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520A -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 Google Patents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520A
KR20200139520A KR1020190066123A KR20190066123A KR20200139520A KR 20200139520 A KR20200139520 A KR 20200139520A KR 1020190066123 A KR1020190066123 A KR 1020190066123A KR 20190066123 A KR20190066123 A KR 20190066123A KR 20200139520 A KR20200139520 A KR 2020013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atch
neckband
ski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954B1 (ko
Inventor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06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적외선 및 미세 전류를 이용한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과 미세 전류 인가부 및 온도 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패치부와,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의 광원 및 미세 전류 인가부로 전류를 인가하되,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하는 본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NECKBAND-TYPE SKIN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적외선 및 미세 전류를 이용한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장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피부 미용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피부 미용장치는 사용시 사용자 또는 미용관리사(이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미용장치를 쥔 채 안면에 접촉시키면서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된 피부미용 전용 광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종래 광 마스크는 하나 이상의 광원체를 갖추고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 간단히 실행됐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시간의 미용시행도 불편함 없이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 광 마스크를 갖춘 피부미용장치는 피부와의 밀착 정도가 현저하게 낮아서, 광에 의한 피부 미용 효과를 증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미세 전류와 광 조사를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온도 센서에 의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과 미세 전류 인가부 및 온도 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패치부와,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의 광원 및 미세 전류 인가부로 전류를 인가하되,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하는 본체부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은 본체부와 커넥터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및 물리적으로 분리 및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는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미세 전류 인가부 간의 미세 전류 인가 방향을 변환시키며 미세 전류를 미세 전류 인가부들에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미세 전류 인가부로의 전류 인가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하며 미세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부스트 회로부와, 스위치부와 부스트 회로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는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들에 따라 부스트 회로부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패치부의 광원 및 미세 전류 인가부로의 전류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미세 전류와 광 조사를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미세 전류와 광 조사 자체의 미용 효과뿐만 아니라, 광 조사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온도 센서에 의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는 접착성(밀착성)을 지님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 및 탈착되며 미세 전류를 피부에 인가하고 피부에 적어도 하나의 색 이상의 광을 피부에 조사하며 전기적으로 분리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와,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단락되며 미세 전류의 인가와 광 조사를 위한 전압들에 대한 인가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하여 피부에 대한 미세 전류의 인가 기능과 광 조사 기능을 제어하는 본체부(100)로 구성된다.
전방에 사용자의 목이 관통하여 그 중심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부가 본체부(100)의 제 1 및 제 2 단부(101a), (101b)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되어 균형이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의 라운딩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 각각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TH1, TH2)와, 미세 전류의 인가를 위한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와, 근적외선이면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예를 들면, 적색, 녹색 등)을 조사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광원(D11, D12, D13), (D21, D22, D23)이 설치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 각각은 본체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 1-1 및 제 2-1 커넥터(C11, C21)를 각각 구비한다. 제 1-1 커넥터(C11)는 제 1 온도 센서(TH1)와 전기적 연결된 제 1 연결선(L11)과, 제 1 내지 제 3 광원(D11, D12, D1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내지 제 4 연결선(L12, L13, L14)과, 제 1 미세 전류 인가부(M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5 연결선(L15)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지 제 4 연결선(L12, L13, L14)에 한 개씩의 광원이 연결된 것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복수의 광원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커넥터(C11)의 제 1 내지 제 5 연결선(L11 ~ L15)는 제 1-1 커넥터 연결선(L1으로 통칭됨)으로 지칭된다.
또한, 제 2-1 커넥터(C21)는 제 2 온도 센서(TH2)와 전기적 연결된 제 1 연결선(L21)과, 제 1 내지 제 3 광원(D21, D22, D2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내지 제 4 연결선(L22, L23, L24)과,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5 연결선(L25)을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지 제 4 연결선(L12, L13, L14)에 한 개씩의 광원이 연결된 것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복수의 광원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제 2-1 커넥터(C21)의 제 1 내지 제 5 연결선(L21 ~ L25)는 제 2-1 커넥터 연결선(L2로 통칭됨)으로 지칭된다.
