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672A - 광섬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672A
KR20200138672A KR1020200064452A KR20200064452A KR20200138672A KR 20200138672 A KR20200138672 A KR 20200138672A KR 1020200064452 A KR1020200064452 A KR 1020200064452A KR 20200064452 A KR20200064452 A KR 20200064452A KR 20200138672 A KR20200138672 A KR 2020013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fiber bundle
hou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성
이용건
이상신
Original Assignee
(주)옵토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토마인드 filed Critical (주)옵토마인드
Priority to US16/887,09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78752B2/en
Publication of KR2020013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섬유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외부의 제1 광모듈(first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1 광섬유 다발(first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수용부(first receptacle portion), 제1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제1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1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및 외부의 제2 광모듈(second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2 광섬유 다발(second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수용부(second receptacle portion), 제2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제2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2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first ho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본 개시는 광섬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모듈(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광섬유 다발 간의 광신호를 연결하는 광섬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브레이크아웃 케이블(breakout cable)은 외형적으로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하나의 케이블과 소수의 레인을 갖는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형태의 케이블로서 팬아웃 케이블(fanout cable)이라고도 한다. 브레이크아웃 케이블의 형태로 구현된 광케이블의 양측은 광모듈(optical module)로 구성되며, 각각의 광모듈은 기본적으로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모듈은 다양한 기술표준 혹은 기술표준에 준하는 기술사양을 따르도록 제작되는데, 일례로서 플러그형 소형 모듈(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 이하, 'SFP 모듈') 및 4 레인 플러그형 소형 모듈(quad 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 이하, 'QSFP 모듈')이 있다. 파장다중분할(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SFP 및 QSFP 광모듈은 각각 1개의 레인으로 구성된 송신단/수신단 및 4개의 레인으로 구성된 송신단/수신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송신단과 수신단은 각각 1개 또는 4개의 광섬유와 연결된다.
브레이크아웃 케이블의 형태로 구현된 광케이블의 일측은 레인 수가 많은 광모듈로 구성되고 타측은 레인 수가 적은 광모듈로 구성된다. 예컨대, 일측은 1개의 QSFP 모듈, 타측은 4개의 SFP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측은 1개의 8 레인 소형 모듈(quad small form-factor pluggable double density module; 이하, 'QSFP-DD' 또는 octal 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 이하, 'OSFP'), 타측은 8개의 SFP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측이 WDM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QSFP-DD 또는 OSFP 모듈인 경우, 브레이크아웃 케이블에 포함되는 광섬유는 송수신 광섬유를 모두 포함하여 16가닥이다.
광케이블의 일측이 1개의 QSFP 모듈, 타측이 4개의 SFP 모듈로 형성된 경우, QSFP 모듈의 송신단에 연결된 4개의 광섬유는 4개의 SFP 모듈 각각의 수신단에 연결된 광섬유와 광연결되고, QSFP 모듈의 수신단에 연결된 4개의 광섬유는 4개의 SFP 모듈 각각의 송신단에 연결된 광섬유들과 광연결된다. 이때, QSFP 모듈 및 SFP 모듈의 송수신단과 연결된 광섬유들의 정렬이 복잡하여 송수신단들이 광섬유에 잘못 연결되기 쉬운 점 뿐만 아니라 끊어진 두 개의 광경로 사이에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아웃 케이블 형태로 구현된 양측에 존재하는 광모듈의 송수신단 간 광연결을 더욱 쉽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각 모듈과 연결되는 광섬유들 사이의 정렬을 기반으로 광연결을 수행하는 광섬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의 제1 광모듈(first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1 광섬유 다발(first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수용부(first receptacle portion), 상기 제1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제1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1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및 외부의 제2 광모듈(second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2 광섬유 다발(second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수용부(second receptacle portion), 상기 제2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제2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2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first