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918A -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918A
KR20200139918A KR1020190066417A KR20190066417A KR20200139918A KR 20200139918 A KR20200139918 A KR 20200139918A KR 1020190066417 A KR1020190066417 A KR 1020190066417A KR 20190066417 A KR20190066417 A KR 20190066417A KR 20200139918 A KR20200139918 A KR 2020013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fine dust
ventilation device
air purifier
concentr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994B1 (ko
Inventor
류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06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9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 상기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순환 공급하는 공기청정기; 상기 가스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환기장치;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주방후드;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timizing indoor air quality}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가장 이슈화 되고 있는 내용 중 하나가 환경오염 문제이다. 특히, 사람이 상시 거주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 실내의 공기질에 따라 각종 질병 치료 및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 많은 공기청정기 및 환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에는 많은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주방에는 이러한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주방후드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제거를 위한 공기청정기의 운전과, 실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유해 가스의 실외 배출을 위한 환기장치의 운전, 및 요리 조리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의 실외 배출을 위한 주방후드의 운전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가 동시에 개별적으로 가동될 경우 실내 공기질을 최적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실내 공기질 개선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509호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 상기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순환 공급하는 공기청정기; 상기 가스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환기장치;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주방후드;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가스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룸 콘트롤러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자동 운전 가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은,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정지 중인 경우,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가동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후,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후,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후,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후, 상기 실내 가스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나쁨, 보통, 좋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강풍, 약풍, 미풍으로 구분하여,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나쁨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강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보통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약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좋음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미풍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나쁨, 보통, 좋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강풍, 약풍, 미풍으로 구분하여,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나쁨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강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보통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약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좋음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미풍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에 따라 환기장치의 가동 모드 및 공기청정기의 가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방후드의 가동 중에는, 환기장치 요리모드가 가동되도록 하여 주방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주방후드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요리 시 발생하는 음식물의 유분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필터 막힘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방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의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하고, 실내 가스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의 수준의 맞추어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가 적정한 가동 세기로 운전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공기청정기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실내 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환기장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와 가스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룸 콘트롤러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입력되는 자동 운전 신호에 의해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의 연동 제어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의 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1)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10),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20), 상기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순환 공급하는 공기청정기(70), 상기 가스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환기장치(80),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주방후드(30),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에서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스 센서(20)에서 측정된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80)의 가동 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는, 룸 콘트롤러(40) 또는 모바일 앱(50)을 통해 자동 운전 가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기청정기(70)와 환기장치(80) 및 주방후드(30)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센서(10)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또는 극초미세먼지(PM1.0)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지된 레이저 방식의 센서 또는 엘이디(LED) 방식의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20)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CO2), 총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질소(NO2), 오존(O3) 등의 유해 가스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지된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접촉연소식 가스센서, 반도체식 가스센서, 광화학식 가스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와 가스 센서(20)는, 실내에 설치되는 센싱박스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청정기(70)에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주방후드(30)는,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음식물의 유분 등의 이물질을 포함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 여부에 대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부(60)로 송출된다.
상기 룸 콘트롤러(40)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 운전 가동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 운전 가동 신호를 제어부(60)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모바일 앱(50)은,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의 표시부 표시되는 상기 모바일 앱(50)에는, 상기 자동 운전 가동 신호 입력 버튼과,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가스 센서(20)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 주방후드(30)와 공기청정기(70) 및 환기장치(80)의 가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70)는, 실내 국소 공간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내의 각방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내장된 필터를 통과시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한 후에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순환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환기장치(80)는, 상기 가스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내장된 필터를 통과시켜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한 후에 정화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환기장치(80)는, 배기 동작과 급기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환기모드와, 주방요리 시 주방후드(30)를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풍량을 보충하기 위해 배기 동작은 정지되고 급기 동작만이 수행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80)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70)가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스 센서(20)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가스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스 센서(20)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80)가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미세먼지 센서(10)를 이용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을 판단한다(S101).
다음으로,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상기 S102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환기장치(80)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70)를 가동 정지한다(S103).
이와 같이 주방후드(30)의 가동 중에는, 환기장치 요리모드가 가동되도록 하여 주방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주방후드(3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요리 시 발생하는 음식물의 유분에 의해 공기청정기(70)에 내장된 필터가 막히게 되는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7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동안에는 상기 S103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되면(S104),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고(S105), 상기 S101 단계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된 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연장 운전하게 되면, 주방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의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10)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70)를 가동한다(S106).
다음으로, 상기 가스 센서(20)를 이용하여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을 판단하고(S107), 상기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이에 따라 환기장치(80)를 가동한다(S108).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에 변동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를 변경한다(S109).
또한, 상기 환기장치(80)의 가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내 가스 농도가 감소하여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에 변동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여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변경한다(S110).
이와 같이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하고, 실내 가스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의 수준의 맞추어 공기청정기(70)와 환기장치(80)가 적정한 가동 세기로 운전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더욱 감소하게 되는데,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상기 S111 단계에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공기청정기(70)를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고(S112), 상기 S101 단계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80)의 가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내 가스 농도는 더욱 감소하게 되는데, 실내 가스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
상기 S113 단계에서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환기장치(80)를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고(S114), 상기 S101 단계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공기청정기(70)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실내 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환기장치(80)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와 가스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미세먼지 센서(10)를 이용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S201). 이 단계에서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기준으로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을 나쁨 영역(S202)과 보통 영역(S214) 및 좋음 영역(S226)으로 구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이 나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S202), 다음 단계로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상기 S203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환기장치(80)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70)를 가동 정지한다(S204).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동안에는 상기 S204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되면(S205),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고(S206),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S203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스 센서(20)를 이용하여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S207),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나쁨 영역(S208)과 보통 영역(S210) 및 좋음 영역(S212)으로 구분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나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 또한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09),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보통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11),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좋음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미풍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운전한 후 정지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13),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이 보통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S214), 다음 단계로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5).
상기 S215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환기장치(80)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70)를 가동 정지한다(S216).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동안에는 상기 S216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되면(S217),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고(S218),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S215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스 센서(20)를 이용하여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S219),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나쁨 영역(S220)과 보통 영역(S222) 및 좋음 영역(S224)으로 구분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나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21),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보통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23),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좋음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미풍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운전한 후 정지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25),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수준이 좋음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S226), 다음 단계로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7).
상기 S227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환기장치(80)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70)를 가동 정지한다(S228).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인 동안에는 상기 S228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주방후드(30)의 가동이 정지되면(S229), 상기 공기청정기(70)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고(S230),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S227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30)가 가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스 센서(20)를 이용하여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S231), 실내 가스 농도의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나쁨 영역(S232)과 보통 영역(S234) 및 좋음 영역(S236)으로 구분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나쁨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강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미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33),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보통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약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미풍으로 설정하여 가동하고(S235),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좋음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환기장치(80)의 가동 세기를 미풍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운전한 후 정지하고, 공기청정기(70)의 가동 세기는 미풍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예: 1시간) 동안 운전한 후 정지하고(S237), 상기 S201 단계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10 : 미세먼지 센서 20 : 가스 센서
30 : 주방후드 40 : 룸 콘트롤러
50 : 모바일 앱 60 : 제어부
70 : 공기청정기 80 : 환기장치

