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385A -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385A
KR20200139385A KR1020190065825A KR20190065825A KR20200139385A KR 20200139385 A KR20200139385 A KR 20200139385A KR 1020190065825 A KR1020190065825 A KR 1020190065825A KR 20190065825 A KR20190065825 A KR 20190065825A KR 20200139385 A KR20200139385 A KR 2020013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equency
data
signal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124B1 (ko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Priority to KR102019006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124B1/ko
Priority to PCT/KR2020/006958 priority patent/WO2020246752A1/ko
Priority to US17/297,662 priority patent/US11308199B2/en
Publication of KR2020013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를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는 단계,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USER AUTHENTICATION METHODO USING ULTRASONICS WAVE}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가청 영역 주파수를 갖는 음파 신호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화 기술은 좁게는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과 같은 각종 문화 컨텐츠의 기획, 개발, 제작 등에 필요한 기술을 지칭하지만 광의적으로는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총체적인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존의 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전달 매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앨범 시장의 경우 전통적인 CD 형태의 앨범을 대체하기 위해 USB 타입의 앨범이나 스마트폰의 AUX 단자에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앨범 등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타입의 앨범은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를 판매하는 형태로 배포된다.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를 구입한 사용자가 이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 장치에 연결한 후, 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가 서버로부터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 된다.
그러나, 최근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경우 AUX 단자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삭제한 형태로 출시되는바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로는 저장 매체에 저당된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에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와 저장 매체 간에 페어링을 구축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는바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앨범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접촉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형태의 앨범에 있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접촉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를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는 단계,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 신호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음파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데이터가 상기 블록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럭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링율을 상기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 수로 나눈 측정 지속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지속시간의 역수값을 주파수 간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간격 별로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는, 인증 정보에 포함된 문자 또는 숫자의 대응 관계가 저장된 매핑 테이블로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확정하되, 상기 매핑 테이블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주파수는 상기 측정 지속시간의 역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면 상기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기 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전제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제 신호 이후에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제 신호는,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구분하고 인증 장치와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따르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면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단시간내에 정확한 변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숫자 또는 문자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고 그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블럭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파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증 장치와 인증 정보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 인증 장치(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로 구현되며,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인증 장치(300)에서 비가청 영역의 주파수 형태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관리 서버(4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비가청 영역의 주파수 형태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인정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인증 장치(300)에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인증 장치(300)는 인증 데이터를 소정의 음성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출력부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인증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파일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서버(400)가 하나의 물리적 서버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서버 등으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 서버(400)가 인증 서버와 컨텐츠 저장 서버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취득 경로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한다.
취득 경로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기 취득 경로로 컨텐츠 저장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증 장치(300)에서 비가청 영역의 주파수 형태로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숫자 또는 문자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를 구성하는 파일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인증 장치(30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되는 인증 정보는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는 문자와 숫자의 결합인 16진수 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정보가 16진수인 경우, 매핑 테이블은 16진수에 포함된 문자와 숫자에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에 대응되는 주파수는 f1, 2에 대응되는 주파수는 f2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인증 정보(300)에서 아날로그 데이터인 비가청 주파수 형태의 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음파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매핑 테이블과 이용하여 인증 정보(300)가 송신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를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하드웨어적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되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인증 장치(3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파 신호를 수신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외부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인증 장치(300)에서 출력된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음파 신호를 샘플링한다(S110). 여기에서, 음파 신호를 샘플링한다는 것의 의미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선택하여 연속적인 아날로그 데이터를 이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파 신호에 대한 샘플링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록을 생성한다(S130). 여기에서,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특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분할한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은 음파 신호에 대한 샘플링이 완료된 이후 생성되므로, 블록에는 샘플링된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이때, 하나의 블록에 포함되는 샘플링된 데이터들의 숫자는 초기 설정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블록에 1,024개의 샘플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블록이 생성된다.
블록 생성이 완료되면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한다(S140).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의 합성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샘플링된 데이터들 중에 주파수가 f1인 정현파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f2인 정현파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로 표현할 수 있다.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한 후,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그 블록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한다(S150).
예를 들어, 제1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했을 때, f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가장 크다면 도 2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f2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그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면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단시간내에 정확한 변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고 그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증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음파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파 신호를 샘플링하여 특정 시간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치로 변환한다.
샘플링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잘라 이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 샘플링 속도는 초당 샘플링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링 주파수가 20kHz라는 것은 1초당 샘플링되는 데이터가 20,000개임을 의미한다. 이때, 샘플링 주파수는 해석하고자 하는 신호의 상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최고 주파수는 샘플링 주파수의 1/2이 된다.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샘플링 주파수의 1/2를 초과하는 경우 샘플링된 데이터로부터 연속된 신호를 재연할만큼 충분한 수의 데이터가 취득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기 설정된 샘플링율(Sampling Rate)로 음파 신호를 샘플링하고,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록(B1, B2, B3, B4, B5??)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샘플링된 데이터 1,024개를 선택하여 하나의 블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B1 내지 B5 블록 각각에는 샘플링된 데이터 1,024개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블록을 시간 영역에서 해석하면, 음파 신호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음파 신호를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된 데이터가 블록에 포함되도록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샘플링율을 Fs로 표시하고 하나의 블럭에 포함된 데이터 수를 Bn으로 표시한후, Bn을 Fs로 나누면 Bn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샘플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링율이 48kHz이고 Bn이 1,024라면 1,024개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24/48000Hz = 21.33ms가 된다.