ho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 아웃 케이블 형태로 구현된 광모듈의 양측의 송수신단 간 광연결을 더욱 쉽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각 모듈과 연결되는 광섬유의 정렬을 기반으로 광연결을 수행하는 광섬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 아웃 케이블 형태로 구현된 광모듈의 양측의 송수신단 간에 광섬유의 간편한 정렬을 기반으로 광연결을 수행하므로, 광연결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송수신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에서 광연결에 이용되는 평행빔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1 광모듈(first optical module)이 단일 레인(lane) 송·수신단을 구비한 SFP 모듈(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이고, 제2 광모듈(second optical module)이 4 레인 송·수신단을 구비한 QSFP 모듈(quad 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인 경우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송·수신단의 레인 수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섬유 다발(first optical fiber bundle, 10) 및 제2 광섬유 다발(second optical fiber bundle, 2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광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광모듈 사이에 광연결된 케이블(cable)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광섬유 다발(1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의 개수는 각각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레인 수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은 각각 송신단(Tx) 및 수신단(Rx)을 포함하는데,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transmitter optical fiber, 12)는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receiver optical fiber, 22)와 연결되고, 제1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14)는 제2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24)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모듈과 제2 광모듈 간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들의 광연결을 지원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모듈의 광섬유와 제2 광모듈의 광섬유를 광연결함에 있어, 제1 광모듈과 연결되는 광섬유 다발 및 제2 광모듈과 연결되는 광섬유 다발의 광연결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광모듈 간 광연결에 있어, 각 모듈에 연결된 광섬유를 정렬함으로써 광 연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송수신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에 있어서 제1 광모듈은 하나의 송신단(Tx)과 하나의 수신단(Rx)을 포함한다. 제1 광모듈의 송신단(Tx) 및 수신단(Rx)과 연결되는 광섬유는 하나의 광섬유 리본으로 구현된다. 즉, 광섬유 연결장치(30)는 4개의 제1 광모듈과 연결되는데, 제1 광모듈 각각의 광섬유 리본과 연결된다. 여기서, 4개의 광섬유 리본 각각을 제1 리본(first ribbon, 16)이라 한다.
한편, 제2 광모듈은 송신단(Tx)과 수신단(Rx)을 포함하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에 있어서 제2 광모듈의 송신단(Tx)과 수신단(Rx)은 각각 4 레인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2 광모듈의 송신단(Tx)과 수신단(Rx)은 각각 4개의 광섬유와 연결되고, 각각 4개의 광섬유는 하나의 광섬유 리본으로 구현된다. 즉, 광섬유 연결장치(30)는 하나의 제2 광모듈과 연결되는데, 제2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24) 및 수신단 광섬유(22)를 각각 고정하는 광섬유 리본과 연결된다. 여기서, 2개의 광섬유 리본 각각을 제2 리본(second ribbon, 26) 및 제3 리본(third ribbon, 28)이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모듈과 연결되는 제1 리본(16)과 제2 광모듈과 연결되는 제2 리본(26) 및 제3 리본(28)을 정렬하여 광연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3의 (a)는 광섬유 연결장치(3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의 (b)는 광섬유 연결장치(3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하우징(first housing, 300), 제2 하우징(second housing, 400), 제1 수용부(first receptacle portion, 320), 제2 수용부(second receptacle portion, 420), 제1 리본(16), 제2 리본(26), 제3 리본(28), 제1 렌즈부(first lens unit, 340), 매개체(medium, 미도시) 및 제2 렌즈부(second lens unit, 4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광섬유 연결장치(30)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00)은 제1 수용부(320)와 제1 렌즈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용부(320)는 외부의 제1 광모듈과 연결되는 제1 광섬유 다발(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렌즈부(340)는 제1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제1 광모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하우징(400)은 제2 수용부(420)와 제2 렌즈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용부(420)는 외부의 제2 광모듈과 연결되는 제2 광섬유 다발(2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렌즈부(440)는 제2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제2 광모듈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은 각각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 간의 광연결을 지원한다. 이하, 제1 수용부(320), 제2 수용부(420), 제1 리본(16), 제2 리본(26), 제1 렌즈부(340) 및 제2 렌즈부(440)가 가질 수 있는 세부적인 특징을 설명한다.
