을 공급 수량으로 지정한 경우,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1000개 중 40%를 S 등급의 셀러, 30%를 A 등급의 셀러, 20%를 B 등급의 셀러, 10%를 C 등급의 셀러가 할당 받을 수 있도록 미리 수량을 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셀러 단말(300)로부터 제1 상품의 할당 수량 및 할당 기간을 포함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에 의한 제1 상품의 구매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링크 정보를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링크 정보를 통한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스토어팜 플랫폼 서비스(예: 네이버 스토어팜, 아마존 등)를 이용하여 셀러 단말(300)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상품의 구매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웹페이지의 링크를 제1 셀러 단말(300)에 전송하고, 해당 링크의 웹페이지를 통해 구매되는 제1 상품과 관련된 판매 정보를 집계할 수 있다. 판매 정보는 상품에 대한 주문이 입력되는 시간, 상품 주문 수량, 주문 가격 입금 여부, 상품 실제 판매 수량, 배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의 API를 이용하여, 방송 시간 및 방송 시청자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 판매 정보 및 방송 정보를 기초로 소정 기간 당 평균 방송 횟수, 방송 최대 수입, 방송 시간 대비 판매율, 팔로워 수 대비 방송 참여율, 방송 판매 가격, 방송 판매 금액, 방송 주문량, 실 구매율, 시청자 방송 평점을 판별하고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120)는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셀러 등급을 결정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단말(500)에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셀러가 제1 상품을 광고하는 콘텐츠를 미러링하고 콘텐츠의 시청자 수 및 제1 상품의 판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의 API를 이용하여, 콘텐츠 영상을 미러링하고 콘텐츠의 시청자 수 및 제1 상품의 판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에 영상 매력도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영상의 시간당 시청자 유입 수, 시간당 구매 신청수 및 시간당 댓글 수를 기초로 영상 매력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셀러의 영상에서의 분당 유입 수(50%) + 구매율(30%) + 댓글 비율(20%)에 따른 배점을 통해 영상 매력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셀러의 영상이 종료되면 SNS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방송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구매자들이 저장된 영상을 다시 볼 수 있도록 저장된 영상의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저장된 영상의 재생시간이 나타나는 바와 함께 영상 매력도의 점수를 그래프화여 출력하고, 영상 매력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 단말(500)은 어떠한 재생 위치에서 제1 상품에 대한 설명이 잘 나타나는 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저장부(110), 등급 결정부(120), 상품 정보 제공부(130) 및 제어부(140)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링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른 셀링 방법의 각 단계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셀링 플랫폼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부(110)는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S1010). 등급 결정부(120)는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셀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S1020). 상품 정보 제공부(130)는 제조사 단말(200)로부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제조사 단말(200)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300)에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030). 제어부(140)는 셀러 단말(300)로부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를 예정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S1040),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500)의 제1 상품 구매가 식별되는 링크 정보를 셀러 단말(300)에 제공하고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할 수 있다(S1050).
한편, 도 8의 각 단계의 주체인 구성 요소들이 해당 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2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에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셀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를 예정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기 제1 상품 구매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한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셀링 플랫폼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제조사 등급을 제1 등급 내지 제m 등급(m은 2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셀러 등급을 제1 등급 내지 제n 등급(n은 2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로 결정하며, 등급의 숫자가 클수록 높은 등급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셀러 단말에 제1 등급 내지 제k 등급(
    Figure pat00003
    , k는 자연수) 사이의 제조사 등급을 갖는 제조사가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셀러 단말의 셀러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k를 증가시키는,
    셀링 플랫폼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제조사 등급을 제1 등급 내지 제m 등급(m은 2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셀러 등급을 제1 등급 내지 제n 등급(n은 2 이상의 자연수) 중 하나로 결정하며, 등급의 숫자가 클수록 높은 등급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조사 단말에 제1 등급부터 제k 등급(
    Figure pat00004
    , k는 자연수) 사이의 셀러 등급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되, 상기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이 높을수록 상기 k를 증가시키는,
    셀링 플랫폼 서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상품군, 지식재산권 보유 여부, 입점 여부, 인증 여부, 가격 조절 가부, 사용 연령대, 사용 성별, 계절성 여부, 유행성 여부, 양산 횟수, 생산 공장 유무, 및 생산 자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항목에 대해 기 설정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셀러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러의 평균 방송 횟수, 팔로워 수, 방송 최대 수입 수, 방송 시간 대비 판매율, 팔로워 수 대비 방송 참여율, 방송 판매가, 방송 판매 금액, 방송 주문량, 실 구매율, 시청자 방송 평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상품의 공급 수량 및 공급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 정보는 상기 셀러 단말이 상기 제1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배정받을 수량인 할당 수량 및 상기 제1 상품을 판매할 기간인 할당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공급 수량에서 상기 할당 수량을 상기 셀러 단말에 할당하고, 상기 공급 수량에서 상기 할당 수량을 차감한 정보를 다른 셀러 단말에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셀러에 대한 상기 할당 수량을 상기 할당 기간으로 나눈 일일 할당 수량 보다 일일 판매 수량이 작은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셀러 단말에 대한 상기 할당 수량을 철회시키는,