이를 측정 지속시간 D로 표시하고, D의 역수를 취하면 주파수 영역에서의 값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때, D의 역수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주파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예에서, 48000Hz / 1024 = 46.88Hz가 되는바 46.88Hz 간격으로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주파수는 상기 측정 지속시간의 역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측정 지속시간이 46.88Hz가 되도록 샘플링율(Fs)및 블록에 포함되는 샘플링된 데이터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상기 과정을 통해 결정된 주파수 간격의 주파수 성분으로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블럭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B1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데이터를 해석하면 B1 구간의 음파 신호는 주파수가 f1이고 크기가 A1인 신호, 주파수가 f2이고 크기가 A2인 신호, 주파수가 f3이고 크기가 A3인 신호 및 주파수가 f4이고 크기가 A4인 신호가 합성된 신호임을 알 수 있다.
이때, 각 주파수 성분의 간격, 예를 들어, f1과 f2의 간격과 f2와 f3의 간격 등이 측정 지속시간 D의 역수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각 블록에 포함된 음파 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얻어지면 크기가 가장 큰 주파수 신호를 검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B1 블록에서는 주파수 f2가 가장 큰 값을 가지므로 주파수 f2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해당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한다.
인증 장치(30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데이터의 전 구간에 대해 도 5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게 되는바 최종적으로는 인증 정보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파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증 장치와 인증 정보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각 블록에서의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다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면 그 이후의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 정보로 확정한다.
즉, 기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기 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전제 신호로 결정한다. 전제 신호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기 전 정확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시점을 용이하게 구분하도록 하고 인증 장치(300)와의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4의 주파수 신호가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가 전제 신호로 설정되어 있다면,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B2 블록 ~ B4 블록 구간 이후에 수신되는 음파 신호의 블록에 대응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 정보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술한 전제 신호를 이용하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데 발생하는 오류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 신호를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는 단계;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 신호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음파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샘플링율로 샘플링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샘플링데이터가 상기 블록에 포함되도록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에 포함된 샘플링된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링율을 상기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 수로 나눈 측정 지속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지속시간의 역수값을 주파수 간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간격 별로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로 확정하는 단계는,
    인증 정보에 포함된 문자 또는 숫자의 대응 관계가 저장된 매핑 테이블로 상기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확정하되, 상기 매핑 테이블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주파수는 상기 측정 지속시간의 역수 간격으로 설정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면 상기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기 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전제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제 신호 이후에 블록에서의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제 신호는,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을 구분하고 인증 장치와 전송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인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190065825A 2019-06-04 2019-06-04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243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25A KR102243124B1 (ko) 2019-06-04 2019-06-04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PCT/KR2020/006958 WO2020246752A1 (ko) 2019-06-04 2020-05-29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US17/297,662 US11308199B2 (en) 2019-06-04 2020-05-29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25A KR102243124B1 (ko) 2019-06-04 2019-06-04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85A true KR20200139385A (ko) 2020-12-14
KR102243124B1 KR102243124B1 (ko) 2021-04-22

Family

ID=7365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25A KR102243124B1 (ko) 2019-06-04 2019-06-04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8199B2 (ko)
KR (1) KR102243124B1 (ko)
WO (1) WO2020246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875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보안성을 향상시킨 비가청 음파 통신 기반의 인증 정보 전송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173B1 (ko) * 2005-01-26 200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복적 프리앰블 신호를 갖는 ofdm 신호 수신 방법
KR20140147035A (ko) * 2013-06-18 2014-12-29 (주)파워보이스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221B1 (en) * 1998-11-16 2007-08-21 Beepcard Ltd. Personal communicator authentication
US8019609B2 (en) * 1999-10-04 2011-09-13 Dialware Inc. Sonic/ultrasonic authentication method
KR101220178B1 (ko) * 2009-10-28 2013-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rfid 리더의 심볼 동기화 방법 및 장치
JP5994136B2 (ja) * 2011-06-15 2016-09-21 株式会社フィールドシステム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173B1 (ko) * 2005-01-26 200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복적 프리앰블 신호를 갖는 ofdm 신호 수신 방법
KR20140147035A (ko) * 2013-06-18 2014-12-29 (주)파워보이스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875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보안성을 향상시킨 비가청 음파 통신 기반의 인증 정보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08199B2 (en) 2022-04-19
KR102243124B1 (ko) 2021-04-22
WO2020246752A1 (ko) 2020-12-10
US20210357494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9494A1 (en) Song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1202087B (zh) 音频录音测试装置及方法
CN104013410B (zh) 音频播放方法、装置及系统
KR102179085B1 (ko) 비접촉 방식의 사용자 인증 방법
CN104123115A (zh) 一种音频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091596A (zh) 一种乐曲识别方法、系统和装置
WO2020015411A1 (zh) 一种训练改编水平评价模型、评价改编水平的方法及装置
US11632200B2 (en) Measuring and evaluating a test signal generated by a device under test (DUT)
CN104505103B (zh) 语音质量评价设备、方法和系统
US200801330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back test
TW201604829A (zh) 社交應用中擴展內容來源的方法及系統、用戶端和伺服器
KR10224312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CN104252872A (zh) 歌词生成方法和智能终端
CN105611400A (zh) 内容处理设备和用于发送可变大小的片段的方法
CN109510636A (zh) 接收调频信号功能的测试方法、装置、介质和设备
US9445210B1 (en) Waveform display control of visual characteristics
JPWO2014141413A1 (ja) 情報処理装置、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51534A1 (ja) 音響システム、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1543435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context information of a measurement
CN112687247B (zh) 音频对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166118B1 (en) Mobile aware intermodal assistant
KR101573868B1 (ko)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노래 가사를 인식하는 서버 및 이 서버를 포함하는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7306410A (ja) 音再生装置検査方法、音再生装置検査プログラムおよび音再生装置検査システム
KR102647512B1 (ko) 멀티채널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의록을 생성하는 방법
US8655467B2 (en) Audio test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