제1 수용부(320)는 제1 하우징(30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도록(recessed) 형성되어 제1 광섬유 다발(10)과 끼움결합(insertion type engagement)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320)는 제1 광섬유 다발(10)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 제1 하우징(300) 내부의 빈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320)의 단면은 제1 하우징(300)의 일측면에 제1 광섬유 다발(10)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제1 광섬유 다발(10)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광섬유 다발(10)을 제1 하우징(300)에 삽입하기 위해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 수용부(320)는 제1 광섬유 다발(1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서, 제1 하우징(3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게 테이퍼(taper)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섬유 다발(10)이 제1 수용부(32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렌즈부(340)를 향하여 쉽게 이동될 수 있고,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도 쉽게 할 수 있다.
다만, 제1 광섬유 다발(1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제1 수용부(320)와 끼움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제1 수용부(320) 내에 제1 광섬유 다발(1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1 수용부(320)는 제1 광섬유 다발(10)에 포함되는 광섬유의 종단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접하는 제1 멈춤면(first stop surface, 32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멈춤면(325)은 제1 광섬유 다발(10)이 제1 수용부(320)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제1 광섬유 다발(10)과 수직하게 접한다. 여기서, 제1 멈춤면(325)은 제1 광섬유 다발(10)과 정확히 결합하기 위해, 제1 광섬유 다발(10)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각각의 광섬유의 지름이 T라고 가정하고, (4
Figure pat00001
2)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멈춤면(325)은 4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4T 를 가로길이로 가질 수 있고, 2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2T 를 세로길이로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부(320)가 제1 멈춤면(325)을 포함함으로써, 제1 광섬유 다발(10)이 고정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올바르게 제1 광섬유 다발(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2 수용부(420)는 제2 하우징(40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제2 광섬유 다발(20)과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2 수용부(420) 및 제2 멈춤면(second stop surface, 425)과 관련된 설명은 제1 수용부(320) 및 제1 멈춤면(325)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리본(16)은 제1 광섬유 다발(10)에 포함된 광섬유 다발로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하나의 송신단 광섬유(12) 및 하나의 수신단 광섬유(14)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섬유 다발(10)은 제1 리본(16)이 n 개(n은 자연수)가 부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제1 광섬유 다발(10)은 4개의 제1 리본(16)을 평행하게 위치시켜 (2
Figure pat00002
4)의 구조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광섬유 다발(10)은 총 (2
Figure pat00003
n)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리본(26)은 제2 광섬유 다발(20)에 포함된 광섬유 다발로서, 제2 광섬유 다발(20)이 포함하는 전체 광섬유 개수 중 선택된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3 리본(28)은 제2 광섬유 다발(20)에 포함된 광섬유 다발로서, 제2 광섬유 다발(20)이 포함하는 전체 광섬유 개수 중 제2 리본(26)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예컨대, 제2 광섬유 다발(20)이 총 (n
Figure pat00004
2) 개(n은 자연수)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제2 리본(26)은 n 개의 송신단 광섬유(24)를 포함하고, 제3 리본(28)은 n 개의 수신단 광섬유(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의 제2 광섬유 다발(20)은 1 개의 제2 리본(26) 및 1 개의 제3 리본(28)을 평행하게 부착시켜 (4
Figure pat00005
2)의 구조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광섬유의 지름이 T라고 가정하면, 제1 광섬유 다발(10)이 4 개의 제1 리본(16)으로 구성된 경우 제1 광섬유 다발(10)은 4 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4T 를 가로 길이로 가질 수 있고, 2 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2T 를 세로 길이로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광섬유 다발(20) 역시 4 개의 송신단 광섬유(24)를 포함하는 제2 리본(26) 및 4 개의 수신단 광섬유(22)를 포함하는 제3 리본(28)으로 구성되어, 4 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4T 를 가로길이로 가질 수 있고, 2 개의 광섬유 지름에 해당하는 2T 를 세로길이로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섬유 다발(10)의 광섬유 개수와 제2 광섬유 다발(20)의 광섬유 개수는 일치하고, 다발의 형상도 일치한다. 예컨대, 제1 광섬유 다발(10)이 (2