본체부(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미세 전류의 세기 조절, 광 조사 패턴 선택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20)에 인가하는 입력부(3)와, 사용자에게 정보(예를 들면, 전원 온 상태, 미세 전류의 세기 단계, 광 조사 패턴 정보 등)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5)와,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로부터 인가된 음향 신호를 음 방출하는 스피커부(7)와, 외부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9)와, 전원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스위치부(13)(즉,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 및 제 1 내지 제 3 광원(D11, D12, D13), (D21, D22, D23)으로 인가하는 부스트 회로부(11)와, 부스트 회로부(11)로부터 전원(또는 전압)을 공급 받아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 간의 미세 전류의 인가 방향을 변환시키며 공급된 전압을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에 인가하는 스위치부(1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미세 전류의 인가 기능과 광 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1), 표시부(5), 스피커부(7)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불과하여,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입력부(3)는 전원 온/오프, 미세 전류의 세기 조절, 광 조사 패턴 선택 등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20)에 인가한다. 여기서, 미세 전류의 세기 조절은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대한 것으로, 데이터 프로세서(20)는 부스트 회로부(11)를 제어하여 부스트 회로부(11)로부터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가변한다. 또한, 광 조사 패턴 선택은 피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색상)의 선택, 각 광원의 조사 시간(온/오프 시간) 및/또는 조사 순서 등을 포함하며, 데이터 프로세서(20)는 광 조사 패턴 선택을 입력부(3)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광 조사 패턴 선택에 따라 부스트 회로부(11)를 제어하여, 각 광원들(D11, D12, D13), (D21, D22, D23)의 조사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9)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wifi 등)을 수행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프로세서(20)에 인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20)는 인간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부(7)에 인가하여 음향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스트 회로부(11)는 전원부(1)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고, 데이터 프로세서(2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부(13)(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와, 각 광원들(D11, D12, D13), (D21, D22, D23)로의 인가 전류의 인가 및 차단, 미세 전류의 세기에 관련되어 스위치부(13)에 인가되는 전원(또는 전압)의 크기 등을 조절한다. 먼저, 부스트 회로부(11)는 데이터 프로세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부(13)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제어를 위한 제 1 신호(G1)와, 각 광원들(D11, D12, D13), (D21, D22, D23)에 대한 제어를 위한 제 2 내지 제 4 신호(G2, G3, G4)를 인가 받는다. 또한, 부스트 회로부(11)는 제 1 패치부(P1)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 2 내지 제 5 연결선(N12~N15)을 통하여 제 1-2 커넥터(C12)와 연결되고, 제 2 내지 제 5 연결선(N22~N25)을 통하여 제 2-2 커넥터(C22)와 연결된다.
스위치부(13)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을 구비하며, 부스트 회로부(11)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으며, 데이터 프로세서(20)로부터의 동작 신호에 따라 내부에 포함된 스위치들이 동작(온/오프)되어 미세 전류의 방향을 변환하며,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에 인가된 전압을 인가한다. 예를 들면, 미세 전류의 방향은 제 1 패치부(P1)에서 제 2 패치부(P2)로의 방향 또는 제 2 패치부(P2)에서 제 1 패치부(P1)로의 방향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프로세서(20)는 전원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TH1, TH2)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 1 및 제 2 온도 단자(TH10, TH20)을 구비하여, 제 1 및 제 2 온도 단자(TH10, TH20) 각각은 제 1 연결선(N11), (N21) 각각을 통하여 제 1-2 커넥터(C12)와, 제 2-2 커넥터(C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2 커넥터(C12)와 제 1-1 커넥터(C11)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 결합에 의해, 제 2-2 커넥터(C22)와 제 2-1 커넥터(C21) 간의 전기적 및 물리적 결합에 의해 데이터 프로세서(20)의 제어가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에도 미치게 된다. 즉, 제 1-2 커넥터(C12)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5 연결선(N11~N15)(N1으로 통칭됨) 각각과 제 1-1 커넥터(C11)의 제 1 내지 제 5 연결선(L11~L15)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2 커넥터(C22)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5 연결선(N21~N25)(N2로 통칭됨) 각각과 제 2-1 커넥터(C21)의 제 1 내지 제 5 연결선(L21~L25)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결합은 분리 및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는 소모성 소자에 해당되므로, 사용자는 커넥터들 간의 결합을 분리시키고, 신규의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20)는 광 조사를 위해 제 1 내지 제 3 신호(G1, G2, G3)(예를 들면, HIGH 신호 또는 LOW 신호)을 생성하여 부스트 회로부(11)에 인가하여, 제 1 내지 제 3 광원(D11, D12, D13), (D21, D22, D23)의 온 및 오프, 온 유지 시간, 광원의 조사 순서(예를 들면, D11->D12->D12 등)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광 조사는 피부에 접착(또는 밀착)된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를 통하여 수행됨으로써, 조사된 광이 피부 깊게 조사되어 많은 광량에 의한 피부 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20)는 광 조사 중에 또는 광 조사 없이 미세 전류를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를 통하여 피부에 인가한다. 데이터 프로세서(20)는 제 4 신호(G4)를 생성하여 부스트 회로부(11)에 인가하여 스위치부(13)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치부(13)에서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제어되어 제 1 및 제 2 미세 전류 인가부(M1), (M2) 간의 미세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며, 제 5 신호(G5)를 생성하여 스위치부(13)에 인가하여 미세 전류의 인가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치부(P1, P2)에서의 광 조사 및 미세 전류의 인가 시에 피부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피부 노화 문제를 방지 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TH1, TH2) 각각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 감지 온도를 이용한다. 