    셀링 플랫폼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공급 수량 중 소정의 셀러에게 할당된 수량, 상기 소정의 셀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정의 셀러의 할당 수량 중 상기 소정의 셀러가 판매된 수량 정보를 상기 셀링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참여하는 셀러 단말에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셀러 단말에 제공하는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셀러 단말로부터 상품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셀러 단말에 의한 상품 판매 시 상기 제1 셀러 단말에게 배정되는 수익률을 기 책정된 비율보다 높게 책정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러가 사용하는 SNS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상기 셀러가 상기 제1 상품을 광고하는 콘텐츠를 미러링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청자 수 및 상기 제1 상품의 판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시간당 시청자 유입 수, 시간당 구매 신청수 및 시간당 댓글 수를 기초로 영상 매력도를 계산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종료되면 상기 영상을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의 소정 재생시간에서의 상기 영상 매력도의 점수를 그래프화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13. 셀링 플랫폼 서버가 수행하는 셀링 방법에 있어서,
    상품을 제공하는 제조사 및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조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셀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조사 단말의 제조사 등급과 기 매칭되어 있는 셀러 등급을 갖는 셀러 단말에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셀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을 할당 받아 광고를 예정하는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러가 수행한 광고를 시청한 구매자 단말에 의한 상기 제1 상품 구매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셀러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한 제1 상품의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링 방법.
  14. 제13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5. 제13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66472A 2019-06-05 2019-06-05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KR20200139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72A KR20200139937A (ko) 2019-06-05 2019-06-05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72A KR20200139937A (ko) 2019-06-05 2019-06-05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937A true KR20200139937A (ko) 2020-12-15

Family

ID=7378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72A KR20200139937A (ko) 2019-06-05 2019-06-05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9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439B1 (ko) * 2022-08-08 2023-03-30 주식회사 어썸커머스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정보 및 브랜드 메이커 정보를 이용한 뷰티 제품 제조사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08150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크리스틴컴퍼니 신발, 의류 및 패션잡화를 포함하는 패션상품에 대한 디자인 및 위탁 생산의 추천 및 매칭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4004473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인우랩 신제품의 위탁생산과 서비타이제이션을 위한 서비스 매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229A (ko) 2017-09-29 2019-04-08 문용희 브랜드-인플루언서 마켓플레이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229A (ko) 2017-09-29 2019-04-08 문용희 브랜드-인플루언서 마켓플레이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50A (ko)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크리스틴컴퍼니 신발, 의류 및 패션잡화를 포함하는 패션상품에 대한 디자인 및 위탁 생산의 추천 및 매칭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15439B1 (ko) * 2022-08-08 2023-03-30 주식회사 어썸커머스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정보 및 브랜드 메이커 정보를 이용한 뷰티 제품 제조사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4473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인우랩 신제품의 위탁생산과 서비타이제이션을 위한 서비스 매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135B2 (en) Automated allocation of media campaign assets to time and program in digital media delivery systems
US101859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and executing an advertising campaign targeting TV viewers and digital media viewers across formats and screen types
US91471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data driven media placement
US202101528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ed delivery of targeted media
US11102545B2 (en) Digital media campaign management in digital media delivery systems
US9185441B2 (en) Upstream/downstream network and/or cont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TW201407516A (zh) 決定當前呈現的媒體節目的未來部分
KR102113128B1 (ko)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양방향 정산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EP283697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qualitative ad bidding
US9842354B2 (en) Simulator for a real-time bidding system
KR20200139937A (ko) 역량 평가를 통한 등급 매칭 기반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방법
US201501128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brand integration within online content and promoting that online content
US201500951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aler transactions
US20190205938A1 (en) Dynamic product placement based on perceived value
US20150095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aler network visualization
US201601892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kipping advertisements for a content
US20150081454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2243299B1 (ko) 외부 라이브 영상을 연동하여 한 페이지에 구매 및 정산 기능을 활성화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동작 방법
US11743536B2 (en) Digital media campaign management in digital media delivery systems
KR101849262B1 (ko) 광고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4644B1 (ko)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내에서 미리주문 기능을 제공하는 셀링 플랫폼 서버 및 셀링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
JP6762483B1 (ja) Ltvプランニングシステム、ltvプランニング装置、ltvプランニ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86548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US20160189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items for skipping advertisements
KR102243298B1 (ko) 홈쇼핑 시스템에 bpr을 적용한 4단계 프로세스의 라이브 방송 기반 셀링 플랫폼 서버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