Figure pat00006
n)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이라면, 제2 광섬유 다발(20)도 (n
Figure pat00007
2)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리본(16)의 송신단 광섬유(12)는 제3 리본(28)의 수신단 광섬유(22)와 연결되고, 제1 리본(16)의 수신단 광섬유(14)는 제2 리본(26)의 송신단 광섬유(24)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12) 및 수신단 광섬유(14)가 광축(optical axis)을 따라서 각각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22) 및 송신단 광섬유(24)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본(16)과 제2 리본(26) 및 제3 리본(28)은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위치에 따라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에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렌즈부(340)는 제1 광모듈에서 송신되어 제2 광모듈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인 제1 광신호(first optical signal)가 제1 광섬유 다발(10), 제1 렌즈부(340), 매개체, 제2 렌즈부(44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제2 광모듈에서 최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렌즈부(340)는 제2 광모듈에서 송신되어 제1 광모듈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인 제2 광신호(second optical signal)가 제2 광섬유 다발(20), 제2 렌즈부(440), 매개체, 제1 렌즈부(34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제1 광모듈에서 최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2 렌즈부(440)도 마찬가지이다.
매개체는 예컨대, 공기가 되는 것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공 또는 굴절률 정합(index matching)을 위한 액체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광모듈에서 제2 광신호가 최대 효율로 수신되고, 제2 광모듈에서 제1 광신호가 최대 효율로 수신되기 위해, 제1 렌즈부(340)는 제1 하우징(3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제2 렌즈부(440)는 제1 렌즈부(340)로부터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 하우징(400)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거리는 광신호의 세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개체의 종류 및 존부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광신호 전달을 위해서, 제1 광섬유 다발(10)의 수신단 광섬유는 제1 렌즈부(340)로부터 제1 렌즈부(340)가 포함하는 렌즈의 초점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그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섬유 다발(20)의 수신단 광섬유도 제2 렌즈부(440)로부터 제2 렌즈부(440)가 포함하는 렌즈의 초점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그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광섬유 다발(10)의 송신단 광섬유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의 송신단 광섬유는 각 송신단 광섬유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가 각각 제1 렌즈부(340) 및 제2 렌즈부(440)에 전달되는 한, 반드시 초점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일단이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렌즈부(340) 및 제2 렌즈부(440)의 개수는 각각 제1 광섬유 다발(1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의 광섬유 개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렌즈부(340)는 제1 광섬유 다발(10)에 포함된 광섬유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렌즈인 제1 단위렌즈(first unit lens)를 포함하고, 제2 렌즈부(440)는 제2 광섬유 다발(20)에 포함된 광섬유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렌즈인 제2 단위렌즈(second unit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렌즈의 형상과 굴절률은, 제1 단위렌즈를 경유하는 광신호의 파장, 제1 광섬유 다발(10)과 제1 단위렌즈 사이의 거리, 제1 광섬유 다발(10)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광학적 특징 및 매개체의 굴절률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단위렌즈의 형상과 굴절률은, 제2 단위렌즈를 경유하는 광신호의 파장, 제2 광섬유 다발(20)과 제2 단위렌즈 사이의 거리, 제2 광섬유 다발(20)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광학적 특징 및 매개체의 굴절률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1 렌즈부(340) 및 제2 렌즈부(440)가 포함하는 렌즈는 평행광을 이용해서 광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콜리메이트 렌즈(collimate