데이터 프로세서(20)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TH1, TH2) 각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 1 및 제 2 감지 온도 각각을 제 1 연결선(L11), (N11) 및 제 2 연결선(L21), (N21)을 통하여 인가 받는다. 데이터 프로세서(20)는 기준 온도(피부 노화가 문제가 될 수 있는 온도)를 저장하여, 제 1 또는 제 2 감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현재 수행 중인 광 조사 및/또는 미세 전류의 인가 공정을 중지(전류 인가의 중지)하도록 부스트 회로부(11)로 제 1 내지 제 4 신호(G1, G2, G3, G4)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또는, 제 1 및 제 2 감지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20)는 현재 수행 중인 광 조사 및/또는 미세 전류의 인가 공정(전류의 인가)을 계속 수행한다. 데이터 프로세서(20)는 광 조사 및/또는 미세 전류의 인가 공정을 수행하면서 제 1 및 제 2 감지 온도와 기준 온도 간의 비교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P1, P2: 제 1 및 제 2 패치부 100: 본체부

Claims (4)

  1. 피부에 접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과 미세 전류 인가부 및 온도 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패치부와;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패치부의 광원 및 미세 전류 인가부로 전류를 인가하되,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하는 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은 본체부와 커넥터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및 물리적으로 분리 및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미세 전류 인가부 간의 미세 전류 인가 방향을 변환시키며 미세 전류를 미세 전류 인가부들에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미세 전류 인가부로의 전류 인가 및 차단 동작을 수행하며 미세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부스트 회로부와, 스위치부와 부스트 회로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서는 제 1 및 제 2 패치부 각각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감지 온도들에 따라 부스트 회로부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패치부의 광원 및 미세 전류 인가부로의 전류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KR1020190066123A 2019-06-04 2019-06-04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KR10227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23A KR102279954B1 (ko) 2019-06-04 2019-06-04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23A KR102279954B1 (ko) 2019-06-04 2019-06-04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20A true KR20200139520A (ko) 2020-12-14
KR102279954B1 KR102279954B1 (ko) 2021-07-21

Family

ID=7377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123A KR102279954B1 (ko) 2019-06-04 2019-06-04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12B1 (ko) * 2010-10-17 2017-05-11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개인용 피부 미용 치료를 위한 일회용 패치
CN208770683U (zh) * 2018-04-17 2019-04-23 南元平 一种使用方便的颈椎电疗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12B1 (ko) * 2010-10-17 2017-05-11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개인용 피부 미용 치료를 위한 일회용 패치
CN208770683U (zh) * 2018-04-17 2019-04-23 南元平 一种使用方便的颈椎电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954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552B1 (ko) 피부패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방법
CN109152925A (zh) 皮肤美容仪器
KR101816827B1 (ko)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WO2006031632A3 (en) Interchangeable tips for medical laser treatmen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15503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4976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TW2010296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components of an energized ophthalmic lens
WO2005030328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hototherapy, photodynamic therapy and diagnosis
KR102287036B1 (ko) 피부 미용기기
KR20180134624A (ko)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EP3914180A1 (en) A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and/or orientation of a handheld device with respect to a subject, a corresponding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Saboor et al. SSVEP-based BCI in a smart home scenario
EP4076641A1 (e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CN114845653A (zh) 提供关于对受试者的身体部位执行的处理操作的反馈
KR102301187B1 (ko) 피부관리 및 개선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피부관리 및 개선 방법
KR20200139520A (ko) 넥밴드형 피부 미용 장치
TW200501917A (en) Laser irradiation device, and skin care devic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WO2004105859A3 (en) Skin tanning and light therapy system and method
US20160279658A1 (en) Atomizing apparatus for development of biological trace evidence
KR101406204B1 (ko) 레이저 지방분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2185U (ko) 포터블 고주파 피부미용기
KR20210052067A (ko) 광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5646B1 (ko)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US10449356B2 (en) Inducing emotional response through craniofacial stimulation
KR102141671B1 (ko) Led를 이용한 피부 미용 복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