Claims (17)

  1.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
    상기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순환 공급하는 공기청정기;
    상기 가스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환기장치;
    주방 요리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주방후드; 및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된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 및 가동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실내 가스 농도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 가스 농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룸 콘트롤러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자동 운전 가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및 주방후드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9.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정지 중인 경우,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
    실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경우, 상기 환기장치의 급기 동작을 가동하고 배기 동작을 정지하는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가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가동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후드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상기 환기장치 요리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후,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후,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후,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의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후, 상기 실내 가스 농도의 측정값이 일정 수치 이하인 기준 가스 농도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설정된 시간 동안 연장 운전한 후에 운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나쁨, 보통, 좋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가동 세기를 강풍, 약풍, 미풍으로 구분하여,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나쁨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강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보통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약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수준이 상기 좋음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상기 미풍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에 대응하여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설정하여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을 나쁨, 보통, 좋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환기장치의 가동 세기를 강풍, 약풍, 미풍으로 구분하여,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나쁨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강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보통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약풍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실내 가스 농도 수준이 상기 좋음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미풍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운전된 후에 운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방법.
KR1020190066417A 2019-06-05 2019-06-05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58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17A KR102580994B1 (ko) 2019-06-05 2019-06-05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17A KR102580994B1 (ko) 2019-06-05 2019-06-05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918A true KR20200139918A (ko) 2020-12-15
KR102580994B1 KR102580994B1 (ko) 2023-09-22

Family

ID=7378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17A KR102580994B1 (ko) 2019-06-05 2019-06-05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9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372A (zh) * 2021-09-12 2021-12-03 重庆纤维研究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新风控制处理方法和系统
CN114674041A (zh) * 2022-03-14 2022-06-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水洗空调及其空气净化控制方法
KR102537118B1 (ko) * 2021-12-27 2023-05-30 주식회사 위니아 지능형 청정 환기 방법 및 지능형 청정 환기 장치
KR102557611B1 (ko) * 2022-06-23 2023-07-19 한국토지주택공사 Ai 기반 환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463A (ko) * 2008-12-30 2010-07-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민감도 설정방법
JP2015172472A (ja) * 2014-03-12 2015-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用換気装置
WO2017179362A1 (ja) *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KR20180127564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하츠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463A (ko) * 2008-12-30 2010-07-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민감도 설정방법
JP2015172472A (ja) * 2014-03-12 2015-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用換気装置
WO2017179362A1 (ja) *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KR20180127564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하츠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372A (zh) * 2021-09-12 2021-12-03 重庆纤维研究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新风控制处理方法和系统
KR102537118B1 (ko) * 2021-12-27 2023-05-30 주식회사 위니아 지능형 청정 환기 방법 및 지능형 청정 환기 장치
CN114674041A (zh) * 2022-03-14 2022-06-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水洗空调及其空气净化控制方法
KR102557611B1 (ko) * 2022-06-23 2023-07-19 한국토지주택공사 Ai 기반 환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994B1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9918A (ko)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RU26799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ачеством воздуха в помещении
EP17883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A2918085A1 (en) A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CN109282444A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81509B1 (ko)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KR20110136382A (ko)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85130B1 (ko)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JP2016138705A (ja) 空質検知手段を備えた換気システム
US6494777B1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odulating device
CN102927667A (zh) 一种家用室内空气处理装置
CN112325453B (zh) 一种新风量调整方法、调整系统以及新风机
CN114061080A (zh) 新风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7120815A (zh) 一种室内环境节能调节系统及调节方法
CN107636392B (zh) 空气净化系统及方法
KR20170089048A (ko) 라돈 센서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8967937U (zh) 一种净化空气的节能型新风系统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CN113357768A (zh) 空调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841013B (zh) 室内环境控制系统和室内环境控制方法
KR10242566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4736A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CN201129811Y (zh) 智能数字型室内空气处理器
CN114383281B (zh) 空气智能管理方法及空气智能管理系统
KR20160077263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