lens)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렌즈부(340) 및 제2 렌즈부(440)가 포함하는 렌즈를 콜리메이트 렌즈로 구성할 경우, 제1 광섬유 다발(10)로부터 입사된 광은 제1 하우징(300)의 타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사되고, 제2 광섬유 다발(20)로부터 입사된 광은 제2 하우징(400)의 타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제1 하우징(300)에 제2 하우징(400)이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1 하우징(300)에 체결공(380) 및 제1 렌즈부(340)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c)는 제2 하우징(400)에 체결부(480) 및 제2 렌즈부(440)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1 하우징(300)의 상부 단면도, 도 5의 (b)는 제1 하우징(300)의 측면 단면도, 도 5의 (c)는 제1 하우징(300)의 타측면 정면도, 도 5의 (d)는 제1 하우징(300)의 일측면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제2 하우징(400)의 상부 단면도, 도 6의 (b)는 제2 하우징(400)의 측면 단면도, 도 6의 (c)는 제2 하우징(400)의 타측면 정면도, 도 6의 (d)는 제2 하우징(400)의 일측면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안착부(accommodation portion, 360), 체결부(engagement portion, 480) 및 체결공(engagement hole, 3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안착부(360)는 제1 하우징(300)에 포함되고, 제2 하우징(4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안착부(360)를 포함하기 위해서, 제1 하우징(300)은 제2 하우징(400)이 안착되는 방향이 형성하는 벡터와 제1 광섬유 다발(10)이 제1 하우징(300)에 수용되는 방향이 형성하는 벡터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L' 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L' 형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하우징(400)이 안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하우징(400)이 제1 하우징(300)에 안착되는 경우, 안착부(360)의 일부에는 체결부(480)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공(38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300)이 체결공(38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2 하우징(400)은 체결공(380)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80)의 형상은 체결공(3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원기둥 형상의 모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480) 및 체결공(380)은 각각 1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부(480)의 개수와 체결공(380)의 개수는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이 체결공(380) 및 체결부(48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 광섬유 다발(1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을 동일선상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이 체결공(380) 및 체결부(480)에 의해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이 결합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처음부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렌즈부(340)의 위치는 가상의 선인 제1 기준선(first reference line, 385) 및 제2 기준선(second reference line, 345)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제1 기준선(385)은 제1 가로 기준선(first horizontal reference line, 385_1) 및 제1 세로 기준선(first vertical reference line, 385_2)을 포함하고, 제2 기준선(345)은 제2 가로 기준선(second horizontal reference line, 345_1) 및 제2 세로 기준선(second vertical reference line, 345_2)을 포함한다.
제1 세로 기준선(385_2)은 제1 가로 기준선(385_1)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제1 세로 기준선(385_2)은 체결공(38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가로 기준선(385_1)의 중점을 지난다. 또한, 제2 세로 기준선(345_2)은 제1 세로 기준선(385_2)과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만나며, 제1 렌즈부(340)는 제2 세로 기준선(345_2)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2 세로 기준선(345_2)의 중점이 제1 렌즈부(34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제2 가로 기준선(345_1)이 설정되어 제1 렌즈부(340)의 위치가 정의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2 렌즈부(440)의 위치는 가상의 선인 제3 기준선(third reference line, 485) 및 제4 기준선(fourth reference line, 445)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제3 기준선(485)은 제3 가로 기준선(third horizontal reference line, 485_1) 및 제3 세로 기준선(third vertical reference line, 485_2)을 포함하고, 제4 기준선(445)은 제4 가로 기준선(fourth horizontal reference line, 445_1) 및 제4 세로 기준선(fourth vertical reference line, 445_2)을 포함한다.
제3 세로 기준선(485_2)은 제3 가로 기준선(485_1)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제3 세로 기준선(485_2)은 체결부(480)의 중심을 지나는 제3 가로 기준선(485_1)의 중점을 지난다. 또한, 제4 세로 기준선(445_2)은 제3 세로 기준선(485_2)과 직각 연결되도록 만나며, 제2 렌즈부(440)는 제4 세로 기준선(445_2)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4 세로 기준선(445_2)의 중점이 제2 렌즈부(44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제4 가로 기준선(445_1)이 설정되어 제2 렌즈부(440)의 위치가 정의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에서 광연결에 이용되는 평행빔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의 일측은 제1 광섬유 다발(10), 타측은 제2 광섬유 다발(20)을 나타낸다.
도 7의 (a)는 기본적인 광연결에서 평행빔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400)은 각각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비하고, 콜리메이트 렌즈는 광섬유로부터 방출되어 방사되는 빔을 평행한 평행빔으로 변경하여 광연결을 지원한다. 여기서 빔(beam)은 광선의 집합을 의미한다. 콜리메이트 렌즈는 비구면 렌즈(aspherical lens)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의 (b)는 제1 광섬유 다발(10)과 제2 광섬유 다발(20) 간의 위치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 평행빔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평행빔을 기반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섬유 다발(1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의 위치정렬 오차에 둔감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7의 (b)와 같이 제작 공차 등으로 인하여 제1 광섬유 다발(10) 및 제2 광섬유 다발(20)이 동일 선상에 결합되지 않아도 광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c)는 제1 광섬유 다발(10)의 단면적과 제2 광섬유 다발(20)의 단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에 평행빔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최초 신호를 최대한 오래 보존해야 하므로, 송신단(Tx)의 광섬유는 단면적이 클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수신단(Rx) 광섬유의 단면적은 송신단(Tx) 대비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콜리메이트 렌즈를 이용하여 광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8의 (a)는 광섬유 연결장치(3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8의 (b)는 광섬유 연결장치(30)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하우징(800), 제2 하우징(900), 제1 수용부(820), 제2 수용부(920), 제1 렌즈부(840) 및 제2 렌즈부(9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광섬유 연결장치(30)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섬유 다발(80) 및 제2 광섬유 다발(90)이 리본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광모듈의 수신단(Rx) 및 송신단(Tx)과 연결되는 광섬유들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들은 리본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광모듈의 수신단(Rx) 및 송신단(Tx)과 연결되는 광섬유들도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들은 리본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리본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82)들은 리본을 구성할 수 있고, 제1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84)들도 리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92) 및 송신단 광섬유(94)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용부(820) 및 제2 수용부(920)는 각각 제1 멈춤면(825) 및 제2 멈춤면(925)으로부터 제1 렌즈부(840) 및 제2 렌즈부(940)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가닥수용부(first strand receptacle portion, 830) 및 제2 가닥수용부(second strand receptacle portion, 9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다발이 리본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1 수용부(820) 및 제2 수용부(920)에 제1 광섬유 다발(80) 및 제2 광섬유 다발(90)을 결합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가닥수용부(830) 및 제2 가닥수용부(930)를 포함하여 광섬유 가닥 하나씩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의 제1 렌즈부(840) 및 제2 렌즈부(940)는 (2
Figure pat00008
4) 의 형태가 아니라, (1
Figure pat00009
8) 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제1 광섬유 다발(80) 및 제2 광섬유 다발(90)의 형태에 따라 제1 렌즈부(840) 및 제2 렌즈부(940)를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섬유 다발(80) 및 제2 광섬유 다발(90)의 형태에 따라 제1 멈춤면(825) 및 제2 멈춤면(925)도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섬유 다발(80)의 광섬유 개수와 제2 광섬유 다발(90)의 개수는 일치하고, 다발의 형상도 일치한다. 즉, 제1 광섬유 다발(80)이 (1
Figure pat00010
n)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이라면, 제2 광섬유 다발(90)도 (1
Figure pat00011
n) 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82)는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92)와 연결되고, 제1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84)는 제2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94)와 연결된다. 제1 광섬유 다발(80) 및 제2 광섬유 다발(90)은 제1 광모듈 및 제2 광모듈의 위치에 따라 제1 하우징(800) 및 제2 하우징(900)에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사항을 제외하고,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800), 제2 하우징(900), 제1 수용부(820), 제2 수용부(920), 제1 렌즈부(840), 매개체 및 제2 렌즈부(94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300), 제2 하우징(400), 제1 수용부(320), 제2 수용부(420), 제1 렌즈부(340), 매개체 및 제2 렌즈부(44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제1 하우징(800)에 제2 하우징(900)이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제1 하우징(800)에 체결공(880) 및 제1 렌즈부(840)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c)는 제2 하우징(900)에 체결부(980) 및 제2 렌즈부(940)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제1 하우징(800)의 상부 단면도, 도 10의 (b)는 제1 하우징(800)의 측면 단면도, 도 10의 (c)는 제1 하우징(800)의 타측면 정면도, 도 10의 (d)는 제1 하우징(800)의 일측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제2 하우징(900)의 상부 단면도, 도 11의 (b)는 제2 하우징(900)의 측면 단면도, 도 11의 (c)는 제2 하우징(900)의 타측면 정면도, 도 11의 (d)는 제2 하우징(900)의 일측면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안착부(860), 체결부(980) 및 체결공(8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860), 체결부(980) 및 체결공(88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360), 체결부(480) 및 체결공(38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부(840)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제1 기준선(885) 및 제2 기준선(845)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준선(385) 및 제2 기준선(345)에 대한 설명과 같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렌즈부(940)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제3 기준선(985) 및 제4 기준선(945)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기준선(485) 및 제4 기준선(445)에 대한 설명과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30)는 광모듈과 연결되는 광섬유의 정렬을 기반으로 광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브레이크 아웃 케이블 형태로 구현된 광모듈 양측의 송수신단 간 광연결을 더욱 쉽고 간결하게 한다. 또한, 브레이크 아웃 케이블 형태로 구현된 광모듈 양측의 송수신단 간 광연결을 광섬유의 간편한 정렬을 기반으로 수행하므로, 광연결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80: 제1 광섬유 다발 12, 82: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
14, 84: 제1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 16: 제1 리본
20, 90: 제2 광섬유 다발 22, 92: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
24, 94: 제2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 26: 제2 리본
28: 제3 리본 30: 광섬유 연결장치
300, 800: 제1 하우징 320, 820: 제1 수용부
325, 825: 제1 멈춤면 830: 제1 가닥수용부
340, 840: 제1 렌즈부 345, 845: 제2 기준선
345_1, 845_1: 제2 가로 기준선 345_2, 845_2: 제2 세로 기준선
360, 860: 안착부 380, 880: 체결공
385, 885: 제1 기준선 385_1, 885_1: 제1 가로 기준선
385_2, 885_2: 제1 세로 기준선 400, 900: 제2 하우징
420, 920: 제2 수용부 425, 925: 제2 멈춤면
930: 제2 가닥수용부 440, 940: 제2 렌즈부
445, 945: 제4 기준선 445_1, 945_1: 제4 가로 기준선
445_2, 945_2: 제4 세로 기준선 485, 985: 제3 기준선
485_1, 985_1: 제3 가로 기준선 485_2, 985_2: 제3 세로 기준선
480, 980: 체결부

Claims (9)

  1. 외부의 제1 광모듈(first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1 광섬유 다발(first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수용부(first receptacle portion)와 상기 제1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제1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1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및
    외부의 제2 광모듈(second optical module)과 연결되는 제2 광섬유 다발(second optical fiber bundle)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2 수용부(second receptacle portion)와 상기 제2 광모듈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광신호의 형상과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제2 광모듈로 전달하는 제2 렌즈부(first lens unit)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first hous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만큼 함몰(recessed)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섬유 다발과 끼움결합(insertion type engagement)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광섬유 다발과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 또는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광모듈에서 송신되어 상기 제2 광모듈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인 제1 광신호가 상기 제1 광섬유 다발, 상기 제1 렌즈부, 매개체, 상기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상기 제2 광모듈에서 최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광모듈에서 송신되어 상기 제1 광모듈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인 제2 광신호가 상기 제2 광섬유 다발, 상기 제2 렌즈부, 상기 매개체,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상기 제1 광모듈에서 최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제1 광섬유 다발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단위렌즈(unit lens)인 제1 단위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렌즈의 형상과 굴절률은 상기 제1 단위렌즈를 경유하는 광신호의 파장, 상기 제1 광섬유 다발과 상기 제1 단위렌즈 사이의 거리, 상기 제1 광섬유 다발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광학적 특징 및 상기 매개체의 굴절률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단위렌즈인 제2 단위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렌즈의 형상과 굴절률은 상기 제2 단위렌즈를 경유하는 광신호의 파장, 상기 제2 광섬유 다발과 상기 제2 단위렌즈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광학적 특징 및 상기 매개체의 굴절률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광섬유 다발에 포함되는 광섬유의 종단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접하는 제1 멈춤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에 포함되는 광섬유의 종단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접하는 제2 멈춤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accommodation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안착되는 방향이 형성하는 벡터와 상기 제1 광섬유 다발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이 형성하는 벡터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L'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안착되는 경우, 체결부가 체결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안착부의 일부에 체결공(engagement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engagement portion)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섬유 다발은,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 하나의 송신단 광섬유(transmitter optical fiber) 및 하나의 수신단 광섬유(receiver optical fiber)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제1 리본(first ribbon)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은,
    상기 제2 광섬유 다발이 포함하는 전체 광섬유 개수 중 선택된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리본(second ribbon) 및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제3 리본(third ribb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모듈의 송신단 광섬유 및 수신단 광섬유는, 광축을 따라서 각각 상기 제2 광모듈의 수신단 광섬유 및 송신단 광섬유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KR1020200064452A 2019-05-31 2020-05-28 광섬유 연결장치 KR20200138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87,097 US11378752B2 (en) 2019-05-31 2020-05-29 Fanout optica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20 2019-05-31
KR20190064320 2019-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672A true KR20200138672A (ko) 2020-12-10

Family

ID=7379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452A KR20200138672A (ko) 2019-05-31 2020-05-28 광섬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86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3374B2 (en) WDM Mux/DeMux on cab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3261935B (zh) 用于光电模块的多激光器发射器光学组件
JP6956211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アクティブ光ケーブル
US10270531B2 (en)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61042B2 (en) Optical coupling device
CN108376847B (zh) 混合式缆线到板连接器
US11378752B2 (en) Fanout optical assembly
WO2017118271A1 (zh) 一种用于双链路传输的并行收发光模块和制作方法
US5757994A (en) Three-part optical coupler
US8916812B2 (en) Optical module
JPH0233109A (ja) 二重波長光通信集成装置
CN106842439B (zh) 数据收发模块的光连接器和光连接器的透镜组
CN108572419B (zh) 长距离有源光缆
CN106461867A (zh) 使用模态调节光纤的多模光学传输系统
US9435965B2 (en) Single mode fiber array connector for opto-electronic transceivers
US20160246015A1 (en) Multiple-beam microlen
US20060093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nector keying and identification for unidirectional fiber cables
JP2009192683A (ja) 光通信モジュール及びその使用方法
CN205176333U (zh) 六信道光信号传输模块
WO2016155381A1 (zh) 用于并行光收发模块的集成多路光学透镜阵列组件
US202202914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ing cwdm ferrule mated to a non-cwdm ferrule
US20130016981A1 (en) Photoelectrci coversion system with optical transceive module
KR20200138672A (ko) 광섬유 연결장치
CN114879324A (zh) 光模块
CN114994839A (zh) 光模块